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퇴소생의 퇴소 후 생활 경험 연구

        권지성(Kwon Ji-Sung),정선욱(Jeong Sun-W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 퇴소생의 퇴소 후 생활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양육시설에서 퇴소한 지 5년 이상된 퇴소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제는 “고립무원”, “발목을 잡힘”, “미래를 향해 달려감”으로 나타났다. 고립무원은 ‘진짜 고아가 됨’과 ‘고군분투’로 구성되었다. 발목을 잡힘은 ‘시설, 떠나야 할 고향’, ‘시설 출신이라는 딱지’, ‘가족이 준 상처와 흔적’으로 구성되었다. 미래를 향해 달려감은 ‘시설에서 얻은 것’, ‘함께 일어서기’, ‘미래를 바라봄’, ‘현실을 박차고 달려나감’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시설 퇴소생들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dults after leaving the care of the institu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have collected various data from participants who left child care institution more than five years ago and analysed these data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key themes namely, "isolation-helplessness", "being chained to their past", and "marching towards a better future". "Isolation-helplessness" is divided into "becoming a real orphan" and "fighting alone the unsupported". "Being chained to their past" are composed of "institution, a hometown that one needs to leave", "being marked as a institutionalized person" and "scars and marks". Lastly, "marching towards a better future" are grouped into "taking advantage of institutional experience", "helping each other", "drawing a fine picture of their future happiness" and "moving ahead sweeping aside all difficulties". Lastly, this study suggested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enhance wellbeing of adults that have left the institutional care.

      • KCI등재

        국내 입양부모의 입양 후 적응을 위한 사후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권지성 ( Ji Sung Kwon ),변미희 ( Mi Hee Byun ),안재진 ( Jae Jin Ahn ),최운선 ( Woon Sun Choi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doptive parents’ experiences of adoptive service after adoption. To attain this goal, Regional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1-2 times in nine regions including South Seoul & Gwacheon, North Seoul & North Gyeonggi, West Seoul, South Gyeonggi, Daejeon, Jeonbuk, Gwangju, Busan and South Gyeongsang. 14 adoptive father and 68 adoptive mother were involv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ategorizing analysis. The results showed as this. First, adoptive parents recognizes that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 of the public about adoption. Adoptive parents have recognized that teachers, psychotherapists and Administrative staff should be changed their perception of adoption. Second, adoptive children are needed service for psychological,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ird, adoptive child allowances, medical care,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upport were a great help for adoptive parent in raising adopted children. Adoptive parents had wanted to participate small camps and various training programs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권지성(Ji Sung Kw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개입양가족들이 경험하는 적응의 의미와 적응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개입양가족들이 경험하는 적응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현장은 공개입양이라는 문화를 공유하는 문화공유집단, 엠펙(한국입양홍보회, MPAK)이었으며, 핵심 정보제공자들과 주요 정보제공자들을 중심으로 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공개 입양가족들이 경험하는 적응과정을 분석한 결과, 공개입양가족들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주제는 전통적인 문화에 대한`도전을 통해 하나의 가족을 이루어가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제는 구체적인 적응과정에 따라 다시 다음과 같은 하위주제들로 나누어졌다. 첫 번째, 입양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위주제는 `혈연중심의 가족문화에 대한 도전을 통해 가족을 이루어가기`였다. 이는 혈연중심의 가족문화와 그것으로 인해 입양가족을 특별한 것으로 인식하고 가족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배타적 문화에 도전하는 과정을 통해, 법률적인 가족으로서 가족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두 번째, 가족내 공개과정에서 나타나는 하위주제는 `내재화된 비밀입양 전통에 대한 도전을 통해 가족을 이루어가기`였으며, 이는 입양부모들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비밀입양 전통에 도전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 번째, 가족외 공개과정에서 나타난 하위주제는 `가족 외부의 비밀입양 전통에 대한 도전을 통해 가족을 이루어가기`였으며, 이는 공개입양가족 외부의 사회 구성원들간에 공유되는 비밀입양 전통에 도전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공개입양을 한다는 것은 수많은 어려움을 기꺼이 무릅쓰고 도전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도전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개입양을 장기적, 맥락적으로 진행해 가야 할 것이며, 자조모임의 참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adaptation open adoptive families are experiencing. A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 How are open adoptive families experiencing the process of adaptation? This study employed ethnography to examine this question. The research field is MPAK(Mission to Promote Adoption in Korea), which is an adoptive families` self-help group. Data for analysis are gained mainly from interviews with key informants, participant observ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rom analysis for the process of adaptation, this researcher discovered cultural theme, that is, `shaping a family through challenging convention.` This theme consists of three sub-themes discovered from specific adaptation processes. `In conclusion, adopting children openly in Korean society is a process of challenging and overcoming many anticipated difficulties. To gain a victory as an outcome of challenging, adoptive families should proceed open adoption in the long time and extensive context and participate in self-help groups.

      • KCI등재후보

        사회재난 당사자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대도시 가스폭발 사고를 중심으로

        권지성 ( Ji Sung Kwo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재난 당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가스폭발사고를 사회재난으로 규정하고, 이 사회재난과 관련된 당사자들(피해자, 공공기관 담당자, 민간단체 지원자)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사건 개요와 개별 당사자들의 경험에 대한 기술 및 이슈 분석, 그리고 당사자들의 경험을 통합한 주제분석 결과로 구성하였다. 통합분석 결과는 예방체계, 대응체계, 사회 반응, 수습과 보상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영역별로 주제와 하위주제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재난에 대한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ocial disaster stakehold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a gas explosion incident occurred in a metropolitan city as social disaster,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 with stakeholders(a victim, a public official, and a volunteer in private organization) of this social disaster, and analysed the data with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an outline of this incident, description and issue analysis of individual stakeholder``s experience, and theme analysis integrating these stakeholders`` experience. Also, results of integrative theme analysis were divided with four area, that is, preventive system, reactive system, social response, and probation and compensation, and themes and sub-themes were presented by each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coping system with social disaster were suggested.

      • KCI등재

        성인 입양인의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권지성 ( Kwon Ji Sung ),최운선 ( Choi Woon Sun ),변미희 ( Byun Mi Hee ),안재진 ( Ahn Jaej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성인이 된 입양인들이 발달과정을 통해 형성해 온 정체성의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만 18세 이상의 성인 입양인 11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맥락-패턴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입양인 정체성의 패턴은 자아 정체성과 입양가족 정체성, 원가족 정체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인 입양인이 형성한 정체성의 맥락에는 입양가족의 맥락, 입양공동체 맥락, 친생부모 체계의 맥락과 사회환경 체계의 맥락이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입양인의 정체성이 자기정체성 이외에 입양가족 정체성 및 원가족 정체성과 연결되고 통합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입양 공동체와 사회환경 체계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입양인들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실천지침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ext and patterns of identity that currently adult adoptees have formed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1 adult adoptees (over 18 years old) and analyzed with a context-pattern approach. The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identity patterns of adult adoptees consist of ego-identity, adoptive family identity, and birth family identity. Also, the context of identity development was related with adoptive family context, adoption community context, birth parent context, and social environmental system context.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ones in that it has found that the adoptee’s identity can be related to and integrated with the adoptive family identity and birth family identity as well as ego-identity and how specifically adoption community and social environmental system impact on adoption ident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practical guidelines related to adoptee’s identity development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장기근속의 맥락과 패턴

        권지성 ( Ji Sung Kwon ),이현주 ( Hyun Joo Lee ),박애선 ( Ae Sun Park ),이미선 ( Mi Seon Le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장기근속의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만 10년 이상 장기근속중인 사회복지사 6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맥락-패턴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례별로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 전체 사례들의 경험을 통합할 수 있는 장기근속의 맥락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기근속의 맥락을 구성하는 사물들과 의미들을 살펴보면, 조직문화는 ``살리는 문화, 죽이는 문화``, 인적 자원은 ``이끄는 힘, 지도자``, ``붙드는 힘, 동료``, ``돌봄의 힘, 하급자`` 등이었고, 조직과 자신에 대한 ``동일시``가 나타났으며, 다양한 사업을 순차적으로 또는 하나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내 사업(들)``을 갖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을 터득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가 상대적으로 간접적이거나 미미한 것들로는 법인(조직을 움직이는 손), 네트워크(멀리 있는 지원군), 가족(가족 덕분에 또는 가족 때문에) 등이 있었다. 장기근속의 패턴으로 나타난 것은 ``터득``,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 ``장기근속의 딜레마``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장기근속과 관련된 이슈들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복지행정의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pattern of long service that social workers have experienced.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ocial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over 10 year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context-pattern analysis. The context of long service are composed of these things and their meaning; ‘organizational cult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human resource’, identified ‘organization’, ‘my work’, ‘foundation’, ‘network’, and ‘family’. Long service social workers have experienced the pattern of ‘mastering’ their practic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ompetence in process of ‘crisis’ and coping sequences, and ‘dilemma of long servic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guidance to handle the issues of long service social workers.

      • KCI등재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보수교육의 맥락에 관한 질적 연구

        권지성(Kwon, Ji S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보수교육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수교육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제한된 강사진과 주제 등에서 찾고 있었다. 보수교육은 운영체계의 영향을 받으며, 프로그램과 강사에 의해 다르게 운영되고 경험되었다. 보수교육 참여는 사회복지사들이 속한 사회복지조직 내의 직원교육체계, 인적 자원, 조직상황, 업무에 따라 달라졌으며, 사회복지사업법과 시설평가체계,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원체계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체계를 강화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지침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continuing education.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group interviews with social workers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As results, the social workers" satisfaction with the continuing education was not high, and the reason was found from the quality of instructors and limited topics. Continuing education is affected by the operating system, and is operated and experienced differently by the program and instructors. Participation in continuing educ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employee training system, human resources, organizational status, and work with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o which social workers belong, and the Social Welfare Act, the facility evaluation system, and local governments acted as support systems. Based on these results, guidelines to be considered when reinforcing the continuing education system for social worker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가정위탁 당사자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권지성 ( Ji Sung Kwon ),정익중 ( Ick Joong Chu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지역과 세계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위탁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그들이 경험한 가정위탁 현상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가정위탁과 관련된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가정위탁 유형(대리가정위탁, 친인척위탁, 일반가정위탁)과 당사자 집단(위탁부모, 위탁아동, 친부모)별 사례 간 분석 결과와 전체 가정위탁 당사자들의 경험을 관통하는 주제들을 발견하는 통합분석 결과로 구성되었다. 통합분석 결과로 나타난 주제는 ‘부모가 된다는 것 또는 자녀가 된다는 것’, ‘갑작스런 만남 또는 준비된 만남’, ‘끈을 붙잡기 또는 훌훌 털어버리기’, ‘힘들지만 괜찮아’, ‘보이지 않는 지원, 손에 잡히지 않는 도움, 듬성듬성한 지원체계’, ‘가정위탁.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제도인가?’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가정위탁 당사자들의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foster car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s of stakeholders in foster care. In-depth interviews with foster care stakeholder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deriv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types of foster care(grandparent foster care, kinship foster care, non-kinship foster care), results from within-case analysis, and major themes from subject analysis. In the process, major themes were discovered in every case of foster care stakeholders. Such conceptions were “becoming foster parents or foster children”; “unexpected meeting or expected meetings”; “holding lines to get supports or putting aside”; “it is not easy, but endurable”; “invisible supports, uncatchable helps, poor support systems”; and “foster care, for who?, for w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cy recommendations and practical guidelines a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welfare for stakeholders in foster care.

      • KCI등재후보

        입양부모의 입양관련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입양가족캠프, 자조모임, 입양합창단을 중심으로

        권지성 ( Kwon Ji Sung ),변미희 ( Byun Mi Hee ),안재진 ( Ahn Jae Jin ),최운선 ( Choi Woon Su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입양부모의 입양관련 활동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입양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입양관련 활동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세 가지 입양관련 활동들을 사례로 규정하여 각 활동별로 입양부모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사례 내 분석과 각 활동의 범위를 넘어서 입양관련 활동들을 통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것들과 차이점들을 분석하는 사례 간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제들은 ‘다중결과성 또는 동등결과성’, ‘관계의 중심성’, ‘변화의 지점 찾기’, ‘활동 그 자체의 의미’, ‘입양가족으로서 성장하기’ 등이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입양가족의 적응을 돕기 위한 사후서비스 차원의 활동들을 기획할 때 고려해야 할 지침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doptive parents in activities related with adoption. To accomplish this goal, researchers collected data on the adoptive parents experience of activity related with adop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doptive parent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es. In the data analysis, the three types of adoption-related activities were defined as cases, and the analyzes were made in the case of adoptive parents' perspective in each activity. The topics emerged from between-case analysis are as follows: ‘multifinality or equifinality’, ‘centrality of relationships’, ‘finding a point of change’, ‘meaning of the activity itself’, ‘growing as an adoptive family’. Based on the results, the practical guideline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ctivities to help the adoptive family adapt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