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질탄산(重質炭酸)칼슘을 혼합(混合)한 시멘트 경화체(硬化體)의 내구특성(耐久特性) 평가(評價)

        정호섭,이승태,김종필,박광필,김성수,Jung, Ho-Seop,Lee, Seung-Tae,Kim, Jong-Pil,Pak, Kwang-Pil,Kim, Seong-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중질탄산칼슘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질탄산칼슘을 시멘트 중량의 0, 5, 10 및 15%의 4단계로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를 제조한 후 시멘트 경화체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및 황산염침식 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 범위내에서 혼합율에 관계없이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의 경우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황산염침식 저항성은 중질탄산칼슘의 충전효과에 의하여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하지 않은 시멘트 경화체에 비하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a durability characterization of cement mortar with inert filler, which is ground calcium carbonate(GCC). The kinds of techniques to evaluate cement mortar are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For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resistance of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as the addition of GCC makes decreasing the permeability by micro-filler effect, the specimens of $5{\sim}15%$ ratio of replacement are superior to the GCC0 mortar specimen with respect to durability of cement matrix in this scope.

      • KCI등재

        唐의 喪葬令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의 喪葬禮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4

        지금까지 발견된 고구려와 백제 유민 墓誌銘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출자를 비롯한 정체성 문제, 그리고 당에서의 행적 등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묘지명의 내용이 단편적이라고 하더라도 묘지명을 당대인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사료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원에서 고구려와 백제 유민들 묘지명을 통해 관인으로 살았던 그들의 상장례를 집중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喪葬令이나 喪葬禮와 관련하여 주로 賻物, 官給, 護喪, 解官, 勅葬, 服喪, 贈諡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묘지명에 단편적인 내용들을 통해서라도 상장례의 실상을 이해하고 당나라 관인들과의 차별성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당나라 관인으로서의 주류 사회에 동화, 편입되기를 갈구했던 존재들로 관품에 따른 상장령이나 황제의 조칙에 의한 상장례를 하였기 때문에 큰 차별성을 발견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유민 연구가 정체성에 집중되고 있는 점은 민족주의적 입장에서의 접근이라 할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당의 상장령과 상장례의 대강을 이해하고 고구려와 백제 유민 묘지명을 통해 상장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다각도로 묘지명 자료에 접근하는 길을 모색해본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당에서는 상장령이 실제적으로는 조항대로 운영된 것은 아니었다. 황제의 詔勅, 別勅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비록 일면적이나마 율령을 통한 국가 지배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음미해 볼 사항이다. The literature on the epitaph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paid attention to their identity, including their claim of origins and records in the Tang Dynasty. However,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for extensive use of epitaphs, despite the incomplete information, as historical records to address the life and death of the time. In this regard, it sheds light on the funeral service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ho were officials of the Tang Dynasty, by examining their epitaphs. In addition, it analyzed funeral gifts(賻物), government issue(官給), funeral director(護喪), dismissal from government post(解官), execution of burial(勅葬), wearing mourning(服喪), and posthumous title(贈諡) and their relations with funeral order and funeral service. From the incomplete information, it also sought to understand the state of funeral servi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fugees and officials of Tang. However, owing to the refugees’ intention towards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to the mainstream society of Tang by contributing, it is hard to find a substantial difference;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study on the identity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assumed a nationalist approach. Still,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outline of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of Tang and seeking ways to approach the epitaphs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ith concrete cases of funeral service. Overall, this paper finds that the funeral order was not executed as stipulated but subject to Royal edicts(詔勅) and special proclamations(別勅) from the Emperor; it opens a way to appreciate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in light of the state’s ruling.

      • KCI등재

        고구려의 州·郡·縣에 대한 재검토

        정호섭(Jung Hosub)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고구려에서 지방편제로서의 군현 내지는 주군현의 존부 문제는 아직 까지 충분한 근거자료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그 개연성은 상정될 수는 있지만, 충분히 논증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그것은 각 사료가 가지고 있는 한계도 있고, 그 사료를 해석하는 관점의 차이도 존재하며, 고구려 당시의 기록이라기보다는 당이나 신라의 인식이나 후대의 인식이 반영된 사료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 당시의 고유한 지명으로서 특정한 주, 군, 현으로 확증할 수 있는 것이 단 하나도 확인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고구려의 지방통치 편제로서의 주군현에 실재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고구려의 군사적 성격 등을 고려하면 군현이나 주현 단위의 편제를 고구려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다종족 국가였고 다양하면서 때로는 독특한 방식으로 주변지역의 통제했던 고구려의 국가적 성격을 해명하는 데 있어서 일원적인 지방편제를 상정하는 것도 역사적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다. 고구려와 같은 고대 국가에서는 일원적인 편제를 갖춘 지방지배가 완전하게 관철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구려의 경우 그 운영방식은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대체로 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 통치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성이 지방 통치의 단위가 되어 군사적 성격이 강하였기에 고구려의 영역이었던 요동이나 한반도 북부에는 수백 개의 크고 작은 성이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고구려 말기에 수당과의 전쟁과정에서 나타나는 각 성의 군사적 성격이나 성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성의 자립성도 주목해 볼 수 있는 것이다. Identifying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of Goguryeo can reveal its status as a centralized territorial state. As mentioned above, there is not 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the presence of Prefecture-Town or Province-Prefecture systems to govern the local areas during the Goguryeo period. Although it has been plausibly suggested,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it can be proven. Because all literature data have their own limitations and their interpretative perspectives vary. Nearly all available historical documents were written from perspectives of Tang or Silla people rather than Goguryeo’s own perspective nor contemporaneous with Goguryeo. The fact that there are not any known cases of Province or Prefecture, or Town recognized in the peculiar local names in Gogyreo period makes us skeptical of Province-Prefecture-Town system as Goguryeo’s local administrative system. Given the nomadic and military oriented characteristics of Goguryeo culture, it is unlikely that Chinese styled Prefecture-Town or Province-Town systems may have not been employed by Goguryeo. A sole uniformed administrative system applied to entire Goguryeo, however, would not match with its dynamic and flexible governing style in this country with multi-ethnic groups. Whether both central and local areas could have been completely controlled by such an ancient state like Goguryeo, is questionable. Goguryeo employed a castle centered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t appears that roles of castle as a local administrative center and a military post had led to construct several hundred castles in Liaodong and northern Korean peninsula that was once a part of Goguryeo. In particular, scholarl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nderstanding its role as a militant post as well as an autonomous local center during the war with Sui and Tang dynasties in the end of Goguryeo era.

      • KCI등재

        集安 高句麗碑의 性格과 주변의 高句麗 古墳

        정호섭(Hosub, 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0

        집안 고구려비의 성격에 대해 墓上立碑의 실물인 수묘비로 이해하기보다는 수묘제 정비와 매매금지령을 담은 광개토왕의 교령비로 제시하였다. 특히 집안 고구려비의 8행에 보이는 烟戶頭가 고구려 각 왕릉 연호의 戶主로 해석할 수 없음을 논하였다. 그것은 戶頭의 용례가 唐代 이전 시기에는 보이지 않는 점에서 烟戶頭를 고구려식 표현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단서는 평양성 석각의 百頭의 용례를 통해 살펴보았는데, 축성 책임자인 百頭의 용례로 보아 烟戶頭는 전체 수묘인 연호들의 책임자로 이해하였다. 또한 고구려 관등에서 ‘?衣頭大兄’의 사례를 통해 볼 때도 ‘?衣+頭+大兄’ 으로 구성된 점에서 頭는 우두머리 혹은 책임자 정도로 표현으로 생각된다. 烟戶頭의 실체는 광개토왕비에 보이는 國烟 20家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집안 고구려비가 墓上立碑의 실물인 수묘비가 될 수 없는 이유를 당시 역사적 정황이나 고대 사회상에 대한 이해의 측면에서 몇 가지 지적하였다. 집안 고구려비의 원위치는 마선하 서쪽 도로 부근의 段丘上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수묘제와 관련하여 비슷한 내용을 전하고 있는 광개토왕비와는 비교?검토의 자료로 활용해야 함을 전제로 광개토왕비와 집안 고구려비의 상관관계를 해명해보았다. 광개토왕비의 수묘인 연호 부분은 별도의 텍스트로 존재한 집안 고구려비를 기본으로 수묘제 정비와 개편에 관한 광개토왕의 훈적을 보여주기 위한 차원에서 쓴 내용일 가능성이 높다. 바로 집안 고구려비는 광개토왕비 수묘제 연호 내용의 토대가 되었던 수묘제 정비와 매매금지에 관한 광개토왕이 내린 명령을 담은 교령비였다고 할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historiography on estimation of buried men in royal tombs, along with a brief introduction of royal tombs in Maseongu area. This work aims to present relationship between royal tombs inMaseongu and Jiban area for the excavation site of Goguryeobi, which is located in the former area. Yet, it is not still feasible to link these two directly. In particular, this connection is not feasible when features of Goguryeobi are not regarded as Sumyobi(the tomb of the guardian), the actual object of Myoseongibbi(墓上立碑). This article understands features of Jian Gogureybi(高句麗碑) as a decree on the maintenance of Sumyo system and ban on bargaining. Specifically, it points out that the head of era name(烟戶頭) in the 8th line of Jiban Gogureyobi cannot be interpreted as householders of each Goguryeo royal tombs’ era name. Rather, it discusses that the head of era name is Goguryeo style in the sense that the usage of it was not in existence, in the pre-Tang Dynast period. The evidence for it is the usage of baekdu(百頭) in carve stone of Pyeongyang castle, in which the head of era name is understood as the person in charge of the era name of all Sumyo system derived from the usage of baekdu(百頭) of castle builder. Also, the case of ‘Joeuidudaehyeong(?衣頭大兄)’ in the Goguryeo’s official rank system shows that modu(某頭) is an expression for the head of a group. The substance of the head of era name is the same as the gukyeon(國烟) 20 family in which gukyeon is a person in charge, while ganyeon(看烟) conducts Sumyo. Moreove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Jiban Goguryeobi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actual object of myosangibbi(墓上立碑)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situation and the ancient society. In addition, it presumes that Jiban Goguryeobi was the sole decree monument of the King Gwanggaeto which contained the maintenance of Sumyo system and ban on bargaining and was established in theMaseongu area, and river terrace on the westroad of Maseonha is deemed to be its original location.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elucid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tomb of the King Gawanggaeto and Goguryeobi on the premise that the latter needs to be considered as a material for examination of and comparison to the former that informs similar information on the Sumyo system.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content of the era name of guardian of tomb’s part in the tomb of the King Gwanggaeto was written in order to present the King Gwanggaeto’s achievement regarding the maintenance and reformation of Sumyo system based on the Jiban Goguryeobi which existed separately. That is, the Jiban Goguryeobi can be viewed as a degree proclaimed by the King Gwanggaeto on the maintenance of the Sumyo system and ban on bargaining which provided basis for the era name of the King Gwanggaeto’s sumyo.

      • KCI등재

        조우관(鳥羽冠)을 쓴 인물도(人物圖)의 유형(類型)과 성격(性格) -외국 자료에 나타난 古代 한국인의 모습을 중심으로-

        정호섭 ( Ho Sub 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嶺南學 Vol.0 No.24

        외국자료에 보이는 조우관을 쓴 인물도는 한국인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에서는 고구려인의 모습이 고대 한국인의 전형으로 묘사되거나, 혹은 고구려인의 모습이 고대 한국인의 대표격으로 묘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문헌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조우관을 쓴 인물도의 유형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첫번째는 직공도 계열(Ⅰ-A형)이나 무덤 벽화에 나오는 사절을 그린 것(Ⅰ-B형)이다. 두 번째 유형은 불교와 관련한 자료에 조우관을 쓴 인물도가 보이는 것으로 불교경전의 변상도(Ⅱ-A형)와 사리분배도(Ⅱ-B형)와 같은 형식으로 구분된다. 나머지 다른 한 유형은 중국 지역이 아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조우관을 쓴 사절의 모습이다.(Ⅲ형) 기존 연구에서 주로 조우관을 쓴 인물도에 대해 해당 지역에서 활동했던 고대 한국인의 모습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직공도 계열이나 장회태자묘의 사절도(Ⅰ형)를 제외하면 고대 한국인이 해당 지역에서 실제로 활동했던 모습을 그대로 그린 것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돈황의 막고굴의 벽화에서 조우관을 쓴 고대 한국인의 전형적인 모습은 初唐 시기의 3굴(220굴, 332굴, 335굴)에서만 확인된다. 盛唐 시기 이후에 나타나는 변형 조우관을 한 인물들 모두가 고대 한국인 혹은 한국계 인물로 보기는 어려운 것이 다수 확인되며, 해당 불경 변상도의 의미를 보다 면밀히 추적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에 보이는 고구려 사절도도 당나라로부터 어떤 모본이 전해져서 그려진 고대 한국인에 대한 하나의 이미지 혹은 고구려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康國의 입장에서 그려진 세계관이 투영된 벽화로 당나라의 견제를 위해 고구려 사절이 이 지역에까지 파견되었다고 보는 이해는 재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ortraits with Jowoo-Guan (Feathered Cap) found in foreign sources symbolically represents images of Koreans. In them, people of Goguryeo are depicted as a model for or representation of ancient Koreans. Such aspects also can be found in written materials. Broadly, portraits with Jowoo-Gua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is unit of workmen (I-A Type) or depiction of envoys in mural tombs (I-B Type). Second are portraits with Jowoo-Guan in Buddhist sourc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Amitabha from Buddhist Scriptures (II-A Type) and Sarira Distribution (II-B). The last one is the painting of envoys with Jowoo-Guan found in Central Asia not in China (Type III). Historiography mainly regards portraits with Jowoo-Guan to show ancient Koreans in concerned areas. Yet, with exceptions of workmen unit and delegations from Janghoitaejamyo (I Type), it can be argued that there is no picture depicting actual activities of ancient Koreans in concerned areas. In particular, typical features of ancient Koreans with Jowoo-Guan are found only in 3 early Tang period caves (Number 220, 332, 335) among murals of Mogao Caves in Dunhuang. Many evidences which confirm that figures with modified Jowoo-Guan since the high Tang Dynasty period cannot be identified as ancient Koreans are found, and this fact requires thorough investigation upon the meanings of each Buddhist Amitabha. Also, the painting of Goguryeo delegation from the Afrasiab painting in Samarkand is deemed to be an image of ancient Koreans derived from a certain sample from Tang or descriptions based upon information on Goguryeo. The argument on this painting as a projection of a world-view of a powerful state which concludes the arrival of Goguryeo`s delegation to this region shall be reconsidered.

      • KCI등재

        고구려의 강역에 대한 연구쟁점과 과제

        정호섭(Jung Hosub)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0

        본고에서는 고구려 강역에 대한 주요 쟁점에 관해 살펴보았다. 700여 년 간 고구려의 세력권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것은 고구려의 팽창 과정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고, 고구려 역사의 부침에 따라 가변적이었다. 따라서 고구려 세력권을 설정함에 있어서 고구려가 영토를 완전히 장악하여 장기간 직접지배가 가능하였던 1차적 강역과 일시적인 점유에 그쳤거나 세력 간의 중간지대 내지는 완충지대에 있었던 2차적 강역으로 구분해서 파악할 필요도 있지 않을까 한다. 1차적 강역은 점의 집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바이지만 주로 자연지리적인 측면에서 강, 산맥 등을 수반한 어느 정도 선과 면의 개념까지 확대될 수 있는 공간일 것이고, 2차적 강역은 그런 표시가 원천적으로는 불가능하지만 상징적으로 구분해 낼 수 있는 공간이면서 점유가 변화되는 공간일 수 있을 것이다. 소위 ‘문화권’이라고 하는 관점은 강역과는 직접적으로 연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시각을 조금 달리해보면 고대국가에 있어서 강역은 당시 변경인들은 필요에 따라 이주 내지는 편입 등을 통해 삶을 영위하였을 가능성도 많고, 이종족의 존재양태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강역에 대한 이해는 바로 이러한 점도 착안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고구려가 같이 주변 여러 종족이 서로 접하고 있었던 상황과 다종족 국가임을 고려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아울러 일종의 변경지대는 세력 간의 갈등과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지대의 기능도 있어서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구간이기도 하다는 점도 상기해야 한다. 특히 국경 지역은 그 정체성과 관할이 조정되고 재편되는 공간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강역의 범위를 쉽게 설정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한편으로는 고구려의 강역을 연구함에 있어 고구려와 인접해있던 세력이나 국가의 입장에서 역으로 추적해 본다면 고구려와의 경계에 대해 상호 보완되는 객관성을 담보해 낼 여지가 좀 더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이상과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염두에 둔다면 고대국가의 강역이나 경계는 선이 아니라 점의 집적 형태나 대역(일종의 zone)의 형태로 대략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바로 그러한 결과가 ‘세력권’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고구려 강역에 대한 연구도 ‘세력권’에 대한 이해로 귀결되어야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세력들 간의 경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이나 현상 그리고 인간들의 존재양태에 주목하여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서로 이질적인 세력들이 만나고 충돌하며, 그런 가운데 같이 살아가면서 융합되고 공존하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것이다. 근거 없는 영역의 팽창 등으로 대표되는 의도된 서사의 역사가 만들어낸 허구적인 경계나 영역, 그리고 역사적 사실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근거가 없거나 사료 비판 없이 무분별하게 설정하고 있는 관념적인 가상의 국경선들을 오히려 지워나가야 할 것이다. 근대 국민국가 이후 만들어진 강역에 대한 집단적 기억을 탈피하여야 역사적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ddresses the main issues regarding the territory of Goguryeo. The spatial boundaries of Goguryeo had greatly changed over 700 years. The changes had corresponded with the trajectories of Goguryeo’s expansion and had been affected by the ebb and flow of Goguryeo’s power. Thus it is required to distinguish the primary territory under the long-term and direct Goguryeo rule and the secondary territory which had mostly been the buffering zone between neighbouring countries or temporarily controlled by Goguryeo. The primary territory can be defined by not only connected dots in a map, but also geographical marks such as rivers, mountain ranges, creating the zones with lines. The secondary territory is more symbolically defined and its occupants had constantly changed. However, so-called ‘cultural domain’ is not considered synonymous with the territory.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frontiers in ancient kingdoms is significant because people living in marginal areas might have freely migrated by their needs and the habitation patterns of various tribes were varied. Considering Goguryeo as a nation of groups with multi-origins and the one facing many other countries,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territories is crucial. The marginal areas along the front line had played a role to buffer or avoid conflicts between power groups. In particular, defining the spatial boundary of certain country is difficult and must be carried out within historical contexts because its identities and governing bodies had constantly changed. On the other hand studies of territories can be supplemented by reviewing th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s of its neighbouring countries or power groups. Then it would ensure the objectivity in interpretations on territories. In general, the boundaries or territories can be marked by the connected points in a map or the spatial zones. Such distinguished space can be understood as the zone with a certain political uni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Goguryeo’s territory would be attributed to the issues of ‘power domain’ in future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habitation patterns of human communities, and various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s. Recognizing space where different groups had encountered, conflicted, compromised and co-existed is important. Thus we have to discard the conceptual or imaginary boundaries derived from the narratives of territorial expansionism and assumptions generated without firm evidence or critical reviews of the historical records. The objectivity of interpretations would be enhanced only if we abandon the collective and prejudiced concepts of the territory, which was form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s.

      • KCI등재

        광개토왕비의 형태와 위치, 비문 구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정호섭(Jung Hosub)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9

        광개토왕비의 형태와 위치, 비문 구성과 비의 성격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했다. 광개토왕비 연구는 근래에 비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나 위치, 텍스트 구성 등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검토를 주로 다루었다. 특히 비의 성격과 관련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하여 비에 대한 기초적 탐색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광개토왕비의 성격 문제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살펴보고 최근 발견된 집안고구려비와 대비하여 비의 성격 문제를 재조명해 보았다. 비의 형태와 관련해서는 최근 발견된 집안고구려비나 충주고구려비 등을 통해 고구려 석비 문화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의 위치는 왕릉과의 관계에서는 거리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다. 광개토왕비가 위치한 고분들의 배치나 비가 가지는 위치의 의미, 그리고 단순한 송덕비가 아닌 수묘 내용도 포함하고 있는 광개토왕비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여러 가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상황이라 할 것이다. 비문 구성에 있어서는 최근까지도 다양한 의견들이 개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비문 구성상 텍스트 구성 방식에 대한 일련의 연구는 특히 주목되는 점이다. 비의 성격과 관련하여 능비설, 신도비설, 훈적비설, 수묘제 창출과 관련한 송덕비설, 수묘비설, 훈적과 수묘의 내용이 모두 포함된 복합비설 등이 제기된 바 있다. 비의 1부 마지막에 보이는 “훈적을 기록하여 후세에 보인다” 는 구절과 其詞曰(기사왈)의 내용 구성이 정복 전쟁과 수묘제 정비라는 2개의 업적을 횡적으로 작성한 것인 점에서 보면 비는 형식적으로는 묘비 내지는 능비이지만 그 내용이나 건립목적에서 보면 비의 성격은 훈적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를 검토해 볼 때 광개토왕비와 주변 국가의 비석과의 비교 연구, 비의 텍스트 구성과 작성 등에 대한 심화된 연구는 향후 과제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provides a literature review on morphology, location, content structure, and features regarding the Gwanggaetowangbi, or the King Gwanggaeto Stele. It mainly concerns reviews on the recent “micro” approach to the monument, such as basic morphology, location, and text structures. In particular,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characters carved in to the stele. In addition, this paper reviews discussion of the features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and explores it in relation to the Ji’an Koguryobi, which was recently found. Concerning the morpholog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onument in the context of the stone monument culture of Koguryo, which can be seen from the Ji’an Koguryobi and the Jungwon Koguryobi. The location of monuments is not supposed to be identified with its distance from the royal palace. Multiple explanations can be raised, if the following factors are considered: the placement of the tumulus and the Gwanggaeto Stele, the meaning of the location that the monument possesses, and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Gwanggaeto Stele being together with its guardian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monument’s text, there are various opinions. Among them, a series of research on the textual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content deserves attention. From the fact that the phrase “recording achievement to provide it to future generations” at the end of Part I and that two achievements, the war of conquest and the maintenance of the guardian system, are written in parallel indicates that the monument is closer to a tomb in the commemoration of achie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riography, intensive research in comparing the Gwanggaeto Stele with monuments of other states, and the text structure and composition remain for the future.

      • 터널라이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특성

        정호섭 ( Jung Ho-seop ),김동규 ( Kim Dong-gyou ),김성수 ( Kim Seong-soo ),박광필 ( Park Kwang-pil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3 No.1

        지하공간에 축조되는 터널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변상은 여러 가지 내적 및 외적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물의 특성상 지하수 및 토양에 접하므로 각종 유해이은의 침식을 받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특성을 현장조사와 현장에서 채취한 코어시편을 대상으로 실내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