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IoT와 AI를 이용한 무인 양식장 관리 시스템

        정혜리 ( Hye-ri Jeong ),김혜민 ( Hye-min Kim ),최상민 ( Sang-min Choi ),권람 ( Lam Kwon ),박은찬 ( Eun-cha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본 논문은 기존의 단순 감지 센서형 양식장 관리 시스템을 벗어나기 위해 IoT와 AI기술을 이용한 무인 양식장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양식장 상황에 맞는 유해 조류와 한국형 어선 이미지를 학습시켜 실시간 카메라 영상을 통해 유해 및 무해 물체를 판단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퇴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현존하는 양식장 관리 시스템이 환경 관리 시스템과 감시 및 퇴치 시스템으로 이분화 된 경향을 보여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감시 및 퇴치 기능 수행뿐만 아니라 양식장 내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오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양식장 상황을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하고자 하였다.

      • SCOPUSSCIEKCI등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과 SWA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시 전치부 치축 조절 요인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정혜심(Hye-Sim Jeong),성상진(Sang-Jin Sung),문윤식(Yoon-Shik Moon),조영수(Young-Soo Cho),임승민(Seung-Min Lim)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을 이용한 교정 치료가 보편화되며, SWA와 이를 이용한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은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고정원을 성공적으로 보존하려는 노력에 비해, 발치 공간 폐쇄시 전치부 치축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1소구치를 제거한 상악 치아와 치주 인대 그리고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을 제작하였고,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주호선 10 mm 상방에 식립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고정원으로 사용할 경우, 측절치-견치 사이의 견인 훅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거나, 주호선에 보상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 전치부 치축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전치부 치축이 설측 경사된 모델을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발치 공간 페쇄 시 설측 경사된 전치부 치축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2 mm 높이의 견인 훅에 대하여 후상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경우 발생하는 함입력으로 인하여 전치부 설측 경사가 더 감소되지는 않았다. 견인 훅의 높이가 5 mm인 경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면,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이 일어나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이 심화되었다. 4 mm의 보상 만곡은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을 일으키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을 감소시켰다. 또한 전치부가 설측 경사된 모델을 기준모델과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한 경우 치근면의 응력 분포와 25000배 확대된 그래프 상에서의 치아 이동 양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 임플랜트-SWA sliding 생역학을 구사 시 견인 훅의 위치와 와이어 상의 보상 만곡의 유무에 의해 전치부의 치축 조절이 달라지며 실제 임상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ith development of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ssisted on masse sliding retraction has become part of general orthodontic treatment. But compared to the emphasis on successful anchorage preparation, the control of anterior teeth axis has not been emphasized enough.<br> Methods: A 3-D finite element Base model of maxillary dental arch and a Lingual tipping model with lingually inclined anterior teeth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the axis of anterior teeth when OMI was used as anchorage, models were simulated with 2 mm or 5 mm retraction hooks and/or by the addition of 4 mm of compensating curve (CC) on the main archwir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roots and a 25000 times enlarged axis graph were evaluated.<br> Results: Intrusive component of retraction force directed postero-superiorly from the 2 mm height hook did not reduce the lingual tipping of anterior teeth. When hook height was increased to 5 mm, lateral incisor show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and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increased.4 mm of CC added to the main archwire also induc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of the lateral incisor but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decreased. Lingual tipping model showed very similar results compared with the Base model.<b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ight of the hook and compensating curve on the main archwire can influence the axis of anterior teeth. These data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치매와 운동에 관한 문헌적 고찰

        정혜임(Jeong Hye-Im),이소은(Lee So-Eun),김현도(Kim Hyun-Do),고인태(Ko In-Tae),최승욱(Choi Seung-Wook)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on dementia prevention and improvement through each literatur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importance of exercise and its effectiveness to demented patients. Regular exercise reportedly has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functions among demented elders, improving all of such fundamental physical capacities as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nd obesity, and apoplexy, and thus preventing dementia in its early stages and delaying it. Its importance is being emphasized because it not only prevents mental and physical functions from lowering and enables an independent life but also provides patients with a sense of confidence and achievement. In addition, regular exercise also has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s of demented elders ; effectiveness of regular exercise in improving performance of cognitive tasks and preventing cognitive functions from lowering is proven through various researches. In conclusion, regular exercise was found to improv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mong demented elders ; on this ground, more various research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considering that the use of an exercise program as treatment for demented patients in clinical environment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ing.

      • KCI등재
      • KCI등재

        신생 쥐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서 Nitric oxide synthase 조절을 통한 taurine의 신경보호 효과

        송은정 ( Eun Jeong Song ),장윤영 ( Yoon Yung Jang ),김태열 ( Tae Yeol Kim ),차선화 ( Sun Hwa Cha ),박혜진 ( Hye Jin Park ),이계향 ( Kye Hyang Lee ),이경훈 ( Kyung Hoon Lee ),최은진 ( Eun Jin Choi ),김진경 ( Jin Kyung Kim ),정혜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3

        목적: 타우린은 술폰 기를 산기로 하는 황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뇌, 망막, 심장, 근육에 풍부하여 담즙산의 포합 기능 뿐아니라 두뇌 발달, 망막의 광수용체 활성, 심장 근육의 수축, 삼투압 조절, 생식기능, 성장발달, 면역 체계의 유지 및 황산화 활성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이 보고되면서 그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여러 가지 작용 중에서 국소적 뇌허혈에 대한 타우린의 신경보호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성인의 뇌졸중의 치료에 대한 연구에서 진행된 것이 대부분이며 아직까지 신생아시기의 저산소성 손상에 대한 효과를 구체적으로 연구한 바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타우린이 발달하고 있는 뇌에서 NOS 조절을 통해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을 줄여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재태기간 18일된 태아 백서의 대뇌피질 세포를 배양하여 1% O2 배양기에서 저산소 상태로 뇌세포 손상을 유도하여 저산소군, 손상 전후 타우린 투여군(30 ug/mL)으로 나누어 정상산소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생후 7일된 백서의 좌측 총 경동맥을 결찰한 후 저산소(8% O2) 상태로 2시간 노출시켜서, 저산소성 허혈성 뇌 손상을 유발하였고, 뇌손상 전후 30분에 타우린을 체중 kg당 30 mg을 투여하였다.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후 1일, 3일, 7일, 14일, 28일 째 뇌를 적출하여 질소산화물과 관련된 inducible NOS (iNOS), endothelial NOS (eNOS) 및 neuronal NOS (nNOS)을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과 western blotting을 하였다. 결과: 저산소로 유발된 뇌세포 배양에서 정상군에 비해 저산소군에서 뇌세포 손상이 많았고 저산소 손상 전 타우린 투여군에서 뇌세포 손상이 회복되었으며 저산소 손상후 타우린 투여군에서는 저산소 손상 전 투여군보다 회복력이 떨어졌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과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저산소 상태의 백서 뇌세포 배양 실험뿐만 아니라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동물 모델에서도 타우린을 투여한 경우 저산소군에서는 손상 후 7일과 14일 째 iNOS는 감소하였고 eNOS와 nNOS는 증가하였으나 뇌 손상 전 타우린 투여군에서는 반대로 iNOS는 증가하였고 eNOS와 nNOS는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저산소 상태에서 발현된 iNOS 감소, eNOS와 nNOS 증가가 타우린 투여 후에는 반대로 정상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아 질소 산화물 조절 기전을 통한 뇌보호 작용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것은 대체적으로 저산소 손상 후 7일과 14일 째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Purpose: Taurine is a simple sulfur-containing amino acid and enriched in brain, retina, heart and skeletal muscl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aurine has been implicated in major phenomena. Curr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taurine in adult rat model, but limited data are available for those during the neonatal perio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aurine could reduce hypoxic-ischemic (HI) brain injury in the developing brain via modul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Methods: In in vitro model, embryonic cortical neuronal cell culture procedure was done in Sprague-Dawley (SD) rats at 18 days of gestation. The cells were divided into the hypoxia group, taurine-treated group before and after a hypoxic insult. The each groups compared with normoxia group. In in vivo model, left carotid artery ligation was done in 7-day-old SD rat pups. the pups were exposed to hypoxia, received an injection of 30 mg/kg of taurine, and sacrificed at day 1, day 3, day 7, day 14 and day 28. We assayed the expression of iNOS, eNOS and nNOS mRNA using real-time PCR and western-blotting. Results: In in vitro model, brain cell damage of hypoxia group was more than in the normoxia group. Cell damage`s recovery was more in the taurine-treated group before a hypoxic insult than in the taurine-treated group after a hypoxic insult. The expression of iNOS mRNA was less in the hypoxia group than in the normoxia group both in vitro and in vivo models. The expression of eNOS and nNOS was more in the hypoxia group. Conclusion: Taurine has neuroprotective property over perinatal HI brain injury due to modulation of NOS, as evidenced by causing a decrease in eNOS and nNOS and increase in iNOS expression.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taurine administration was maximal at day 7 and day 14 after a hypoxic injury.

      • KCI등재

        어머니의 균형전위에서 유래된 6번 장완 부분 홑염색체 및 14번 장완 부분 세염색체 1례

        송은정 ( Eun Jeong Song ),장윤영 ( Yoon Yung Jang ),박혜진 ( Hye Jin Park ),이계향 ( Kye Hyang Lee ),이경훈 ( Kyung Hun Lee ),최은진 ( Eun Jin Choi ),김진경 ( Jin Kyung Kim ),정혜리 ( Hai Lee Chung ),서억수 ( Eok Su Seo ),김우택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2

        There are several cases of partial monosomy or partial trisomy derived from maternal balanced translocation, but partial monosomy 6q and partial trisomy 14q derived from maternal balanced translocation has not been reported around the world.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partial monosomy 6q and partial trisomy 14q derived from maternal reciprocal balanced translocation t (6;14) in a neonate with multiple anomalies including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facial and cardiac anomalies. We report th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associaed li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