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2년 국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직업군별 피폭선량

        정제호,권정완,이재기,Jeong, Je-Ho,Kwon, Jeong-Wan,Lee, Jai-Ki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0 No.4

        2002년 기준으로 국내 52733명의 방사선 작업종사자에 대해 5개 대분류와 28개의 세분류 카테고리로 나눈 직업군별 연간 피폭선량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진단용 X선 분야(치과용 포함) 종사자의 선량 통계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공하였으며 기타 종사자의 선량자료는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가 제공하였다. 직업군에 따른 선량준위별, 연령별 성별 종사자수와 연간 평균선량을 분석한 결과 거의 80% 정도의 종사자들이 연간 1.2mSv 이하로 피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총 집단선량은 66.4man-Sv로 나타났고 평균 선량은 1.26mSv였다. 직업군별로는 체내 핵의학 분야와 비 파괴검사 분야 종사자가 다른 분야에 비해 평균선량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진단용 X선 분야 종사자에게서 연간 20mSv 이상 피폭자 수가 상당하여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기의 원자력발전소 작업종사자 중에는 20mSv를 초과하는 종사자가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30대 종사자 수가 가장 많았고 20대 종사자의 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이 전체 작업종사자의 20%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피폭선량은 남성의 반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Dose distribution of Korean radiation workers classified by occupational categories was analyzed. Statistics of the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ORE) in 2002 of the radiation workers in diagnostic and dental radiolog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Food and Drug Agency(KFDA) who maintains the database for individual radiation dose records. Corresponding statistics for the rest of radiation workers were obtained by processing the individual annual doses provided by the Korea Radioisotope Association(KRIA) after dele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The ORE distribution was classified in term of 28 occupational categories, annual individual dose levels, age groups and gender of 52733 radiation workers as of the year of 2002. The total collective dose was 66.4 man-Sv and resulting average individual ORE was 1.26 mSv. Around 80% of the workers were exposed to minimal doses less than 1.2 mSv.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recorded doses exceeded 20 mSv for 43 workers in the industrial radiography and for 147 workers in the field of radiology. Particularly, recorded doses of 23 workers in radiology exceeded the annual dose limits of 50 mSv, which is extraordinary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It is uncertain whether those doses are real or caused by careless placing of dosimeters in the imaging rooms while the X-ray units are in operation. No one in the workforce of 16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 units was exposed over 20 mSv in 2002. Number of workers was the largest in their 30's of age and the mean individual dose was the highest in their 20's. Women were around 20% of the radiation workers and their average dose was around one half of that of man workers.

      • KCI등재

        전기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반응성 염료폐수의 처리

        유재정 ( Jae Jeong Yu ),전성환 ( Seong Hwan Jeon ),박정민 ( Jeong Min Park ),정제호 ( Jae Ho Jeong ),박상정 ( Sang Jeong Park ),민경석 ( Kyung Sok Min ) 한국물환경학회 200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8 No.3

        Reactive dyes waste water, a toxic and refractory pollutant, was treated by an electrochemical method using Ti/IrO_2 as anode and Stainless Steel 316 as cathode. In this technique, sodium chloride as an electrolyte was added. A number of experiments were run in a batch system. Artificial samples (reactive blue 19, red 195, yellow 145) were used. Operation parameters, such as supporting electrolyte concentration, current density, pH and sample concent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ir influences on COD and color removal efficiencies during electrolysis, After 5 and 90 minites of eletrolysis, color was reduced by 51.5% and 98.9%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 of current density 10A/d㎡, NaCl concentration 12mg/l and pH 3, 62.9% of COD_Cr was removed after electrolysis for 90 minites. The optimum condition of color removal and COD reduction in this work was found to be the following : pH 3,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20g/l, current density 10 A/d㎡. As a result, we confirmed to be effective to color removal and reduction of refractory organic material.

      • KCI등재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여성 지위에 따른 전개 양상 고찰

        정제호(Jeong, Je-Ho)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5

        이 논문은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여성 지위에 따른 전개 양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이루어졌다.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는 동일하게 후실(後室)라는 악인형 인물이 등장한다. 하지만 <칠성풀이>에서는 후실의 지위가 처(妻)인 반면, <문전본풀이>에서는 첩(妾)에 불과하다. 이 차이는 두 신화의 전개 양상을 다르게 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칠성풀이>에서 ‘칠성님’은 ‘매화부인’을 다자출산(多子出産)했다는 이유로 소박(疎薄)하고, ‘옥녀부인’과 재혼한다. 이때 매화부인과의 관계는 일종의 이혼으로, 매화부인과의 관계가 청산되었기 때문에 옥녀부인은 처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이와 달리 <문전본풀이>에서 ‘남선비’는 ‘여산부인’과의 혼인 관계를 유지한 채 ‘노일제데귀일의 딸’을 첩으로 맞이한다. 이에 옥녀부인은 처, 노일제데귀일의 딸은 첩의 지위를 갖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지위의 차이는 아버지가 후실의 치병(治病)을 위해 자식의 목숨을 거두려 할 때 전혀 다른 대응으로 나타난다. <칠성풀이>에서는 자식들이 기꺼이 자신들의 목숨을 내어 놓는 반면, <문전본풀이>의 자식들은 적극적으로 항거한다. 이것은 <칠성풀이>의 옥녀부인은 아버지가 선택한 사람으로 처의 지위를 획득했기 때문이다. 자식들은 옥녀부인이 후실이기는 하지만 처였기 때문에 어머니로서의 예(禮)를 다해야 했다. 후실에 대한 자식들의 효행은 후실뿐만 아니라 가부장인 아버지를 향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문전본풀이>에서 노일제데귀일의 딸은 첩이었기 때문에 자식들은 죽음을 받아드리지 못하였고, 적극적으로 항거(抗拒)한다. 이에 첩을 징치(懲治)하였고, 더 나아가 노일제데귀일의 딸을 여산부인으로 오해하고, 첩을 살리기 위해 자식들에게 위해(危害)를 가한 남선비 역시 징치한다. 결국 후실의 지위 설정의 차이는 두 신화의 신격 좌정(坐定)의 형태를 다르게 구성한다. <칠성풀이>의 일곱 형제는 자신들을 죽이려한 후실에 대해 끝없는 효를 다함으로써 아버지와의 관계를 공고히 한다. 이에 후실을 징치하고, 친모를 환생시켜 기존의 가족이 회복되면서 부-자로 이어지는 ‘계승’의 관계로 신격이 전이(轉移)된다. 이와 달리 <문전본풀이>에서는 무능한 아버지와 간악한 후실을 징치하고, 부-자 관계의 ‘전복’을 통해서 신격이 전이된다. 즉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여성 지위의 차이는 신격 좌정에서 ‘계승’과 ‘전복’이라는 차이로 귀결되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different of the shape of things to co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women of <Chilseongpul-i> and <Munjeonbonpul-i>. There is the same bad person who called ‘second wife’ in <Chilseongpul-i> and <Munjeonbonpul-i>. However, her position is a real wife in <Chilseongpul-i>, her position is a concubine in <Munjeonbonpul-i>. This different is the decisive point about these two mythology. ‘Chilseongnim’ threw ‘Maehwabuin’ out because she was a multiple birth, he got married for the second time with ‘Okneobuin’. He divorced with ‘Maehwabuin’ and eventuall ‘Okneobuin’ became a real wife of him. On the contrary to this ‘Namseonbi’ made the concubine who called ‘Noiljedaekuil-Ttal’ during he got married with ‘Yeosanbuin’. That’s why ‘Okneobuin’ was a real wife and ‘Noiljedaekuil-Ttal’ was a concubine. We can see the different about when the father tried to kill his son because treating his second wife. His son risked his wife to his father in <Chilseongpul-i> but he completely defied in <Munjeonbonpul-i>. Because ‘Okneobuin’ in <Chilseongpul-i> got the position of real wife who was selected by father. The children took care of ‘Okneobuin’ Even if she was a second wife. Because the children’s father was so paternalism so, they had to take care of their second mother. On the contrary to this story, she was a concubine who called ‘Noiljedaekuil-Ttal’ so, the children couldn’t accept the death. So, he punished his concubine and punished ‘Namseonbi’ who got misunderstanding ‘Noiljedaekuil-Ttal’ to ‘Yeosanbuin’ and harmed the children for the concubine. Eventually, it made up different these two deification to the difference the position of wives. There are seven sons took care of the second wife to the end who tried to kill them. The second wife was corrected and succeed the father-son line in <Chilseongpul-i>, on the contrary to this, incompetent father and the bad second wife was corrected, the divinity spread according to the overturn of the relationship of father-son line in <Munjeonbonpul-i>. So, the difference of women’s position became the difference ‘succession’ and ‘overturn’ in <Chilseongpul-i> and <Munjeonbonpul-i>.

      • KCI등재

        관북지역 〈바리공주〉의 죽음’에 대한 고찰

        정제호(Jeong, Jeho) 한국무속학회 2012 한국무속학 Vol.0 No.25

        본고는 다른 지역의 각편과 차별성을 보이는 관북지역본 〈바리공주〉에 나타난 바리공주의 ‘죽음’의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는 글이다. 관북지역본에서는 바리공주가 무조신으로 좌정하지 못하고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한다. 이에 관북지역본은 선행연구에서 불완전한 각편 혹은 특이한 결말이라고 평가되었다. 하지만 관북지역은 다른 각편과 변별적인 여러 특성을 갖는데, 이러한 특성들이 바리공주의 죽음의 원인이 된다. 관북지역본에서 바리공주는 구약여행을 스스로의 힘으로 해내지 못하고, 옥황의 도움을 받는다. 바리공주는 저승천도라는 신능을 갖는데, 이계 여행에 있어서 스스로의 능력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죽은 이를 저승으로 천도하는 신능을 갖추기 부족한 것이다. 더욱이 바리공주가 신격으로 좌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구약을 통한 부모 환생 역시 다른 각편과 달리 ‘부정한’ 방법으로 해낸다. 관북지역본에서 바리공주는 환생꽃을 훔쳐 덕주아 부인을 구한다. 고행에 대가로 약수와 환생꽃을 구한 것에 비한다면 옳지 못한 방법으로 어머니의 환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바리공주는 천상에 죄를 얻게 되었고, 죽음으로 귀결되는 것이다. 관북지역본에서의 죽음은 바리공주에게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환생한 덕주아 부인까지 죽음에 이른다. 이 죽음은 ‘부정한’ 환생꽃으로 환생한 어머니에게 가한 일종의 징치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관북지역본 〈바리공주〉에 나타난 ‘죽음’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특이한 각편이 일정한 서사적 연결성을 갖추고 전승되는 것은 해당 각편만이 갖는 전승적 맥락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각편의 특성상 그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정도로 논문을 마무리 짓고 있다. 먼저 관북지역본 〈바리공주〉의 특이성이 관북지역 무가의 일정한 경향성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바리공주의 ‘죽음’이 모두 해명된다고 보긴 어렵다. 다음으로는 〈바리공주〉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도랑선배 청정각씨 노래〉와의 기능적 중복으로 인해 신격 좌정 부분이 탈락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동일한 기능을 갖는 두 개의 무가와 신을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무가만을 전승하였고, 이에〈바리공주〉의 신격 좌정 화소를 탈락시키고 그 개연성을 확보하고자 죽음에 이르게 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추론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A Gwanbuk version of 〈Baligongju〉 is closed with the death of Baligongju as opposed to other versions. In this paper, the reason of Baligongju’s death is presented by internal analysis and external analysis of the text. Gwanbuk version of 〈Baligongju〉, Baligongju went up to heaven to get medicinal water and the flower of rebirth by helping of Okhwangsangje (heavenly god). She stole the flower of rebirth to save her mother. However, the heaven is the place where only good person can stay. Hence Baligongju died without becoming the god because of his guilt even though she save her mother through suffering. The reason of this kind of tale can be transmitted is there was similar tale in that region already. The 〈song of Thorangsunbae Chunjeonggaksi〉 was the song to send the human spirit to heaven, having identical function of other version of 〈Baligongju〉. Because there was the same kind of tale with other version of 〈Baligongju〉, song for the dead that wish for the dead to move to the next world with peace and ease, a Gwnabuk version of 〈Baligongju〉 ends up with death. Hence the tale about a process to take over the god is excluded, then the table with Baligongju’s death was transmitted. This makes us suppose that 〈Baligongju〉, the most popular tale, was received by shamans in Gwnabuk region with some purposes.

      • 문화콘텐츠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치적 올바름’

        정제호 ( Jeong Je-ho ) 콘텐츠문화학회 2021 콘텐츠문화연구 Vol.4 No.-

        인종과 성별, 종교, 성적 지향, 직업 등과 관련하여 소수 약자에 대한 편견이 섞인 표현을 쓰지 말자는 운동에서 시작된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은 현재 인터넷 게시판에서 다른 의도와 목적으로 회자되는 편이다. 차별에 대한 반대 운동이었던 정치적 올바름은 문화콘텐츠 시장의 주요한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 모두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애니메이션 시장에서는 과거부터 이어오던 전통적인 주인공 여성의 외형을 탈피하여 유색인종으로 설정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영화, 게임 시장에서도 주인공 캐릭터로 소외되었던 유색인종, 여성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성적 소수자성 역시 적극적으로 개입시키는 등의 변화를 만들어 냈다. 이런 변화는 평단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내기도 했지만, 많은 대중들이 거부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대중들의 거부감은 익숙한 소재에서의 탈피에 원인이 있기도 하지만, 그보다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정치적 올바름의 상황에 대한 혐오에 원인을 두기도 한다. 맥락과 무관하게 쓰였다고 여겨지는 캐릭터, 소재들에서 대중들은 차별에 대한 반대를 읽은 것이 아니라, 상업주의에 영합하는 콘텐츠 기업들의 전략적 선택만을 느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이와 같은 ‘정치적 올바름’의 추구를 거두어들일 수는 없다. 우리가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것은 그런 소수자들에 대한 배려와 콘텐츠 내에서의 소수자성에 대한 추구가 특별한 것이 아니라 너무도 자연스러워 그것이 ‘정치적 올바름’에 의한 것이라는 인식조차 사라질 세상이기 때문이다. 물론 오늘도 ‘정치적 올바름’은 분란의 이유일 수는 있지만, 그것조차 차별 없는 세상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라 생각해야 할 것이다. Political correctness began with the movement not to use expressions of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in relation to race and gender, religion, sexual orientation, occupation, etc. However, Internet bulletin boards are being talked about for different purposes. Political correctness is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cultural content and has shown various reactions. In the animation, the traditional female characters are removed. And the main character of the colored race takes over the place. There was also a growing interest in people of color and women in movies and games. In addition, the number of sexual minorities is increasing. The change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critics. However, the public also expresses disapproval. That's why the public's reluctance is out of the familiar. But what's bigger is that political correctness is optional. Especially in characters and materials used without context, the public feels only corporate commercialism. Of course, that doesn't mean we can give up our pursuit of political correctness. What we really need to pursue is not consideration for minorities. Beyond that, it should be able to go beyond what minorities perceive as special. For this reason, I think today's disruption of political correctness could be a step toward tomorrow.

      • KCI등재

        희생제의 서사의 문화적 함의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양상

        정제호(Jeong Je Ho)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4

        희생제의는 희생제물을 신앙의 대상에게 바치는 의식으로 이제는 사라진 과거의 산물이다. 특히 인간을 제물로 하는 인신공희의 경우 특수한 환경에서 거행되었던 특별한 의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희생제의를 ‘일상화’하여 표현하고 있는 영화가 있어 주목된다. 이 영화는 바로 <캐빈 인 더 우즈>이다. <캐빈 인 더 우즈>에서는 고대신에게 인간 제물을 바쳐 인류의 안녕을 구한다. 다만 희생제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이를 거행하는 관리자들의 태도가 지나치게 일상적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그들에게 희생제의는 늘 하는 행동이자, 하나의 업무로만 표현될 뿐이다. 이렇게 <캐빈 인 더 우즈>에서 일상화되어 표현된 희생제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희생제의 설화를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희생제의를 서사화한 작품들은 뚜렷한 주제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네장터>에서는 희생제의를 모티프로 삼으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선행’에 대한 권장을 주제로 한다. 선한 행위를 한 처녀가 인신공희의 굴레를 끊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백일홍> 전설 역시 희생제의 자체보다는 처녀가 영웅의 실패를 오인하고 ‘정절’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끊은 부분에 더 초점이 맞춰진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다고 생각한 여인의 순절 행위가 아름다운 꽃으로 변화하게 된 것에 주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동자삼>에서 역시 ‘효’라는 윤리적 주제가 부각된다. 자식 살해를 뛰어넘는 절대적 가치로 효행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 세 설화에서는 희생제의를 모티프로 하면서도 그 제의의 종식을 말한다. 또한 이 종식을 말하면서 당대에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윤리적 주제를 새롭게 도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희생제의를 통해 희생양들에게 가해졌던 폭력에 대한 일종의 ‘변명’이 함께 한다. 선, 절, 효라는 절대적 가치를 추구한 사람은 희생제의를 뛰어넘을 수 있었다는 것 이면에는 희생당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았다는 말이 함께 하기 때문이다. 결국 희생제의 모티프는 새로운 윤리적 주제를 이끌어 내기 위해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당대 설화 향유층들이 중요하다고 여긴 가치를 부각하기 위해 희생제의를 활용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캐빈 인 더 우즈> 역시 희생제의를 활용함에 있어 특정한 ‘의도’가 자리한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캐빈 인 더 우즈>에서 일상적으로 그려진 희생제의는 그동안 계속해서 반복되었던 ‘슬래셔 무비’의 클리셰에 대한 일종의 변명이라 할 수 있다. 영화의 계속된 반복은 그동안 이 희생제의를 지속했기 때문이라는 변명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캐빈 인 더 우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방식을 활용한다. 모든 슬래셔 무비의 인물들을 하나의 희생제의 시스템이라는 세계 속에 모음으로써, 그동안 지루하게 반복되었던 클리셰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물론 <캐빈 인 더 우즈>는 단순한 변명만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희생제의의 반복을 통해 더 이상 사람들이 슬래셔 무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버리게 한, 그래서 마치 일상처럼 놀라고 무서워하지 않게 된 상황에 대한 풍자를 함께 하고 있다고 하겠다. In The Cabin in the Woods, there is a sacrificial rites. What s unique, however, is that the rite is expressed as routine. The setting of the film is very unique, considering that the sacrificial rites comes from a special situation. This is because they treat sacrificial rites as a daily task. To understand this, we re going to share some of the stories. It’s Jinejangteo, Baekilhong and Dongjasam. In these stories, ethical themes such as good deed, chastity and filial piety are emphasized. The motif of sacrifice is to highlight the values that people of the time considered most important. Behind the highlight of the ethical theme is the excuse for the scapegoats. It is to find justification for the violence they have committed. The Cabin in the Woods also has an excuse for a slasher movie that has been repeated. To this end, it uses the method of Transmedia Storytelling. A similar story is said to be repeated for the purpose of sacrificial rites. Along with this excuse, there is also a satire about slasher movies. A movie that was so repeated that it s not as fun as it is now. The satire about this is what appears in The Cabin in the Woods.

      • KCI등재

        〈삼승할망본풀이〉의 서사 구성과 신화적 의미

        정제호(Jeong, Jeho)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2

        본고는 〈삼승할망본풀이〉의 서사 구성 방식에 대해 살핀 연구이다. 〈삼승할망본풀이〉는 일반적인 서사무가와 달리 대상신인 명진국따님애기보다 그 반대에 서 있는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술이 길게 이어져 있는 특성을 보인다. 전체적인 전개에 있어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사가 더욱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사는 하나의 신격좌정담으로서의 구성을 보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비중이 상당하다. 때문에 정작 〈삼승할망본풀이〉의 주인공인 명진국따님애기는 그 내력이 간략하게만 제시되고 있다. 이렇게 〈삼승할망본풀이〉에서 동해용궁따님애기가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이유는 그녀의 출산 방식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동해용궁따님애기는 명진국따님애기와 달리 겨드랑이로 출산을 시도하다 실패하고 만다. 이 실패 때문에 생불왕이 되지 못하고 저승어멍으로 좌정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출산 방식은 여러 신화에서 등장하는 ‘신의 출생’과 관계가 있다. 같은 지역에서 전승되는 〈초공본풀이〉를 비롯하여, 알영, 석가모니의 출생 등에서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시도처럼 겨드랑이로 탄생하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즉, 동해용궁따님애기가 시도한 겨드랑이로의 출산은 일종의 신화적 출산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삼승할망본풀이〉는 인간의 출생을 담당하는 산육신에 대한 서사이다. 그렇다보니 동해용궁따님애기가 아닌 명진국따님애기가 산육신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결국 〈삼승할망본풀이〉는 인간의 출생을 담당하는 산육신의 기원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해, 출생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신의 출생부터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신의 출생에서 인간의 출생으로의 이행이 담겨 있는 신화가 바로 〈삼승할망본풀이〉인 것이다. 그래서 〈삼승할망본풀이〉는 일반적인 신화 서술 방식과 달리 대상신이 아닌 동해용궁따님애기의 서사가 초반부에 길게 이어지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It is the study which examined about narration formation way of 〈Samseunghalmangbonpuri〉. In 〈Samseunghalmangbonpuri〉,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s narration is more longer than Myeongjinguk’s daughter. We’re able to estimate from her childbirth way that why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deals with more seriously in 〈Samseunghalmangbonpuri〉.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failed that she tried to give birth to a baby from her armpit different from Myeongjinguk’s daughter. However,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s childbirth way is related with “the God’s birth” from some kinds of myths. We’re able to see the feature that gave birth to a baby from her armpit like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from Alyeong, Buddha’s birth including 〈Chogongbonpuri〉 which hands down in the same area. Thus,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 showed a strong appearance of “The God’s birth”. However, 〈Samseunghalmangbonpuri〉 is about the Godbody that takes charge of human’s birth. That’s why Myeongjinguk’s daughter was able to take possession of The God of bear and raise. Eventually, it deals with “the God’s birth” that is a origin of birth for giving an explanation about The God of bear and raise’s origin that takes charge of human’s birth. It is 〈Samseunghalmangbonpuri〉 that the myth includes from God’s birth to human’s birth way. So, East Sea Dragon King’s daughter’s narration take a long possession in the opening part different from usual myth narration way in 〈Samseunghalmangbonpuri〉.

      • KCI등재

        지역문화콘텐츠의 활용 양상과 미디어서사로의 전망 - 안동지역 문화콘텐츠 ‘원이엄마’를 중심으로 -

        정제호 ( Jeong Jeho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1 No.-

        In 1998, letters and Mituri were found at Lee Eun-tae's grave. The love for the dead husband was contained in the letter. People were impressed with the letter. Various Culture Contents were made with this opportunity. They are performances, publications, videos, songs, and tourism resources. n this study, we will summarize the aspects of Culture Contents ‘Mom of Won-i’. Culture Contents ‘Mom of Won-i’ also has a problem. Similar contents were repeat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s concentrated only in Andong. Mituri entered the public TV in this situation. This is the first time that local content has entered the public TV. Of course, it was simply an individual choice. Local Culture Contents's scalability was confirmed. ‘Mom of Won-i’ remained a successful example of the use of local culture contents.

      • KCI등재

        서사무가에 나타난 < 왕랑반혼전 > 수용의 양상과 의미

        정제호 ( Je Ho Jeong )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1 No.-

        This article is the study that examines about < Wangrangbanhonjeon > acceptability which appeared in Shamanistic Epics. We already dealt with < Wangrangbanhonjeon > compared with Shamanistic Epics which was called < Jangjapuri > on the previously study. However, they have differences between < Wangrangbanhonjeon > and < Jangjapuri > about character set-up, correction excuse, the way of a charm against evil influence, the way of the prolongation of life and so on. That``s why it is difficult situation to deeply discuss between the relation of two works. However, they have many similarities between < Maenggambonpuri > and < Wangrangbanhonjeon > about character set-up, correction excuse, the way of a charm against evil influence, the way of the prolongation of life and so on. It starts through the couple relationship both < Wangrangbanhonjeon > and < Maenggambonpuri >. Also, they have deeply relationship when it comes to correction excuse, the way of a charm against evil influence. And they have similarities that they take the way of directory modification when it comes to the way of the prolongation of life. Besides < Jangjapuri >, we can see similarities in these two works which hardly find in other works. On the basis of these similarities, we can inference possibilities that < Wangrangbanhonjeon > and < Maenggambonpuri > have a steady relationship. There exist some works that accept Buddhist Narration like < Wangrangbanhonjeon >, classical novel, Shamanistic Epics of JeJu Island. It is a trend to accept Buddhist Narration. Besides, there has character that conflates the myth of classical novel and the Mythmes of JeJu Island, there has same character in < Maenggambonpuri >. This article refers possibilities that < Maenggambonpuri > in < Wangrangbanhonjeon > influenced otherwise previously discussions. There are meeting points that the similarity is shown to < Wangrangbanhonjeon > and < Maenggambonpuri > and the character of Shamanistic Epics in JeJu Island. That``s why we plan to discuss that < Wangrangbanhonjeon > and the context of change and the formation of Shamanistic Epics through accept of classical novel in JeJu Island.

      • KCI등재후보

        <사씨남정기>에 나타난 가족구성의 방식과 작가 의식

        정제호 ( Jeong Jeh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8 漢城語文學 Vol.38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 Sassinamjeonggi >'s writer's consciousness. Both Sassi and Kyossi become excess in the family. However, two of the reaction is completely different. Sassi was patient with her life. Kyossi continues to plot and actively protest. In < Sassinamjeonggi >, good and evil is determined by the acceptance of this life. A man who holds up is a good man, A man who protested is defined as the wicked. Here the artist consciousness is revealed. The writer considered women's choices more important than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y. This aspect is emphasized once more through Imssi. Imssi is a concubine like Kyossi. Nevertheless, Imssi lives at Ussi's house in peace. Because he acknowledged his life as his concubine. So she gets a lot of rewards. This compares directly with Imssi and Kyossi, so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becomes clear. After all, < Sassinamjeonggi > is talking about women's behavior in the contradiction of patri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