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eramic/co-polyimide 코팅이 도입된 리튬이온전지용 내열 분리막

        이후길,이태주,연대용,유명현,이용민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리튬이온전지가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등 중ㆍ대형 분야에 적용되며, 해당기기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에서 분리막에 고분자 바인더/무기 세라믹 컴포짓을 코팅함으로써,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코팅 중 사용되는 고분자 바인더는 분자 구조나 열적 안정성등에 따라 바인더/세라믹 컴포짓 코팅 분리막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리튬이 온전지의 안전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84와 같은 열적으로 안정한 폴리이미드(PI) 계열의 고분자를 바인더로 도입하여 Al2O3/PI 바인더컴포짓을 PP 분리막에 코팅함으로써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분리막의 열수축 평가를 통하여 Al2O3와 PI 바인더 코팅의 열적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으로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Electrolyte wetting test, 출력특성, 상온 및 고온 수명 평가를 통하여 Al2O3/PI 바인더코팅 분리막의 표면 및 젖음성,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Sulpiride와 Chlorpromazine의 만성정신분열증에 대한 치료효과

        민성,박정주,박묵희,이후,윤경수,이호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7 신경정신의학 Vol.26 No.2

        The clinical effects of sulprid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lorpromazine on the chronic schizophrenia. The dosage of sulpiride was 1200㎎/day and that of chlorpromazine was 300㎎/day. The treatment period was 8 weeks after washout period. The clinical effect was evaluated by psychiatrists who were blind for the kind of drugs. The instruments for evaluation were BPRS, Hamilton's depression scale, NOSIE, global assessment scale, positive symptom scale and negative symptom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sulpiride had similar effects to chlorpromazine. Especially sulpirde had less sedating and more antidepressant effects, more effectiveness in negative symptoms and initiativeness. However, extrapyramidal symptoms were more with sulpiride, probably because of high do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piride is an antipsychotic drug which can be used selectively.

      • Mg(OH)<sub>2</sub>가 도입된 복합 고분자 전해질의 난연 및 전기화학적 특성 향상

        김석우,이후길,정지선,한태영,진다희,이용민,유명현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리튬이차전지의 중대형화됨에 따라 안전성 문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유기용매를 사용하고 있는 액체 전해질은 누액과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난연 소재가 도입된 고분자 전해질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g(OH)<sub>2</sub>를 리튬이차전지의 고분자 전해질에 첨가하여 전기화학적 특성과 난연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난연 테스트와 DSC 장비를 통하여 난연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을 분석하였고, SEM을 통해 고분자 필름의 단면과 표면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전해액 Uptake, 그리고 Porosity를 측정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Mg(OH)<sub>2</sub>의 함량이 다른 각 셀을 제조한 후 율속 평가와 수명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각 셀의 수명 평가 진행 전/후의 임피던스 분석을 통한 저항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 Effect of LiNO<sub>3</sub> as an electrolyte additive on the micro-patterned lithium metal electrode

        진다희,이후길,이용민,유명현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소재로 리튬 금속이 재조명 되고 있으나, 충방전시 형성되는 덴드라이트와 이로 인한 짧은 수명 그리고 안전성 확보는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 그룹에서는 리튬 금속 표면에 미세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덴드라이트 형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 하지만, 높은 충전 밀도에서는 덴드라이트 형성이 완전하게 억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ithium Nitrate(LiNO<sub>3</sub>)를 전해액 첨가제로 도입하여 미세 패턴화된 리튬금속 전극의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고율 충방전 조건에서의 전기화학적 성능 개선과 리튬금속 몰폴로지 변화를 자세히 보고한다.

      • 난연성 세라믹인 Mg(OH)2를 첨가한 필름형 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의 열적 안전성과 전기화학적 특성 향상

        김석우,이후길,한태영,진다희,유명현,이용민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본 연구에서는 Mg(OH)2를 리튬 이차 전지의 필름형 고분자 전해질에 첨가하여 전기화학적 특성과 난연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난연 테스트와 DSC 장비를 통하여 난연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SEM을 통해 고분자 필름의 단면과 표면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및 UPTAKE를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Mg(OH)2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 전도도 및 UPTAKE의 결과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합성된 Mg(OH)2세라믹이 친수성 세라믹이고 고분자 전해질에 결정화를 억제해주어 좀 더 많은 기공 구조가 필름 내부에 형성이 되어 그 부분에 액체 전해질을 더 많이 스며들기 때문이었다.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Mg(OH)2의 함량이 다른 각 단위 셀을 제조한 후 율속 평가와 수명 평가를 진행한 결과, 측정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의 경향과 맞게 Mg(OH)2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좋은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인가되는 전압과 시간이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특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태영,송성현,이후길,유명현,이용민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화석 연료 고갈 및 환경 문제로 인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법규가 지속적으로 제정됨에 따라, 스마트 창호로 언급되는 전기변색창호와 이를 제어하는 기술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전기변색창호는 착색 되어 외부의 태양광을 제어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게 되는데, 착색의 정도는 인가되는 전압 및 전압이인가되는 시간 등 운영되는 조건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기변색소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시간이 소자의 변색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극으로는 WO3와 NiO를 사용하였고, 전해질 구성으로 액체전해질 성분으로는 1M LiClO4 in PC, 가교제는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Mn: 575)를 사용하였으며 액체전해질과 가교제의 조성은 액체전 해질/가교제(70/30 wt%)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전기변색소자를 Solatron analyzer를 사용하여 Potentiostat 방법으로 -2.5V, -2V, -1V, 1V, 2V, 2.5V의 다양한 전압 범위 변수를 인가함으로써, 변색특성을 측정하였다.

      • 전기 변색 소자용 젤 고분자 전해질의 리툼 염 종류에 따른 효과 비교

        한태영,김석우,이후길,유명현,이용민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화석 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의 문제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건축물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전기변색소자를 사용한 스마트 창호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창호의 구성으로는 산화 환원을 통해 색이 변하는 전기변색층, 전해질, 이온저장층, 투명전극층 및 지지체로 구성된다. 전기변색 소자의 전해질 기술에 대한연구는 다양하지만 그 중 전해질에 쓰이는 리튬 염의 종류에 따라서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효율 및 변색 속도에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튬 염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효율 및 변색속도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전기변색소자의 구성으로는 작업 전극으로 WO3/ITO와 상대전극으로 NiO/ITO를 사용하였고, 전해질로 1M LiClO4, 1M LiTFSI, 1M LiFSI in PC/PEGDA(Mn:575) (7/3, v/v)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이온전도도 및 변색속도 측정, 투과도 측정을 통해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 NiO 전극의 Lithiation 방법에 따른 전기변색특성

        김석우,한태영,이후길,이용민,유명현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전기 변색 기술은 최근 스마트 윈도우, 고급형 자동차의 선루프나 룸미러 등에 채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전기 변색 소자(Electrochromic Devices)는 다른 전기화학적 장치들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전극이 요구되며, 현재 WO3와 NiO과 같은 전이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전극들이 사용된다. WO3 전극은 주로 전기 변색 층으로, NiO 전극은 상대 전극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전기변색소자의 수명 특성은 NiO의 전극의 특성으로 크게 영향을 받고, NiO 전극에 리튬 이온을 먼저 삽입되는 “Lithiation”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우수한 상대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O 상대 전극을 Electrochemical Lithiation과 Dry Lithiation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제조하여, 삼전극 전지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변색성능을 비교한다.

      • KCI등재

        LiBOB 전해액 첨가제 도입에 따른 Li(Ni<sub>1/3</sub>Co<sub>1/3</sub>Mn<sub>1/3</sub>)O<sub>2</sub>/graphite 전지의 고온특성

        정지선,이혜원,이후길,유명현,이용민,Jeong, Jiseon,Lee, Hyewon,Lee, Hoogil,Ryou, Myung-Hyun,Lee, Yong Min 한국전기화학회 2015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8 No.2

        음극 표면에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를 형성하는 전해질 첨가제인 lithium bis(oxalate) borate (LiBOB),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vinylene carbonate (VC), 2-(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TPSA)를 $Li(Ni_{1/3}Co_{1/3}Mn_{1/3})O_2$ (NCM)/graphite 전지에 도입하여 고온 저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 전지를 50%의 충전상태(stage of charge, SOC)에서, 고온 저장($60^{\circ}C$, 20일) 시킨 이후의 용량 유지율을 확인한 결과, LiBOB 1 wt.%가 가장 우수한 용량 유지 특성(초기 방전용량 대비 86.7%)을 나타내었다. LiBOB 1 wt.%의 경우 고온 저장 전후의 전지 저항 증가 및 SEI 두께 변화가 가장 적었고, 이는 음극 SEI에 포함된 다량의 semi-carbonate 물질과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LiBOB 1 wt.%가 포함된 NCM/graphite 전지의 상온($25^{\circ}C$) 및 고온수명($60^{\circ}C$) 특성도 기준 전해액(1.15 M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6) in ethylene carbonate/ethyl methyl carbonate (EC/EMC, 3/7 by volume))보다 각각 6%와 9%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LiBOB이 상온 성능을 동등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고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전해액 첨가제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electrolyte additives, lithium bis(oxalate)borate (LiBOB),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vinylene carbonate (VC), 2-(triphenylphosphoranylidene) succinic anhydride (TPSA), on high-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of $Li(Ni_{1/3}Co_{1/3}Mn_{1/3})O_2$/graphite are investigated with coin-type full cells. The 1 wt.% LiBOB-containing electrolyte showed the highest capacity retention after high temperature ($60^{\circ}C$) storage for 20 days, 86.7%, which is about 5% higher than the reference electrolyte, 1.15M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_6$) in ethylene carbonate/ethyl methyl carbonate (EC/EMC, 3/7 by volume). This enhanc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emi-carbonate compounds originated from $BOB^-$ anions, thereby resulting in lower SEI thickness and interfacial resistance after storage. In addition, the 1 wt.% LiBOB-containing electrolyte also exhibited better cycle performance at 25 and $60^{\circ}C$ than the reference electrolyte, which indicates that LiBOB is an effective additive for high-temperature performance of $Li(Ni_{1/3}Co_{1/3}Mn_{1/3})O_2$/graphite chemi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