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 진로교육으로 꿈을 찾은 아이들

        정익중(Ick-joong Chung),김서현(Seo Hyun Kim),임혜림(Hye Rim Y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2

        문화예술 분야의 진로를 희망하는 아동이 소중한 꿈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것은 행복하고 건강한 발달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문화예술 분야의 꿈을 키워가는 아동의 진로개발 경험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예술 진로교육에 대한 아동의 경험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CJ도너스캠프의 꿈키움창의학교에 참여한 총 9명의 아동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총 18개 의미단위와 7개 하위주제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이 드러났다. 이들은 “문화예술가가 될 미래에 설렘”, “성공하기 힘들다며 어른들이 무시함”, “슬럼프에 빠져도 다시 일어남”, “실기에 주력할수록 장벽에 둘러싸임”, “또래로부터 위안을 얻음”, “응원해주는 이들이 있기에 버팀”, “드넓은 문화예술의 세계로 한걸음 더 다가감”의 경험을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핵심주제는 “문화예술의 꿈이 미래를 열어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문화예술 진로교육 지원 보장, 맞춤형 문화예술 진로지원프로그램 제공,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학교와 민간영역 간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문화예술 분야에서 진로개발을 하는 아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인식개선의 시급성 등을 제언하였다. For children who hope caree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it is important for them to find and develop their dreams, which will promote a happy life and healthy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s of children who have dreams of a career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into children"s experiences of culture and art care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nin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Dream Building Creativity School of CJ Donors Camp,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carried out a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show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rough a total of 18 meaning units and 7 sub-topics: “feeling thrilled for the futurewhen they become cultural artists”, “ignored by adults who stated that they would neverbe successful”, “falling into a slump but getting back up again”, “surrounded by obstacles as they focused on practical skills”, “comfort from their peers”, “endurance due to cheering from people around”, and “taking a step forward into the wide world of culture and art”. The key theme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was, “My dream for culture and art opens my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the continuous assistance of culture and art career education; the provision of customized culture and art career support programs; the construction of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schools and the private sector in the community; and the improvement of societal interests about and awareness of children who develop caree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 KCI등재

        아동학대 온톨로지 개발

        정익중(Chung, Ick-Joong),이세림(Lee, Serim),오세현(Oh, Sehyeon),김지선(Kim, Jisun),전종설(Chun, JongSerl),강현아(Kang, Hyunah),노충래(Nho, Choong Rai)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4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아동학대의 피해는 전 세계적으로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영향과 심각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여전히 대부분의 아동학대 연구들은 전통적인 사회조사방법론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Noy와 McGuinness(2001)의 온톨로지 개발 방법을 활용하여 아동학대 온톨로지를 개발함으로써 아동학대와 관련된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틀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톰과 R 4.1.0을 활용하여 2019년의 인터넷 뉴스 3,090개와 학술연구 295개의 자료에서 총 25,092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후 키워드 전처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총 4,077개의 키워드가 본 아동학대 온톨로지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온톨로지는 (1) 대상(피해자, 가해자, 관련자), (2) 유형(학대, 유기 및 방임, 매매), (3) 요인(보호요인, 위험요인), (4) 특성(학대징후, 장소, 시간, 가해 수법, 기타 특성), (5) 영향(개인 문제, 가족 및 환경 문제), (6) 대응방안(개인적 대처, 예방, 복지적 개입, 사법적 개입, 관련 조직) 범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다양한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온톨로지를 처음으로 개발함으로써 앞으로 아동학대 분야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hild abuse has been increasing rapidly globally especially sinc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studies on child abuse still tend to rely on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child abuse ontology as a first step toward social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ollowing Noy and McGuinness’ (2001) seven-stage development process of ontology, 25,092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3,090 online news and 295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2019 using Textom and R 4.1.0. After undertaking pre-processing, 4,077 keywords in total were included in the child abuse ontology. The results yielded domains for (a) participants (victims, perpetrators, and the persons concerned); (b) types (abuse, neglect, and trafficking); (c) factors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d) characteristics (signs, place, time, methods, and distinct features); (e) impacts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f) countermeasures (coping strategies, prevention, welfare intervention, judicial intervention, and organizations involved). The findings provide a child abuse ontology that embraces multi-faceted domains of this issue for the first time, thus laying the groundwork for social big data analysis on the topic of child abuse.

      • KCI등재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익중(Chung Ick-Joong),김혜란(Kim Hye-Lan),혼순혜(Hong Soon-Hae),박은미(Park Eun-Mie),허남순(Huh Nam-Soon),오정수(Oh Jeong-Soo)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3

        본 연구는 동일한 빈곤상황에서도 아동들이 제공받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종류와 양은 상이하다는 현실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정도에 따라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다른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br/>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결연사업 대상아동을 모집단으로 하는 904명의 빈곤아동이다. 그 중 소년소녀가정 아동이 8.2%, 조부모 대리양육가정 아동이 22.7%, 친인척위탁양육가정 아동이 8.2%, 일반위탁가정 아동이 1.8%, 기타 일반빈곤가정 아동이 59.1%이었다.<br/> 연구의 중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에 따라 심리사회적 적응 하위척도군 전체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또한 이러한 하위척도군 중에서 서비스 이용정도에 따른 전체적 차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종속변수는 비행이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수많은 선행 연구에서 비행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비행의 낮은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과 부모의 지도감독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지도감독이 높은 상황에서는 비행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력이 미미하지만 부모의 지도감독이 낮은 상황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비행 수준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위의 연구결과로부터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빈곤아동의 비행 감소 또는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행예방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서비스가 빈곤아동 중 특히 부모의 지도감독이 부족한 아동들에게 절실히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how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 satisfaction from the use affect poor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Especially, it focused to find out whether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poor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when other relevant variables are controlled.<br/> Participants are 904 poor children from 16 nationwide cities/provinces who receive financial sponsorship from Korea Welfare Found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mong them, 8.2% is from youth-headed homes, 22.7% is from grandparent-care homes, 8.2% is from relative foster homes, 1.8% is from non-relative foster homes and 59.1% is from other poor familie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br/> 1) According to MANOVA, poor children who received 2 or more satisfied social welfare servic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ho received 1 or no service in their combined psychosocial adjustment subcategories. Delinquency among the subcategories i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in combined differences.<br/> 2) Controlling sex, age, family structure and other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delinquency in previous research,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is still the significant variable in decreasing delinquency among poor children.<br/> 3)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and parental supervi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Under the low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of delinquency. However, under the high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has little effects.<br/> From these results, we found out that the use of satisfied social welfare services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o prevent or decrease delinquency among poor children. Also we found out that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poor children who receive the low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to have good-quality social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prevent delinquency.

      • KCI등재후보

        미국의 복지개혁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8

        본 연구는 1996년 미국의 복지개혁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미국의 경험이 우리나라 공공부조정책에 줄 수 있는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의 복지개혁이란 `개인책임과 근로기회조정법 (PRWORA)`의 제정과 함께 공공부조정책의 핵심이었던 AFDC를 폐지하고 이를 TANF로 대체한 것을 말한다. 이 과정 속에서 수급자의 복지의존성을 줄이고 근로를 통한 자립을 강조하기 위해 근로의무조건을 강화하고(work requirement) 복지수급기간을 제한한(time limit) 것이 그 핵심이다. 이 복지개혁의 표적대상은 성인이지만 성인 부모의 고용이나 소득을 변화시킴으로써 가족 내의 아동에게까지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복지정책의 변화가 아동에게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복지개혁 전후로 실시되었던 실험연구의 자료들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용을 증가시키지만 소득을 상승시키지 못한 강제적 근로의무조건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지개혁이 원래 의도했던 목표대로 고용과 소득을 동시에 높이는 경우 아동에게 긍정적인 혜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고위험 상태에 있는 장기(long-term) 복지수급 자 자녀의 학업성취 부문에서 훨씬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아동에 대한 복지 개혁의 영향은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에 대한 영향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개혁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나 긍정적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고, 5세 미만의 아동에게 미친 영향은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의 경우 복지개혁으로 인한 모(母)의 지도감독의 감소가 그들의 학교문제나 위험행동을 일으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수급기간 제한 프로그램의 경우 수급기간 제한에 도달하면 성인에게 보이던 고용이나 소득 증가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동에게는 예상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심각하지 않았다. 이러한 미국의 경험은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으로 근로능력자에 대한 현금급여를 처음 시작한 우리나라 공공부조정책에 유용한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evidence about how children fare under welfare reform in the U.S. based on several welfare reform experiments conducted during the 1990s. The welfare reform experiments are of three types: (1) mandatory employment services that required parents to participate in employment related activities if they received welfare assistance, (2) earnings supplements that provided additional income to parents who worked and (3) time limits that restricted the length of time that families could receive welfare assistance. These experiments provide strong evidence on the effects of welfare reform on child development relative to the old AFDC system. Mandatory employment services were "neutral" with regard to elementary-school children`s outcomes: children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se programs were no better or worse off than children in the AFDC program. However, when work was combined with increased income through earnings supplements, elementary-school children consistently did better, particularly in terms of school achievement and positive behavior. These effects were pronounced for children of long-term welfare recipients who are at the greatest risk. Furthermore, a few benefits of the programs with time limits were found, although fewer than found for earnings supplement progra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ears of welfare reform`s greatest critics were not realized. Although less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eenagers, the results suggest welfare reform caused detrimental increases in adolescent school problems and risky behavior because of reform-induced reductions in maternal supervision. Implications for Korean public assistance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그룹홈과 아동양육시설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익중(Ick Joong Chung),우석진(Seok Jin Woo),강현아(Hyun Ah Kang),전종설(Jong Serl Chun),이정애(Jung Ae Lee)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of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as well as the factors causing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rvice outcomes. 119 and 137 5-6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respectively, using the cluster sampling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d Blinder-Oaxaca decompositio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stigma``,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among children in group homes, while ``stigma``, ``primary caregivers`` attitude``, and ``peer relation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among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ean service outcome score for group homes was higher than that of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74 percent of this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children` characteristics of the two out-of-home care service types. The remaining 26 percent of this difference was due to unobserved characteristic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child welfare practic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아동실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

        정익중(Chung Ick-Joong),김성천(Kim Sung-Chun),송재석(Song Jae-Se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2

        실종아동문제는 한 가정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심각성이 있다. 하지만 실종아동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종아동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아동실종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계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1명의 장기실종아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약 5억 7천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였다. 직접비용은 약 6,532만원으로 전체의 11.5%였으며 간접비용은 약 5억원으로 전체의 88.5%였다. 이는 실종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실종 이후에는 단기간 내 찾기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실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계산되어 실종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고 예방에 대한 적정 투자비용에 관하여 자료를 추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실종 예방에 대한 적극적인 국가적 투자를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stimates the socioeconomic costs of missing children in Korea. The costs were classified as direct costs and indirect costs. The direct costs consisted of direct costs for searching for missing child such as making posters, transportation, and medical costs. The indirect costs were computed by the opportunity costs caused by child missing. The total costs that could be attributable to missing child were estimated to be about 570 million won per long-term missing child. This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prevention of child miss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quick recovery after child is missing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Missing child incurs substantial socioeconomic costs to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strong need for more interest from people who are indifferent to missing child issues and strong support for more government interventions to solve missing child problem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alculat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missing more exactly.

      • 참여권 확보를 위한 아동투표권에 대한 소고

        정익중 ( Chung Ick Joong ) 한국어린이재단 2016 동광 Vol.11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가장 취약한 아동권리인 참여권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동투표권을 도입하기 위한 필요성이나 실현방안을 살 펴본 것이다. 민주주의의 역사는 투표권을 소외계층에게 확대하는 과정이었다. 과거에는 투표권이 제한되었던 흑인, 여성 등이 참정권 운동을 통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고 국민의 동등한 일원으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 날에도 선거권은 연령을 기준으로 제한되고 있다. 아동도 투표권을 가졌다면 지 금처럼 이등국민이 아니라 완전한 국민으로 인정받았을 것이다. 아동에게 투표권을 확대하는 방안에는 투표연령을 하향하는 것, 생래적 권리로서 신생아를 포함 한 모든 국민이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데미니 투표방식으로 아동을 대리하도록 부모에게 투표권을 추가로 부여하는 것 등의 방식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아동이 인간으로 제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타인의 선의와 동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기 스스로 정치권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need and realization methods for introducing children`s suffrage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right to participate which is the weakest children`s right worldwide. The history of democracy has been the attempts to expand suffrage to the underprivileged. The black and women had been discriminated not to have suffrage. They struggled to gain the right to vote, and finally could be recognized to be equal. However, the right to vote is still confined on the basis of age. If children had suffrage, they would be treated as full citizens, instead of the second-class citizens who they currently are. There are three ways of extending the right to vote to children with: lowering the voting age; making universal voting system as natural rights which allow for all citizens even including newborns; and creating Demeny voting system to give additional votes to parents on behalf of their children, so that new voting scheme could be introduced to suit Korea`s situation. This enables children to receive recognition and dignity as human from his/her own political power itself, not by others` sympathy or good will.

      • KCI등재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주 양육자인 입양모의 입장에서

        정익중 ( Ick Joong Chung ),권지성 ( Ji Sung Kwon ),민성혜 ( Sung Hye Min ),신혜원 ( Hye Won Sh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장아동을 입양하여 양육하고 있는 입양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접근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이 구성되었고, 여기에는 연장입양가족들이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거치게 되는 여러 국면들과 경험들, 그리고 연장입양가족의 적응을 방해하는 장애물과 적응을 위해 가족들이 동원하고 활용하는 자원과 전략들이 포함되었다. 적응과정상의 국면들은 낯선 만남, 충격, 고군분투, 조절, 안정 등 다섯 가지 국면으로 구성되었다.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을 방해하는 장애물들로는 문제행동, 잃어버린 시간, 준비 부족, 경험 부족, 악순환의 고리, 혼자 버팀, 부적절한 자원, 지지 받지 못함, 비난 받음 등이 있었고, 연장입양가족들이 활용하는 자원과 전략으로는 양육 경험, 지적 능력, 의지, 신앙, 관점 전환과 같은 개인 자원과 능력, 배우자나 다른 자녀와 같은 가족 자원, 확대가족, 친척, 친구, 이웃, 다른 입양가족과 같은 비공식 지지체계, 입양실무자나 원조전문가들과 같은 공식 자원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분야에서 연장입양가족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djustment process of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and to generate a substantial theory.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mothers adopting an older child and analyzed data with qualitative analysis approach. From the analysis, theoretical model has been made, and the model includes the adoptive families` diverse experiences, barriers to adjustment as well as resources and strategies that they mobilized and used for smooth adjustment. Their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adjustment consisted of five phases: unfamiliar meeting, shock, fighting alone without support, control, and stability. Barriers to adjustment process were composed of adoptees` problem behaviors, loss of time, lack of preparation, lack of experiences, repetition of the vicious circle, withstanding alone, improper resources, lack of support, and being criticized. Resources and strategies that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utilized were individual resources and ability such as rearing experiences, intellectual ability, willingness, belief, and perspective change; family system such as spouse and other offsprings; informal support system such as extended families, relatives, friends, neighbors, and other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formal resources such as adoption workers and helping professionals. From our results,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e guidelines to help adjustment experiences for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 KCI등재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익중(Ick Joong Chung),박재연(Jae Yeon Park),김은영(Eun Young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4 No.-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중학교, 인문계고, 전문계고 총 54개교에 재학중인 학생 4,076명과 청소년쉼터, 소년원에 있는 학교밖 청소년 4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재학여부와 상관없이 성별, 우울, 유명인 자살보도는 자살생각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자살위험요인으로 밝혀진 음주, 수동적 삶의 자세, 주변인 자살, 가정불화, 친구와의 갈등, 자살사이트 방문경험 등이 학교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밖 청소년은 이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상태가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학교 재학여부와 상관없이 성별, 음주, 주변인 자살, 자살 사이트 방문경험이 자살시도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수동적 삶의 자세, 우울, 충동성, 친구와의 갈등 등이 학교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밖 청소년은 이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명인 자살보도가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예방과 개입전략에 대해 차별적 강조점과 필요한 정책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predict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school youth and out-of-school youth.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12 to 18 consisted of 4,076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423 out-of-school youths in shelters and juvenile detention centers. Dat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whether they attended school, sex, depression, media coverage of celebrity suicid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drinking, passive attitude, suicide survival, family discord, conflict with friends, and suicide website visits appeared to influence suicidal ideation of school youth. In contrast, these factors appeared to be unrelated to suicidal ideation of out-of-school youth but economic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affect. Second, regardless of whether they attended school, sex, drinking, suicide survival, suicide website visits were identified to predict suicidal attempts. Passive attitude, depression, impulsivity, conflicts with friends appeared to affect suicide attempts of school youth. In contrast, these factors appeared to be unrelated to suicidal attempts of out-of-school youth but media coverage of celebrity suicide was a significant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the necessary policy measures for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were presented with a special emphasis on differences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youth in predict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 KCI등재

        종사자 소진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익중(Chung, Ick-Joong),이경림(Lee, Kyung-Rim),이정은(Lee, Jeong-E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3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소진이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서비스 성과를 낮출 것이라는 주장은 많지만 위계적 성격의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위계적 성격을 반영할 수 있는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활용하여 종사자 소진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아동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606개의 지역아동센터에 소속된(nested) 5,178명의 아동, 606명의 종사자에 대한 자료가 사용되었다. 센터 및 종사자 특성과 아동특성 변수를 통제하고, 소진의 세 차원을 모두 조직수준(level 2)의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종사자의 소진이 보호와 학습 측면의 서비스 성과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이 높을수록 이용아동이 인식한 서비스 성과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소진의 세 차원 중 개인적 성취감 결여 차원만이 서비스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사회복지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Due to the difficulty of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hierarchical nature of data,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on the effect on the workers" burnout on service outcom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workers" burnout as a level-2 predictor on service outcome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 to reflect the nested nature of data. Subjects consisted of 5,178 children and 606 workers nested within 606 community chil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trolling for children"s(level-1), centers"(level-2), and workers"(level-2) characteristics, workers" burnout as a level-2 predictor appear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service outcomes in terms of learning and protection. Among sub-scale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of burnout,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was a significant variable. A lower level of workers" personal accomplishment in community child centers led to a greater decrease in service outcomes in terms of children"s learning and prote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in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