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r. Professor James M. Robinson's Visitations to Korea: For Robinson's Special Occasion at His 90th Birthday

        소기천(Ky Chun So) 한국Q학회 2014 예수말씀연구 Vol.- No.3

        이 논문은 필자를 포함하여 90 회 생신을 맞이하는 제임스 M. 로빈슨(Rudolf Bultmann) 교수가 한국학자들에게 준 영향력을 토대로 그가 남긴 커다란 학문적 업적을 뒤돌아 봄으로써 칼 바르트(Karl Barth)와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이후에 그의 지적인 향유가 남긴 신학적 통찰력을 살펴보고 한국 학자들에게 불러온 Q 연구의 결과물들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로빈슨은 한국을 두 번 방문하였다. 처음에 일본을 거쳐서 방문한 1965 년에 그는 예루살렘을 향하여 가는 여정이었으므로 동으로부터 서로 움직이는 엄청난 거리의 순례자의 여행과 같은 것이었다. 그 때에 그는 역사적 예수와 관련된 논문들로 한국신약학계에서 강연을 하였는데, 고 전경연에 의해 통역이 된 "불트만과 그 제자들 사이의 논쟁"이란 논문과 고 김용옥에 의해 통역된 "바르트이후의 해석학"이란 논문이었다. 로빈슨은 당시의 한국학자들이 아주 겸손하였고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회상하고 있으며, 지금도 서울에 있는 여러신학교들을 방문한 것에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오랫 동안 한국신약학계에서는 그의 '새로운 해석학'(New Hermeneutic)에 관한 관심이 많았다. 로빈슨의 Q 연구와 관련된 내용은 1990 년대에 들어서서 비로소 한국인 학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연구는 역사적 예수 연구와 공관복음서 연구와 더불어서 자연스럽게 발전한 것이었다 로빈슨은 2006 년에 다시 한번 소기천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하였다. 그 해는 이미 1 년 전에 그가 클레어먼트 대학교(Claremont Graduate University)의 고대와 기독교 연구소(the Institute for Antiquity and Christianity)의 Q 연구실(the Q Room)에 있었던 모든 자료들을 항공편으로 보낸 이후이기 때문에 한국 학자들을 위해 아주 중요한 일을 시작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한국학자들이 그 귀중한 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때에 그는 '예수말씀허부'(Jesus Sayings Hub)라는 한국인을 위한 예수말씀연구소를 창립하였다. 한국의 예수말씀 연구와 관련하여 로빈슨은 적어도 예수말씀이 초기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단지 천천히 인식되어 오늘의 복음서 기록과 같은 상태로 보존되기에 이른 것이라고 간주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로빈슨의 인식을 토대로 한국인 학자들의 Q 연구에 미친 영향력을 중심으로 얼마나 많은 Q 연구가 한국인 학자들에 의해서 지난 20 년 동안 수행되어 왔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essay wants to show James M. Robinson's impacts to Korean scholars including me. Reviewing many spectacular works done by James M. Robinson, I specifically went over his intellectual biography, his theological insights that came after Karl Barth and Rudolf Bultmann, and his impact on scholarly improvements in Korea. Robinson visited Korean twice. On the first time, he visited Korea himself in 1965 via Japan because he was on the tour heading Jerusalem from the East to the West. At that time, he presented his lectures over the Historical Jesus, "the Debate between Bultmann and His Pupils" translated by Kyung Yun Chun, and the New Hermeneutic, "Hermeneutics since Barth" translated by Yong Ok Kim. Robinson recalls that Korean theologians at those times were very polite and their relationship seemed intimate, even though their seminaries vary in Seoul. In relation to the influences of Robinson's Q studies, the concern of Q regarding the historical Jesus in Korea was raised in the study of the synoptic Gospels during 1990s. James M. Robinson's revisit of 2006 was the most important event for Korean scholars because he gave a couple thousand copies on Q that he possessed in the Q Room at the Institute for Antiquity and Christianity in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In order to allow many people in Korea use the materials, he organized the Korean Q institute called "Jesus Sayings Hub." In relations to the Jesus Sayings Hub in Korea, Robinson thinks that Jesus sayings should be accorded at least in equal status with the gospel that has only slowly gained ground among Christians.

      • 일손(日損) 김명수의 Q 복음서 연구

        김재현 한국Q학회 2013 예수말씀연구 Vol.- No.2

        Q 복음서 연구는 역사적 예수와 원시 기독교를 탐구함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연구이다. 200여년 전 아이히호른(J. G. Eichhorn)이 Q 복음서의 단초를 발견한 이후 지금까지 여러 탁월한 학자들이 이 중요한 분야에 자신의 삶을 바쳤다. 그들의 공헌으로 인하여 지난 200여년 동안 Q 복음서 연구는 놀라운 발전을 거듭해 왔다. 한국에서도 1990년 대 이후로 Q를 전공한 연구자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김명수는 한국 Q연구 계보의 제일 앞자리에 서 있다. 그는 한국 최초의 전 문적인 Q 복음서 연구자이다. 이 글은 김명수의 Q 복음서 연구를 4가지의 주제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4가지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Q 복음서와 민중신학, 2. Q 복음서와 역사적 예수, 3. Q 복음서와 탈현대성, 4. Q 복음서와 동양 신학. 이상의 4가지 주제로 김명수 Q 복음서 연구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김명수 신학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김명수 신학의 특징 중 하나는 체험이 녹아 있다는 것이다. 둘째, 김명수는 Q 복음서와 민중신학에서 출발했지만 최근 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관점을 이어받으면서도 더욱 동양적이며 아시아적인 차원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Q 복음서 연구는 오랫동안 주로 서구의 백인남성들에 의해서 주도되어 왔다. 이제 아시아의 신학자들과 여성들이 자신들의 해 석학적 자리에서 새롭게 Q 복음서를 해석해야 할 때가 도래하였다. 김명수는 한국 Q 복음서 연구의 첫 자리에 서 있었던 것처럼, 아시아적 Q 복음서 해석의 첫 자리에 서 있다. The Study on the Q gospel is very important for researching on the historical Jesus and early Christianity. Since about 200 years ago when J. G. Eichhorn found the clue of the Q gospel, many scholars have devoted themselves to study this field. Thanks to them, the study of Q has been many advances. Myung-Soo Kim is at the head of the Q studies in Korea. He is the first scholar who studied professionally Q in Korea. In this paper, I organized his study according to 4 thema: 1. the Q gospel and Min-Jung theology, 2. the Q gospel and historical Jesus, 3. the Q gospel and post-modernity, 4. the Q gospel and asian thoughts. the peculiarity of Myung-Soo Kim's theology is as in the following: 1. Kim's theology's uniqueness is experiential and existential. 2. He started from Min-Jung theology, but recently he proceeds towards asian thoughts. For a long time Q study has been led by western white men. Now it is time for Asian theologian and women to interpret the Q gospel with a self-centered perspective. As Myung-Soo Kim is at the head of the Q studies in Korea, so will he be at the head of the asian interpretation of Q.

      • 동학의 공공성 윤리에서 본 큐Q의 사회적 비전

        김명수(Myung Soo Kim) 한국Q학회 2015 예수말씀연구 Vol.- No.5

        동학농민혁명(1894)은 200여년 전에 일어났다. 필자는 동학 운동을 통해서 한국이 근대사에 이르러서 비로소 씨알 민중이란 자기의식이 발현되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1세기 갈릴리 농민들이 가졌던 자기의식과 같은 것으로서 초기 교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Q에 나타난 예수운동과 연관이 된다. 비록 두 운동은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학 운동이 관심을 기울인 공공성 윤리가 최초의 그리스도교 공동체인 Q 공동체가 가졌던 사회적 비전과 유사하다. Q는 공공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복음서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동학 운동에 의해 제기된 씨알 민중의 지평 속에서 Q의 공공성 윤리가 지닌 사회적 비전을 연구하고자 한다. DONG-HAK Peasant Revolution(1894) was happened 200 years ago. I think that the self awareness of the Ssial Minjung as subject of history in the modern times in Korea begins with DONG-HAK movement. This is the relevance of the Jesus movement by Q in the early Christian world as self-awakening movement of Galilean Peasant people in A.D. 1 century. Both may be different in form and content of the movement. But the campaign for regain public interest by DON-HAK is similar to the reign of God movement by in early christian Q community and its social vision. Q is the Gospel which has public service character. In this article I will try to show social vision of Q as the public value in the horizon of the Ssial Minjung idea by DONG-HAK.

      • Q 13.34-35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구원에 관한 연구

        김성호(Sung-Ho Kim) 한국Q학회 2021 예수말씀연구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original intention of this statement by examining the context and theology of the Q community that exists behind Q 13.34-35. Accordingly, this article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Chapter 2 first examines the situation of the Q community through Q s two attitudes toward Israel. Q s warnings of judgment toward Israel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of Q 13.34-35. After introducing such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the context of the community behind Q 13.34-35 is revealed. Next, Chapter 3 introduces The Deuteronomistic history as the theological perspective of Q 13.34-35. Through the Deuteronomistic history, we will review the Q community s response to the current situation and what solutions it has sought. And Chapter 4 deals with another theological point of view, ‘tradition of the remnant . This will show how the Q community in persecution of the Jews has changed their expectations for Israel. And in Chapter 5, we end with a conclusion by synthesizing the previous discussions. The prophets and those sent forth in Q 13.34-35 are clearly the remnant of Israel. Just as the wicked generation killed Abel and Zacharias, so they also killed the prophets and those who were sent, the remnant God sent to Israel. The result of this refusal was the tragedy of the abandoned house of Israel. Through this remnant ideology, the Q community identifies themselves with the blood of martyrdom shed by Abel and Zacharias and at the same time identifies with your house , the abandoned house of Israel, while accusing the Jews of rejecting Jesus as the remnant of Israel. Q Emphasize the fact that the community is the only faith community that can achieve God s salvation. Hence, Q 13.34-35 must be understood once again in the context of Q as a remnant tradition, along with the Deuteronomistic history. Q 13.35b cannot be simply interpreted as simply a hope for the Jews, or a conditional prophecy.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when all Israel is converted simplifies the situation of the Q community. This is because in the background of these words are the lives and actions of the remnant of Israel that are realized through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persecuted community.

      • Q 문서의 견유학파의 가설 비판을 통한 예수 비유의 스토아적 재해석

        김덕기(Duk Ki Kim) 한국Q학회 2016 예수말씀연구 Vol.8 No.-

        이 글은 Q에 속하는 ‘겨자씨 비유’(Q 13:18-19=마 13:31-32)를 모델로, Q에 속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씨뿌리는 자의 비유”(마 13:1-9, 11=눅 8:5-8, 10=막 4:3-8, 11)와 “악한 농부의 비유”(마 21:33-46=눅 20:9-19=12:1-12)에 나타난 자연 성장의 모티브가 그레코-로만 시대의 덕 형성 윤리에 기초한 정치철학적/신학적 사상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탐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우리는 Q의 초기 편집된 자료들(Q1)이 견유학파의 사상에 근거해 있다는 버튼 맥(B. Mack)의 가설을 철저히 비판하게 될 것이다. 이런 연후에 결국, 스토아의 도덕 철학에 비추어서 위의 세 비유에 나타난 자연성장의 모티브와 연관된 하나님 나라의 정치신학적 의미를 도출하려 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선 Q의 하나님 나라 사상에 대한 맥(B. L. Mack)의 견유학파적 예수 이해를 평가하고, 현대적 의미의 도덕철학과 이와 연관되는 정치신학적 통찰을 새롭게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맥은 견유학파의 반국가적/反결혼인습적, 반소유의 무정부주의적 저항정신에 비추어서 Q의 사회적 구성과 헬라적 유대교 지혜문학과의 상호관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 반면 이 논문은 Q의 새로운 방식의 反문화적 신학이 헬라적 스토아 철학의 상상력과 헬라적 유대의 현자의 사변적 지혜 사상을 융합시킨 창의적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예수 말씀 전승의 반문화적 급진적인 신학적 사유는, 새로운 로마제국의 그레코-로만 문화적 환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예수의 자연의 성장에 대한 보다 더 ‘저항적인’ 반문화적인 윤리학적 사유를 창의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완전히 새로운 형식의 에클레시아의 공동체 실험을 실행하게 된다. 우리는, 이전의 Q 학자들과 달리, 덕 훈련 관련 예수 전승을 마태가 스토아 철학을 통하여 재해석하였다는 가설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전에 Q에 속하지 않았다고 하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와 ‘악한 농부의 비유’가 내포된 스토아적 Q+(Q+kim)의 존재를 가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가설은 마태복음이 사용한 Q+의 존재를 가설로 제시한 맥도날드(D. R. MacDonald)의 책, Two Shipwrected Gospels (2012)뿐 아니라, 스토워스(S. Stowers)의 최근 글, “Jesus the Teacher and Stoic Ethics in the Gospel of Matthew”(2010)에 기초한다. 이 논문은 스토워스가 스토아 철학에 비추어 마태복음을 재해석한 것을 스토아의 세 가지 윤리적 특성(인간의 보편적인 신적 속성, 완벽함의 추구, 윤리의 내적 동기의 중요성)과 매우 유사한 마태의 편집적인 경향(완벽함, 율법의 과격한 재해석, 의[δικαιοσ νη]의 강조, 자연의 성장 모티브와 연관된 절제 강조 등등)을 개괄적으로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재해석에 기초하여 우리는 예수의 두 가지 다른 성장 비유들(씨뿌리는 자의 비유와 겨자씨의 비유)과 마태복음 판본의 악한 포도원 농군의 비유에서 스토아적 요소에 기초한 편집 경향을 탐구하고, 이 비유 자체를 스토아적 도덕 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이 말씀 전승을 편집한 저자들이 도덕적 성장의 윤리적 주제와 관련된 정치적 비전을 이전의 유대적 율법과 로마제국의 폭력적 지배 이데올로기와 어떻게 차별화 하였는지, 그리고 그렇게 했다면, 어떤 문화적 맥락과 로마제국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려 했는지 탐구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마태복음 21장 33-46절에 깃들여 있는 로마의 제국주의적 팽창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방식의 참신성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바로 스토아 철학에 비추어서 새롭게 재해석된 이 비유들은 로마제국과의 폭력적 지배의 모순과 유대교와 Q의 율법주의의 모순을 극복하는 현자의 공동체의 공동선과 개인의 자유를 조화시키는 순교적 제자직의 정신을 나타낸다. 결국 우리는 마태복음의 ‘악한 포도원 농부의 비유’뿐 아니라 씨 뿌리는 자의 비유에 나타난 자연을 닮은 도덕적 덕의 고차원적인 성장을 촉구하는 자기-절제의 지혜 말씀(마 13:8), 도덕적 변형(마 13:32), 순교적 저항(마 21:43)의 도덕적 자기-형성 훈련은 로마 제국의 폭력적 핍박을 통한 평화의 통치이데올로기와 기독교 내부에서 형성된 가부장적 원시기독교의 주류문화를 동시에 비판하는 대안적 정치신학과 윤리의식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결론 부분에서 이 논문은 마태복음의 세 비유들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시대 도래에 보다 적합한 스토아 철학의 윤리적 에토스가 어떻게 기독교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로마제국에 저항하는 창의적인 윤리와 이에 기초한 정치신학적 사유 방식을 구성하게 되었는지 간략하게 고찰한다. This study constructively criticizesMack’s creative thesis that Kingdom of God in Q imitates Cynic ethics of anti-social critique rather than apocalyptic view of prophetic judgment, whileappreciatingcreative imagination of Mack’s Cynic interpretations of Q 1, In order to advance this criticism, this paper displays Stowers’s recent reinterpretation of Matthew’s portrayal of Jesus as Stoic sage manifestedin the selected Jesus’ parables, which is rendered as a creative upgrading of Mack’s thesis. In reinterpretingJesus’ parables of the moral growth in light of Stower’sStoic reinterpretation of Matthew’s portrayal of Jesus as sage, this article also reviews how the motifs of moral formation, self-control, and martyrdom reflected in Jesus parables are best fit in thethree elements of Stowers’ Stoic ethics such as universal ethic for individuals based upon divine law of nature, idea of perfection of moral formation, and inner intention of ethical motivation over against Roman and Jewish resultmotivativatedmoral action. In reinterpreting the selected parables of Matthew and its paralleled other passages in light of Stowers’ recent appropriation of Matthew’s morality based upon the Greco-Roman Stoicism, this paper will especially remark how moral formation based uponmotif of growth of nature in the selected texts of parables raises the issue of perfection for performing more radical view of social ethics of Kingdom of God in light of political theological agenda of projecting new social vision of alternative social ethics of justice, which implicitly overcomes the political limits of Roman imperialistic ethics of self-mastery and legalistic Jewish view of ethics. Then the article argues that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Jesus’ view of moral perfection in the selected three Jesus’ parables and its paralleled texts can be better explained in light of Stoic conceptual world than in light of Cynicism. In conclusion, this article briefly examines Q, Matthew, Mark’s ethico-political standpoint embedded in the symbolized language of Kingdom of God in the selected parables by inquiring how this Stoic sense of Christian morality take efficiently a social-political opposition against Roman persecution and Jewish legalistic mode of moral formationallied withRoman imperialism.

      • Q 복음서, 유대교와 기독교의 잃어버린 연결고리

        김재현 한국Q학회 2021 예수말씀연구 Vol.15 No.-

        Q The Gospels are a “missing link”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The Q Gospels have their roots in Judaism and are in continuity with Judaism. Q The Gospels are based on the Hebrew Bible. The Q Gospel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pocalyptic literature of early Judaism and are located in the genealogy of apocalyptic literature. The origins of Jesus and the Q community should be seen as having their origins in the movement of John the Baptist and the Baptist group among the apocalyptic literature groups derived from Hasidim.

      • Q 12:22b-31과 성경의 연관성 연구

        이정민(Jung Min Lee) 한국Q학회 2016 예수말씀연구 Vol.8 No.-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공통 자료인 Q가 구약성서의 배경 위에서 신약성서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Q 12:22b-31과 관련된 구절들을 살펴보면서 파악하고자 한다. Q 12:22b-31은 누가복음 12;22-31과 마태복음 6:25-33이 병행 본문을 이룬다. 그리고 Q 12:22b-31과 관련된 성경 구절들을 살펴보면서 특히 열왕기상 3:2-15, 역대기하 1:1-13에서 솔로몬이 간구한 지혜와 Q 12:22b-31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나라를 간구에 대해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전도서 2장 26절을 통해 솔로몬의 지혜는 한계가 있고, 하나님의 자녀로서 Q 12:22b-31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를 구해야 하는 당위성을 깨닫게 한다. 또한 Q 12:22b-31에 나타난 신론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해도 함께 연구하고자 한다. Q 12:22b-31에서 하나님은 구약성서적인 배경 위에 서 있으며 하나님의 나라라는 새로운 신앙 가치관을 세워 전파한다.1)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께서 다스리시는 나라이다. 예수께서는 하나님의 자녀로서 우리가 하나님 나라를 구할 것을 초청하신다. Q is grounded on the Old Testament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New Testament. The following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this by studying Q 12:22b-31 and related canonical Bible verses. Q 12:22b-31 is parallel with Luke 12:22-31 and Matthew 6:25-33. Also, in Q 12:22b-31, seeking the Kingdom of God is closely related with 1 Kings 3:2-15 and 2 Chronicles 1:1-13 regarding Solomon asking for wisdom. According to Ecclesiastes 2:26 wisdom is meaningless, for as God s child it is necessary to seek God s Kingdom. Furtherm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ology and the Kingdom of God in Q 12:22b-31. Q 12:22b-31 is grounded on the Old Testament background and spread to a new point of view of the Kingdom of God. This Kingdom is the kingdom God reigns. Jesus invites us as we are God s children to seek the Kingdom of God.

      • Q, 원-복음서

        김재현(Jae Hyun Kim) 한국Q학회 2015 예수말씀연구 Vol.- No.5

        Q는 복음서일까? 그리고 만약 Q가 복음서라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글은 이러한 물음을 가지고 Q가 어떠한 의미의 '복음서'인가를 고찰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Q를 복음서라고 부르는 것에 반대하는 논거에 대답하면서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Q를 복음서라고 부르지 않는 주된 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Q는 단편적이고 파편적인 말씀 모음집이기 때문에 복음서라고 할 수 없다. 둘째, Q는 수난과 부활 이야기를 담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복음서라고 할 수 없다. 셋째, Q는 내러티브 장르를 구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복음서라고 할 수 없다. 넷째, Q는 심판의 선포이기 때문에(즉, 기쁜 소식이 아니다) 복음서라고 할 수 없다. 이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Q는 독자적인 케리그마와 신학을 가지고 있다. 둘째, Q에는 수난과 부활이 암시되어 있다. 셋째, Q에는 내러티브가 내포되어 있다. 넷째, Q는 심판의 선언이지만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하나님 나라 복음의 선포와 이야기를 담고 있다. Q는 복음서이다. Q는 예수에 관한 원-어록과 원-내러티브를 담고 있는, 다른 복음서들의 원천이 되는 그러한 원-복음서이다. Q is a Gospel. In Q there are independent kerygma, theology, and inherent the narrative of the Jesus. Q also suggest the suffering, resurrection, and parousia. There are some opinions that Q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gospel, because it is a book of judgement. Q proclaim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for the poor. All of above, Q is more similar to canonical Gospels. However, Q should be considered above of it. Q is the proto-Gospel that include the original sayings and narrative of Jesus.

      • Q 복음서의 노동 담론

        김재현(Jae Hyun Kim) 한국Q학회 2013 예수말씀연구 Vol.- No.1

        얼핏 보기에 Q 복음서는 노동에 대해서 아무런 말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필자는 이 글에서 Q 복음서에는 노동의 담론이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사실상 Q 복음서 연구에서 노동 담론은 큰 관심을 얻지 못한 주제였었다. 민중신학 전통에서 수행된 Q 연구는 Q 공동체 내부에 있는 "사회적으로 차별받는 사람들"(Die sozial Diskriminerten)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였지만 노동의 담론을 본격적으로 추적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에서 Q 복음서의 노동 담론을 집중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노동과 연관된 어구를 담고 있는 Q 10:2, 7; Q 11:3; Q 17:34-35를 해석했다. 연구의 결과 Q의 예수는 노동자의 권리를 옹호했다. Q 사람들은 노동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그들 가운데는 고용되어 노동하기를 원하는 일용직 노동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품삯을 그 노동의 대가로 당당히 요구했던 예수의 말씀을 기억했다. 그들은 생계의 불안 가운데서도 하나님 나라를 기도하며 추구했던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내일의 빵과 부채의 탕감을 간구했던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남녀가 밭과 가정에서 일하면서 갑작스런 종말을 기다리던 사람들이었다. On the surface, Q seemes to be apathetic to labor. However, in this paper I attempt to insist that we could find labor discourses of Q gospel. In fact, the question about labor in Q gospel has not been an important topic. Although Min-Jung theological tradition was concerned about people who were socially discriminated, Min-Jung theology didn't investigated laborers of Q in earnest. So I would like to study Q's labor discourses. I made an interpretation of Q 10:2,7; Q 11:3; Q 17:34-35 in this paper. results of study are that Jesus in Q defended laborers and that Q people was not the unemployed. In Q people there were day workers who wanted to be employed. They had a memory of Jesus' word that laborer were justified in getting paid for their labor. They prayed for the Kingdom of God in economic problems. They prayed bread for tomorrow and forgiving a debt. In anticipating the end of world, men and women in Q community worked in the field and house.

      • Q에 나타난 '인자' 메시아 표상에 관한 연구

        윤효심(Hyo Shim Yoon) 한국Q학회 2013 예수말씀연구 Vol.- No.1

        본 논문은 Q에 나타난 '인자' 메시아 표상에 관한 연구로서 역사적 예수의 자화상이 Q공동체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 목표에 따른 본 논문의 연구 방향성은 두 가지이다. 먼저 예수 자신의 메시지를 통해 투영되는 중요한 하나의 자화상, 즉 '인자' 의 표상을 분석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사용된 자료는 공관복음서의 가장 기본 자료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Q에 나타난 '인자' 말씀들이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인자' 표상이 Q 공동체에 미친 영향을 파악한다. Q에서 '인자'는 역사적 예수가 메시아적 자의식을 지니고 사용한 자기 칭호이며, 동시에 미래의 고양된 신분을 가리키는 종말론적 구원자요 심판자이다. 시간적 범주에서 볼 때 Q의 '인자'는 이미 오신 분이며(Q 7:34) 동시에 미래에 오실 분이다(Q 11:30; 12:8; 10, 40; 17:24, 26, 30). 공간적 범주에서 볼 때 '인자'는 지상과 천상의 연결자로서 본래 천상의 신분이지만 지상으로 파송되었으며(Q 9:58), 심판을 위해 다시 돌아올 것이다(Q 19:15; 22:28, 30). 역할 범주에서 볼 때 미래적 '인자'는 주로 사법적 기능을 담당한 심판자이다. 법정 심판의 기준은 '인자'에 대한 시인 여부이다(Q 12:8-10). 고난당하고 부활하는 '인자'의 모습이 마가복음처럼 직접적이고 반복적으로 강조되지는 않지만, Q에서는 '요나의 표적'이라는 용어 속에 '인자'의 고난과 부활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Q 11:30), 십자가를 지고 따르는 제자도에 대한 말씀에도 간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Q 14:27). 위상적 범주에서 볼 때 현재적 '인자'는 주로 사람들로부터 거부당하고 소외당하지만(Q 9:58; 12:10), 실제로 '인자'의 위상은 요나와 솔로몬보다 훨씬 더 위대한 구원을 성취하게 될 자이다(Q 11:29-32). Q 공동체에서 '인자' 메시아 표상은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가장 핵심적인 신앙과 가르침의 토대가 되었다. Q 공동체는 구약 전승으로부터 물려받은 '인자' 메시아 표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표상을 예수와 동일화하였다. Q 공동체는 예수를 '인자' 메시아로 고백하고 그의 가르침을 철저하게 따르고자 평화적 방법으로 선교를 지향한 그리스도인 공동체이다. 이러한 '인자' 메시아 표상이 Q 공동체로 하여금 박해 상황 속에서도 임박한 종말의 기대를 품고 평화적 방법으로 선교를 지향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결과 Q 공동체의 '인자' 이해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신학 형성 과정에서 대단히 비중 있는 자리매김을 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messianic representation of the Son of Man in Q,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elf-portrait of the historical Jesus on the Q community. To achieve the objective, it sets up two research orientations. This study looks into His self-portrait, that is, the Son of Man reflected through His messages. To do so, it uses the sayings of the Son of Man in Q,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Synoptic Gospels. And then it examines the impact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Son of Man on Q community. In Q, the Son of Man is the self-title that historical Jesus used having Messianic self-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the Son of Man is an eschatological savior and the last arbiter that indicates His advanced status in future. In temporal view, the Son of Man in Q is 'who has already come'(Q 7:34) and simultaneously 'who will come' in the future(Q 11:30; 12:8; 10, 40; 17:24, 26, 30). In spatial respective, the Son of Man is the connector between the ground and heaven. He was originally a heavenly status but sent to the ground (Q 9:58) and will come back to judge (Q 19:15; 22:28, 30). Looking at him from role category, the Son of Man is a judge mainly playing a judicial role. The criterion of the legal judgment is confession to the Son of Man(Q 12:8-10). Although it doesn't describe the suffering and resurrecting the Son of Man as directly and repeatedly as in the Gospel of Mark, Q connotes the meaning of the suffering and resurrection of the Son of Man in terms of 'the Sign of Jonah'(Q 11:30) and implies it indirectly in His sayings about discipleship. His disciple ought to bear his own cross and follow Him(Q 14:27). Looking from the status point of view, the Son of Man is often rejected and isolated from people(Q 9:58; 12:10), but in fact the status of the Son of Ma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Jonah and Solomon, achieving a great salvation(Q 11:29-32) In Q community, the messianic representation of Son of Man has become the most integral base of faith and sermon that maintain His identity and cope with emergencies. Q community inherited the messianic representation of Son of Man from the Old Testament, and then identified the representation with Jesus. Q community is a Jewish Christian community that confesses that Jesus as the Son of Man is the Messiah and aims for missionary work in a peaceful manner to abide by His Words strictly. Such the messianic representation of Son of Man made Q community cherish a hope out of from the imminent eschaton in the middle of persecution, and maintain peaceful missionary work.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of the Son of Man in Q community could put down an import root in the process that the theology of early Christianity was being 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