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적 이상과 사회적 현실의 갈등 - 교양소설로서의 임머만의 『에피고넨』

        조규희 ( Cho¸ Kyuhe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91 No.-

        19세기 전반의 독일문학은 ‘복고와 개혁’이라는 과도기 사회의 야누스적 양상을 반영하듯이, ‘자유에 대한 갈망’과 동시에 ‘자유에 대한 불안’을 드러내었다. 무엇보다 19세기 초까지 지속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라는 ‘예술시대’가 막을 내린, 괴테의 죽음 이후의 독일문학은 위대한 전통에 대한 감정적 애착과 동시에 도래한 산업시대에 대한 각성이 뒤섞인 혼종의 경관을 이루어낸다. 이 시기의 작가들 다수가 스스로 ‘에피고넨’(아류)의 운명을 타고났다고 느낄 만큼, 시대가 바뀌었어도 그들의 머릿속에는 여전히 괴테의 교양소설과 같은 과거의 이상적 문학전형들이 생생하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시적 예술 시대에서 산문의 역사기술(記述) 시대로 변화되는 이 시기에 집필된 임머만의 『에피고넨』에서는 예술적 이념의 형상화와 함께 당대 현실사회의 서술에 방점이 주어지면서 일련의 혁신적인 요소들이, 즉 전통적 시문학 서사의 틀을 벗어난 시대기술의 특징들이 나타난다. 임머만은 괴테의 교양소설의 틀을 빌어 주인공 헤르만으로 하여금 세상을 떠돌게 하지만, 그의 아류적 횡보는 빌헬름 마이스터 식의 교양과정에서 벗어나 있으며, 1830년대 독일의 과도기 사회를 배경으로 전개된다. 작가의 문학적 시대 성찰이 투영된 이러한 서사관점의 변화에 주목하여 필자는 『에피고넨』의 ‘아류적’ 인물의 형상화와 변화된 예술과 교양의 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 소설에 나타난 전통적 ‘포에지’와 ‘시대기술’의 서사적 갈등 관계를 밝혀내고자 한다. Bei dieser Untersuchung geht es darum, den narrativen Konflikt zwischen der traditionellen ‘Poesie’ und der modernen ‘Geschichtsschreibung’ in Immermans Roman Die Epigonen zu erschließen. Die deutsche Literatur befand sich in der ersten Hälfte des 19. Jahrhunderts in dem zwiespältigen Zustand der Übergangsgesellschaft von Restauration und Reform. Vor allem bietet die deutsche Literatur nach Goethes Tod, der das Ende der bis ins frühe 19. Jahrhundert andauernden ‘Kunstperiode’ der Weimarer Klassik und der Romantik signalisierte, eine literarische Landschaft, in der emotionale Bindung an die große Tradition und die Ernüchterung über das ankommende Zeitalter der Industrie aufeinandertrafen. Viele Autoren dieser Zeit hatten somit das Gefühl, mit dem Schicksal von ‘Epigonen’(Nachgeborenen) geboren zu sein, weil die idealen literarischen Vorbilder der Vergangenheit immer noch lebendig in ihren Köpfen waren. Immermanns Roman Die Epigonen wurde in diesem geistigen Klima des Epochenwandels von der sogenannten poetischen Kunst zur prosaischen Weltdarstellung geschrieben. In diesem Roman zeigt sich das ambivalente Verhältnis des Autors zum klassischen und romantischen Erbe: Zwar weist der Roman besonders eine auffällige Parallelle zu Goethes Bildungsroman auf, aber es ist zugleich nicht zu übersehen, dass sich der Autor gegenüber den zeitgeschichtlichen modernen Erfahrungen aufgeschlossen verhielt. Unter Berücksichtigung dieser Merkmale der Übergangszeit wird in dieser Studie die Gestaltung des Zeitschicksals der Epigonalität und der sich darin auftuende Gegensatz von Poetisierung und Zeitbezug unter die Lupe genommen.

      • KCI등재

        숭불(崇佛)과 숭유(崇儒)의 충돌, 16세기 중엽 산수 표현의 정치학 ―〈도갑사관세음보살삼십이응탱〉과 〈무이구곡도〉 및 〈도산도〉

        조규희 ( Cho¸ Kyuhee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7 No.-

        이 논문은 그동안 불교 회화와 유교 관련 산수화로 각기 논의되어 온 〈도갑사관세음보살삼십이응탱(道岬寺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과 〈무이구곡도(武夷九曲圖)〉 및 〈도산도(陶山圖)〉가 숭불(崇佛)과 숭유(崇儒)가 충돌하던 16세기 중엽의 조선 사회가 배태한 정치적 산수화임을 논증한다. 16세기 중엽은 국시(國是)로 내건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조선 사회에서 심화되었던 시기로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시기는 유학자가 아닌 승려를 보필로 삼아 ‘여성’이 ‘숭불정책’으로 나라를 다스리던, 당시로서는 ‘부자연스러운’ 시기였다. 12세의 나이에 즉위한 명종(明宗, 재위 1545-1567)을 대신하여 모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가 8년간 섭정하면서 억불(抑佛)정책을 폐지하고 1550년에는 유생과 사대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숭불정책을 공식화하였다. 이와 같이 불교의 위세가 대단하던 1550년에 왕실의 후원으로 제작된 그림이 〈도갑사관세음보살삼십이응탱〉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대폭의 비단 화면의 5분의 4가량이 산수로 채워져 있는, 기존 관음보살도에서는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형식을 하고 있다. 즉 이 작품의 관음보살은 바로 뒤의 봉우리가 후광(後光)처럼 가장 높이 부각되어 그려진 오봉산을 배경으로 하단의 산악 위로 홀로 솟은 높은 바위 위에 앉아 있는, 이 땅에 내려와 군림하는 이미지로 표현되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중봉이 높게 표현된 오봉산의 표현은 조선시대 어좌 뒤에 설치된 ‘오봉산병풍(五峯山屛風)’의 이미지이기도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산악 아래 펼쳐진 세상을 내다보는 관음의 이미지는 관음의 화신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한 세조(世祖, 재위 1455-1468)가 그리게 한 ‘관음현상(觀音現相)’의 이미지와도 관련된다. 따라서 이 작품은 오봉산을 배경으로 산악으로 둘러싸인 세상을 내다보는 관음의 이미지가 곧 통치자로 읽히던 조선적 시각문화 속에서 이해될 수 있는 그림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오봉산을 배경으로 산악을 내다보며 ‘국토’ 위에 군림하는 이미지로 관음보살이 그려진 1550년은 수렴청정(垂簾聽政)하던 문정왕후의 권력이 정점에 이른 해였다. 이 논문은 이렇게 관음보살 탱화가 특이하게 한 폭의 산수화와 같이 표현되었을 뿐 아니라 산악 아래로는 뭇 재난에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32응신 장면이 그려진 이유를 문정왕후 통치기의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섬세하게 살펴본 글이다. 즉 이 글에서는 작품이 제작된 시기와 봉안될 장소에 대한 의미를 검토하여 이 작품이 한 폭의 산수화와 같이 그려진 의미가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동시에 이 시기에 〈무이구곡도〉와 〈도산도〉라는 도갑사 탱화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산수화가 영남 사림을 대표하는 이황(李滉, 1501-1570)과 연관되어 처음으로 등장한 연유 역시 왕실 주도의 숭불과 이황 일파의 숭유가 첨예하게 부딪히던 당시 ‘산수’ 현장과 관련된다는 사실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도갑사 탱화와 〈무이구곡도〉의 화기(畵記)와 발문(跋文)이 각기 인종(仁宗, 재위 1544-1545)과 을사사화(乙巳士禍)를 환기하고 있는 이유도 이 점에서 이해된다. 16세기 중엽에 그려진 ‘산수’가 당시 여론의 향방과 직결된 정치적 산수화였음을 규명한 것이 본 논문의 의의다. This paper argues that Thirty-two Responsive Manifestations of Avalokites´vara from Dogapsa Temple, Muigugokdo and Dosando, which have been discussed as a Buddhist painting and Neo-Confucianism-related landscape paintings, are, in fact, political landscapes of mid-sixteenth- century Joseon Korea when partisan sungbul (boosting Buddhism) and sungyu (promoting Neo- Confucianism) policies and attitudes clashed.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is mentioned as a period when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was deepened in Joseon society. However, this period was actually the time when Buddhism prevailed. On behalf of King Myeongjong (r. 1545-1567), who was enthroned at the age of 12, Queen Dowager Munjeong (1501-1565) was regent for eight years. She pushed the policies to promote Buddhism in the Confucian nation. Monk Bou (1509-1565) as her political and religious ally played a key role in the promotion of Buddhism during her reign. She revived an official system of training and selecting monks in both the Seon (Ch. Chan; J. Zen Buddhism) and Gyo (Textual School) sects despite the severe opposition of the officials and Confucian scholars in 1550. In the same year when Buddhism was so powerful like this, Thirty-two Responsive Manifestations of Avalokites´vara from Dogapsa Temple was created. It was a royal family-sponsored Buddhist painting. Unusually for the image of the Gwaneum (Ch. Guanyin) Bodhisattva (Avalokites´vara), the mountain is depicted in four-fifths of the entire painting. Therefore, although it is a Buddhist painting, it is more like a landscape painting. The image of Gwanseeumbosal (Avalokites´vara) itself represents the Water and Moon Gwaneum. However, the most striking disparity is the usage of landscape. Avalokites´vara dominantly sits on the towering cliff at the center with the five mountain peaks in the background. In other words, the Gwaneum Bodhisattva in this work is depicted as an image of descending to this land and ruling the world while sitting alone on a high rock above the hills and mountains at the bottom against the background of Mount Obong (Five Peaks). The image of Avalokites´vara against the backdrop of the Five Peaks, in which the middle peak was depicted high, was also that of the Obongsan byeongpung, a folding screen of the Five Peaks, installed behind the king's chair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Gwaneum Bodhisattva overlooking the world under the mountains is also related to the image of Avalokitesvara created by King Sejo (r. 1455-1468), who invented his image as the incarnation of Gwanseeumbosal,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Therefore, it is noteworthy that this work can be understood in the Joseon visual culture, where this image of Avalokitesvara was read as a ruler. The year 1550, when Avalokitesvara was painted as a divine Buddhist deity overlooking the world against the backdrop of Mount Obong, was the year when the power of Queen Dowager Munjeong reached its peak.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Thirty-two Responsive Manifestations of Avalokites´vara from Dogapsa Temple is not only created as a unique landscape painting, but also a scene depicting 32 different incarnations in the mountains to save those suffering from disasters. In other words, examination of the crisis of the time when the work was produced and enshrined in Dogapsa Temple will shed light on the intention of this work drawn like a landscape painting. At the same time, during this period, The Nine-Bend Stream of Mount Wuyi (Muigugokdo) and Mount Do (Dosando), which are landscape paintings with a completely different character from Thirty-two Responsive Manifestations, first appeared in connection with Yi Hwang (1501- 1570), a representative of the Yeongnam sarim (literati in the Yeongnam area). The Yeongnam region was the area in which the court policy of promoting Buddhism and the upholding of Neo-Confucian fundamentalism by Yi Hwang and his followers clashed. Based on a new interpretation of these three works, this thesis argues that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mid-16th century were political painting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flicts between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 KCI등재

        家園眺望圖와 조선 후기 借景에 대한 인식

        조규희(Cho Kyuhee)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7 No.257

        화가가 한 폭의 그림 속에 그린 실제 경치는 우리가 실경이라고 느끼는 차원과는 또 다른 하나의 실재이다. 그러나 이러한 그림들은 소위 진경산수화라는 틀 속에서 실경을 얼마나 핍진하게 묘사하였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채 작품이 배태된 사회문화적인 배경과는 유리되어 연구된 측면이 있다. 이런 학풍 속에서 미술관에서 만나게 되는 20세기 초반의 작품인 安重植의 〈靈光風景圖〉와 같은 그림은 관람자나 연구자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그것은 이 작품이 영광의 실경을 재현하려는 일반적인 실경산수화가 아니라 특정 주문자의 요구에 의해 신축한 그의 정자에서 조망되는 풍경을 그린, 즉 원림주인의 ‘눈’을 즐겁게 하기 위해 화가가 경물을 조합하여 幻出한 실경도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렇게 새로 조성한 園林을 기념한 그림을 그리면서 흥미롭게도 원림 자체보다도 그 곳에서 바라본 풍경을 화면의 중앙에다 비중 있게 그린 작품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鄭敾의 〈農隱堂望六岡峴圖〉와 〈三勝眺望圖〉, 姜世晃의 〈知樂窩圖〉와 〈屋後北眺圖〉와 같은 작품들은 모두 자신의 원림에서 밖을 바라보는 원림 주인의 시선 앞에 한 폭의 산수화가 펼쳐지는 것처럼 조망되는 주변 풍경을 화면의 주된 제재로 그린 그림이다. 그런데 이것은 새로 조성한 자신의 원림을 기념하면서 신축한 건물보다 그곳에서 조망되는 경관을 좀더 강조하게 된 당대인들의 인식의 변화를 수반하여야 가능한 일이었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사대부가의 소유지와 주변 경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에 따른 회화 양식의 변화에 주목하여 원림주가 자신의 집에서 조망하는 경관을 그림의 주된 제재로 삼은 ‘家園眺望圖’가 어떠한 사회문화적인 배경에서 출현하게 되었는지를 살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히 조망의 개념 중에서도 자연 경관을 사람이 직접 찾아가지 않고도 집안에서 조망하여 즐기도록 하는 경관도입의 방식인 借景論에 주목하였다. 흥미롭게도 집 안으로 담 밖의 멀리 보이는 풍경이나 이웃한 경물을 가리지 않고 주변의 빼어난 승경을 끌어오는 遠借, 隣借, 仰借, 俯借, 應時而借와 같은 심화된 차경에 대한 인식을 金昌翕과 黃胤錫의 문집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김창흡의 “借景南隣視我廬”나 황윤석의 “新塘借景直樓西”라는 언급은 18세기에 차경에 대한 인식이 조선 지식인 사회에 있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집 안에서 조망하는 자연관인 차경은 한 폭의 그림과 같으며 벽에 그려진 그림은 창 밖의 실제 경관과 같이 느껴질 수 있다는 차경론에 대한 인식이 이 시기 문사들의 문집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소위 ‘江山如畵論’과 관련된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조선후기 가원조망도에 빼어난 자연경관 외에도 무덤이던 폐허가 된 古城이건 시선을 사로잡을 만한 원림 주변의 유명한 유적이나 명소들을 조망의 주요 경물로 적극적으로 선택한 점도 차경론과 관련하여 주목을 요하는 부분이다. 이 논문의 또 다른 주된 논지 중의 하나는 당대의 새로운 형식의 원림도가 건축적 측면에서의 실제 造園과 하나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정선의 가원조망도의 형식이 造園에서 차경의 기법을 활용한 원림을 그린 강세황의 〈지락와도〉의 형식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강세황이 지락와에서 조망되는 중심 경물로 〈지락와도〉의 화면 중앙에 그린 담 밖의 연못은 18세기 중엽 이후 실제 조원에 있어 차경을 위해 집 밖에 조성한 연못으로 판단된다. 집 안의 높은 곳에서 바라본 풍경을 더욱 아름답게 하기 위해 담 밖에 조성한 연못이 집 안의 조망자를 위한 차경의 한 방법이었을 가능성은 강세황과 동시대 문사인 황윤석의 『?齋遺藁』에 실린 시구 중 “새로 연못을 만들어 樓의 서쪽 경관을 끌어온다(新塘借景直樓西)”라는 구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강세황이 자신의 처소인 畵扇樓의 앞창을 扇形으로 만들어 집 안에 앉아서 조망하는 창문으로 들어오는 강산의 경관을 한 폭의 그림과 같이 보이도록 하였다는 기록은 18세기 후반에 차경이 건축적으로 실행되었음과 차경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지닌 화가에 의해 가원조망도의 형식이 제작되었음을 말해준다. 강세황의 예는 조선 후기 사회에서 가원에서 바라보는 차경은 그림처럼 인식되고 있었으며 집안에 그려진 가원조망도는 자신의 원림에서 바라본 차경, 즉 소유지 주변의 眞景 그 자체로 재인식 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런 측면에서 가원조망도는 실제 조망되는 경관을 화폭에 담은 그림이라기보다는 대개 八景으로 정형화되던 주변의 가장 좋은 경치를 조합하여 원림주인의 시야로 끌어 들인 형식이었던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본고에서 다루는 ‘가원조망도’는 ‘家園望八景圖’로도 통칭될 수 있을 것이다. An actual scene that a painter depicts in a piece of work is yet another reality which differs from the real scene that people feel it to be Research into such paintings however, has focused on how closely they depict real scenes within the framework of true-view landscapes, while overlooking the socio-cultural circumstances amidst which such works were produced. Mindful of this academic trend, paintings such as An Jungsik’s Yeonggwang Landscape perplex viewers and researchers alike. This is because the Yeonggwang Landscape is not a generally-perceived actual landscape but a painting that was produced by the artist by combining various scenic views in order to appeal to the owner of the garden. This paper attempts to research paintings commissioned to celebrate such newly built gardens, but which interestingly feature at their center the scenic views seen from them rather than the gardens themselves Such works as Jeong Seon’s paintings of A View of Yukganghyeon from Nongeundang House and Scenic Views from Samseungjeong Pavillion, and Gang Sehwang’s Residence of Jirakwa and Northward View Behind the House all depicted the surrounding landscapes as the main subject matter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wners of the gardens. The production of such paintings was made possible presumably because people in those times changed their perception to put greater emphasis on scenic views as seen from the newly constructed gardens they happened to be celebrating. This research attempts to focus on the change in the literati perception of their own lands and their surrounding scenic views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well, as a corresponding change in painting styles, and thus to determine which socio-cultural circumstances were dealt with as the main subject matter in the paintings of scenic views from private gardens where the scenic views were depi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residences of the owners of such gardens. In this respec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borrowed landscape theory of various viewing concepts that involved a method of introducing scenic views so as to enable people to enjoy natural scenic views as seen from their residences without visiting them Interestingly, in-depth perceptions of borrowed landscapes were confirmed in the literary works of Gim Changheup and Hwang Yunseok, including the borrowing of distant landscapes, nearby landscapes, landscapes from a low perspective, and landscapes from a high perspective that could incorporate into landscapes whatever scenic views might be available, such as landscapes seen at a distance from the viewer’s residence or neighboring landscapes. Gim Changheup’s reference to "borrowing the nearby scenic view to the south of my house", or Hwang Yunseok’s reference to "constructing a pond and borrowing the scenic view to the west of the pavilion" clearly show that Joseon intellectuals had a distinctive perception of borrowed landscapes in the 18th century. The paper also determines the perception that borrowed landscapes as viewed from the painter’s residence were like a part of a painting, and that such paintings hung on the wall could be felt as actual landscapes outside the window. In the meantime, in the paintings of scenic views from private garden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ombs, ruins of old castles, and any other historic remains or famous sites that caught people’s eye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natural scenic views-were vigorously selected as major scenes in landscapes, a fact which draws our att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borrowed landscapes. This paper also seeks to determine how the new type of paintings of gardens in those times was linked with actual landscape gardening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and within a cultural context. In this regard,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Jeong Seon’s paintings of scenic views from gardens influenced Gang Sehwang’s Residence of Jirakwa, which shows a lan

      • KCI등재

        조선 최초의 방계 혈통 국왕, 선조(宣祖)와 그림 속 주인공이 된 여성과 하층민 ―풍속화 이해를 위한 시론

        조규희 ( Kyuhee Cho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0 No.-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xt behind how women and the lower class in Joseon society were newly portrayed at a time when only the dignitaries were depicted as the main characters of a painting. In Joseon society, people of lower classes like ginyeo (courtesans) and chamberlains were mainly drawn as subsidiary figures in part of the ceremonies of the ruling class. However, during King Seonjo’s reign (1567-1608) they received unprecedented spotlight in several paintings. In reference to such change in pictorial representations, this paper focuses on two events during King Seonjo’s reign, the start of faction politics in 1575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at fundamentally transformed the Joseon society. The gist of this paper stems from the drastic change in how the focus of the lower class in paintings was magnified and how the change intertwined with King Seonjo’s collateral lineage. The ginyeo and chamberlains, who historically had negligible presence in most paintings with only their backs drawn, came to have the main presence in the painting Gathering of High- Ranking Senior Officials dated 1584 when paintings of high-ranking officials had strong prevalence. This was not something that could be attributed to coincidence or natural occurrence with time, a point that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During King Seonjo’s reign righ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omen became the central figures of the painting Banquet Hosted by High- Ranking Officials in Honor of Their Old Mothers amidst great social attention. This was another facet that alluded to something in connection with King Seonjo’s political intent to ameliorate the dishonored reputation of the upper clas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painting of the banquet sponsored by King Seonjo, grooms and servants were depicted as important figures along with ordinary people for they played a key role as onlookers in spreading favorable stories. It is also worthwhile to note that King Seonjo ennobled the grooms, granting their own portraits in 1604. Such appointment of meritorious subjects to the grooms was an unprecedented event that came as a shock to many scholar officials at the time, triggering a change in view of the people from lower social classes. This paper aims to prove that the atypical portrayal of women and the lower class during King Seonjo’s reign came as a response to his political crisis and from his particular empathy as the first King of collateral bloodline. The paper also explores the effects that such emergence of change in paintings had on creating a new perception of the lower class and on the appearance of genre painting.

      • KCI등재후보

        《谷雲九曲圖帖》의 多層的 의미

        조규희(Cho Kyuhee) 한국미술연구소 2006 美術史論壇 Vol.- No.23

        이 논문은 〈谷雲九曲圖〉의 제작 의미와 기능을 살피기 위해 金壽增(1624-1701)의 谷雲幽居를 대상으로 한 시화첩인 《谷雲九曲圖帖》의 粧帖 현황과 관련 시문들 및 改粧에 관련된 발문들을 검토하였다. 《곡운구곡도첩》은 김수증이 곡운에 幽居地를 마련한지 10여 년이 지난 1682년에 제작한〈곡운구곡도〉와 20여 년이 지난 1692년에 김수증을 비롯한 후손들이 창작한 「谷雲九曲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점과 관련하여 본고는 그림과 시가가 각기 제작된 1682년과 1692년의 시기가 김수증에게 갖는 의미를 밝히고 더 나아가 후손들에 의해 낡아진 이 화첩이 改粧된 시기가 갖는 정치적 함의를 밝혀 기존 연구자들이 간과한 〈곡운구곡도〉의 제작배경 및 여러 해에 걸쳐 《곡운구곡도첩》에 중첩된 의미들을 밝혔다. 이렇게 《곡운구곡도첩》의 전체적 면모를 검토하는 것은 〈곡운구곡도〉 자체의 제작 의미와 기능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조선후기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로서 《곡운구곡도첩》이 갖는 의의를 조명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곡운구곡도첩》은 조선후기에 강화된 名門巨族들의 門閥意識과 자부심이 시각적으로 드러난 작품이었다. 17세기 이후 당대 세력가문으로서의 문화적 자부심이 팽배하였던 안동 김문은 19세기에 들어와서는 一家가 공동으로 주문자가 되어 당대 최고 화가들을 총동원하여 1803년에 《高山九曲詩畵屛》을 제작하는 문화적 현상까지 낳았다. 본고는 《고산구곡시화병》이 제작된 직후인 1804년 초에 세도정권을 확립한 안동 김문의 후손들에 의해 낡아져가던 《곡운구곡도첩》이 改粧된 사실에 주목하여 이것이 당시 세력 가문으로서의 안동 김문의 家運을 ‘개장’이란 상징적 행위를 통해 새롭게 한 계기가 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실상 안동 김문은 이때를 고비로 본격적인 척족세도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18세기 진경산수화의 연원으로 주목한 〈곡운구곡도〉가 단지 양식사적으로 주목되는 실경산수화로서의 의의뿐 아니라 조선후기 사회의 다양한 정치ㆍ경제적, 문화적 측면을 투영한 중요한 사료임에 주목하였다. 《곡운구곡도첩》은 조선후기에 강화된 부계중심의 가족질서와 문벌의식 속에서 산출된 문화적 산물로서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에 걸쳐 시대에 따라 더해진 여러 의미들이 중첩된 작품인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Gokungugokdo(The Nine Gorges of Gokun painting), which is a depiction of Kim Sujeung's mountain villa, through the examination of every facet of the Gokungugokdo album including the Gokungugokga(Song of Gokungugok) and postscripts. Existing studies have neglected why Kim Sujeung, the grandson of Kim Sangheon, commissioned the writing, painting and poetry to record the celebration of his new villa at Gokun in different years.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year 1682, the year Kim Sujeung commissioned Jo Segeol to paint the Gokungugokdo, and the way Kim Sujeung produced the Gokungugokga in 1692.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year when Kim Sujeung's descendants renewed the antiquated Gokungugokdo album and investigates how the Andong Kim family visualized their political messages based on a sense of pedigree in the early 19th century. I argue here tim making the Gokungugokdo album in the late 17th century came to establish a tradition of making the Gosangugoksihwa screen by Andong Kim clan in 1803. The Gokungugokdo album not only provides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late Joseon society, it also helps to interpre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Gokungugokdo itself. The Gokungugokdo album and Gosangugoksihwa screen have shown us the power and social prestige of Kim Sangheon's offsprings.

      • KCI등재

        신성한 조화의 공간으로서의 노동공간 -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편력시대』의 직조공방 묘사에 나타난 아름다움과 경제

        조규희 ( Cho Kyuh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6 獨逸文學 Vol.57 No.4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geht es um die literarische Beschreibung der traditionellen Heimindustrie und deren Verhaltnis zur aufkommenden Industriearbeit in Goethes Wilhelm Meisters Wanderjahre. Analysiert wird zuerst anhand des Tagebuches Lenardos die idyllische Inszenierung der vorindustriellen Bergwelt, wo das ideale Verhaltnis von Mensch, Arbeit und Schonheit wie eine Idylle wirkt, indem Goethe die Vorgange in den Stuben der Spinner und Weber asthetisiert. Dann wird auf die okonomischen Implikationen des Romans im Kontext der ersten Jahrzehnte des 19. Jahrhunderts eingegangen, um Goethes Einstellungen zur beginnenden Industrialisierung in Deutschland abzuleiten. So stellen sich zwei sich gegenuberstehende Darstellungsebenen des Romans heraus: einerseits die Ebene der individuellen Existenz mit der traditonell-restaurativen Utopie und andererseits die der okonomischen Innovationen und der damit einhergehenden gesellschaftlichen Umbruche von vorindustriellen zu industriellen Arbeitsverhaltnisse. Gerade aus dieser Konfrontation zwischen `Kunstperiode` und `Industrialisierung` laßt sich die Ambivalenz erklaren, mit der Goethe die Hausindustrie und das Maschinenwesen beurteilt. Die skeptische Haltung Goethes gegenuber Maschine und Industrialisierung grundet sich letztlich auf seinen klassisch-humanistischen Wirklichkeitsbegriff: Es sollte in dem neuen Zeitalter der Industrie die Technik weiter durch die Kunst geleitet werden, so dass jene nicht bloß vom okonomischen Prinzip der praktischen Nutzlichkeit geleitet werde, sondern zugunsten der Menschheit und der ganzen Gesellschaft.

      • KCI등재

        경화사족의 전쟁 기억과 회화

        조규희(Cho Kyuhee) 부산경남사학회 2009 역사와 경계 Vol.71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novel subjects and functions of seventeenth-century painting ordered by Gyonghwasajok and their memories on the war. Paintings which served to record the patron's family and personal history were prevalen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when the Kingdom went through hardship by the Hideyoshi invasion in 1592. Scholar-officials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 who rapidly recovered from the Imjin waeran made records of their estates inherited after the plight of war and commemorated special events of the family by ordering paintings for family records. These commemorative paintings announced the patron's public achievements and proclaimed his practice of filial piety. Gyonghwasajok attempted to make their valuable paintings family heirlooms in Gajeonhwacheop, picture albums, by including painting, pieces by noted calligraphers, and poetry and prose by famous writers during the period. This cultural trend was formed by the intention to reassess the reputation of the family and protect family treasures after the war. After the Horan, Manchu invasion of Joseon, the western parties of the time, Seoin tried to use paintings for their political purpose. The existing paintings of war records emphasize the Confucian virtue of loyalty and fidelity, and seem to strengthen the Confucian order and allegiance for the country of the time. Therefore, the mass production of war record paintings of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reveals the influence of the ruling part’s reflection on the two consecutive wars. This shows the achievements of the war were revaluated as loyalty through Confucian value and relates to the formation of central rulers’ reflection on the war, who acknowledged the war zone as the edge of Joseon.

      • KCI등재

        18세기 독일문학에 나타난 노동과 게으름: 캄페 J. H. Campe 『어린 로빈슨』, 슐레겔 F. Schlegel 「게으름에 관한 전원시」의 예

        조규희 ( Kyuhee Cho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1 No.-

        1719년 영국의 작가 다니엘 디포가 발표한 『로빈슨 크루소 Robinson Crusoe』는 시민적 노동윤리를 구체화한 최초의 서구 문학작품이다. 주인공 크루소는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전형으로서 근대의 낙관적 노동윤리와 경제적 개인주의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섬은 개척의 대상으로서 그의 일터이며 노동을 실현하는 장이다. 독일에서도 이 소설의 영향으로 18세기 다수의 로빈슨 크루소 풍의 모험소설이 등장하였다. 그 대표적 예로 들 수 있는 캄페 J.H. Campe의 『어린 로빈슨 Robinson der Jungere』(1779)은 계몽주의 시대 특유의 교육학적 성격을 띤 소설로서, 여기에서 노동은 즐거움이자 의무이고 동시에 사회적 능력이며 미덕으로 제시된다. 캄페의 문학에서 노동의 윤리적 기능은 절대적 요소이며, 작가로서의 그의 궁극적 관심사는 시민계층의 청소년들을 위한, 현실적 노동경험의 결핍을 보상해 줄 수 있는 유익하고도 재미있는 문학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동교육’문학은 결과적으로 노동의 사실적 묘사라기 보다 오히려 근면성의 윤리적 예찬으로 기울어져 정작 근대적 노동현실을 크게 간과하고 있다. 이른바 ‘게으름에 대한 노동윤리의 승리’가 일면 공격적이고 배타적 수사법으로 전개된 캄페 식 ‘노동의 전원시’라 말할 수 있는 『어린 로빈슨』은 나아가 그 의도에서 동시대 낭만주의자 F. 슐레겔의「게으름에 관한 전원시 Idylle uber den Mussiggang」와 정면으로 대립되어 있다. 「게으름에 관한 전원시」의 적(敵)은 뚜렷이 근대화, 분화된 사회의 분망한 활동, 즉근면성이기 때문이다. 슐레겔은 이 글에서 낭만적 게으름을 자신의 독창적 시학원칙으로 도입하여, 시적 자율성을 보장하는 하나의 수사학적 화법으로 발전시킨다. 그의 시학이론은 바로 캄페 식 부르주아 계몽주의 윤리학에 근거한 ‘도구적’ 노동담론을 차단하려는 것이다. 슐레겔의 시학적 숙고는 무엇보다 그것이 ‘효율적’ 언어작업을 파괴하고 텍스트의 일목요연한 질서를 거부하며, 제어 불가능한 단절과 과잉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게으름과 대응된다. 요컨대, 슐레겔 시학에서 중요한 수사학적 요소의 하나인 ‘이탈’은 언어의 규범적 지시관계에서 탈피하여 시적 언어의 고유한 형상성(Figuralitat)을 지향하며, 이러한 ‘시적 이탈(poetische Abweichung)’은, 목표를 의식하고 이를 향해 전진하기보다 항상 일정의 목표에서 벗어나 있는 ‘게으름’의 시적 문학적 변용이기도 하다. Joachim Heinrich Campe``s Robinson the Younger (1779) is a literary work, the free adaptation of Daniel Defoe’s Robinson Crusoe. The novel begins with a preliminary report, in which Campe noticed his own intention and the receptional guideline clearly. What Campe, an educator and writer of German Enlightenment, tried to reach on behalf of his child as adolescent readers, was the informativ and pleasant education of ‘labor’. So this novel is supposed to learn the labor practices. Based on the fictional story about Robinson’s island existence the young generation shoud be led consequent to the acquisition of civil labor ethic: the labor is a virtue and it makes man a full, free and moral beings. In this literary text labor ethic is shaped so comprehensive that the work ennobles Robinson and makes him into autonomous ruler, legislator and educator. In other words the main concerns of German Enlightenment in the late 18th Century were the virtues and blessings of labor which was those times regarded as ‘anthropological constant’. Moreover, the potent, productive ‘labor’ was in confrontation with the destructive ‘idleness’: “Idleness is beginning of all vices.” The idleness was thus treated even as a disease when it was referred to as a “pest of body and soul”. On the contrary the German Romantic writers rejected the normative labor ethic. They refused to accept the excessive demands on the individual which might be caused by the functionally differentiated modern society, persisting the unified things (nation, religion, art) against the social multiplicity (politics, economy, family). What they most insisted, was the aesthetic autonomy of the literary text and they could make use of idleness just for that purpose. The rhetorical guise in which it is presented, held all kinds of disturbing and complicated figures and tropes, such as irony and paradox. This concept of idleness found its programmatic Illumination especially in Friedrich Schlegel’s Lucinde (1799). Here it was not only established as a central theme and motif of romantic worldview, but inaugurated as a genuine poetological form principle. Furthermore, Schlegel declared the idleness as religious art monstrance. So “Idylle uber den Mussiggang” (Hymn for the idle), a part of the novel Lucinde was in many respects opposed to the ‘Idylle der Arbeit’ (Hymn for the labor) which in Robinson the Younger Campe asserted apparently. Brought into position against the enlightened bourgeois concept of work, the idleness was hereby figured as a basis for artistic imagination, which must be however exceeded in the meaning of Universal Poetic Progression. These arguments against labor and utility, which were expressed in “Idylle uber den Mussiggang” aesthetically, have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poetics of idleness’, especially in the Modern Literature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In short, the term of labor was not uniform to define in the German Enlightenment and Romantic. This study attempts to reconstruct the relevant arguments and discourses on labor and idleness in two representative texts.

      • KCI등재

        독도 인근해역 동물플랑크톤 장기간 특성

        강정훈(Jung-Hoon Kang),김웅서(Woong-Seo Kim),권오윤(Oh Youn Kwon),조규희(Kyuhe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동해 독도 인근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을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시료는 고정정점의 수온약층 상부수층에서 표준네트로 수직예인하여 획득하였다. 평균수온과 염분은 장기적으로 뚜렷한 변화는 없었으나, 2013년과 2015년 여름철에 상대적으로 낮은 염분이 관측되었다. 동물플랑크톤 평균 개체수는 여름철 기준으로 317 inds./m3(2008년)부터 10,242 inds./m3(2015년)까지 증가추세를 나타냈고, 동물플랑크톤 장기간 증가는 먹이생물인 엽록소-a 농도 증가와 잠재적 포식자인 주요 어류(멸치, 꽁치, 오징어, 청어, 전갱이)의 어획생산량 감소와 같이 나타났다. 증가를 주도한 우점종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유형류(Oikopleura spp.), 여름철에 주로 출현하며 2012년 이후 급속히 증가한 야광충(Noctiluca scintillans)과 지각류(Penilia avirostris), 그리고 2010년 여름철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빠른 속도로 증가한 요각류(Paracalanus parvus s.l.)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독도주변해역에서 장기간 증가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먹이농도의 증가와 상위포식자의 포식압 감소와 관련있음을 시사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around Dokdo in the East Sea from 2006 to 2015.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surface mixed layer by vertical hauls using a standard type net at the monitoring stations. There were no clear long-term trends in the average temperature and salinity, but relatively low salinity was recorded in the summer of 2013 and 2015. The average abundances of zooplankton in the summer increased by two orders of magnitude from 317 inds./m3 in 2008 to 10,242 inds./m3 in 2015. This long-term increase was accompanied by a slight increase in the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a decrease in the catch of potential crucial predators (anchovy, mackerel pike, squid, herring and horse mackerel) in the study area. The dominant zooplankton, accounting for most of the long-term increase, consisted of appendicularian (Oikopleura spp.), which showed a steady increase since 2012, summer species such as Noctiluca scintillans and the cladoceran Penilia avirostris, which showed an abrupt increase, and the copepod Paracalanus parvus s.l., which showed a rapid increase after its first occurrence in summer 2010.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term increase of zooplankton could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prey and the decrease in the predation pressure of potential predators around Dokdo in the study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