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강충전으로 인한 코막힘을 줄일 수 있는 환기관의 고안

        조남식,윤정희,김종엽,김민욱,최종철,윤영석 대한비과학회 2008 Journal of rhinology Vol.1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Nasal packing after nasal surgery is commonly practic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hemostasis, stabilization of nasal structure, and synechia prevention. However, the use of nasal packing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uncomfortable symptoms such as nasal obstruction. In this study, therefore, we have devised a new method of nasal packing involving the use of an airway tube for reducing nasal obstruction and discomforts in association with post-surgical nasal ob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An airway tube was made by cutting the distal end of a 1cc syringe. It was inserted between the nasal septum and the packing material. Nasal cavities of 20 patients (Group 1) who underwent nasal surgery were packed using packing materials and the devised airway tubes following nasal surgery. We evaluated the symptoms of nasal obstruction after the postoperative nasal packing in this study group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the 20 patients (Group 2) who received packing with existing merocel nasal stents and 20 patients (Group 3) who were given packing with only merocel without airway tubes after nasal surgery. Result:In this study, nasal obstruction and discomforts in association with post-surgical nasal obstruc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patients given packing material and devised airway tubes (Group 1) comparative to other patient groups. Conclusion:Devised airway tube is useful in minimizing the symptoms of nasal obstruction and discomforts as well as in reducing surgical expense.

      • KCI우수등재

        포항 북부 내연산응회암의 흐름지시자와 측방점이로부터 유향 결정

        조남식(Nam-Sik Cho),황상구(Sang Koo Hwang) 한국암석학회 2017 암석학회지 Vol.26 No.2

        내연산응회암은 포항 북부의 화산암류에서 하나의 냉각단위로 구별되는 층서단위이다. 이 응회암은 사장석, 석영, 각섬석 등의 결정편, 부석과 샤아드의 유리질편, 데사이트, 유문암, 사암, 셰일 등의 암편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그 입도에 의하면 대부분 라필리응회암에 속하고 구성원에 의하면 파리질 응회암에 속한다. 대부분 부석과 샤아드들은 용결작용과 편평화로 인한 용결엽리를 발달시키며 화쇄류에 의한 흐름지시자를 보여준다. 우리는 이 내연산응회암에서 흐름지시자로서 부석, 암편들의 정향배열에 의한 유상선구조과 와상배열로부터 이동패턴, 암편과 부석들의 평균최대입경에 의한 등입경도로부터 측방점이를 알아냈다. 이러한 이동패턴과 측방점이에 의하면 이 응회암을 집적시킨 화쇄류의 가능공급지가 남동쪽에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The Naeyeonsan Tuff is a stratigraphic unit which is distinguished as a cooling unit in the volcanic rocks of the northern Pohang. The Naeyeonsan Tuff, which is composed of crystals of plagioclase, quartz and hornblende, glasses of pumice and shard, and lithics of dacite, rhyolite, sandstone and shale, belongs to a lapilli tuff field according to the granulometric classification and to a vitric tuff field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classification. The tuffs mostly develop welding foliations by dense welding and flatterning pumices and shards, and show several flow indicators by pyroclastic flowing. We can know a movement pattern from flow lineations and imbrications by pumices and lithics, and lateral gradings in isopleth map by average largest lithics and pumices in the Naeyeonsan Tuff, which indicate that the Naeyeonsan Tuff had a possible source area from the southeastern part.

      • 人口 過剩과 그 問題点

        曺南植 朝鮮大學校 法政大學 經商學會 學生會 1968 經商論集 Vol.3 No.1

        우리나라와 같이 경제적으로 후진을 면치 못하는 나라에서는 인구에 관한 문제가 크게 대두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사람에 관한 문제는 시대와 장소 즉 고대사회, 현대사회, 선진국, 후진국에 따라 논의되는 문제점이 다른 것이다. 고대사회에서 보며는 자유민들을 위해서 인구의 문제가 논의되었던 것이다. 형식즉으로는 자유민들의 인구를 억제하는 것이 논의의 초점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의 내용에 있어서는 그네들이 보다 안락한 생활을 위한 논의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며, 그것은 당시의 자유민들이 노예노동에 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아무리 자유민이라 하더라도 그네들의 인구의 증가는 노예노동력이 허용하는 한도를 넘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봉건사회에 있어서는 문제의 초점이 달라지게 되었던 것이다.

      • Q 공동체의 성령이해에 대한 연구 : 사복음서와 비교연구

        조남식(CHO NAM-SIK) 한국Q학회 2017 예수말씀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Q 공동체의 신앙과 삶을 살필 수 있는 예수말씀(Q)을 통한 Q 공동체의 성령이해에 관심을 기울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Q 공동체가 성령을 이해하는 것은 누가나 바울처럼 성령을 능력이나 은사 중심이 아닌, 성령의 인격성을 중심으로 이해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있다. 예수께서 공생애 동안의 사역이었던 가르치시고(Q 7:22, 14:5), 설교하시고(Q 6:20~49), 병을 고치시고(Q 7:1~9), 능력을 행하시고(Q 10:13), 귀신들을 쫓아내시고(Q 11:14, 18~20), 영들을 분별하시고(Q 4:1~13; 11:24~26) 등은 초기 교회가 경험한 성령사역과 그 내용이 매우 유사하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께서 공생애 동안에 행하시고 가르치신 모든 일이 하늘로부터 임한 성령의 능력으로 행한 사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성령의 이해도 예수의 공생애 사역과 분리되어 이해하는 것은 성령에 대한 관념적인 이해로 치우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위험들을 피하기 위해 예수말씀을 중심으로 성령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였다. 또한 역사적 예수의 한 인격 안에 신성과 인성이 완전하게 공존하였던 것처럼, 성령의 인격 안에도 성령의 신적인 면과 인간적인 면이 있음을 전제로하여 본문들을 살펴보았다. Q 문서를 통해 알 수 있는 성령에 관한 말씀은 매우 제한적이지만, 우리는 마태와 누가복음에 들어와 있는 Q 공동체의 예수말씀을 통해 Q 공동체의 성령론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Q 공동체의 성령에 대한 말씀들을 토대로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등에 더 나아가 요한복음에 나오는 평행 본문들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Q 문서에서는 Q 3:16, 22, 4:1, 11:20, 24, 12:10, 12 등에서 성령에 대한 말씀을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말씀가운데,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시는 분(Q 3:16), 수세후의 성령강림(Q 3:22), 사함을 받지 못하는 죄로서의 성령모독에 대한 말씀(Q 12:10), 할 말을 가르치시는 성령(Q 12:12) 등의 순서로 살펴보고자 한다. Q 공동체가 이해한 성령의 인격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령과 불로 세례주시는 분 안에서 나타난다(Q 3:16).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질서를 가져오시는 예수께서는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심으로 자기백성을 돌이키신다. 성령은 자기 백성을 사랑하셔서 그들을 자기에게 더 가까이 이끄시며, 그들이 하나님의 계명에 능동적으로 순종하도록 이끄신다. 더 나아가 예수께서 성령세례를 베푸심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로써 성령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으로 믿는 자들을 부르시고 십자가의 은혜 속에 거하게 하신다. 또한 예수의 수세 후에 비둘기 같이 임한 성령의 강림(Q 3:22)은 하나님의 새 창조의 사역을 시작하시는 것이다. 예수의 공생애 기간에는 이러한 새 창조의 역사가 예수에게 집중되었지만, 이제는 비둘기처럼 임하시는 성령께서 임재하시는 교회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비둘기와 같은 성령의 수여는 하나님께서 친히 예수에게 능력과 권위를 부여한 사건이며, 동시에 예수의 추종자들에게 예수의 길에 동참하도록 부르시는 것이다. 또한 사함을 받지 못하는 죄로서의 성령모독(Q 12:10)의 말씀은 성령의 신성을 강조한다. 성령은 창조 때에도, 예수의 모든 사역에서도 나타나셨으며, 예수의 치유와 축귀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였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셨다. 성령은 인간의 자기중심적인 이해나 이기적인 욕망에 의해 신성모독을 당하지 않으신다. 오히려 성령은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성령의 인도하심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순종하는 삶을 살기를 원하신다. 마지막으로 성령께서는 고통당하는 하나님의 종들과 제자들 속에서 함께 계셔서 합당한 말을 가르쳐 주신다(Q 12:12). 마태는 성령을 아버지의 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녀들을 사랑으로 돌보시며,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시는 아버지요, 위기의 순간에 도우시고 힘주시는 아버지이심을 말한다. 요한복음은 보혜사라는 성령의 이름을 통해 성령께서는 자녀들의 어려움과 환란을 살피시고, 도우시며, 진리로 인도하신다. 또한 누가복음에서는 예수께서 친히 1인칭의 표현으로 도우실 것을 약속하신다. This article is to study on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in the Q community through Jesus sayings of Q which show the belief and life of the Q community.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the Q community understood the Holy Spirit which is different from Luke and Paul to understand the Holy Spirit by on the ability or on charisma of the Holy spirit. During the Public life, Jesus taught (Q 7:22, 14:5), preached (Q 6:20~49), healed (Q 7:1~9), practiced (Q 10:13), exorcist (Q 11:14, 18~20), and discern (Q 4:1~13; 11:24~26), which is very similar with the spiritual work done by the early church. Therefore, all works of Jesus in the public life could be regarded as the work by the ability of Holy Spirit from the heaven. And when we understand the Holy Spirit seperately from the work of public life, it is likely to bias toward conceptual understanding for the Holy Spirit. Thus to avoid this concerns, this article has been studi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with focusing on Jesus sayings. Also as if there coexistences both a divinity and a humanity in on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Jesus, this article has premised that it was same for the Holy Spirit. Even though we could get the saying of the Holy Spirit very restrictly from Q, we can get the extended understanding for pneumatology of the Q community through the Jesus sayings of the Q community in Matthew and Luke. Thus based on sayings of the Holy Spirit in the Q community, this article has studied the parallel text among Matthew, Mark, and Luke, John as well, which will make to extend the understanding. We can reach the text of the Holy Spirit on Q 3:16, 22, 4:1, 11:20, 24, 12:10, 12 in Q. Therefore, this article will be developed by below order; the one who giv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 (Q 3:16), the Pentecost after baptism (Q 3:22), blasphemes against the Holy Spirit as not be forgiven (Q 12:10), and the Holy Spirit to teach word to speak (Q 12:12). The characteristic of the Holy Spirit that the Q community understand is as below. First, it has appeared in the one who baptizes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Q 3:16). Jesus brings new order of the kingdom of Heaven, and by baptizing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 calls his people to go back. The Holy Spirit loves his people, so that he leads them to him more closely and to follow to the commanders of God actively. Furthermore, the baptizing with the Holy Spirit of Jesus indicates to the cross as well. With this the Holy Spirit calls the people who believe the cross, and makes them live in the grace of the cross. Also the pentecost after the Baptism (Q 3:22) is to start the work of new creation of God. Even though during the Public life of Jesus this work of new creation was focused on Jesus, now this has being done by the church which the holy spirit has presented as like a dove. The pentecost of the Holy Spirit as like a dove is the event that God give personally the ability and authority to Jesus. At the same time, it was the calling the adherent of Jesus to participate to the way of Jesus. And blasphemes against the Holy Spirit as not be forgiven(Q 12:10) emphasizes the divinity of the Holy Spirit. The Holy Spirit presented in the time of the creation and appeared in all the works of Jesus, and showed visibly that the nation of God is presented in the spot of healing and exorcist by Jesus. The Holy Spirit is not desecrated by self-centered understanding or selfish desire. Rather the Holy Spirit wants that the church live up to obedient to God’s will under the lead of the Holy Spirit. Finally participating with the servant of God and disciples under suffering, the Holy Spirit teaches the reasonable words to speak(Q 12:12). Matthew expresses the Holy Spirit as the spirit of God, so that he speaks that the Holy Spirit cares his sons with love, and he is the father who does not give up absolutely and help and empower his sons in the crisis.

      • KCI등재후보

        Effect of the Surface Treatment by Airborne-particle Abrasion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 to Hybrid Ceramic

        남식,Batzaya Tumur-ulzii,성찬,함미현,김원호,이명현 대한통합치과학회 2019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8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borne-particle abrasion(APA) 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 to hybrid ceramic, MAZIC Duro(Vericom, Korea). The hybrid ceramic specimens were treated with airborne alumina oxide particles and bonded with 6 types of resin cement (Rely X Ultimate Clicker, Multilink N, U-Cem, Super Bond C&B, Panavia F 2.0, and BisCem). All the steps were performed by the same operato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of resin cement respectively.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shear bond strength testing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rosshead speed of 1mm/min.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comparison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s (α = 0.05). In this study, hybrid ceramic bonded with Super Bond and Rely X Ultimate Clicker were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ose bonded using other resin cement (p<0.05).

      • 지르코니아의 다양한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레진시멘트와 전단결합강도 비교 연구

        남식,이명현,김원호,김효정,성찬,함미현 대한통합치과학회 2018 대한통합치과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t-HF etching surface 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resin cement. Zirconia surfaces was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n=10) according to different treatments (blank control; Airborne-Particle-Abrasion(APA); hot-etching with 9% HF gel(HE); combine with Airborne-Particle-Abrasion and hot-etching with HF gel(APA+HE)). After surface treatment, painted with primer (Monobond N) previously, was applied and resin cement (Multilink N) cylinders (diameter: 2.0 mm) were bonded.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shear bond strength testing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rosshead speed of 0.7mm/min.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comparison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s (α = 0.05). The zirconia surface of different treatment produced higher bond strength than control without surface treatment. Otherwis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different treatment groups (P< 0.05). The shear bond strength of APA following by Hot-HF etching treatment decreased. Surface treatment of zirconia with hot-HF etching gel enhanced the surface roughness and bond strength between the zirconia and the resin 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