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압력순환흡착법과 다공성 매체 연소법을 이용한 전자산업 불화가스 저감 스크러버 개발

        정종국(Jong Kook Chung),이기용(Ki Yong Lee),이상곤(Sang Gon Lee),이은미(Eun Mi Lee),모선희(Sun Hee Mo),이대근(Dae Keun Lee),김승곤(Seung Gon Kim) 한국청정기술학회 2017 청정기술 Vol.23 No.2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배출되는 과불화합물은 연소, 열, 플라즈마, 촉매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된 스크러버에 의해 분해 과정을 거친 후 배출되나, 운영 스크러버의 대부분이 과도한 에너지의 사용, 낮은 저감 효율을 보임으로써 이러한 단점의 극복이 요구된다. 압력순환흡착법과 다공성 매체 연소법의 두 가지 기술이 연계된 새로운 형태의 과불화합물 저감스크러버를 개발하고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해 대상인 CF₄의 흡착비와 손실계수는 흡착 컬럼의 입구와 출구에서 농도 측정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연소기의 입구와 출구의 유량과 농도 측정을 통해 처리 효율을 계산하였다. 기존 스크러버와의 에너지 사용량 및 처리효율 비교를 위하여 다양한 유량에 대한 성능 평가가 진행되었다. 1412 ppm, 204 LPM의 CF₄가 유입된 흡착 컬럼에서의 흡착비는 1.65였으며, 유입되는 CF₄의 손실 계수는 8.2%였다. 이때 연소기로 유입되는 CF₄의 유량과 농도는각각 91 LPM과 2335 ppm이었으며, CH₄ 19 LPM, O₂ 40 LPM을 사용한 연소 반응시 약 96%의 저감 효율을 나타내었다. 상용스크러버와의 동일 운전 조건에서의 다공성 매체 연소에서의 CF₄ 저감 효율과 전체 에너지 사용 효율 비교시 각각 16%, 41% 이상의 저감 효율 상승과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였다. The perfluorocompounds (PFCs) emitted from the semiconductor and display manufacture is treated by abatement systems which use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ombustion, thermal, plasma, catalyst.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system should overcome their drawbacks with excess energy consumption and low removal efficiency. The new technology using combination of pressure swing adsorption and excess enthalpy combustion for the reduction of PFCs emissions were developed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PFCs concentration ratio and PFCs loss factor were calculated from measuring concentration of PFCs at the calculated by comparing concentration of PFCs at the combustor"s inlet and outlet. There were performance evaluations with various gas flow for comparing energy consumption and removal efficiency with existing equipments. The concentration ratio and the loss factor of PFCs were 1.65, 8.2%, respectively, when the total gas flow of the pressure swing absorption (PSA) inlet was 204 liter per minute (LPM) and CF₄ concentration was 1412 ppm.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ystem at constant condition, CF₄ removal efficiency for a porous media combustion (PMC) showed the improvement more than 16% and the consumed energy was also reduced up to approximately 41%. Then, the total gas flow introduced into PMC and CF₄ concentration were 91-LPM and 2335 ppm, respectively, and the destruction and removal efficiency of CF₄ was about 96% at 19-LPM CH₄, and 40-LPM O₂.

      • KCI등재
      • KCI등재
      • 예술위원회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비교 분석

        정종은(Jong-Eun Chung) 한국문화정책학회 2014 문화정책 Vol.1 No.-

        현대적인 의미의 예술지원 정책은 이차대전 직후(1946) 경제학자 케인즈가 대영예술위원회(Art Council of Great Britain)를 설립하면서부터 본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캐나다(1957∼), 미국(1965∼), 호주(1973∼) 등은 영국식 ‘팔길이 원칙’을 수용하면서 유사한 방식으로 예술위원회 모델을 채택하였고, 우리나라 역시 2005년에 기존의 ‘문화예술진흥원’을 ‘문화예술위원회’로 재편함으로써 위원회 모델을 예술진흥체계의 중핵으로 삼게 된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문화예술기관이 신설되고 지역문화재단의 등장과 함께 지방분권이 가속화되면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여타 국가의 예술위원회와는 달리, 역할체계의 급속한 축소 및 후퇴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주요 예술위원회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비교 사례연구(comparative case studies)를 통해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현재의 위상과 향후 방향을 고민함에 있어 참조할 수 있는 하나의 준거점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의 예술위원회들이 자신들의 문화예술 생태계를 일신하고 촉진하기 위해 최근 어떠한 비전과 전략, 사업계획 등을 구성해왔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서 해외 주요 예술위원회들이 매진하고 있는 10대 사업범주를 도출하고 한국예술위원회가 그 역할 및 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다. It can be said that the arts promotion policy in a contemporary sense star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rt Council of Great Britain by Keynes in 1946. Since then, Canada Council for the Arts(1957~),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1965~), 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1973~) and so on have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British ‘arm’s length principle’. South Korea has also adopted the arts council model in promoting the arts and culture after transforming ‘Korea Culture and Arts Foundation’ into ‘Arts Council Korea’ in 2005. However, on the contrary to the other councils, Arts Council Korea seems to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reduction and regression of its role and functions within the Korean cultual policy field. Both the establishment of a variety of cultural organizations under Korean government and the reorganization of arts support systems driven by the rise of many local cultural foundations are key reasons for this. I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seeks to conduct comparative case studies of major arts councils abroad and thus to prepare a reference point with which Arts Council Korea can reflect upon its current position and future direc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s the arts councils in England, the US, Canada and Australia, focusing on their visions, strategies, action plans devised to renew and promote their national ecology of the arts. This article concludes by (re)constructing 10 major categories to which all those arts councils have recently committed and suggesting how Arts Council Korea may redeem its role and functions as its international counterparts.

      • KCI등재

        한국 문화정책의 창조적 전회

        정종은(Jong Eun Ch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3 인간연구 Vol.0 No.25

        이 연구는 영국의 신노동당(1997~2010)에 의해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어 온 문화정책의 ‘창조적 전회’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창조산업, 창조경제, 창조도시 등 일군의 새로운 개념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국가 단위 문화정책을 구조조정하고자 한 이 전회는 대륙과 반구의 경계를 넘어 빠르게 확산되어 왔으며, 그 결과 많은 국가들이 그 자신의 역사나 현재의 상황과 관계없이 이 흐름에 편승하는 경향마저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민의 정부’(1998~2003)와 ‘참여정부’(2003~2008)하에서 발생한 ‘문화산업 정책의 부상’이라는 사건이 유사한 창조적 전회가 한국에서도 발생했음을 보여 주는 직접적인 증거라는 점을 논구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고는 양국에서 창조적 전회를 추동한 담론 및 정책 수단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책적 이행은 산업화의 상이한 궤적과 속도 등으로 인해 영국의 그것과는 매우 다를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동아시아 개발국가’라는 개념을 진입 지점으로 삼아 1997~199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한국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이러한 문화정책상의 이행을 겪게 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며, 다음으로는 그러한 이행의 결과물로서 등장한 문화정책의 틀거리는 무엇이었고 이는 개발국가 시대의 문화정책 및 동시대 영국의 문화정책과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문화산업정책 영역에서 분명하게 구체화된 ‘한국의 창조적 전회’는 서구 조절국가에서 빌려 온 ‘팔길이 원칙’(자유/자율성의 원칙)과 과거 개발국가 시대의 관습을 원용한 ‘문화산업의 국가기간산업화 비전’(압축적인 투자/견인)을 두 기둥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이 분명해질 것인 바, 바로 이것이 한국의 창조적 전회를 ‘신개발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worldwide interest in the ‘creative turn’ in national cultural policy, which was initiated by the British New Labour governments (1997~2010). Indeed, the turn, which sought to restructure cultural policy with a constellation of new concepts such as creative industries,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cities, has had a remarkable takeup in many parts of the world. Whatever their past histories or contemporary situations, many countries appear to have quickly adopted this new trend. Within this context, this study argues that the ‘rise of cultural industries policy’ under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Governments (1998~2008) can be taken as direct evidence that a similar kind of creative turn also happened in South Korea. However, despite the similarities in the driving discourses and policy method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Korean policy shif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its British counterpar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the paces and trajectories of industrialization in these nations. St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as an entry point, I will explore how and why Korea went through a cultural industries policy shift in the period following the 1997~1998 Asian financial criisis and then reconstruct the distinctive policy framework that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shift. I will conclude this study by stressing the ‘creative turn’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policy was based upon the two pillars, ‘arm’s length principle’ (i.e. freedom/autonomy) borrowed from the regulatory states and the ‘vision of making cultural industries into a new national basic industry’(i.e. investment/traction) borrowed from the country’s own developmental era. this is the reason why the creative turn can be called ‘neo-developmental’.

      • KCI등재

        특별 학술대회 팔표논문 :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 장애예술의 사례에 근거한 시론(試論)

        정종은 ( Eun Chung Jong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문화융성’이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설정되고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 공식적으로 이 기조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로 채택되면서 문화정책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과제가 어떠한 논리를 통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전략적 목표와 나아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국정기조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트랜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생태계적 접근’을 근거로 삼아, 인문학적 관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진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맥락을 고찰할 것인바, 이는 생태계적 접근의 의의와 특질을 분명히 하고, 이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정책계에서 핵심어로 떠오르게 된 과정과 배경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장애예술정책’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생태계적 접근이 비단 ICT산업이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진흥정책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문화예술정책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원천적 이해’로서 인문학적 관점이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Since ‘cultural flourishment’ became one of the four government principl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nd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ction plan to realize the principle,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perspective in cultural policy has arisen. However, behind the scene, it has been rarely noted how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trategic objective of ‘promoting culture and the arts’, and thereby to realizing the principle of ‘cultural flourishm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why humanistic perspective is essentially required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with the example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has recently grown into a new trend in the Korean cultural policy field. The article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of the ecosystem approach. It will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the approach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has been elevated into a key word in Korean cultural policy. On this ground, with the case study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 will proceed to show that the ecosystem approach is very useful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y, not only for nurturing ICT or content industries, but also for culture and the art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can be guaranteed only when humanist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culture, is centered on it.

      • SCOPUSKCI등재

        전이금속 착물의 전자구조 및 화학적 반응성 (제 3 보) $[Cr(NH_3)_5(DMF)]^{3+}$ 이온의 수화반응에 미치는 압력효과

        정종,최종하,김은기,Jong-Jae Chung,Choi Jong-Ha,Eun-Ki Kim 대한화학회 1989 대한화학회지 Vol.33 No.6

        $[Cr(NH_3)_5(DMF)]^{3+}$ 이온의 수화반응 속도를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켜 가면서 측정하였다. 활성화부피(${{\Delta}V_0}^{\neq}$)는 -2.76∼-3.65$cm^3mol^{-1}$의 범위로 작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활성화 엔트로피(${\Delta}S^{\neq}$) 및 활성화 압축률계수(${\Delta}{\beta}^\neq$)도 모두 작은 음의 값을 가졌다. 이러한 열역학적인 활성화 파라미터로부터 이 착이온의 수화반응은 교환회합($I_a$) 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Rates for aquation of $[Cr(NH_3)_5(DMF)]^{3+}$ ion in aqueous acidic solution have been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pressures. The volume of activation for the aquation is small negative and lies in the limited range -2.76 ∼ -3.65 $cm^3mol^{-1}$. The entropy and compressibility coefficient of activation are small negative values. From the results of thermodynamic activation parameter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aquation of $[Cr(NH_3)_5(DMF)]^{3+}$ ion proceeds through an associative interchange($I_a$)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