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은 몸과 되살아난 몸의 수적 동일성 문제를 통한 1277년 단죄의 재조명

        정현석 ( Chung¸ Hyun S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7

        본 논문은 가톨릭신앙의 핵심을 다루는 1277년 3월 7일 파리대학 단죄 항목들인 “사멸한 신체가 수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되돌아오는 일은 생기지 않으며, 수적으로 동일한 것이 되살아나지도 않을 것이다”와 “미래의 부활에 대해 철학자가 동의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성으로 <미래의 부활을> 탐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이것은 오류다. 왜냐하면 철학자는 그리스도에게 순종토록 지성을 다잡아야하기 때문이다”를 중심으로 1277년 단죄 조치의 목적과 성격을 재조명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먼저 이 두 명제가 13세기 파리대학에서 활동하던 사상가들이 견지했던 사상과 일치하는 대상이 엄밀한 의미에서 없음을 보에티우스 다치아와 시제브라방의 주요저작들을 분석하면서 밝힌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1277년 단죄 목록 전반의 특징인 익명성과 그에 따른 문헌학적 불명료성이 텅피에의 의도를 반영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그리고 그 의도와 관련하여 텅피에의 단죄 조치를 특정사상가 혹은 입장에 대한 단죄보다는 파리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거론될 수 있는 심각한 오류에 대한 예방조치로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하려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tenets and the nature of the Condemnation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1277, especially centering on the two propositions touching core values of Christianity in the Decree promulgated by Etienne Tempier: “Quod non contingit corpus corruptum redire idem numero, nec idem numero resurget”; and “Quod resurrectio futura non debet concedi philosopho, quia impossibile est eam investigari per rationem. - Error, quia etiam philosophus debet capivare intellectum in obsequium Christi”. This research first shows that those two articles corresponds none of the University members’ thoughts(including those of such figures like Boethius of Dacia and Siger of Brabant)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s. And we attempt to suggest that the anonymous character and the lack of philological and doctrinal precision of the decree reflect certain intentions of Etienne Tempier, the censor, and to pave a way to re-illuminate the Decree of 1277 not as a condemnation of some specific members of the University or their position, but as a prescriptive or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crucial errors which some might or would teach in the University of Paris.

      • KCI등재

        13세기 보편적 질료-형상론의 문제

        정현석(Chung, Hyun S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4 No.-

        보나벤투라는 모든 것의 기체로서 질료의 편재와 단일성을 내용으로 하는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전개한다. 그의 질료의 편재에 대한 이해는 피조물의 본성 및 활동의 기체로 드러나는 질료를 전우주적인 보편적 원리로서 드러나게 하며 질료의 단일성은 절대적 초월성과 무한성으로 표현되는 절대적 보편원리인 신의 대척점에 서는 신의 그림자로서의 질료의 면모를 드러나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질료의 편재와 단일성은 당대 여러 사상가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는 질료의 다의성의 문제와 양적 규정에 따른 분할의 문제를 통해 보편적 질료-형상론의 핵심테제인 질료의 편재성과 단일성을 무너뜨리려 한다. 이와 같은 도전에 대해 보나벤투라는 그의 형이상학적 체계 위에서 구축한 철학적 해답 및 해소책으로 맞서며 질료의 편재성과 단일성을 지키려 한다. Bonaventure develops his Universal Hylomorphism around key conceptions like universal presence and unicity of matter conceived as foundation of all the universe’s creatures. His idea of the universal presence of matter renders him to the conception of matter as a universal principle that sustains the whole world, including spiritual creatures like angels. Additionally, his thesis on the unicity of matter provides him with a solid base for his argument to show that prime matter is a ‘shadow’ of the Creator, who enjoys absolute simplicity and infinity, or as a negative but universal representation which stands on the exact opposite side a propos of God, the first principle. This understanding of matter provoked lots of responses (even negative ones), which we can observe in the case of the critique by Thomas Aquinas: The Angelic Doctor. Aquinas wields his conceptual arms like his arguments for the equivocity of the conception of matter an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which presupposes corporeity, and tries to refute those hallmark conceptions sustaining Universal Hylomorphism. And Bonaventure, facing these challenges, paves his way to defend his own position through his philosophical responses and resolutions based on his proper metaphysical system.

      • KCI등재

        논문 : 중세의 "철학자" 야코부스 데 두아코와 지성,영혼의 이원성 문제 -13세기말 지성이론의 쟁점과 전개에 관한 철학사적 연구-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2 중세철학 Vol.0 No.18

        야코부스의 지성이론은 시제 브라방과 대립했던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이론의 핵심, 즉 지성의 존재론적 결합과 작용적 분리 및 이를 뒷받침하는 영혼:지성=전체:부분=본질:능력=실체:우유 구도를 바라보는 동시대인의 비판적 시선을 반영하고있다. 특히 야코부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 최고의 권위를 동원하여 시제가 토마스 아퀴나스를 공격할 때 활용했던 "능력은 그 실체보다 더 단순할수 없다"는 공리를 "우유는 그 주체보다 더 단순할 수 없다"라는 공리로 변형하여시제의 연장선 상에서 하지만, 더 극단적이며 파괴적인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야코부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이 지성의 작용을 분리된 것으로 본다는 의미에서 실질적으로 그의 이론이 아베로에스의 단일지성론과 다를 바없으며 천사적 박사의 의도와는 달리 지성·영혼 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적 분립으로 이어진다고 파악한다. 그래서 그는 "우리가 지성의 작용을 경험한다"라는 경험적 사태로부터 인간의 신체에 대한 지성의 존재론적 내속은 물론 그 작용의 내속까지 논함으로써 그가 파악하는 바 13세기 지성이론의 문제, 즉 지성·영혼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의 문제를 해소하려 한다. La noetique de Jacques de Douai, un auteur tres peu connu et un fort contemporain de Siger de Brabant, nous fournit d`un temoin critique assez interessant sur la position noetique de Thomas d`Aquin. Les arguments critiques de Jacques a l`encontre la theorie thomasienne sur l`intellect se consistent a detruire d`une maniere philosophique la fameuse formule thomasienne de ``ame : intellect = totalite : partie = essence(ou substance) : faculte = sujet : accident`` sur laquelle le docteur dominicain a construit sa propre theorie de l`intellect qui est uni au corps selon sa substance et en est separe conformement a son operation. Notre artisan picardien essaie de nous montrer que cette position de Thomas, en particuliere ladite separabilite operationnelle de l`intellect, ne peut pas etre soutenue de maniere philosophique. Le noyau de l`argument jacobin contre Thomas est que la position du Docteur angelique ne peut pas etre soutenue car cette separabilite se contredit aux adages philosophiques "agere sequitur esse" et "accidens non potest esse abstractior quam suum subiectum", un adage adopte de Jacques qui est un melange chimique du Liber de causis et Augustin. Et a la fin, Jacques va jusqu`a assimiler la position thomasienne a celle averroiste dans la mesure ou il concois que cette separabilite proposee par Thomas implique d`une maniere ou d`une autre une separation ontologique de l`intellect a l`egard du corps. Ayant ainsi critique la position de Thomas, notre artisan picardien propose une solution philosophique qui consiste a dire que, conformement a notre experience bien evidente que "nous intelligeons", l`intellect n`est pas separe du corps non seulement de sa substance mais aussi de son operation.

      • KCI등재

        말없는 황소, 토마스 아퀴나스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육체의 이원론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정현석 ( Chung Hyun S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5

        본 논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과 영혼의 구분과 관련하여 던져진 중세와 현대의 문제제기들을 검토하며 과연 토마스에게 지성-육체 이원론의 문제가 과연 그에게 그 자체로서 심각한 문제인지, 그리고 그와 연관된 문제들은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 한다. 나아가 이런 문제들이 제기되게 된 계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그의 문제적 답변, 즉 ASE와 PNIS에 입각한 문제제기에 대한 『명제집 주해』와 『지성단일성론』에서의 “인간 영혼은 독특하다”로 요약되는 답변의 의미를 모색해보려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지성-육체의 이원론이 그의 사상의 일관성이나 내용에 큰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그의 입장을 순환논증으로 보이게 하는 문제의 “인간 영혼은 독특하다”라는 표현 역시 사실상 그의 영혼론과 인간학의 출발점인 “이 개별적 인간이 이해한다”라는 역설적 경험에 대한 기술을 재확인하는 것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By exploring the problematics launched against Thomas Aquinas’s notorious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 and soul, this contribution examines whether the so-called intellect-body problem in Thomas Aquinas itself poses really a serious challenge to his theory of soul and what kind of philosophical issues can be resulted from it. And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context of those challenge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his remarks in his Commentary on Sentences and On the unity of intellect thrown against his opponent’s critical arguments based on axioms like ASE and PNIS, and will try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the remark which can be abbreviated as “human soul is special.” In this process, this paper shows that the dualism in question doesn’t entail some serious problem in Thomas’s theory as far as the body in question can possess multiple meanings according to levels of abstraction and that the seemingly problematic assertion of “human soul is special” is nothing other than his re-affirmation of “this man understands,” that which the Angelic Doctor takes as the point of departure of his own understanding of the soul and human being.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원동자 이론 비판의 이중적 성격 -『신학대전』 1부 76문 1항의 “principium intellectivum” 개념 재검토-

        정현석 ( Chung Hyun-sok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0 지중해지역연구 Vol.22 No.3

        It is a difficult task to determine the exact coverage of the term “principium intellectivum” used in Thomas Aquinas’s Summa Theologiae, Ia, q.76, a.1, co. And it becomes more challenging when this term is coupled with his seemingly indifferent usage of “intellectus” and “anima intellectiva,” because this indifference seems to undermine the central thesis of the Thomistic theory of soul: the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ive soul and intellect. However, thanks to some eminent medieval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we can at least comfortably settle some difficulties and doubts relative to Thomas’s lifelong consistency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It remains however uncertain of the reason why he has used such an expansive or ambiguous term like “principium intellectivum” which can entail some serious misunderstandings concerning his famous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us”, and “anima intellectiva.” Apropos of this uncertainty, some have suggested taking the terminology in question as “une façon de parler.” However, even though we admit that this could be one of the safest ways to account for the uncertainty therein, we cannot but confess that it is not completely satisfactory. That is why we have attempted in this paper a strong reading on Thomas’s critique against the soul-mover theory in Summa Theologiae, Ia, q.76, a.1. in the context of the medieval controversy over unicity or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In this processus, we could find a possible way to interpret that this critique has double objectives and that Thomas serves, before he addresses his full-dress refutations in q, 76 aa. 2-4, the term “principium intellectivum” to set a preliminary critique against his opponents in two camps: the Latin Averroists and the Pluralists. In this line of interpretation, we could conclude that the seemingly indifferent usage of Thomistic terms “intellectus” and “anima intellectiva” are not “une façon de parler,” but “une façon strategique de parler” in strict consistency with his central thesis of the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 and intellective soul.

      • 친환경 아미노산 액비 시비가 복분자의 수량, 당도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현석 ( Hyun Suk Chung ),남진 ( Nam Jin Chung ),안인 ( In Ahn ),황기철 ( Ki Cheol Hwang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1

        친환경 아미노산 액비는 젤라틴 효소분해액, 생선아미노산, 당밀, 포도당, 유산균(Weissella confusa), 효모균(Pichia anomala)을 혼합하고 10일간 발효하여 생산하였다. 아미노산 액비는 무기물 함유량인 질소 4.8%, 인산 0.2%, 그리고가리 1.0%를 함유하였으며, 또한 glycine, glutamine, arginine 등 17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친환경 복분자 재배시 아미노산 액비 시용으로 복분자의 수량과 과실의 당도가 무처리에 비하여 20~25%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액비 시용에 의한 토양의 화학적 변화는 pH, 유기물, 치환성마그네슘은 변화가 없었으나, 유효인산, 치환성칼륨 및 치환성칼슘은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때, 친환경 복분자 재배시 아미노산 액비 시비에 의하여 복분자의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여진다. The environment-friendly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was made by mixing enzymatic hydrolysates of gelatin, fish amino acid, molasses, glucose, lactic acid bacteria (Weisella confusa) and yeast (Pichia anoamala) and then fermenting them for 10 days. The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contains minerals of 4.8% nitrogen, 0.2% phosphate and 1.0% potassium and also 17 kinds of amino acids such as glycine, glutamine, arginine, etc. When the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was applied to Korean raspberry organic farming, the yield and sugar content were increased by 20~25%, compared with non-treatment plot. As for chemical change of the soil, there were no changes in pH, organic matters and exchangeable magnesium but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and exchangeable calcium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non-treatment plot. Judging from such results, it seem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amino acid liquid fertilizer to Korean raspberry organic farming can increase the yield and quality of Korean raspberry.

      • KCI등재

        시제 브라방의 지성과 육체의 관계 이해 -시제 브라방의 『영혼론 제3권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3 중세철학 Vol.0 No.19

        Dans cet article, on traitera la conception sigerienne de l`intellect comme intelligens in corpore qui apparait dans ses Quaestiones in tertium de Anima(une oeuvre redigee dans les annees 1260). En particulier cet article vise a montrer que cette conception d`intelligens in corpore et les arguments qui en suivent font se differencier la position de Siger de Brabant et preparent le fondement de sa position critique a l`encontre de celle de quidam, selon lesquels, comme le temoigne Thomas d`Aquin dans sa Summa theologiae et son De unitate intellectus, l`intellect s`unit au corps humain a l`image du pilote a la navette. Dans ce processus on va comprendre en quoi consiste l`essentiel et l`originalite de cette conception sigerienne, lorsque notre maitre brabancon fait nous voir une union intime entre l`intellect et le corps dans l`unite de l`homme individuel pensant comme operateur positif ou actif, c`est-a-dire en tant que sujet-operant(subiectum-agens) faisant sa propre operation specifique a travers l`intellect dans la mesure ou celui-ci fonctionne dans le corps au titre de principe intrinseque d`un etre humain pensant. Et c`est ainsi que l`on va voir egalement comment il prepare en avance avec cette conception d`intelligens in corpore le terrain fondamentale pour sa propre conception de l`operans intrinsecum qu`il developpera dans ses futures oeuvres et argumentations.

      • KCI등재

        논문 : 무명 저자의 『영혼론 1권과 2권의 문제들』과 13세기 영혼론의 쟁점들 -지성단일성론과 복수 실체적 형상론-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15 중세철학 Vol.0 No.21

        본 연구는 1971년 질(M. Giele)이 Oxford Merton College, MS. Lat. codex 275 fols.108-121에 수록된 무명 저자의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에 관한 강의 내용을 현대 비평본으로 편집하여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e de l’ame d’Aristote, M. 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에 실은 Ignoti Auctoris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중 13세기 중후반 파리대학에서 벌어진 인간학과 관련한 주요 쟁점, 지성단일성론(2권 4문)과 실체적 형상의 다수성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부분(1권 17문, 2권 5문과 6문)들을 발췌하여 싣고 있다. 무명 저자의 입장은 지성단일성론과 관련하여(1권 17문) 1) 지성이 인간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삼아 결합하며; 2) 지성과 인간 혹은 육체의 결합 방식은 천체의 원동자와 천체의 결합 방식과 같기에; 3) “엄밀히 말해 인간은 이해하지 않는다(proprio sermone homo non intelligat)”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런 면에서 비슷한 시기에 파리대학 인문학부 교수로 활동했으며 종종 그와 함께 라틴-아베로에스주의자로 분류되던 시제 브라방과 같은 지성단일성론자들이 제창한 내적 작용자(operans intrinsecum)로서의 분리된 지성을 논하는 입장과 차별성을 갖는다. 한편 그는 인간의 영혼과 육체의 결합이 형상과 질료의 결합이자, 현실태와 가능태의 결합이기에 양자의 결합에 매개적 원리가 없으며(1권 17문), 식물적 활동과 동물적 활동의 원리들이 서로 다른 총체로서의 영혼이 아닌 영혼의 부분이라는 것(2권 5문), 그리고 이들이 개념상으로만 구분되며 실체적으로는 구분되지 않는다는 입장(2권 6문)을 내세운다. 이런 까닭에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에 가까워 보인다. 하지만 무명 저자의 입장은 단수 실체적 형상론의 옹호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와는 달리 지성 혹은 지성적 영혼의 육체와의 실체적 결합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또한 무명 저자는 인간의 영혼과 소의 영혼의 차이가 단지 개와 소 혹은 고양이와 개의 동물적 영혼의 차이 정도, 즉 동물적 영혼 사이의 차이로 보고 있다. 이런 면에서 그의 입장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과 차별성을 드러낸다. This research deals with Quaestiones in Aristotelis Libros I et II de Anima, written by an anonymous author of the 13th century, edited and published in 1971 by Maurice Giele in Trois Commentaires Anonymes sur le Traite de l’ame d’Aristote, M.Giele & als.(eds.)(Louvain: Publications Universitaires, 1971). Especially in this research we provide translations of 4 questions concerning the issues like the Medieval Monopsychism(II, Q.4) and the Controversy over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I, Q.17; II, QQ.5-6). In these questions, we can see the Anon. of Giele differentiates himself from other Art Faculty Professors of the 13th Century University of Paris like Siger of Brabant, who shared with the former the Monopsychism, while our anonymous author affirms 1)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conjoins to a human being or a body as its object, not as its subject; 2) and that, like the celestial mover conjoins to a certain celestial body; so 3) “properly speaking, human being does not understands”. And with the plurality of substantial form, the Anon. of Giele holds that, while soul and body is conceived as form and matter or act and potency, there is no need for intermediating principles between the two(I, Q.17). And he maintains that those powers like nutritive and locomotive in themselves are not souls, but parts of soul(II, Q.5) and they are distinguished not by their substances or in their beings but by definition or in mind. This position seems to be assimilated to that of Thomas who holds the unicity of substantial form thesis. Our anonymous author however distantiates himself substantially from the position of the Angelic Doctor while he conceives that i) intellect or intellective soul is not substantial form of body or human being; and ii)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soul and the soul of a cat is comparable to that of cow’s and cat’s, that is, the difference in animal souls.

      • KCI등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정현석 ( Hyun-suk Chung ),이철기 ( Cheol-ki Lee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성과와 관련된 역량을 교육, 개발하여 조직의 목표와 가치에 부합하는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분석, 제시하였다. 직업훈련교사의 역량 및 교육훈련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및 역량사전을 활용하여 역량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 분석을 거친 후 역량요구분석, 역량별 교육프로그램체계, 역량프로파일과 역량별 훈련모듈을 개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훈련교사의 체계적인 역량개발을 위해 필요한 역량기반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erformance-related competencies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development proces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competencies, education and training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we developed competency modeling integrating job analysis, Behavioral Event Interview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and Competency Dictionary and analyzed validity of competency modeling and competency need and propos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cross competencies and training module. Finally we proposed necessary operating and management methods to effectively develop competencies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using CBC.

      • KCI등재

        일반논문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보편적 질료-형상론 비판

        정현석 ( Hyun Sok Chung )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30

        보편적 질료-형상론은 1230년대 이후부터 1260년대 중반에 이르는 약 한세대에 이르는 기간동안 중세 유럽에서 유행했던 이론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와 보에티우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근거로 12세기 이후로 유입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그 시대의 현실과 이에 따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당시 학문의 중심지였던 파리대학과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들과 스콜라학자들의 사상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바 있다. 그런데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두었던 중세의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해 13세기의 대표적인 사상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는 1246년에 집필한 『명제집 주해』으로부터 1260년대 말-70년대 초에 걸쳐 집필한 『신학대전』에 이르는 저작들에 이르기까지 집요하게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본 논문은 알베르투스가 보편적 질료-형상론에 대한 비판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11세기 무슬림 제국 치하의 스페인에서 활동했던 유대철학자 아비체브론(Avicebron)과 그의 저작 『생명의 원천』(Fons vitae)이라는 저자와 저작을 보편적 질료-형상론의 근본 원천으로 제시하는 논의를 그의 저작연대를 좇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알베르투스의 생애 내내 유지되고 있는 일관되고도 집요한 그의 공격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유럽세계의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던 그의 필생의 동기가 발현한 구체적인 예로서 밝히고자 한다. 이와 아울러 그가 아비체브론과 『생명의 원천』을 그와 동시대에 활동하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자들이 거론한 철학적/신학적 권위들로부터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유리시키고 고립시키는 데 활용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1230년 대 이후 기독교 세계의 권위를 업고 유럽의 정신세계를 장악했던 보편적 질료-형상론을 아리스토텔레스나 아베로에스와 같은 이교 철학에 입각한 자신의 입장으로 대체하려는 알베르투스의 철학적 야심과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L`hylemorphisme universel au Moyen Age a ete l`une des theories qui ont vu les plus grand succes au 13e siecle. Les partisans de cette theorie, en citant et en faisant les siennes non seulement les autorites chretiennes comme Augustin et Boece mais egalement celles paienne comme Aristote etc., ont fait une tradition ou se trouvent les penseurs si eminents comme Alexander de Hales, Roger Bacon, Bonaventure, Jean Peckham etc. Toutefois Albert le Grand, deja dans les annees 1240, se fait contrer cette theorie qui est soutenue par les autorites si ecrasantes et les partisans si nombreux. Et jusqu`a la fin de son carrier il a revisite de facon parfois passionnee voire de maniere obsessionnell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evoquant systematiquement Avicebron, un philosophe juif du 11e siecle en Espagne sous le domaine de l`Empire Musulman, comme la source ultime du l`hylemorphisme universel. Dans cet article, j`envisage d`analyser les arguments critiques lances par Albert le Grand a l`encontre de l`hylemorphisme universel, en particulier pour voir la maniere dont il utilise Avicebron et le Fons vitae pour ebranler ou detruire la tradition bien etablie depuis longtemps de cette theorie en question. Ce faisant, je montrerai d`abord comment fonctionne le nom d`Avicebron et le Fons vitae conformement au leitmotiv personnel d`Albert, c`est-a-dire son intention de faire connaitre les latins la veritable pensee d`Aristote. Et en continuation de cela, en particulier consacrant notre attention sur le developpement bien interessant que l`on peut remarquer dans ses oeuvres lorsqu`il s`agit de l`attitude et des expressions qu`il designe Avicebron, l`une de ses dernieres oeuvres, j`eclaircirai l`ambition si grande d`Albert le Grand en tant que philosophe et interprete d`Aristote, qui vise a fournir une solution alternative contre l`hylemorphisme universel, et a substituer une theorie dominante de la scene de la pensee medievale avec sa propre idee epaulee de penseurs paiens comme Aristote, Averro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