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란만의 해수 및 굴의 세균학적 연구

        최종덕,정우건,김풍호,CHOI Jong-Duck,JEONG Woo-geon,KIM Poo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3

        자란만 해수의 물리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과 자란만에서 양식되고 있는 굴에 대한 세균학적 품질을 조사하여 수출용 패류생산지정 해역수질에 합당한가를 파악함과 동시에 위생지표세균의 조성, 병원성 세균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중 자란만 해수의 수온은 $4.7^{\circ}C\~25.6^{\circ}C$, 투명도는 $3.3\~6.2\;m$, $COD\;1.67\~2.18\;mg/\ell$. $DO\;5.4\~10.0mg/\ell$. 용존질소 $1.81\~7.55{\mu}g-at/\ell$, 인산염 $0.15\~1.16{\mu}g-at/\ell$. Chlorophyll-a는 $0.95\~12.69mg/m^3$ 범위였으며 염분농도는 $31.0\~33.8\%_{\circ}$ 였다. 자란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은 수출용 패류의 생산해역의 수질기준에 합당하였다. 대장균군 최확수의 범위와 중앙치는 해수 100ml당 각각 $<1.8\~1,600. <1.8$이였으며 230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3.7\%$였고. 분변계대장균의 경우는 $<3.0\~540. <1.8$이였으며 43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1.9\%$로 한계치 $10\%$이내에 있었다. 해수중의 생균수는 해수 ml당 상층에서 $5.0{\times}10^2\~6.3{\times}10^4/m{\ell}$, 평균 4.1이었고, 하층에서 $6.3{\times}10^2\~6.3{\times}10^4/m{\ell}$ 범위에 평균 4.3으로 하층이 다소 많았다. 월별로는 6월부터 8월이 많았고 2월이 적었다. 분리된 대장균군의 분류결과 Escherichia coli가 약 $40.3\%$나 되어 오염원의 주류가 분변오염임을 알 수 있었다. 그외에 살모넬라, 시겔라, 콜레라균 등 수인성 병원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여름철인 $6\~8$월 사이에는 시료의 $7\~17\%$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굴에 대한 세균조사 결과 굴 1 g당 생균수는 $1.4{\times}10^2\~7.5}{\times}10^3$범위였고 대장균군의 최확수는 굴 1009당 $<18\~16,000$, 중앙치는 47, 분변계 대장균은 $<18\~1,400$, 중앙치는 <18로 각각 조사되었다. A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Charan Bay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conditions of the bay and compliance of waters with the recommended bacteriological criteria for the designated area of shellfish cultivation,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23 sampling stations(Fig. 1 and Fig. 2) estaslished once a month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7, During the study period, temperature ranged from 4.7 to $25.6^{\circ}C$, transparency ranged from 3.3 to 6.2m chemical oxygen demand ranged from 1.67 to 2.18 mg/$\ell$, dissolved oxygen demand ranged from 5.4 to 10.0 mg/$\ell$ dissolved nitrogen ranged from 1.65 to 7.88 $\mu$g-at/$\ell$, phosphate ranged from 0.15 to 1.16 $\mu$g-at/$\ell$, Chlorophylla-a ranged from 0.95 to 12.69mg/$\ell$.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MPN's of sea water were ranged from <1.8$\~$l,600 and <1.8$\~$540, respectively.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MPN's of oysters were ranged from <18$\~$16,000 and <18$\~$1,400,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counts in oyster ranged from $1.5\times10^2$ to $7.5\times10^3$. The bacteriological criteria of sea water in shellfish growing area should be less than 70 per 100 ml of sea water for median value of coliform MPN, and below $10\%$ of the samples which contain over than 230 for coliform MPN or over than 43 for fecal coliform MPN. The sea water from 432 samples were complied water coliform criteria recommended for designated shellfish growing area. The coliform group, fecal coliform, classification of coliform group with IMViC reactions and pathogenic vibrios were analyzed. During the study period, infectious bacteria such as Vibrio cholerae, Salmonella sp, and Shigella sp, were not detected from the samples, but detection ratios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rus were $7\~17\%$ in summer months.

      • KCI등재

        한국산 및 일본산 참굴 종패의 양식과정 중 일반성분의 변화

        정보영,문수경,정우건,이종수,JEONG Bo-Young,MOON Soo-Kyung,JEONG Woo-Geon,LEE Jong-Soo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5

        한국산 및 일본산 참굴 종패의 성장과정 중 영양 기능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 양자를 동일 양식장에서 수하기부터 수확기까지 월별로 그들의 일반성분 조성과 a-Toc 함량을 정량하였으며, 그리고 육중량 증가량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함량 (건량기준)은 산란기로 알려진 8월과 9월에 약 $70\~72\%$ (한국산), $75\~76\%$ (일본산)로서 양식과정 중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탄수화물 함량 (건량기준)은 단백질의 함량과 반대로 이 시기에 최저치를 나타냈으며, 수확기 (11월 이후)에 풍부하였다. 따라서 양자간에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r=-0.94, p<0.01). 지질 함량은 한국산 및 일본산 모두에서 산란기인 8월에 약 $1.4\~1.5\%$로서 최저치를 나타냈으나, 전자는 10월에 지질 함량 및 육중량이 또 한차례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산란의 영향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일본산의 경우는 8월 이후 지질 함량 및 육중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수확기에 개체당 육중량은 한국산의 경우 4.2$\~$4.8g 이었으나, 일본산의 경우는 7.5$\~$8.3 g으로 전자가 후자에 비하여 약 2배의 육중량을 나타내었다. 개체당 육중량과 지질 함량 사에에는 $y=0,2081e^{1.5696x}$ (r=0.8856, p<0.001)로서 지수함수적으로 비례하였다. 따라서 참굴 개체당 모든 영양성분 함량은 일본산의 경우가 한국산에 비하여 약 2배나 많이 함유하므로, 전자가 우수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meat weight of oysters cultured in shallow-water at Bukman bay of Tongyeong in Korea with Korean and Japanese spats were investigated. Protein content (dry basis) was rich in August and September, accounting for $70\~72\%$ in the oyster (Korean oyster) cultured with Korean spat and $75\~76\%$ in the oyster (Japanese oyster) cultured with Japanese spat. On the contrary to protein content, carbohydrate contents (dry basis) in the both oysters were poor in the both month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r=-0.94, p<0.01) between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 during growing of the bath spats. Total lipid (TL) content was the poorest in August, which is known as spawning season, accounting for $1.4\~1.5\%$ in the both oysters. In addition, the korean oyster also showed the lowest level or TL content in october. Meat weights or the Korean and japanese oysterswere 4.2$\~$4.8 g/specimen and 7.5$\~$8.3 g/specimen, respectively, in the harvest season from November to December. Meat weight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TL content, $y=0,2081e^{1.5696x}$ (r=0.8856, p<0.001). These nutritional components per specimen were contained about two times more in the Japanese oyster than in the Korean one in the harvest period.

      • KCI등재

        천연 및 양식산 은어의 근육 및 난의 일반성분 조성

        정보영,문수경,정우건,하해성,JEONG Bo-Young,MOON Soo-Kyung,JEONG Woo-Geon,HA Hae-Seong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6

        양식산 은어의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진강과 밀양강에서 채포된 천연산과 하동과 밀양 소재의 양식장에서 구임한 양식산 은어의 근육 및 난에 대하여 일반성분 조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연산 은어 근육의 수분함량은 $76.7\~77.5\%$, 단백질 $18.4\~19.9\%$, 지질 $2.41\~3.47\%$, 회분 $1.04\~1.33\%$으로 산지에 다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양식산 은어 근육에서 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천연산과 유사하였으나, 지질($4.68\~10.1\%$) 및 탄수화물($1.14\~2.82\%$) 함량은 천연산에 비하여 많았으나 수분 함량은 적었으며, 특히 지질 함량은 양식장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양식장에 따른 일반성분 조성 차이는 그들의 사료 조성의 차이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지질 함량은 거의 모든 시료에서 수컷에 비하여 암컷에서 약간 많은 경향을 보였다. 은어난의 일반성분 조성 중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함량은 근육에 비하여 많았으나 수분 함량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근육의 경우와 달리 산지 및 양식장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험된 모든 시료에서 지질과 수분 함량 사이에는 y= -0.2715x+24.903 (r= -0.7253, p<0.001)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roximate compositions of muscles and eggs between wild sweet smelt which were caught in Seomjin river and Miryang river, and cultured sweet smelt which were purchased from certain cultured farms in Hadong and Miryang, were compared. Proximate compositions of wild sweet smelt muscles were $76.7\~77.5\%$ for moisture, $18.4\~19.9\%$ for protein, $2.41\~3.47\%$ for lipid, and $1.04\~1.33\%$ for ash content and there were almost no differences between the fishes from Seomjin and Miryang river. Protein and ash content in the cultured fish muscl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wild fish muscles, while the former contained much more lipid and carbohydrate, and less moisture than the latter, especially lipid content differed greatly according to their cultured farms. This might be the result of their different diet compositions. Lipid,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 in eggs of the wild and cultured fishe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ir muscl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isture and lipid content in all samples; y= -0.2715x+24.903 (r= -0.7253, p<0.001).

      • KCI등재

        북만 양식굴의 개체군 특성과 DHA 함량조성의 변동

        김용술,강석중,정우건,조창환,KIM Yong-Sool,KANG Seok-Joong,JEONG Woo-Geon,CHO Chang-Hwan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2

        (1) 통영시 관내 북만해역의 굴양식장군의 8개 조사양식장에서 $1994\~1996$년까지 매월 1회씩 굴 시료를 채취하여 양식굴의 집단생태학적 특성치를 조사하고, 굴 육질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얻은 자료를 토대로, DHA 함량조성과 굴의 집단생태학적인 몇가지 특성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2) 굴의 지질중 DHA 함량조성은 연중 $0\~25\%$ 범위로 변동하였으며, 6월에 최저치를 나타내었고, 11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3) DHA함량조성과 굴의 사망계수 및 성장계수와의 사이에는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4) 11월의 DHA 함량조성과 수확시 개체군의 크기사이에는 강한 (+)상관성이 인정되었고, 수확시 개체육 중량과의 사이에는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5) 굴에 있어서 DHA는 산란기에 생식소의 성숙과 방출에 에너지원으로 다량 소모되는 것으로 보이며, 북만해역에서 11월의 DHA 함량조성은 수확시의 집단크기의 선행지수로 사용해 봄직하고, 체중과의 역 관련성을 잘해 석 하면 밀도효과를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고찰되었다.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group properties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content of the Pacific oyster had been carried out at the Bukman oyster farm near Tongyeong based on the regular monthly sampling from November 1994 through April 1996. DHA content in lipids was least abundant in June and most abundant in November. Minimum DHA content close to 'zero' in lune suggests that much of DHA are being used for maturing and discharging of eggs and sperm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lure is the spawning periods of the oyster. The corelationships among DHA content, mortality, and growth coefficient, have not been recognized. The approximate positive relations have been acknowledged between DHA content and the individual density in times of harvest, and also the individual weight. But it seems that the relaltions between DHA content and the individual weight are not directly related, rather it seems that it is the result from the population density effects caused by the relations between DHA and the number of individuls. But the meaning of the above mentioned relations can not be clearly defined yet.

      • SCOPUSKCI등재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ree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정보영(Bo-Young Jeong),문수경(Soo-Kyung Moon),정우건(Woo-Geo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3

        성게알, 피조개 및 개불의 총지질(TL)함량은 각각 6.10%, 0.67% 및 0.79%였으며, TL중 인지질(PL)은 성게알(56.2%)보다 개불(72.4%) 및 피조개(64.9%)에 많았다. PL의 주요지질인 포스타티딜콜린(PC)는 성게알(56.2%)에, 그리고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는 개불(34.4%)에 많았다. 비극성지질의 경우, 성게알은 트리그리세리드 (TG, 89.0%)가, 피조개는 TG(69.2%) 및 유리스테롤 (ST, 26.8%)이, 그리고 개불은 ST(70.7%)이 각각 주성분이었다. 성게알의 주요지방산은 16 : 0, 14 : 0, 20 : 5n-3, 20 : n-6 및 20 : 2NMID(non-methylene interrupted diene)였으며, 20 : 4n-6는 PL의 지방산 조성중 19.8%로써 3종 무척추동물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22 : 6n-3는 성게알 지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피조개의 경우는 16 : 0, 18 : 0, 20 : 5n-3, 22 : 2NMID가 주요지방산이었으며, 특히 22 : 6n-3가 다른 무척추동물의 경우보다 많았다. 한편, 개불의 주요지방산은 20 : 5n-3, 16 : 0, 18 : 0, 20 : 1n-9, 16 : 1n-7 및 14 : 0였으며, 이중 20 : 5n-3, 16 : 0, 18 : 0, 20 : 1n-9, 16 : 1n-7 및 14 : 0였으며, 이중 20 : 5n-3는 PL에서 22.0%를 타나내어 3종 무척추동물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3종 해산 무척추동물의 지질조성에서의 차이는 그들의 식습관 및 환경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lipid components of the gonad of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and “Gaebul” (Korea name, a worm) Urechis unicinctu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lipid(TL) contents of the sea urchin, the ark shell and the “Gaebul” were 6.10, 0.67 and 0.79%,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phospholipid(PL) in TL were higher in the “Gaebul” (72.4%) and ark shell(64.9%) compared to the sea urchin (41.7%). The major lipid classes of PL were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and the former was rich in the sea urchin (56.2%) and the latter in the “Gaebul” (34.4%). In the class of non-polar lipid (NL), the major lipid classes were different from species ; the sea urchin was rich in triglyceride(TG, 89.0%), the ark shell rich in TG (69.2%) and cholesterol (ST. 26.8%) and the “Gaebul” rich in ST(70.7%).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the sea urchin were 16 : 0, 14 : 0, 20 : 5n-3, 20 : 4n-6 and 20 : 4n-6 and 20 : 2NMID(non-methylene interupted dien). The percentage of 20 : 4n-6 was the highest of the investigated invertebrates, accounting for 19.8% in PL, but 22 : 6n-3 was not detected in the sea urchin. In case of the ark shell,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6 : 0, 18 : 0, 20 : 5n-3, 22 : 6n-3 and 22 : 2NMID, especially 22 : 6n-3(9.58%) was richer compared to that of the “Gaebul”.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the “Gaebul” were 20 : 5n-3, 16 : 0, 18 : 020 : 1n-9, 16 : 1n-7 and 14 : 0. The percentage of 20 : 5n-3 (22.0%) was highest in the PL of the “Gaebul” among the three invertebrates. These differences in the lipid components of all the sample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food habi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invertebrates.

      • KCI등재

        35종 해산 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조성과 스테롤함량

        정보영,최병대,문수경,이종수,정우건,김풍호,JEONG Bo-Young,CHOI Byeong-Dae,MOON Soo-Kyung,Lee Jong-Soo,JEONG Woo-Geon,KIM Poo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2

        통영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35종의 해산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 조성과 sterol 및 $\alpha$-토코페롤함량을 정량하여 종별로 비교하였다. 단백질함량은 복족류 ($17.2\pm4.30\%$ ), 갑각류 ($16.8\pm4.06\%$), 두족류 ($15.3\pm3.24\%$) 등 초식성 및 육식성의 무척추동물에 비교적 많았고, 2매패류 ($11.8\pm2.49\%$), 멍게류 ($8.20\pm1.00\%$) 등 plank-ton 식성의 경우에 적었으며, 특히 해삼류 ($3.94\pm1.13\%$)와 같은 니식자 (mud swallow)에서는 아주 적었다. 총지질함량은 $0.24\%(청삼)\~1.96\%(멍게)$의 범위로 비교적 적었다. 탄수화물함량은 멍게류 ($6.60\pm4.53\%$ ), 2매패류 ($3.15\pm1.82\%$), 복족류 ($3.02\pm1.61\%$)에서 비교적 많았고, 두족류 ($1.00\pm0.63\%$)와 갑각류 ($0.52\pm0.57\%$)에서는 아주 적어 보통 어류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또한 수분함량은 해삼류 ($92.0\pm1.94\%$)에서 가장 많았고, 복족류 ($77.0\pm1.95\%$)에서 가장 적었으며, 나머지는 $80\~82\%$로서 대체로 유사하였다. 수분함량과 단백질함량 및 지질함량, 그리고 단백질함량과 지질함량 사이에는 각각 y= -0.8716x+184.452 (r=-0.87, p<0.001), $y=128.52e^{-0.0601x}$ (r=-0.55, P<0.001), $y=6.3047e^{-0.0904x}$(r=-0.42, P<0.02)으로서 모두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sterol 함량은 (청삼 56mg/100g edible portion)에서 가장 적었고, 새조개 (216mg/100g)에서 가장 많았다. 동물그룹별로 보면 두족류 (148 $\pm$30.0mg) > 2매패 (121$\pm$35.0mg) > 복족류 (118$\pm$20.0mg) > 갑각류 (116$\pm$31.0mg) > 멍게류 (78.0$\pm$2.00 mg)> 해삼류 (62.0$\pm$8.00 mg)의 순으로 sterol 함량이 많았다. $\alpha$-토코페롤함량은 갑각류에서 1$\~$2 mg/100g를 함유하였으나, 나머지 무척추동물에서는 흔적 또는 1 mg/100g 이하였다. Proximate composition, sterol and $\alpha$-tocopherol ($\alpha$-Toc) contents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13 species of Bivalvia, 10 species of Gastropoda, 4 species of Cephalopoda, 4 species of Crustacea, 2 species of Ascidacea and 2 species of Holothuroidea), which caught off the coast of Tongyeong of the Southern sea (Nam-Hae), Korea, were determined. Protein content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in herbivorous (seaweed feeder) and carnivorous species such as Gastropoda ($17.2\pm4.30\%$), Crustacea ($16.8\pm4.06\%$) and Cephalopoda ($15.3\pm3.24\%$), but showed low in plankton feeder and mud swallow such as Bivalvia ($11.8\pm2.49\%$), Ascidacea ($8.20\pm1.00\%$) and Holothuroidea ($3.94\pm1.13\%$). Total lipid (TL) content was low in most marine invertebrates, ranged from $0.24\%$ (blue colored sea cucumbers) to $1.96\%$ (sea squirts). Ascidacea contained the largest amount of TL in all samples, while Holothuroidea contained the smallest amount of TL, and other classes contained about $1\%$ of TL. Carbohydrates was rich in plankton feeder and Herbivorous species (seaweed feeder) such as Ascidacea ($6.60\pm4.53\%$), Bivalvia ($3.15\pm1.82\%$) and Gastropoda ($3.02\pm1.61\%$), while poor in carnivorous species such as Crustacea ($0.52\pm0.57\%$) and Cephalopoda ($1.00\pm0.63\%$).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in Holothuroidea ($92.0\pm1.94\%$) and the lowest in Gastropoda ($77.0\pm1.95\%$):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oisture and protein content, or TL, between protein and TL content; y= -0.8716x+184.452 (r=-0.87, p<0.001), $y=128.52e^{-0.0601x}$ (r=-0.55, P<0.001), $y=6.3047e^{-0.0904x}$(r=-0.42, P<0.02), respectively. Sterol content was ranged from 56 mg/100 g edible portion of red colored sea cucumbers to 216 mg/100 g edible portion of cockle and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Cephalopoda (148 $\pm$30.0mg)>Bivalvia (121$\pm$35.0mg)>Gastropoda (118$\pm$20.0mg)>Crustacea (116$\pm$31.0mg)>Ascidacea (78.0$\pm$2.00 mg)>Holothuroidea(62.0$\pm$8.00 mg). Crustacea contained 1$\~$2 mg $\alpha$-Toc/100 g edible portion whereas other classes contained trace or less than 1 mg/100 g of edible por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