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이 모의 양육 수행 역량에 미치는 영향: 모의 부모-자녀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은화(Eun Hwa Jeong),김지영(Ji Young Kim),이현아(Hyun A Lee),이강이(Kangyi Lee)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child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child education conflict and parenting role competence.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data on 155 mothers of children aged 8 years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SKPEI) in 2018 (2nd year). Results: First, the work-child education conflict of moth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ir parenting role competence. Second, the mother-child identif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parenting role competence.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child education conflict and mother-child identification on parenting role competence was significant. A working mother with a high level of mother-child identification represent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parenting role competence,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severe work-child education conflict. Conclusion: In the background of a Korean culture where parents identify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revealed how much working mothers are willing to make sacrifices for their children, even though work-child education is incompatible. It also proposed the need for policy and social support to assist them as parents.

      • KCI등재후보

        국내 노인 여가활동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정은화(Jeong, Eun-Hwa)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19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1 No.2

        목적: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노인의 여가활동을 조사함으로써 노인 여가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서울, 경기, 충청, 전북 지역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노인 여가 활동에 대한 폐쇄형 설문과 실제로 본인이 참여하고 있는 여가 활동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국내 노인들이 여가 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에 대한 폐쇄형 설문조사 결과는 TV시청이 가장 높았고, 휴식, 산책/걷기, 국내 여행하기, 집안일(취미), 공원 가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실제로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에 대한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는 TV시청이 가장 많았고, 산책/걷기, 성경책/불경 읽기, 텃밭 가꾸기, 마을회관/노인정 가기, 집안일(취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우리나라 노인의 여가활동은 TV시청과 같은 수동적인 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은 참여비율이 비교적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이유는 노인의 여가 인식 및 여가시간 활용이 낮기 때문이다. 작업치료는 여가 영역에 전문성을 가진 분야로써, 노인의 여가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를 강화하고, 노인 여가 탐색 및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by surveying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Methods : It surveyed 100 senior citizen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North Jeolla provinces on closed-questionnaire of leisure activities of old people and open-questionnaire of leisure activities they actually participate in. Results: The results of a closed-questionnaire on activities that the elderly in Korea usually do in their leisure time showed TV view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st, walking/walking, traveling in Korea, housework(hobby) and going to the park. The results of an open-questionnaire of leisure activities that the elderly are actually participating in showed that TV viewing was the most popular, followed by walking/walking, reading the Bible/the Buddhist scriptures, gardening, going to the community center/the elderly, and doing housework(hobby). Conclusion: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Korea are the most involved in passiv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active leisure activities is relatively low. This is because the elderly have low awareness of leisure and use of leisure time. Occupational therapy is a field with expertise in the leisure area and should strengthen community-based work processes to promote leisure participation by the elderly, while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leisure exploration and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양육 및 교육지원 유형 -코로나19로 인한 초등학교 1학년 온라인 학습상황을 중심으로-

        정은화(Jeong, Eun Hwa),이강이(Lee, Kangyi)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기주도학습이 어머니의 양육(양육스트레스) 및 교육지원(학습관여행동)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어머니의 유형 결정에 있어서 교사, 아버지가 영향요인이 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잠재프로파일 분석, 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이용하여 SPSS 25.0과 Mplus 8.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학습관여행동의 유형은 양육스트레스가 낮고 학습관여행동이 높은 안정형, 두 변수 모두 높은 노력형, 두 변수의 수준이 중간인 보통형, 양육스트레스가 높고 학습관여행동이 낮은 무기력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고 학습관여행동이 높은 안정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가 높고 학습관여행동이 낮은 무기력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학습관여행동에 따른 잠재계층유형별로 예측 요인이 차별적인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교사와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높으면 다른 요인에 비하여 안정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기주도학습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과 교사, 아버지와 같은 사회적 지원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educational support in the online class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of 1st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derived; and to identify whether teachers and fathers are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maternal typ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from 400 mothers who have 1st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Mplus 8.0 to compute for LPA,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PS) and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 (LIB) are divided into four types: stable (low PS - high LIB), struggling (high PS - LIB), common (moderate PS - LIB), and lethargic (high PS - low LIB). Second, children s self-directed learning was highest in the stable type and lowest in the lethargic type. Third, the more active th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 father 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the more likely the mother would be in the stable type.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mothers in children s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and fathers.

      • KCI등재

        미용서비스 직업의 특성에 따른 미용종사자의 성과만족, 직무만족, 인지적·무인지적 만족 미치는 영향

        다운 ( Da-un Jung ),유민 ( Min-jung Yoo ),정은 ( Jeong-eun Park ),박동은 ( Dong-eun Park ),박은준 ( Eun-jun Park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3 미용예술경영연구 Vol.7 No.3

        Due tothe structual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service has become a major part in the current industrial structure. Meanwhile the need for beauty increased and the beauty industry widened its spectrum. As the beauty industry subdivided, the work environment has changed, personal satisfaction has changed and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is has also changed. In this study, it is our objective to asses the satisfaction in result, job satisfaction, non-recognition and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to see what effects these satisfactions have for the beauty industry.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primaty factor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results wull reveal that which factors ha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and reduce separation rate.

      • SCOPUSKCI등재

        아민과 4급 암모늄염을 이용한 유기 magadiite의 제조

        정은일 ( Jeong Eun Il ),순용 ( Jeong Sun Yong ),권오윤 ( Kwon O Yun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7

        본 연구에서는 우라늄 변환시설 내 방사성 슬러지 폐액의 처리를 위한 일련의 공정 중 물에 의한 질산염 제거 공정에서 질산염의 용해 특성과 탈염 후 고액 분리된 잔류 불용해물의 안정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질산염 제거 공정은 슬러지에 대한 물의 첨가비를 변화시켜 수행하였으며, 질산염을 제거한 후 남아있는 잔류 불용해물의 건조 특성은 TG/DTA, FTIR. XRD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물 첨가비 2.5에서 슬러지 내 함유된 질산염은 약 97 wt%이상 제거 가능하였으나, 잔류 불용해물 내에는 소량의 Ca(NO₃)₂와 NaNO₃가 함유되어 있었다. 이들은 500 ℃ 이상의 조건에서 분해되었으며, 잔류 불용해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CaCO₃는 750 ℃ 이상에서 CaO로 분해되었다. 또한 잔류물 내 존재하는 6가 형태의 UO₂(NO₃)₂을 안정한 우라늄화합물인 4가 형태의 U₃O_(8)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잔류물은 약 800 ℃ 이상에서 열분해 해야만 한다. 물 첨가비 2.5의 조건에서 질산염 제거 후 잔류물을 900 ℃에서 열분해한 결과 폐기물을 약 80% 감용할 수 있었다. Well-developed Na-magadiite was hydrothermally synthesized at various conditions from sodium silicate solution neutralized by hydrofluosilicic acid. Magadiite prepared was intercalated with amine and quaternary ammonium salt having various carbon numbers. As the concentration of amine compound increases, d-spacing of organo-magadiite increases. Also d-spacing of organo-magadiite increases in the range of 14.1-35.7Å with increase of carbon numbers of amine compound. On the other hand, d-spacing of organo-magadiite ion-exchanged with quaternary ammonium salt greatly increased up to 30.5-50.6Å, depending on the carbon number of alkyl group. Weight loss of organo-magadiite intercalated by amine abruptly occurred at -100℃ in thermal analysis, but weight loss of organo-magadiite intercalated by quaternary ammonium salt did not occur till 200℃. From abov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layers of magadiite was easily expanded by the intercalation of amine or quaternary ammonium salt. Particularly, organo-magadiite intercalated by quaternaryt ammonium salt showed high thermal stability. These organo-magadiite having well-detached plate structure and high thermal stability can be effectively used as inorganic filler of polymeric anocomposite.

      • SCOPUSKCI등재

        규산나트륨과 플루오르화 규소산을 이용한 층상 실리케이트의 합성

        정은일 ( Jeong Eun Il ),순용 ( Jeong Sun Yong ),한명완 ( Han Myeong Wan ),권오윤 ( Kwon O Yun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7

        플루오르화 규소산과 규산나트륨의 중화반응으로 생성된 실리카 슬러리를 실리카 원료로 이용하여 Na-magadiite와 Na-kenyaite를 합성하였다. 반응은 다양한 조성, 온도, 시간의 변화를 주면서 수열조건에서 수행되었다.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무정형 실리카 → Na-magadiite → Na-kenyaite → Quartz의 순서로 결정의 상변화가 일어났으며, 상변화는 온도의 증가에 의해 더욱 촉진되었다. 특히 SiO₂/Na와 H₂O/Na의 낮은 몰 비에서는 무정형 실리카로부터 magadiite 결정이 형성되는 반면, 높은 몰 비에서는 무정형 실리카로부터 kenyaite 결정이 직접 형성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실리카 원료로서 가장 저렴한 규산나트륨과 인산비료 공정의 부산물인 플루오르화 규소산을 이용하여 결정성 좋은 Na-magadiite와 Na-kenyaite의 제조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합성방법은 Na-magadiite와 Na-kenyaite의 경제성 있는 대량생산 공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Na-magadiite and Na-kenyatie were synthesized from the silica slurry obtained by the neutralization reaction between hydrofluosilic acid and sodium silicate solution. The crystallization was carried out under hydrothermal condition at various compositions of reactants,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As reaction time increases, amorphous silica was converted into Na-magadiite, which, in turn, was continuously converted into Na kenyaite. Finally, Na-kenyaite converted to quartz. Phase transformatin was accelerated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Particularly, amorphous phase is directly converted into Na-kenyaite without the formation of magadite as an immediated in the case of high mole relatively cheap sodium silicate and hydrofluosilicic acid as silica sources. The hydrofluosilicic acid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by produc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hosphoric acid. This synthetic method can be adopted as one of the effective commercial proces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