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차원 조파수조에서 바닥 조파장치에 의해 재현된 규칙파에 대한 해석적 연구

        정재상,이창훈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4 No.4

        Analytical solutions for regular waves generated by bottom wave makers in a 3-dimensional wave basin were derived in this study. Bottom wave makers which have triangular, rectangular and combination of two shapes were adopted. The 3-dimensional velocity potential was derived based on the linear wave theory with the bottom moving boundary condition, kinematic and dynamic free surface boundary conditions in a wave basin. Then, analytical solutions of 3-dimensional particle velocities and free surface displacement were derived from the velocity potential. The solutions showed physically valid results for regular waves generated by bottom wave makers in a wave basin. The analytical solution for obliquely propagating wave generation from bottom wave maker which works like a snake was also derived. Numerical results of the solution agree well with theoretically predicted results. 본 연구에서는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3차원 조파수조에서 재현된 규칙파에 대한 해석해를 유도하였다. 바닥 조파장치로 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및 두 형상이 복합된 형상이 적용되었다. 선형파 이론과 움직이는 바닥에 대한 경계조건, 동역학적 및 운동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조파수조 내의 3차원 속도포텐셜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이로부터 각 방향 성분의 유속과 자유수면변위에 대한 해석해를 구하였다. 유도된 해석해는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조파수조에서 규칙파의 전파 특성에 대해 물리적으로 타당한 결과를 보였다. 바닥 조파장치가 snake 형태로 움직이는 경우의 비스듬히 전파하는 파랑의 조파에 대해서도 해석해를 유도하였으며, 해석 결과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 KCI등재

        낮은 마운드 높이에 높은 상치구조물을 갖는 경사식 호안(LMHW 호안)의 월파량에 대한 실험적 연구

        정재상,윤재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1 No.6

        Overtopping discharge for sea dike having low mound and high wave wall (LMHW sea dike) is investigated with hydraulic experiments in this study. Vertical, Flare and Bullnose type wave walls are selected and Tetrapods (double layer) and Accropode (one layer) are adopted for armour layers of the front slope. The results of the hydraulic experiments are compared to the overtopping formulas for armoured rubble slopes and vertical sea dikes suggested by EurOtop Manual. Predicted overtopping discharges are underestimated as the roughness efficiency factors ( f ) of armour blocks suggested by EurOtop are adopted when the overtopping formula for armoured rubble slopes sea dike is used. Meanwhile the predicted overtopping discharges agree well with the hydraulic experiments when the modified roughness efficiency factors redefined by multiplying efficiency factor of the heights of armoured crest berm and wave wall ( AR ) are adopted. Return wall effects on a vertical wall (Kortenhaus et al., 2003; Pearson et al., 2004a) and the effects on a smooth dike slope (Van Doorslaer et al., 2015) in EurOtop Manual are investigated for Flare and Bullnose type wave wall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results and 2 formulas, return wall effect on a smooth dike was more valid for LMHW sea dike.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낮은 마운드 높이에 높은 상치구조물을 갖는 경사식 호안(LMHW 호 안)의 월파량에 관해 검토하였다. 상치구조물의 형식은 직립식, Flare 식 및 Bullnose 식을 적용하였으며, 호안 전면 사면의 소파공은 테트라포드(2층적)와 아크로포드(1층적)를 적용하였다. 수리모형실험 결과는 EurOtop에서 제시하는 경사식 및 직립식 호안의 월파량 산정식과 비교하였다. LMHW 호안에 대해 경사식 호안의 월파량 산정식을 적용할 때 전면 소파공에 따른 조도영향계수( f )로 EurOtop Manual에서 제시하는 계수를 적용할 경우 월파량이 과소평가 되 었으나, 상치구조물 대비 마루높이 영향계수( AR )를 곱한 수정조도계수를 적용한 경우에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일치하 였다. Flare 및 Bullnose 상치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EurOtop Manual에서 제시하는 직립구조물 상부에 설치된 반 파공의 효과(Kortenhaus et al., 2003; Pearson et al., 2004a)와 매끄러운 사면에 설치된 반파공의 효과(Van Doorslaer et al., 2015)를 적용하였다. 검토 결과 매끄러운 사면에 설치된 반파공의 효과가 낮은 마운드 높이에 높은 상치구조물 을 갖는 경사식 호안에 보다 타당한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Drainage Gates on Saemangeum Tidal Dyke, South Korea

        정재상,윤재선,강석구,정석일,이승오,박용성 대한토목학회 2021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5 No.4

        In this study,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rainage gates of the Saemangeum tidal dyke were investigated by laboratory experiments, 3D numerical modelling, and field observations.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1:50 scale model of the tidal dyke, drainage gate, and seabed topography and field observations were used to validate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we derived discharge diagrams that relate the discharge through the drainage gate to the water levels inside and outside the dyke for a range of operating conditions. The formula and discharge coefficients were suggested for free and submerged flows through hydraulic experiments. The discharge predicted from suggested formula agreed well with experimental results. Discharge coefficients of half gates open cases are slightly less than those of all gates open cases due to flow disturbance along the side of downstream. Through experiments with two drainage gates, the Sinsi and Garyok gates, it was found that the discharge coefficients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 terrain around the gates. Numerical simulations were also carried out using a commercial flow modelling software (FLOW-3D). The discharge and flow patterns predicted by the numerical simulations we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s.

      • KCI등재

        바닥의 움직임에 따른 선형파의 생성을 모의할 수 있는 간편 수치해석 기법

        정재상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5 No.2

        : In this study, simplified linear numerical method that can simulate wave 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by a moving bottom is introduced. Numerical analysis is conducted in wave number domain after continuity equation, linear dynamic and kinematic free surface boundary conditions and linear kinematic bottom boundary condition are Fourier transformed, and the results are expressed in space domain by an inverse Fourier transform. In the wavenumber domain, the dynamic free water surface boundary condition and the kinematic free water surface boundary condition are numerically calculated, and the velocity potential in the mean water level (z = 0) satisfies the continuity equation and the kinematic bottom boundary condition. Wave 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are investigated when the triangular and rectangular shape of bottoms move periodically. The results of the simplified numerical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analytical solutions and agree well with them. Stability of numer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time interval (t) and the calculation wave number interval (k) was also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numerical results were appropriate when t  T(period)/1000 and k  /100. 본 연구에서는 바닥의 움직임에 따른 파랑의 생성 및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간단한 선형 수치해석 기법을소개한다. 연속방정식과 선형의 동역학적 및 운동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 선형의 운동학적 바닥 경계조건을 공간에대해 푸리에 변환한 후 파수 영역에서 수치해석을 수행하며, 결과는 푸리에 역변환을 통해 공간영역에서 표현된다. 파수 영역에서 동역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과 운동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이 수치적으로 계산되며, 이 때 평균수면(z = 0)에서의 속도포텐셜은 연속방정식과 운동학적 바닥 경계조건을 만족한다. 삼각형 및 사각형 형상의 바닥이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의 파랑 생성 및 전파에 대해 검토하였다. 간편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한 결과는 기존의 선형해석해와 비교하였으며,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계산 시간간격(t)과 계산 파수간격(k)에 따른 수치해석 결과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t  T(주기)/1000, k  /100 일 때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가 적절하게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대 중국의 시간과 공간 관념의 형성과 전개 – 진(⾠)의 의미를 중심으로

        정재상 한국도교문화학회 2023 道敎文化硏究 Vol.58 No.-

        In traditional East Asia, the character chen 辰 oscillates in great amplitude in various strata of meanings. It appears extensively in ancient Chinese texts such as the Book of Documents (Shangshu 尙書),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Zou's tradition (Chunqiu Zuoshi zhuan 春秋左氏傳) and Gongyang's tradition (Gongyang zhuan 公羊傳), the Rites of Zhou (Zhouli 周禮), and other Confucian classics, as well as in astronomical records in Discourses of States (Guoyu 國語), Records of History (Shiji 史記), and the Master of Huainan (Huainanzi 淮南子). In these texts, the chen is used in a variety of terms that designates constellations and stars (xingchen 星辰), the North Star (beichen 北辰), the Great Star of the constellation Scorpus (dachen 大辰), Mercury (chenxing 辰星), and the Three Celestial Bodies (sanchen 三辰), and so on. It is also coined as calendrical or divination-related terms, such as the zodiac or twelve divisions of the ecliptic (shier chen 十二辰), the dragon year (chen 辰), a day of sexagenary system or the day's fortune (rechen 日辰), the hour (shichen 時辰), and the auspicious day (jichen 吉辰). Such a wide spectrum of chen is due to its historical depth, which has developed and evolved with the Chinese astronomical calendar system. Therefore, knowledge of ancient Chinese astronomical phenomena is indispensable to figuring out their meanings. In other words, tracking the meaning of chen provides a bird's eye view of the history of Chinese astronomy and time concept.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various uses and meanings of chen in ancient Chinese texts and their astronomical context. It will illuminate not only the individual usage and meaning of the terms in each text but also how those concepts are organically connected. The strata of chen’s meaning reveal how the ideas of space-time were formulated and developed in ancient China. 전통시대 동아시아에서 ‘진(辰)’자는 다양한 의미의 층위를 갖는다. 중국 고대 문헌인 『상서』, 『춘추좌씨전』, 『춘추공양전』, 『주례』와 같은 유가 경전을 비롯해 『국어』나 『사기』, 『회남자』 등 중국 고대의 천문 역법과 관련된 사료에서 폭넓게 등장한다. 이러한 문헌 속에서 진(辰)자는 다양한 용어로 조어되는데 별과 관련된 말로서는 ‘성신(星辰)’, ‘북진/북신(北辰)’, ‘대진(大辰)’, ‘진성(辰星)’, ‘삼진(三辰: 日・月・星)’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십이진(十二辰: 십이지)’, ‘용/용띠(辰)’, ‘일진(日辰)’, ‘시진(時辰)’, ‘길진(吉辰: 길일)’ 등과 같이 천문 역법이나 술수학 관련 용어로 쓰인다. 진(辰)이 이처럼 다채로운 의미의 스펙트럼을 보이는 것은 그것이 중국 고대 천문 역법의 역사 속에서 형성되고 전개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辰)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국 고대 천문 역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바꿔 말하면 진(辰)의 의미의 궤적을 따라가 보면 중국 고대의 천문 역법사 및 시공 관념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중국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진(辰)의 다양한 용례와 그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辰) 개념의 배후에 놓인 천문 역법의 문제도 함께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각 문헌 속에 보이는 진(辰)의 개별적 용례의 의미들뿐만 아니라 각 용어와 개념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질 것이다. 그와 더불어 고대 중국에서 시간과 공간 관념이 생성되고 전개되는 양상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