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도시공원에서 나타나는 복지이념 구현양상 및 실천 전략에 관한 연구

        조한솔,한소영,조경,Cho, Han-Sol,Han, So-Young,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6

        본 연구는 도시공원이 복지이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도시공원이 현재 담보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중, 복지혜택을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점에 주목하여 도시공원이 가진 복지와 관련된 의미를 현재 일어나는 공원과 복지영역 간의 연계의 움직임을 통해 살펴보았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도시공원이 제공한 장점들 중 복지혜택에 대한 이점, 실천 등을 살펴보고, 사회복지혜택과 비교하고, 이러한 혜택이 현대에 어떻게 발현되고, 실천되고 있는지를 미국과 우리나라 도시공원들의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공원은 복지이념의 실현 장소이자, 복지혜택 창출의 공간이자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현대에 들어서도 도시공원은 실제로 사회의 복지적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로 쓰이고 있으며, 도시민들에게 보편적으로 이득을 줄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재화이다. 둘째, 현대에 들어 복지의 이념을 가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도시공원들은 다양한 복지기관들과 함께 다방면의 통합적 설계가 시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지기관들은 도시공원의 자원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사용하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도시공원에서 나타난 복지이념의 표출 방식이 과거에는 단순히 선언적이었던 것과 달리, 현대에 들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프로그램과 전략들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복지이념을 가시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공원 내외의 복지기관 및 프로그램들과 함께 다방면의 통합적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도시공원이 가지고 있는 자원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과 함께 지역 복지 관련 기관 및 단체와 세부적 활용을 전략적으로 견인한다면 도시공원은 주민 생활에 좀 더 가까워지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the urban park originally is imbued with a public welfare ideology, said public welfare ideology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attended to among the various social roles that the urban park currently fulfills. Aspects of welfare meaning in urban parks were attempted to be identified with the former history of urban parks and the movements of the connections between modern parks and welfare territories. The ideologies, benefits and practices regarding the welfare role that the urban park has play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ere examined and the backgrounds and contexts within which the welfare ideologies have been expressed in the urban park were examined. In order to examine the implicated public welfare ideologies of the urban park,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how they are expressed and practiced in the present times and the facilitation of these parks and public welfare both in the U.S. and the South Korea. The study results of the cases show that expressions of public welfare in urban parks are composed of more specific and visible programs and strategies in the present tim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simple proclamatory ways in the past. Particularly, in order to visibly practice a public welfare ideology, many-sided integrated designs are conducted along with various public welfare institutions and programs inside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rban park plays a role as a space to realize public welfare ideology, to create welfare benefits and to realize social welfare. Modern urban parks are used as an indicator to measure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and are a social environmental commodity that can offer universal benefits to urban residents. Second, many-sided integrated designs are tried along with various public welfare institutions at urban parks, which visibly practice public welfare ideologies in the present. In addition, public welfare institutions greatly influence the consistent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in the urban park. Third, if the detailed utilization of the regional facilities infrastructure could be brought along with multidimensional approaches about the resources in the urban park, it could be much closer to the lives of residents and could secure a space for increasing resident quality of lif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공원복지 역할 및 이념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한소영,조한솔,조경,Han, So-Young,Cho, Han-Sol,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공원이 과거에서부터 시민들에게 꾸준히 혜택을 주고 있는 복지이념 수행의 장이었다는 것을 전제로, 그 실체는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 역할을 수행해 왔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복지수단으로서의 공원역할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찾아보고, 공원복지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념은 사회복지 이념과의 어떤 차별성을 띠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공원 발달 과정에 있어 공원이 제공하는 복지혜택이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지를 조망해 보고자 공원의 발전 과정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사회적인 상황과 맞물려 공원이 시민들을 대상으로 제공한 복지 기능의 역할 및 형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원복지 기능 및 요소의 전개과정에 따라 그 근간이 된 이념의 특성과 전개양상을 찾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제까지 공원이 수행한 공원복지 기능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료적(remedial) 기능으로, 이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직접적인 원호, 육성, 갱생에 기여하는 직접적 서비스 기능이다. 둘째, 예방적(preventive)기능으로, 이는 개인과 가정, 집단 그리고 지역사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여된 공원복지 기능이다. 셋째, 개발적(developmental)기능으로, 이는 공원이 사회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도록 변화촉진체계로 기능함을 말한다. 공원복지 수혜 계층과 수혜 혜택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공원복지 대상이 빈민계층에서 일반국민으로 대상이 넓어졌으며, 공원의 혜택을 받는 실제 이용계층 역시 특수계층에서 일반 대중으로 평준화되고 있다. 둘째, 공원복지의 의미가 자전적 형태에서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이동되었다. 셋째, 공원복지의 목적이 최저조건(min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에서 최적의 조건(optimal condition)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원복지이념은 초창기에는 이념적 특성에만 그치는 자전적 성향이 컸으나, 시간이 흐르며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함께 여러 사회적 이점을 만들면서 적극적인 복지이념을 발현하는 장이 되었다. 더불어 현 세대 공원과 복지는 참여와 삶의 보편적 웰빙을 위한 접점에 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원 복지이념과 실천이 어떻게 연결되어 왔는지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측면에서의 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공원의 역할, 가치 및 이념을 조망하는 연구의 선례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Under the premise that parks have been a performing field of welfare ideology that benefits the citizen from the past,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a basic question on what substance a park has and how it has work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theoretic background that can explain the roles of a park as an instrument for welfare, of which topic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and examine how the ideology in the debate regarding welfare characteristics of park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is study divid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arks defined by Galen Cranz in an attempt to view how welfare benefits offered by parks have changed in their development and looked into the roles and types of welfare functions that parks provided to the citizens under a certain social situation by perio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ideology underlying a welfare park were examined by function and element in its pro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unctions that parks have performed so far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y have a remedial function. Parks have given direct services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relief, fostering, and rehabilitation. Second, parks have played a preventive function. They aim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individual, family, group, and community. Third, they have exerted a developmental function. They function to promote change of society in a way for it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Looking in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beneficiary class and benefits, the following were discovered. First, the beneficiaries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ve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from the poor class, and the benefits of parks have spread into the public including the underprivileged in a real sense. Second, the significance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s also changed from literal benefits to caring for basic human rights. Third, the purpose of welfare characteristics in parks has changed from providing minimal conditions to optimal conditions. At its beginning, the ideology of welfare in parks remained ideal, confining itself to their idealistic characteristics; but as time went on, they created several social benefits in response to various social demands, developing into a field where welfare ideology manifests and is realized in an active manner. Furthermore, it was witnessed that the parks and welfare of the present times are standing at the point of contact for participation and univers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reconsidered the meaning and value of parks from perspective of them as a provider of welfare benefits as well as examined how the welfare ideology of parks is connected to practice. By doing so, this study discovered the various roles, values, and ideology that parks should bear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ood example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e topic.

      • KCI등재
      • SCIEKCI등재

        유기폐수처리를 위한 Rhodospirillum rubrum P17 의 종균생산

        조경덕(Kyung Dug Cho),강성옥(Seong Og Kang),임왕진(Wang Jin Lim),조홍연(Hong Yon Cho),양한철(Han Chul Ya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6 No.6

        A photosynthetic bacterium strain P17 having high growth rate and assimilating ability of organic acids was isolated from several soil samples, which was identified as Rhodospirillum rubrum. Cultural conditions of the strain P17 were examined for the production of starter culture used in the treatment of organic waste water. The addition of organic acids mixture as carbon source containing 0.2% Na-acetate, 0.1% Na-propionate and 0.2%r Na-lactate and 0.1% of yeast extract as growth factor stimulated the cell growth. The maximal cell production was obtained at 30℃, pH 7.0, 2,500 lux of illumination and 50∼100 rpm of agitation.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of batch and fed-batch culture systems in a Jar fermentor, 5.17 g/ℓ and 7.93 g/ℓ of cells were obtained after 5 days of cultivation, respectively. In continuous culture system, the cell productivity was 0.206 g/ℓ/h at a dilution rate of 0.21 h^(-1). When R. rubrum P17 was cultivated in a soybean curd waste water, initial COD level(3,240 ㎎/ℓ) of the waste water was reduced to 250 ㎎/ℓ after 4 days of cul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