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재삼의 초기시 연구 : 시집 『천년의 바람』을 중심으로

        조동구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3 No.-

        본고에서는 박재삼의 초기 시세계를 시집 『천년의 바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전통서정의 뛰어난 계승자에 그치지 않고 이를 발전·심화시킨 서정주의 시인으로서 그의 시의 정서적 원형을 분석해 보았으며, 특히 그가 이룬 특유의 서정엔 어떤 시적 원리나 시학이 바탕을 두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박재삼 시의 주조를 이루는 정서인 '한'과 '슬픔'은 한국 서정시의 전통에 뿌리를 둔 것이기도 하지만 '가난'의 유년체험과 잦은 '질병'에 따른 외로움과 고통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가난'과 '질병'에 따른 '한'과 '슬픔'의 정서를 오히려 자연과의 합일을 꿈꾸며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과 '정'으로 승화시킨다. 그의 삶의 비극적 체험은 절대순수의 초월적 세계로 나아가게 하는 동력이 되었으며, 초월적 순수세계와의 거리를 '아득함'의 시학으로 관조하면서 마침내 미적·정신적 승화를 이루어내게 된다. 『천년의 바람』 이후의 시들이 보여주는 일상적 삶의 소박한 반추나 이에 따른 인생의 체념과 허무의 세계 또한, 가장 소박하고 근원적인 정서를 통해 인간세계, 우주의 의미를 '화해'와 '공존'이라는 시정신의 깊이와 시적 방법론의 틀 위에서 가능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an early poetic world of Park Jae-sam with respect to his work 『The blow of a millenium』. Being a successor of Korean traditional emotion, he developed and consolidated it more, so this paper looks into what poetic principles and poetics are based on his specific lyricism by analyzing his spiritual prototype. The main emotion'heartburing'and'sadness'of Park Jae-sam's works are deeply rooted in the tradition of Korean lyric poetry, but it also had started from his loneliness and mental anguish influenced by his earlier experience of poverty and frequent illness. But he leads his emotion to an innocent and beautiful 'Love'and 'affection' by dreaming to be oneness with nature. His tragic experience of life drives transcendental world of absolute innocence and finally brings an aesthetic and spiritual attainment by contemplating its distance with transcendental innocent world through 'remoteness' in the poetics.

      • KCI등재
      • KCI등재

        박두진의 후기시 연구 -시집《방벽을 깬다》,《폭양에 무릎 꿇고》,《당신의 사랑 앞에》를 중심으로

        조동구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world of Park Du Jin’s poem, through the anthologies of Breaking of an ice ridge(1990), Kneel down in the burning sun(1995), In front of your love(1999), of the later part of his life. The poems of Breaking of an ice ridge are song of tolerance and living together by self-sacrificing and bearing the heavy load of others, differ from the works of previous period. Secondly, the poems of Kneel down in the burning sun are the christian poems that confess his own loneliness and the gap from God. Thirdly In front of your love, his posthumous manuscripts, shows what is the end of his poetic ideal. For all his life, Park wrote poems of the pursuit of ideal world, ‘Nature’→‘Mankind’→‘God’. By this anthology, he arrived at the world of poetry of tolerance and living together of all the ‘Nature’ and 'Life, finally. Especially Susokyounga(poems of water made stone) is the song of the happiness and the gratitude for achievement the world of harmony of ‘Nature’ and ‘Me’, ‘God’ and ‘Me’, ‘You’ and ‘Me’. In conclusion, at the later part of his life, Park Du Jin could arrive at the poetic world of tolerance and living together of all the ‘Nature’ and 'Life. 본고는 ≪빙벽을 깬다≫(1990), ≪폭양에 무릎 꿇고≫(1995), ≪당신의 사랑 앞에≫(1999) 3권의 시집을 중심으로 박두진이 추구한 시세계의 궁극적인 도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빙벽을 깬다≫는 자연을 통해 낙관적인 기다림과 일방적인 기대를 신에 대한 줄기찬 찬양과 애소로 노래한 이전의 시들과는 다르게, 스스로 포용과 공생을 위해 스스로 큰 짐과 고통을 져야만 하는 희생과 사랑의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다음으로 ≪폭양에 무릎 꿇고≫는 신앙시 모음인데, 이전의 신앙시와는 다르게 주님에게 가닿지 못하는 거리감과 외로움을 감상이나 감정 차원이 아니라 인간이 지닌 절대적 한계에서 오는 근원적 고독으로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고시집 ≪당신의 사랑 앞에≫는 그의 시가 추구한 ‘자연’→‘인간’→‘신’이라는 3단계 시작업이 도달한 궁극적인 지점이 어디인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언제나 이항대립적인 세계를 사이에 두고 옳고 바른 쪽만을 선택하여 매진하여 왔던 치열한 시정신과는 다르게 뭇 생명과 자연에 대한 따뜻한 포용과 공생의 시정신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그의 수석시 또한 이 무렵에 와서는 ‘자연’과 ‘신’을 ‘나’와는 구분하여 상대적으로 노래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자연’과 ‘나’, ‘신’과 ‘나’, ‘너’와 ‘나’가 하나가 된 일체적 합일의 세계를 기쁨과 감사함으로 노래하고 있다. 박두진은 60년에 가까운 시력과 1천 편이 넘는 시편을 통해 마침내 그가 부르던 노래의 끝을 밟게 되었다. 물론 그보다 이른 시기에 스스로의 시작업을 정리 ㆍ 종합하면서 어떤 시인보다도 높고 귀한 세계에 도달하였지만, 시인은 거기에서 머물지 않고 스스로를 갱신하면서 더욱 높은 세계를 지향하게 된다. 특히 ‘수석’과 같이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제한된 대상을 시의 오브제로 삼아 ‘자연’과 ‘인간’, ‘신’이라는 보편적 주제에 다가가고자 했던 치열한 자기탐색의 시정신은 높이 본받아야 할 덕목이라고 하겠다.

      • 친일문학연구 : 친일문학논리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focus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the pro-Japanese literature

        조동구 釜山工業大學校 1994 論文集 Vol.36 No.-

        It is important the study on the theory of pro-Japanese literature to build up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Pro-Japanese literature is based on the colonial policy of Japan, forcing korean writers to write works in Japanese, making obey to the imperiallism and justitng the aggressive war. As a result, in order to survive Korean writers used to be compelled to the colonial policy. Besides, unfortunately some of them tried to develop the theory of the imperiallism, and finally became the traitors to the history of th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정현종의 시 연구 : 1980년대 이후의 후기시들을 중심으로 focus on the poems of the 1980's

        조동구 국제비교한국학회 1999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5 No.-

        Jeong, Hyun-jo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odern Korean poets, who has been writing the poems of the free play of imagination and the experimental attitude in poetic dictions, from the 1960's to recently. Especially, the imagination based on the love to all the life and the universe, not only made the vision to overcome the discord and the anguish of the actual to his poems, but also gave him the power of dreaming of Utopia. In this study, focus on the imaginations of the poems from the 1990's up to recently, the changes of the poetic attitudes of Jeong, Hyun-jong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hanges of the attitudes of his poems were revealed as follows. First of all, he overcame the discord of 'things and dream', and the nihilism of the earlier poems. Secondly, he became to recite the wonder and the delight of the life joyfully. And finally he fell into the ecstasy of the harmony of the human-being and the all the nature. As a conclusion, with his wide and free imagination and the experimental attitude in poetic dictions, he is the representative one of the modern Korean poets who has been endeavoring to show the possibility of modern poetry.

      • KCI등재

        한국 현대시의 상징 연구 : 윤동주와 서정주의 '바람' 상징을 중심으로

        조동구 배달말학회 2001 배달말 Vol.28 No.-

        '바람'은 현대시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상징 가운데 하나이다. 자연현상으로서 '바람'은 창조와 파괴라는 이중적인 속성을 지니는데, 현대시에서는 시인의 내밀한 시적 충동이나 상상력과 같은 시정신과 결합되어 특별한 상징적 의미를 창조해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시에서 '바람'이 어떤 상징적 의미를 보이는지, 바람을 즐겨 노래했던 윤동주와 서정주의 시를 중심으로 그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윤동주의 시 분석을 통해서, '바람'은 그 강력하고 새로운 힘으로 자신의 현실적 상황과 실존적 한계를 깨우치는 촉매이자 미래에 대한 삶의 능동적 대응을 촉구하는 자극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반면에 서정주의 시에 있어서 '바람'은 그의 삶의 전체험이자 생리로서 자기 단련과 성숙을 향한 본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그의 생애 전반을 통해서 나타나는 끊임없는 변화와 지속의 시적 추동력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 金永郞 硏究 : 시적 자세와 시의 언어적 특질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poetic attitude and the linguistic qualities of his poems

        조동구 釜山工業大學校 1991 論文集 Vol.33 No.-

        This study is aim to clarify the poetic attitude and the linguistic qualities of Kim Young Rang's poems. He, as one of the <Simunhakpa>, not only wrote the pur poems but also effected on the world of poetry of 1930's. Especially, his poetic attitude based on the aesthetics of moment and summit was the origin of pure poems. But for his excessive attachment to the purity and the aesthetic effect of poetic dictions, he failed to picture the racial situation, and that is one of the faults of his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