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채와 종교의 융합적 연구 -테켈레트 분석을 통한 기독교 색채 특성-

        정유나(Jeong, Yoona)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색채와 종교에 관한 연구로 기독교의 구약에 나타난 색채어 테켈레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색채는 형태와 소재와 더불어 디자인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특히 색채는 빛의 속성을 가지고 인간에게 빠르고 쉽게 인지된다. 따라서 색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무엇인가를 상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적이면서 또한 한국에서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독교를 대상으로 기독교문화를 형성하는 성경중 구약을 분석하여 성서시대의 문화를 색채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방법은 성서학에 기인한 문헌고찰법으로 히브리어 성경원본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4th edition과 영문 역본-New International Version, New King James Version, American Standard Version, 한글 역본-개역한글판, 개역개정판, 표준새번역 및 주석들과 참고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테켈레트의 용도는 지역적으로는 이스라엘과 이방나라로, 시대적으로는 기원전 1,500년경 출애굽시대, 1,000년경 솔로몬왕국시대, 그리고 이스라엘의 멸망시기인 500년경으로 구분되며 항목별로는 여호와의 공간 관련 용도(성막과 성전)가 49.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 제사장과 이스라엘의 옷에 38.8%로 나타났다. 즉 87.8%가 여호와와 관련한 용도이었다. 그 외 12.2%는 이방나라의 우상, 왕궁, 고관 등에 관한 것이었다. 테켈레트는 단색으로 사용될 경우 더욱 색감이 강조되었으며 다른 색과 배색으로 사용될 경우 청색, 자색, 홍색, 백색의 4색 배색이 대표적이었다. 그리고 이 4색 배색은 공간적인 용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금실이 들어간 5색 배색은 대제사장의 주요한 의복과 관련되어 사용되었다. 한편 두로, 앗수르, 바사와 같은 이방나라의 경우, 2색 배색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테켈레트는 자색을 의미하는 아르가만과 동일한 위상과 배색으로 사용되었다. 결론 테켈레트의 용도와 배색특성을 종합 분석하였을 때, 구약의 테켈레트는 이스라엘과 이방나라가 다른 특성을 보였다. 이스라엘에게는 구원과 번영의 시대, 즉 여호와가 축복하는 시대에 나타났으며, 이스라엘이 멸망하는 시대에는 이방나라의 화려함을 묘사할 때 사용되었다. 테켈레트는 여호와와 관련된 공간과 옷에 사용되어 여호와를 상징하며 여호와와 이스라엘을 연결하기 위한 색으로 이스라엘에게 테켈레트는 자색 아르가만보다 위계가 높은 색이었다. 반면 이방나라에서 테켈레트는 여호와가 아닌 우상에게 적용되었고 아르가만과 동일한 위상으로 세속적 가치를 표현하였다. Background Christianity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world’s population, with 31.2% of the world’s population according to the 2015 Pew Research Center statistics. Christianity, along with Hellenism, forms the roots of Western culture and has a profound impact on modern lif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Old Testament by analyzing Tekhelet in Christianity as a convergence study of religion and color.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was adopted as the method for this study. Text Bibles are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4th edition, New International Version, New King James Version, American Standard Version, Korean Revised Version, New Korean Revised Version, and Standard New Translation in Korean. Result When the use of Tekhelet was analyzed, regionally Israel and Gentile’s nations were divided, and by the times ca. 1,500 B.C. the Exodus, ca. 1,000 B.C. Solomon Kingdom, and ca. 500 B.C. the destruction of Israel were divided. The most items used by Tekhelet were of holy space-related items for Jehovah at 49.0%. Priests’ garments and Israelites’ garments at 38.8% were followed. The remaining items at 12.2% represented royal palace, high-ranking officers, and high goods etc. of the foreign nations. To Israel, tekhelet proved out more color when used in a single color and four color schemes of blue, purple, red, and white were typical. This four-color scheme was used primarily for spatial use, and the five-color scheme with gold thread wa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chief priest’s primary garments. To Gentile nations, tekhelet was used in the same hierarchy as argaman which means purple. Conclusion Tekhelet in the Old Testament appeared to Israel in an age of salvation and prosperity as Jehovah’s blessing, and in the time of Israel’s destruction, it was used to describe the splendor of the Gentile nations. Tekhelet was used in the space and clothing associated with Jehovah to symbolize Jehovah and to connect Israel with Jehovah. And so it was the highest color to Israel. Argaman as purple, commonly known as the color of kings and nobles, was lower in rank than Tekhelet. But in the Gentile nations, Tekhelet applied to idols, not to Jehovah, and expressed secular values on the same level as argaman.

      • KCI등재

        부평 삼릉(三稜)과 신촌(新村)이 우리나라 대중음악사에 끼친 영향

        정유천(Yoo Chun Jeong)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2 기전문화연구 Vol.43 No.2

        일제강점기 부평 지역에는 인천육군조병창이 조성되었고, 광복 이후 이 일대는 미군 캠프로 전용되면서 새로운 근대도시경관이 형성되었다. 이렇게 새로운 근대도시경관에 생겨난 대표적인 유산이 부평 삼릉(三稜)과 신촌(新村) 을 중심으로 발전한 한국의 대중음악이다. 부평 삼릉과 신촌의 대중음악 공간은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사에서 국가적으로도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는 장소임에도 그간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평 지역의인천육군조병조병창이 광복 이후 미군 캠프로 전용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한국대중음악공간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인천육군조병창의 유산 가치는 조병창 자체만이 아니라 광복 이후의 경관 변화까지 통시적으로 살펴볼 때 비로소 드러날 수 있고 심오한 이해에 기초한 활용 방안 또한 모색될 수 있다.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the Incheon Army Arsenal was created in the Bupyeong area, and since Korea’s independence, this area was converted into a US military camp, forming a new modern urban landscape. The representative legacy created in this new modern urban landscape is Korean popular music that developed around the Samneung[三稜] and Sinchon[新村] in Bupyeong area. Although the popular music spaces of Bupyeong Samneung and Sinchon have a special and national meaning in the history of popular music in Korea, no full-sca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popular music space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Incheon Army Arsenal in the Bupyeong area into the US military camp since independence. The heritage value of the Incheon Army Arsenal can only be revealed when we look diachronically not only at the arsenal itself but also at the post-liberation landscape changes, and a plan to utilize it based on profound understanding can be sought.

      • KCI등재

        국기 조형의 비례 특성에 관한 연구 -유럽 주권 국가를 중심으로-

        정유나 ( Yoo Na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조형원리의 하나인 비례를 중심으로 유럽 주권국가 45개국의 국기디자인에서 사용된 비례를 분석하고 그 비례의 특성과 국기디자인의 영향 요인들과의 상관성을 추출하고자 진행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럽 국기 사용 비례는 1:1부터 1:2의 범위 내에 15종으로 역사적 비례론과 상관성이 높았으며 사용 빈도는 2:3(34.3%), 1:2(26.7%), 3:5(11.1%) 순서이었는데 특이한 점은 그 외 12종의 비례가 1~2개국에서 사용되는 소수 비례로 유럽 국기의 개별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3 비례의 국기는 북유럽을 제외한 남, 동, 서유럽에 위치하고 주로 이탈리아어파와 발트슬라브어파에 속하는 국가, 가톨릭교와 공화국 정부형태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었다. 이 비례는 사회주의 체제와 결별한 국가들이 채택하여 비례와 이념과의 관계를 시사하였다. 셋째, 1:2 비례의 국기는 남유럽에 보다 집중되어 있고 발트슬라브어파, 가톨릭과 정교회, 공화국 정부형태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었다. 1:2 비례는 연방관련성과 사회주의 체제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영국은 북유럽, 게르만어파, 개신교, 군주국으로 유럽의 전반적인 성향과는 거리가 있었다. 넷째, 3:5 비례의 국기는 5:8과 함께 피보나치 항의 비로 황금비에 근접한 비례이며 남유럽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주로 서유럽, 게르만어파, 가톨릭 국가에서 선호하였다. 3:5 비례는 1:2, 2:3 비례와 비교하였을 때 정부형태에서 군주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유럽 국기의 특성 중 하나인 소수비례들은 종류도 다양하지만 33.3%에 해당하는 다수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었다. 이 소수비례는 다수 비례와 뚜렷하게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주로 북유럽, 게르만어, 개신교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었으며 정부형태에서 군주국과 중립국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proportions, which were used in national flags of European sovereign states(45 countries). The study has been proceeded by analyzing the proportions of national flags according to the factors like region, language, religion, government type, etc..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proportions of European states flags are distributed from 1:1 to 1:2 with 15 types, and 2:3(34.3%), 1:2(26.7%), 3:5(11.1%) are shown in order while other 12 types are 2.2% or 4.4%. 2) Proportion of 2:3, which is favorite proportion as national flag, is related to the countries with republic, catholic, Italic or Balto-Slavic,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region. 3) Proportion of 1:2 is related to the countries with republic, catholic or orthodox, Italic or Balto-Slavic, southern region than any other region. This proportion has high relationship to communism and national alliances. 4) Proportion of 3:5 is related to the countries with republic, catholic, Germanic, western region not at all southern region. This proportion as well as 5:8 is near to golden ratio 1.618 than 2:3 or 1:2. 5) 12 type-proportions, used in 15 countries, have more distinctive features than above proportions. These proportions are related to protestant, Germanic, northern region, especially monarchy or neutral countries.

      •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소비 패턴 분석

        정유나(Yuna Jeong ),유진이(Jin-Yi Yu),한우경(Woo-Kyung Han),한경숙 (Kyung-Sook Han),오용철(Young-Chul Oh)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D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의 연령층도 다양해지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범위도 확장되고 있다.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은 초창기부터 꾸준히 개발되어 왔지만 아직 부족한 면이 많다. 기본적인 소비 패턴 분석과 그래프를 통한 피드백은 대부분의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고 있으나 한계가 있다. 또한 모든 연령층에 대한 고려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은 현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 갖추지 못한 기능인 음성 인식 입력 지출 유형 분석 및 개선방향 제시 PDF 파일 생성을 통한 스마트폰과 PC간의 상호작용을 중점으로 기반 기술에 대해 서술한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하기 쉬운 UI와 위젯을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 실시간 객체 지향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정형 명세

        정유성(Youseong Jeong),최수진(Soojin Choi),강인혜(Inhye Kang),양승민(Seungmin Yang)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실시간 시스템은 응용분야의 특성상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므로 설계시 시스템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신뢰성 보장을 위한 방법으로 정형기법(formal method)을 이용한 명세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정형적인 명세를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시스템의 특성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며 자연어로 명세한 경우보다 모호함이 줄어들어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서 명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객체 지향 개발 방법론에서의 정형적인 명세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적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정형명세 언어인 Timed State Chart(TSC)를 제안한다. TSC는 Statecharts와 같은 계층적 상태 기계 모델(state machine model)로서 다양한 시간 제약사항의 명세를 위해 클럭 변수(clock variable)를 도입하여 실시간 객체(Real-Time Object 또는 RTO)를 명세한다. TSC를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표현할 수 없었던 주기와 마감시간과 같은 실시간 시스템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인터넷 중독과 인터넷 이용ㆍ태도ㆍ소외 의식의 관계

        정유선(Yoo-Seon Jeong),김재영(Jae-Young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사회과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인터넷이 보편화됨에 따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인터넷 중독 현상을 다루었다. 먼저 기존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는 변인으로 이용자의 소외 성향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그 동안 기존연구에서 이루어진 인터넷 이용행태와 인터넷에 대한 태도가 인터넷 중독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먼저 소외 성향은 무력감, 규범상실감, 고립감으로 구성하였고, 인터넷 이용은 인터넷 이용량, 분할ㆍ집중 이용행태, 인터넷 이용시간대, 이용 동기, 주 이용 서비스 등으로 대별하였다. 다음으로 인터넷에 대한 태도는 관여도와 공신력으로 구분해 접근했다. 변수들이 인터넷 중독과 어느 정도, 어떤 방식으로 관계 맺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전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중독과 이용자의 소외 성향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함께 기본적인 배경 변수들도 기존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중독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phenomenon of internet addiction which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as the Internet has increasingly become popular. By examining the existing researches first, the propensity to alienation of the Internet users was established as a variable considered having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Moreover, this research will examine what relations the status of Internet usage and the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discussed in the existing researches have with Internet addiction.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polled to find out to what extent and in what way the propensity to alienation has relations with Internet addic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ternet addiction has close relations with the propensity to alienation of Internet users. Together with this, basic background variables also were found to have the same significant relations with Internet addiction as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us, Internet addiction can be considered having complex correlation with the propensity to alienation of internet users including basic background variables. Accordingly, the perception and viewpoint on the causes and prescription for Internet addiction should be multilateral and comprehensive rather than simplistic.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