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표면 연마 방법에 따른 니티놀 잔류응력 분석

        정지선,홍광표,김운용,조명우,Jeong, Ji-Seon,Hong, Kwang-Pyo,Kim, Woon-yong,Cho, Myeong-Woo 한국금형공학회 2017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1 No.2

        Nitinol, a shape memory alloy (SMA), is manufactured from titanium and nickel and it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lectrical applications, micro sensors. It is also recommended as a material in medical for implant because it has excellent organic compatibility. Nitinol is in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products require a high-quality surface and low residual stress. To overcome this problems, explore electrolyte polishing (EP) is being explored that may be appropriate for use with nitinol. EP is a particularly useful machining method because, as a non contact machining method, it produces neither machining heat nor internal stress in the machined materials. Sandpaper polishing is also useful machining method because, as a contact machining method, it can easily good surface roughness in the machined materials. The electrolyte polishing (EP) process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urface roughness as well as the film polishing process, bu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residual stress is hardly generated because the work hardened layer is not formed on the processed surface. The sandpaper polishing proces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urface roughness but the residual stress remains in the surface. We experimented with three conditions of polishing process. First condition is the conventional polishing. Second condition is the electrochemical polishing(EP). And Last condition is a mixing process with the conventional polishing and the EP. Surface roughness and residual stress of the nitinol before a polishing process were $0.474{\mu}mRa$, -45.38MPa. Surface roughness and residual stress of the nitinol after mix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polishing and the EP were $1.071{\mu}mRa$, -143.157MPa. Surface roughness and residual stress of the nitinol after conventional polishing were $0.385{\mu}mRa$ and -205.15MPa. Surface roughness and residual stress of sandpaper and EP nitinol were $1.071{\mu}mRa$, -143.157MPa. The result shows that the EP process is a residual stress free process that eliminates the residual stress on the surface while eliminating the deformed layer remaining on the surface through composite surface machining rather than single surface machining. The EP process can be used for biomaterials such as nitinol and be applied to polishing of wafers and various fields.

      • KCI등재

        LiBOB 전해액 첨가제 도입에 따른 Li(Ni<sub>1/3</sub>Co<sub>1/3</sub>Mn<sub>1/3</sub>)O<sub>2</sub>/graphite 전지의 고온특성

        정지선,이혜원,이후길,유명현,이용민,Jeong, Jiseon,Lee, Hyewon,Lee, Hoogil,Ryou, Myung-Hyun,Lee, Yong Min 한국전기화학회 2015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8 No.2

        음극 표면에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를 형성하는 전해질 첨가제인 lithium bis(oxalate) borate (LiBOB),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vinylene carbonate (VC), 2-(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TPSA)를 $Li(Ni_{1/3}Co_{1/3}Mn_{1/3})O_2$ (NCM)/graphite 전지에 도입하여 고온 저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 전지를 50%의 충전상태(stage of charge, SOC)에서, 고온 저장($60^{\circ}C$, 20일) 시킨 이후의 용량 유지율을 확인한 결과, LiBOB 1 wt.%가 가장 우수한 용량 유지 특성(초기 방전용량 대비 86.7%)을 나타내었다. LiBOB 1 wt.%의 경우 고온 저장 전후의 전지 저항 증가 및 SEI 두께 변화가 가장 적었고, 이는 음극 SEI에 포함된 다량의 semi-carbonate 물질과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LiBOB 1 wt.%가 포함된 NCM/graphite 전지의 상온($25^{\circ}C$) 및 고온수명($60^{\circ}C$) 특성도 기준 전해액(1.15 M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6) in ethylene carbonate/ethyl methyl carbonate (EC/EMC, 3/7 by volume))보다 각각 6%와 9%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LiBOB이 상온 성능을 동등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고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전해액 첨가제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electrolyte additives, lithium bis(oxalate)borate (LiBOB),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vinylene carbonate (VC), 2-(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TPSA), on high-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of $Li(Ni_{1/3}Co_{1/3}Mn_{1/3})O_2$/graphite are investigated with coin-type full cells. The 1 wt.% LiBOB-containing electrolyte showed the highest capacity retention after high temperature ($60^{\circ}C$) storage for 20 days, 86.7%, which is about 5% higher than the reference electrolyte, 1.15M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_6$) in ethylene carbonate/ethyl methyl carbonate (EC/EMC, 3/7 by volume). This enhanc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emi-carbonate compounds originated from $BOB^-$ anions, thereby resulting in lower SEI thickness and interfacial resistance after storage. In addition, the 1 wt.% LiBOB-containing electrolyte also exhibited better cycle performance at 25 and $60^{\circ}C$ than the reference electrolyte, which indicates that LiBOB is an effective additive for high-temperature performance of $Li(Ni_{1/3}Co_{1/3}Mn_{1/3})O_2$/graphite chemistry.

      • KCI등재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학교 학생생활기록 관련 규정 비교 연구

        정지선(Jeong, Ji-Sun),장진희(Jang, Jin-Hee),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학생생활기록은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학생 개인에 대한 학습, 태도, 행동의 모든 측면을 종합적으로 담아내어 학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하는 자료이기에 기재사항, 관리 지침, 정보 공개 면에서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생생활기록 상황을 살펴보고, 일본과 미국의 초등학교 학생생활기록 관련 규정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생활기록의 기록 내용 측면에서 학생에 관한 정보와 학습 진전 상황, 발달상의 특징, 학생의 특기에 관한 내용들 이외에 학생의 개인정보와 관련된 내용은 최소화하여야 한다. 둘째, 교과학습발달상황에 대한 기록은 학생생활기록의 지도자료적 측면, 보존적 측면을 위해 현재의 문장기술식 방법을 보완해야 한다. 셋째, 학생생활기록이 학생에게 필요한 자료로 활용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학생생활기록의 보존 기간을 단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생활기록의 관리에 있어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철저한 예방과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본인의 동의 없이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결과적으로는 학생생활기록에 있어서 교육적 활용의 측면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그로 인한 사생활침해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조치를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 record is documented in Korea and, by observing relative regulations of student cumulative record in elementary schools in Japan and the US, suggested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cumulative record, document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xcept for basic information of a student, his learning progres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his talent should be kept minimum. Second, current sentence description method when recording student's attainment should be changed to suit the purposes of the record: the guidance material purpose and the retention purpose. Third, the retention period of the document should be cut considering its point of time when the record would be needed by the student. Lastly, step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cord is highly required.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cases when such information is provided without personal consent. Consequently,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the student cumulative record is an educational use. Therefore a debate to implement a strong measure to prevent invasion of privacy originated from such uses is necessary.

      • KCI등재

        주요국의 대학원 중심 주요국의 대학원 중심

        정지선(Jeong, Ji-Sun),장진희(Jang, Jin-Hee),최연희(Yeon Hee Choi),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수준 교원양성체제에 대한 논의들과 일본, 미국, 프랑스,영국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원 중심 초등교원양성 체제의 도입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대 학원 과정을 통해 초등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교육의 실질적인 부분들을 심도 있게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간을 5년 내지 6년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원양성 체제를 대학원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면서 기존의 목적형에서 일부 개방하는 형태로 바꿔나가야 한다. 셋째, 학교현장에서의 실습기간을 확대하여 교육실습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대학원 과정을 통해 신규교사가 배출되어 학교현장에 나갈 경우 교사자격증을 차별화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처우를 해주는 것이 뒷받 침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rom the discussions on the postgraduate level teacher training system in the cases of Japan, USA, France, and the UK,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introduction of graduate school centered elementary teacher train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acher training period from 5 to 6 years in order to deepen practical educ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graduate courses. Second, the system should be changed partially from the existing closed type to opened type while rais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ystem to the graduate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actical training period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strengthen the training practice.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support differentiation of teachers qualifications and corresponding treatment.

      • KCI등재

        한국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 체제에 대한 고찰 : 유형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선(Jisun Jeong),이주영(Juyoung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12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그동안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검토가 없었던 KOICA 외 한국 무상 ODA시행기관의 성과관리 체제와 역량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중요성: 국제개발협력 분야 기존 연구는 주로 성과관리보다 평가에, 기관차원의 역량보다는 개별사업 성과분석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본 연구는 최근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무상원조기관의 성과관리체제 고찰을 위해 분석틀 을 도출하고, 기관 유형별 심층분석을 통해 타 기관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 최초의 연구이다. 연구방법론: 2개 주요 무상 ODA시행기관 중 기관 내 평가전담부서 모델인 보건복지부 산하 KOFIH, 외부기관 대행 모델인 농림부 산하 농어촌공사 및 농촌경제연구소를 사례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문헌분석, 핵심이해관계자 대 상 질문지, 반구조화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2개 기관 모두 자체평가 시행을 위한 체제는 어느 정도 구축 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성과관리 영역에서의 조직 내 환경과 인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선조사, 성과데이터 축적 및 관리, 종료선 조사 등 평가품질을 제고하는데 근간이 되는 성과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기관차원의 이해와 공감대 형성이 요구되며, 동시에 평가환류와 학습을 위한 인센티브 기 재를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2개 기관 사례를 볼 때 전체 사업에서 ODA 사업의 비중이 큰 산하기관에서는 독립평가부서 체제를 채택하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기관에 서는 유관 연구기관 등을 대행기관으로 선정하여 아웃소싱하는 모델을 채택 가능하다. 단, 사업기능과 평가기능이 분리되는 대행모델에서는 명확한 역할분 담과 긴밀한 협력의 중요성이 파악되었다. 기존 책무성 위주 접근에서 벗어나 평가 활용과 학습을 위한 체제 정비가 시급하고, 상위기관의 예산, 인력, 조직에 대한 제도적 지원메커니즘 구축도 필요하다. 단, 본 연구는 시범적 기초조사로 서 방법론, 분석틀, 분석범위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향후 분석대상 확대, 분석틀 구체화, 방법론 다원화를 통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assess Results-Based Management (RBM) schemes at Korea’s major grant assistance agencies aside from KOICA with special attention on their organizational capacity to ensure effectiveness , accountability and learning. Originality: Despite the proliferation of new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engaging in the Korea’s aid, few studies examined the organizational-level RBM capacity of the grant agencies. Methodology: The study conducted documentation review, statistical analysis, on-line questionnaire and semi- structured interview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ases of two ministries and their executing agencies. Result: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ult-based management scheme, the study categorizes the two ministries and agencies into two distinguished models. The first model is the cas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its executing agency, the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which incorporates an evaluation function within the agency. The second model is the case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its main executing agency,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which delegates the evaluation function to the state-led think tank,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study finds that the assessed agencies both have relatively well-established scheme for evaluation. Howeve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baseline survey, monitoring and data management which is the realm of the RBM. Conclusions and Implication: Having evaluation functions within or outside the agency, the two cases provide valuable lessons for other agencies with relatively limited budget, human resources and expertise.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ensure accountability and learning, Korea’s aid agencies need to invest more on building evaluation expertise, addressing resource constraints and make more efforts to use and learn from the evaluation.

      • KCI등재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정지선(Jeong Ji Seon),이숙향(Lee Suk Hyang) 한국자폐학회 2020 자폐성 장애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poster production cooperative activities on the character competency,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 For this study,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51 peers without disabilities(4th and 5th graders) in each inclusive classroom of A elementary school and 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44 peers without disabilities of B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is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20 tim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competency scor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character competency sco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pro-social scor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학생의 인성역량,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A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명과 그들이 속해있는 각 통합학급 비장애학생 51명이 실험집단으로, B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과 그들이 속해 있는 각 통합학급 비장애학생 44명이 통제집단으로 각각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주 2회씩 총 20회기 실시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중재 전·후의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의 인성역량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인성역량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친사회성 점수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포스터 제작 협동 활동과 연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영향과 관련된 요인과 의의를 살펴보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학교폭력 피해 유형, 부모방임, 외로움을 중심으로

        정지선 ( Jisun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부모방임, 학교폭력 피해, 외로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청소년 9,060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평균차이 검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살생각 무경험 집단과 비교해 저빈도 집단은 오프라인 관계폭력, 온라인 언어폭력, 외로움과 부모방임을 더 많이 경험했고, 자살생각 무경험집단과 비교해 고빈도 집단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반면, 자살생각 고빈도 집단은 저빈도 집단보다 오프라인 관계폭력, 온라인 언어폭력, 외로움을 높게 보고했다. 그러므로 청소년 자살생각는 대인관계 폭력(관계·언어적 학교폭력 피해, 부모방임)이 영향을 주었고, 외로움이 중요한 예측변인이라는 결론을 이끌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살위험도 평가에서 부모방임과 학교폭력 피해를 포함하고, 외로움을 낮출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forms of bullying victimization, neglect, and loneliness in relation to suicide ideation (SI) in a sample of youth of 9,060 from 2018 Survey on Human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Data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offline relational and online verbal victimization, neglect, and lonelines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SI group compared to no SI group. Same factors were found with high SI group. The levels of offline relational and online verbal victimization and loneliness were factors that are differentiated between high and low SI group. Interpersonal factors including relational and verbal victimization and neglect may impact on SI. Loneliness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I. Clinical interventions with adolescents experiencing SI would benefit from focusing on alleviating loneliness. Experience of interpersonal violence including neglect and bullying can be predictors of SI.

      • KCI등재

        우리나라 ODA 평가품질에 대한 고찰: 메타평가 방법론을 중심으로

        정지선(Ji Sun Jeong)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우리나라 ODA 평가보고서의 품질을 파악하고 품질개 선을 의한 제도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중요성: 신흥공여국인 우리나라에서는 원조예산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개발협력 사업의 성과관리,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산하 평가소위원회 차원 에서 ODA 시행기관의 자체평가를 의무화하며 평가실시기관, 평가보고서 수가 급증하였는데, 평가본연의 목적인 책무성, 학습을 위해서는 평가보고서의 품질이 담보되어야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ODA 평가보고서의 품질을 파악하기 위해 OECD 개발원조위원회 개발평가 품질기준에 기반을 둔 메타평가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2014~2015년 한국 ODA 시행기관/부처/유관기관이 자체적으로 실시한 138건 평가보고서를 대상으로 메타평가 모형을 구축하여 평가보고서의 품질을 점수화, 등급화하였다. 메타평가 결과를 교차검증하고 평가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 인터뷰, 간담회를 추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조 주무기관의 평가품질은 과거에 비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ODA 평가경험이 제한적인 유관부처/기관의 경우 평가품질이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품질을 저해 하는 주요 제약요인은 평가예산 및 인력 한계, 성과관리시스템 체계성 부족, 평가친화적 환경의 부재 등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 ODA 평가보고서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편차가 크고, 특히 평가경험및 제도적 역량이 부족한 부처/기관에 품질이 미흡한 보고서가 집중되어 있었다. 평가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기관별 적정한 수준의 평가예산 편성, 평가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회 확대, 성과지표 연구 활성화, 성과관리 주류화에 대한 제도적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평가실 시기관, 국회, 감사원 등 주요 이해관계자 차원에서 ODA 평가의 역할, 목적에 대한 인식변화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assess the quality of aid evaluations in South Korea and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ir evaluation quality. Originality: Despite the fact that South Korea is among a few new DAC members with continuous growth in aid volume, as well as the number of aid evaluations, very little is known about Korea’s evaluation quality in the context of aid agencies. It is also unclear as to which factors influence evaluation quality. Methods: As a meta-evaluation study and drawing upon the valuing approach, the study evaluates 138 aid evaluation reports commissioned by the 29 ministries/agencies in 2014 and 2015 in South Korea. The findings from the meta-evaluation are cross-validated using information gathered from survey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workshops. Result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evaluation reports from the KOICA and the KoreaEximbank are improving and largely in conformity with the quality standards. However, in case of 27 ministries/agencies with limited experience and evaluation resources, nearly half of the reports were rated as poor.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of insufficient evaluation quality, it was recommended to allocate adequate level of evaluation resources, integrate the results-based management throughout the intervention cycle and to create evaluation-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후보

        사고력 교육의 명시적 교수 모델 개발

        정지선 ( Ji Sun Jeong ),정선미 ( Sun Mi Jeong ),강충열 ( Choong Youl Ka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1

        20세기 후반 도래한 정보화 시대는 지식의 종류와 양의 방대함, 고도의 기술 수행이 요구되는 작업들을 만들어냈고,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보다 높은 차원의 사고기능을 요하게 되었다. 학교교육의 의의가 교육의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실천을 목적으로 한다는 데 있음을 감안할 때,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은 학교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고력 교육의 명시적 접근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교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교수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고력 관련 문헌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도입-수행연습-전이연습-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된 교수 모델은 각 단계에 적용되는 교수활동과 기법들이 사고기능이라는 절차적 지식을 습득시키는데 초점을 둠으로써 전통적인 수업 모델과 내용 구성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능숙한 사고는 학생의 성장에 따라 저절로 개발되는 것이 아니기에, 사고력 교육은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수와 그에 따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가 개발한 교수 모델은 학교교육으로의 사고력 교육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서 기능하고자 하나, 교수 모델 적용에 대한 한국적 교육체제 속에서의 경험적 효과연구와 필요한 지원체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brought to the type and amount of the breadth of knowledge, advanced skills required to perform tasks that are created. This chronological of change became to need higher level thinking skills. Considering that the significance of schooling is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practice of the education, the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needs to be made within the framework of schoo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education, this model was based on research about explicit approach to thinking education. The suggested instructional model was based on the study of thinking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and composed of four distinctive phases: Introduction, Performance Training, Transfer Training, and Evaluation. This model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model in terms of content constitutive. Also their techniques of teaching activities applied to each stage focus on procedural knowledge of the thinking skills. Skillful thinking is not based on the student`s growth because it is not developed spontaneous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inking education offers a explicit and systematic teaching and training experience. We hope that the suggested instructional model will to be act as the basic re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thinking education, but further studies and review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mpirical validity of its effects and the kinds of supports to follow in current Korean education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