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틸팅차량의 네트워크 협업 엔진 구현

        정유진,한성호,송용수,Chung, Yoo-Jin,Han, Seong-Ho,Song, Yong-Soo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06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2 No.2

        Tilting technology is to tilt the train on the curve in order to minimize centrifugal force to passengers and to improve the speed within the limits of passenger's comfort and safety. According to reports from other countries, there is 15~30% spee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ins. Recently, the advent of World-Wide-Web(WWW) and the explosive popularity of the Internet gave birth to collaborative applications which were enabled by computers and networks as their primary media. The progress of 3D computer graphics enabled collaborative applications with 3D virtual environments 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explain our implementation of the Share collaboration engine which is for collaboration applications based on a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The Share collaboration engine proposes a new Share network architecture for management of participants, and it provides some synchronization methods for 3D objects in virtual collaboration. TTX_PDM is an experimental application that tries to prevent wastes of human, material and time resources in networked virtual collaboration.

      • KCI등재

        웹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자기주도적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정유진(Yoo-Jin Chung),박은희(Eun-He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Html, CSS, JavaScript, Dhtml 등의 웹 언어를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웹-기반 코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각 단원별로 이론 학습 및 동영상 학습, 실습, 형성평가, 과제실과 자유게시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수자가 그러한 학습내용을 토대로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여 웹상에서 교육, 평가, 성적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특히, 한 화면에서 동영상을 보면서 화면의 이동 없이 따라하며 실습하고 결과보기를 할 수 있어, 웹 언어 학습 내용을 학습자 스스로 충분히 숙지하고 실습할 수 있는 웹-기반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는 텍스트로 즉각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웹 언어를 효율적으로 실습해 볼 수 있어 학습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흥미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web-based courseware where learners can do self-directed learning to study Web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Html, CSS, JavaScript and Dhtml. Each section consists of text class, movie class, practice class, formative assessment, laboratory and bulletin board. And our courseware makes teachers to teach, assess and give scores to learners on Web. In our Web courseware, learners can play a movie class and practice Web programming codes in one screen simultaneously, and execute codes and confirm a results in the same screen also. Therefore, learners can understand Web programming languages efficiently, which are hard to understand immediately by text.

      • KCI등재후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가 실어증환자의 낱말 이해 및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유진(Yoo Jin Chung),김영태(Young Tae Kim),심현섭(Hyun Sub Sim),남기춘(Ki Chun Nam),권미선(Mi Seon Kw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가 실어증환자의 낱말 이해 및 정답률에 미치는 효과와 비훈련 낱말에 대한 이해 및 정답률에 미치는 반응일반화 효과, 그림카드에 대한 이해 및 정답률에 미치는 자극일반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발병경과 1년 이상의 이름대기 문제를 보이는 실어증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치료는 대상자 세 명의 낱말 이해 및 표현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명의 대상자 모두에서 비훈련 낱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대상자 세 명 모두는 컴퓨터 화면으로 습득한 낱말에 대한 이해 및 정답률을 그림카드로 일반화할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computer treatment program providing word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on language performance in aphasic adults were examined with a single subject. design. Three aphasic patients have received intensive training on the Etalkie program: Two patients with Broca's aphasia and one with conduction aphasia. The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who visited the medical center for aphasia assessment.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tilized to examine treatment efficacy and generalization. Twenty treatment sessions followed, with four treatment phases respectively consisting of at most five sessions. Sessions took place three times a week.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to words were taken in order to measure treatment efficacy as well as generalization during the baseline phases and treatment phase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scored with O/X coding syst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naming ability was facilitated by computer based word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reatment program and (2) the treatment effects were generalized to non-trained items and picture card stimuli.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uter based treatment program is beneficial to word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 Python 통합 개발 환경 구축

        정유진(Yoo-Jin Chung),이태형(Tae-Hyung Lee),김의태(Eui-Tae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2

        Python은 통합 개발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Python을 이용해 개발하는 경우 대부분 Vi 혹은 Emacs 같은 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해 코딩을 하고 다시 터미널 혹은 콘솔로 나와 일일이 디버깅을 해야만 한다. 게다가 import 한 모듈의 API에 대해서 알고 싶으면 Python Interpreter에서 다시 봐야 하는 등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 화면에서 편집, 컴파일, 수행결과 보기, 디버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Python 통합 개발 환경을 구축하였다.

      • KCI등재
      • 문화소외계층 청소년 대상 EBP 기반 환경교육과정 개발모형 연구

        정유진 ( Yoo Jin Chung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1 아동복지연구소 보고서 Vol.2021 No.15

        본 연구는 EBP(근거기반실천: evidence-based practice) 연구의 적극성이 부재한 현재에 현장 기반 연구를 토대로 문화소외계층의 교육 기회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환경교육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환경교육과 EBP 연구 현황을 분석하여 현재 출판되고 있는 초 · 중 · 고 교과서와 연계된 통합적 단원 설계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에 앞서 사회복지를 포함한 대인 서비스 분야에 EBP가 적용되고 있으나 학습자 주도형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는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문화소외계층 학습자의 낮은 자아존중감 및 학업 성취도를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1990년대 이후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친환경적인 삶의 가치와 행동 양식 형성 목적으로 진행되는 환경교육의 순기능을 달성 가능한 교육모형을 수립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총 5단계로 구성되었고 문제 구체화 1단계부터 교육모형 평가 기준 수립의 4단계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부터 고둥학교에 재학 중인 문화소외계층 청소년 대상 교육모형이 ‘문제 만들기’, ‘탐구 내용 구체화 및 탐구하기’, ‘탐구 결과 공유하기’, ‘하반기 혹은 다음 학년 프로그램 제시’ 의 4단계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소외계층 청소년 실제 고육 진행 후 적용된 결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 환경교육 실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적 단원 설계 실행과 더불어 공교육 내 교육환경의 변화를 촉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that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tiv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underprivileged cultural adolescent. I used field-based research of EBP (Evidence based Practice) to conduct an integrated class design connected with the currently publish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BP research. The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stages, and from the first stage of problem-specificity to the fourth stage of establishing educational model evaluation standards.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al model for an underprivileged cultural adolescent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embodied in four stages: ‘Creating problems”, “Specifying and exploring inquiry contents”, “Sharing Exploration Results”, and “Presenting programs for the second half or next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I propose a future study to evaluate the results applied after actually presenting the integrated class design from this study and implement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on a social level.

      • 문화소외계층 청소년 대상 EBP 기반 환경교육과정 개발모형 연구(2)

        정유진 ( Yoo Jin Chung ) 어린이재단 2021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1 No.-

        본 연구는 EBP(근거기반실천: evidence-based practice) 연구의 적극성이 부재한 현재에 현장 기반 연구를 토대로 문화소외계층의 교육 기회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환경교육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환경교육과 EBP 연구 현황을 분석하여 현재 출판되고 있는 초 · 중 · 고 교과서와 연계된 통합적 단원 설계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에 앞서 사회복지를 포함한 대인 서비스 분야에 EBP가 적용되고 있으나 학습자 주도형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는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문화소외계층 학습자의 낮은 자아존중감 및 학업 성취도를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1990년대 이후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친환경적인 삶의 가치와 행동 양식 형성 목적으로 진행되는 환경교육의 순기능을 달성 가능한 교육모형을 수립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총 5단계로 구성되었고 문제 구체화 1단계부터 교육모형 평가 기준 수립의 4단계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부터 고둥학교에 재학 중인 문화소외계층 청소년 대상 교육모형이 ‘문제 만들기’, ‘탐구 내용 구체화 및 탐구하기’, ‘탐구 결과 공유하기’, ‘하반기 혹은 다음 학년 프로그램 제시’의 4단계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소외계층 청소년 실제 고육 진행 후 적용된 결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 환경교육 실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적 단원 설계 실행과 더불어 공교육 내 교육환경의 변화를 촉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that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tiv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underprivileged cultural adolescent. I used field-based research of EBP (Evidence based Practice) to conduct an integrated class design connected with the currently publish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BP research. The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stages, and from the first stage of problem-specificity to the fourth stage of establishing educational model evaluation standards.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al model for an underprivileged cultural adolescent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embodied in four stages: ‘Creating problems”, “Specifying and exploring inquiry contents”, “Sharing Exploration Results”, and “Presenting programs for the second half or next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I propose a future study to evaluate the results applied after actually presenting the integrated class design from this study and implement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on a social level.

      • KCI등재후보

        2세의 건강했던 여환에서의 노로바이러스 소뇌염 1예

        정유진(Yoo Jin Chung),이광철(Kwang Chul Lee),김건하(Gun-Ha Kim),은소희(So-Hee Eun),은백린(Baik-Lin Eun),변정혜(Jung Hye Bye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5 No.3

        Norovirus causes acute gastroenteritis, occasional afebrile seizures, and rarely en cephalitis. We describe a child with cerebellitis due to norovirus that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A previously healthy 2-year-old girl with a recent history of acute gastroenteritis, who presented with acute cerebellar ataxia. She exhibited marked truncal ataxia, was barely able to walk, and was prone to sitting or lying down. Multiplex PCR using stool samples revealed norovirus (genogroup II)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increased T2 signal in the hemi-cerebellum. Norovirus may be a potential pathogenic cause of acute cerebellitis in children.

      • KCI등재

        센서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기반의 에너지 효율형 센서 스케쥴링 연구

        최욱,이용,정유진,Choi, Wook,Lee, Yong,Chung, Yoo-Ji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9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8 No.3

        Due to the application-specific nature of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sensitivity to such a requirement as data reporting latency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s, thus requiring application-specific algorithm and protocol design paradigms which help us to maximize energy conservation and thus the network life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lay-adaptive sensor scheduling scheme for energy-saving data gathering which is based on a two phase clustering (TPC). The ultimate goal is to extend the network lifetime by providing sensors with high adaptability to the application-dependent and time-varying delay requirements. The TPC requests sensors to construct two types of links: direct and relay links. The direct links are used for control and forwarding time critical sensed data. On the other hand, the relay links are used only for data forwarding based on the user delay constraints, thus allowing the sensors to opportunistically use the most energy-saving links and forming a multi-hop path.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cluster-based delay-adaptive data gathering strategy (CD-DGS) saves a significant amount of energy for dense sensor networks by adapting to the user delay constrai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