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정밀 행성 착륙을 위한 지형 보조 관성 항법 연구

        정보영(Bo-Young Jeong),최윤혁(Yoon-Hyuk Choi),조수장(Su-Jang Jo),방효충(Hyo-Choong Ba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10 한국항공우주학회지 Vol.38 No.7

        본 논문에서는 정밀 행성 착륙을 위해 광학센서와 관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지형보조 관성항법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측정된 지형 데이터와 사천에 탑재한 지형 데이터간의 특징점 추출, 매칭, 추적의 영상 처리 과정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특징점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반복 확장칼만필터를 이용한 항법 시스템은 기존 관성 항법 장치의 항법 오차 누적을 보상하여 보다 정밀한 항법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향후 착륙선의 유도 및 제어 법칙과 결합하여 정밀 행성 착륙을 위한 시스템 구현에 적용이 가능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errain Aided Inertial Navigation(TAIN) which consists of 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 with the optical sensor for precise planetary landing. Image processing is conducted to extract the feature points between measured terrain data and on-board implemented terrain information. The navigation algorithm with Iterated Extended Kalman Filter(IEKF) can compensate for the navigation error, and provide precise navigation information compared to single INS. Simulation results are us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integration to accomplish precise planetary landing. The proposed navigation approach can be implemented to the whole system coupled with guidance and control laws.

      • 미지의 환경 지도 작성을 위한 이동 로봇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정보영 ( Bo-young Jeong ),남상하 ( Sang-ha Nam ),이준수 ( Jun-soo Lee ),김인철 ( In-cheo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센서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점유 격자 지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고, Lego Mindstorm NXT Kit과 leJos NXT를 이용하여 개발된 환경 지도 작성을 위한 자율 이동 로봇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제안된 점유 격자 지도 작성 방법의 효과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도 소개한다.

      • SCOPUSKCI등재

        Quality Factor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Edible Seaweeds - Ⅰ. Distribution of n-3 Fatty Acids in 10 Species of Seaweeds by Their Habitats

        정보영(Bo-Young Jeong),조득문(Deuk-Moon Cho),문수경(Soo-Kyung Moon),변재형(Jae-Hyeung Pye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5

        10종 해조류(녹조류 2종, 갈조류 5종, 홍조류 3종)의 n-3 지방산 조성을 우리 나라 남해안의 주요 서식지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지질(TL)은 녹조류 중에서는 파래(약 7~10%), 갈조류 중에서는 미역과 톳 (약 3~5%), 그리고 홍조류 중에서는 김(약 5~6%)에서 각각 많았다. 미역과 톳의 TL함량은 충무에서 채취한 것이 기장 및 여수에서 채취된 것들보다 많은 경향이 있었으나, 파래의 경우에는 가장 및 여수에서 채취된 것에서 더 많았다. 녹조류는 16:4(n-3), 18:4(n-3) 및 18:3(n-3)과 같은 비교적 탄소수가 적온 n-3지방산(28.0~66.3%)이 풍부하였다. 갈조류는 녹조류에 비하여 적은 양의 n-3 지방산 (17.9~36.5%)을 함유하였으나, n-6 지방산을 상당량 함유하였다. 홍조류의 n-3 지방산은 대부분 20:5(n-3) 지방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낙동에서 채취된 것이 53%의 20:5(n-3)를 함유하였다. 이들 n-3 지방산의 함량은, 동일종에 속하는 해조의 경우, TL함량이 높은 종류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시험된 해조류는 TL함량과 n-3 지방산의 함량이 서식지 따라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Total lipid contents from 10 species of marine algae(2 green, 5 brown, and 3 red algae) collected from different places in Korea were examined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compared among species and habitats. Total lipid (TL) was prominent in green laver (about 7.3~10.1%) of the green algae, in sea mustard and seaweed fusiforme(about 3.1~4.8%) of the brown algae and purple laver (about 4.9~6.4%) of the red algae. Sea mustard and seaweed fusiforme collected at Chungmu contain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TL compared with those collected at Kijang and Yosu, whereas green laver at Chungmu revealed a lower level of TL than that at Yosu and Kijang. The TL content of purple laver showed the highest portion in that collected at Nakdong. Green algae comprised the majority of n-3 fatty acids (29.0~66.3%), which mainly consisted of 16:4 (n-3)(or 16:3 (n-3)), 18:3 (n-3) and 18:4(n-3). Brown algae accounted for a low level of n-3 fatty acids (17.9~36.5%) mainly 18:4(n-3), 18:3(n-3) and 20:5(n-3), whereas the brown algae contained a significant level of n-6 fatty acids (7.23~26.5%) such as 20:4 (n-6) and 18:2 (n-6). In the case of red algae, the n-3 fatty acids consisted mostly of 20:5 (n-3) which scored 53% of polyenoic acids in purple laver collected at Nakdong. The proportion of n-3 fatty acids in algae belonging to the same species was higher in algae of high TL contents. Consequently, TL and n-3 fatty acid levels from the seaweeds studied in this paper were different from their habitats.

      • SCOPUSKCI등재

        참가자미 肉蛋白質의 翰燥方法에 따른 營養學的 品質變化

        정보영(Bo-Young Jeong),변대석(Dae-Seok Byun),변재형(Jae-Hyeung Pye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7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7 No.1

        蛋白質資源面에서 水産物을 效率的으로 利用하기 위하여 翰燥方法에 따라 참가자미 肉 蛋白質의 營養的 品質에 미치는 影響은 shortened PPDR index값을 求하므로서 檢討하였다.<br/> 참가자미 肉의 構成아미노酸 中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그리고 lysine이 全 아미노酸의 약 39%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참가자미 肉 中의 純 蛋白質의 含量은 18.8%이었다.<br/> shortened PPDR index는 凍結翰燥한 참가자미肉이 天日 翰燥한 것에 比하여 높았고 熱風翰燥한 것이 天日翰燥한 것보다도 조금 높은 結果이었다.<br/> 凍結翰燥한 참가자미의 shortened PPDR index는 89로서 다른 陸上動物 蛋白質의 그것에 比하여 大差 없었다. Muscle fillets of flounder, Limanda herzensteini, were sliced into small pieces and dehydrated by the methods of sun drying, hot air drying and vacuum freeze drying, and evaluated for the protein quality by the method of shortened pepsin pancreatin digest residue (SPPDR) index which is the modified method of shortened pepsin digest residue index.<br/> In the analysis of the muscle protein hydrolysates,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ysine comprised about 39% of the total amino acids of the protein. The content of pure protein in flounder muscle was 18.8%.<br/> The result of nutritional evaluation of the dried muscle protein by the computation of the SPPDR index showed that the freeze dried flounder muscle protein was superior in the nutritional efficiency to the others, sun dried.<br/> The freeze dried flounder muscle protein marked 89 of the SPPDR index number which is quite similar to the muscle protein of terrestrial animal in nutritional quality.

      • SCOPUSKCI등재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ree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정보영(Bo-Young Jeong),문수경(Soo-Kyung Moon),우건(Woo-Geo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3

        성게알, 피조개 및 개불의 총지질(TL)함량은 각각 6.10%, 0.67% 및 0.79%였으며, TL중 인지질(PL)은 성게알(56.2%)보다 개불(72.4%) 및 피조개(64.9%)에 많았다. PL의 주요지질인 포스타티딜콜린(PC)는 성게알(56.2%)에, 그리고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는 개불(34.4%)에 많았다. 비극성지질의 경우, 성게알은 트리그리세리드 (TG, 89.0%)가, 피조개는 TG(69.2%) 및 유리스테롤 (ST, 26.8%)이, 그리고 개불은 ST(70.7%)이 각각 주성분이었다. 성게알의 주요지방산은 16 : 0, 14 : 0, 20 : 5n-3, 20 : n-6 및 20 : 2NMID(non-methylene interrupted diene)였으며, 20 : 4n-6는 PL의 지방산 조성중 19.8%로써 3종 무척추동물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22 : 6n-3는 성게알 지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피조개의 경우는 16 : 0, 18 : 0, 20 : 5n-3, 22 : 2NMID가 주요지방산이었으며, 특히 22 : 6n-3가 다른 무척추동물의 경우보다 많았다. 한편, 개불의 주요지방산은 20 : 5n-3, 16 : 0, 18 : 0, 20 : 1n-9, 16 : 1n-7 및 14 : 0였으며, 이중 20 : 5n-3, 16 : 0, 18 : 0, 20 : 1n-9, 16 : 1n-7 및 14 : 0였으며, 이중 20 : 5n-3는 PL에서 22.0%를 타나내어 3종 무척추동물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3종 해산 무척추동물의 지질조성에서의 차이는 그들의 식습관 및 환경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lipid components of the gonad of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and “Gaebul” (Korea name, a worm) Urechis unicinctu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lipid(TL) contents of the sea urchin, the ark shell and the “Gaebul” were 6.10, 0.67 and 0.79%,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phospholipid(PL) in TL were higher in the “Gaebul” (72.4%) and ark shell(64.9%) compared to the sea urchin (41.7%). The major lipid classes of PL were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and the former was rich in the sea urchin (56.2%) and the latter in the “Gaebul” (34.4%). In the class of non-polar lipid (NL), the major lipid classes were different from species ; the sea urchin was rich in triglyceride(TG, 89.0%), the ark shell rich in TG (69.2%) and cholesterol (ST. 26.8%) and the “Gaebul” rich in ST(70.7%).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the sea urchin were 16 : 0, 14 : 0, 20 : 5n-3, 20 : 4n-6 and 20 : 4n-6 and 20 : 2NMID(non-methylene interupted dien). The percentage of 20 : 4n-6 was the highest of the investigated invertebrates, accounting for 19.8% in PL, but 22 : 6n-3 was not detected in the sea urchin. In case of the ark shell,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6 : 0, 18 : 0, 20 : 5n-3, 22 : 6n-3 and 22 : 2NMID, especially 22 : 6n-3(9.58%) was richer compared to that of the “Gaebul”.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the “Gaebul” were 20 : 5n-3, 16 : 0, 18 : 020 : 1n-9, 16 : 1n-7 and 14 : 0. The percentage of 20 : 5n-3 (22.0%) was highest in the PL of the “Gaebul” among the three invertebrates. These differences in the lipid components of all the sample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food habi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invertebrates.

      • SCOPUSKCI등재

        α - Linolenic Acid가 농축된 들깨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참깨 Lignan 물질의 항산화효과

        정보영(Bo-Young Jeong),류수노(Su-Noh Ryu),허한순(Han-Sun Hur)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6

        수종의 참깨 lignan 물질의 항산화 효과를 들깨 유래의 HALA ethyl ester(ALA, 78.1%)의 저장안정성에 대하여 중량증가와 과산화물가 (POV)를 측정하므로써 연구되었다. 50℃ incubator에서 중량증가법에 의하여 각 시험구의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참깨 lignan 물질의 하나인 sesamol 처리구(0.01% 및 0.02%)가 10.2일로 가장 안정하였고, ether extracts 처리구 9.0일, BHT 처리구 7.6일의 순으로 안정하였다. 또한, 참깨 lignan 물질인 sesamin 및 sesangolin 처리구는 대조구의 경우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각 시험구를 23℃ 암소에서 저장하였을 때, POV의 증가속도는 control≥sesangolin≥sesamin>BHT>ether extract>sesamol 처리구의 순이었으며, 이때 sesamol 및 ether extract 처리구는 저장 9주 후의 POV가 15.0meq/㎏ 이하였다. 또한, 각 시험구를 4℃의 저온에서 5개월간 저장하였을 때,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POV(6.89meq/㎏)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HALA ethyl ester의 산화안정성이 저장온도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참깨 lignan 물질인 sesamol과 들깨 ether extracts가 들깨유 유래의 HALA ethyl ester에 대하여 유용한 항산화제로서 인정되었다. Antioxidant effect of several antioxidative components on the high purity α-linolenic acid(HALA; ALA, 78.1%) ethyl ester concentrated from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weight-gains and peroxide value(POV) during storage at 50℃, 23℃ and 4℃. Amounts of antioxidant components were 0.2g/㎏ HALA ethyl ester for sesamin, sesangolin and butylated hydroxytolune(BHT), and 0.1g/㎏ for sesamol and 100g/㎏ for ether extracts from perilla seed. The oxidative stability of HALA ethyl ester was particularly increased by adding sesamol, ether extracts and BHT, but sesamin and sesangolin scarcely showed an antioxidant effect. POV on the HALA ethyl ester added sesamol and ether extract was less than 15.0meq/㎏ by 9 weeks of storage at 23℃. However, in the case of low temperature storage at 4℃, all the samples estimated showed less than 7.0meq/㎏ in POV by 5 months. Consequently, sesamol and ether extracts were recognized as available antioxidant components on the HALA ethyl ester from perilla oil.

      • SCOPUSKCI등재

        들깨유로부터 α - Linolenic Acid의 순수분리

        정보영(Bo-Young Jeong),류수노(Su-Noh Ryu),허한순(Han-Sun Hur)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6

        저온분별결정법과 질산은 함침 실리카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들깨유 지방산 혼합물로부터 고순도 ALA를 분리 정제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저온분별결정법에 의하여 순도 78% ALA(HALA) (회수율, 약 83%)의 대량농축이 가능하였으며, 이때의 동결조건은 -80℃에서 210분이었다. HALA ethyl ester를 대형 유리칼럼(100×10㎝, i.d.)를 이용한 질산은 함침실리카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한 결과, 순도 90% 이상의 ALA ethyl ester(회수율, 71%)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었다. Low-temperature crystallization method and silver nitrate-impregnated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were applied for the isolation of pure α-linolenic acid(ALA) from perilla seed oil. ALA of 78% in purity(HALA; yield, 83%) was obtained from the fatty acid mixture(ALA, 65.7%) derived from perilla oil by the low-temperature crystallization method, when the mixture was frozen at-80℃ for 210min. ALA over 90% in purity(yield, 71%) was also obtained from HALA ethyl esters(ALA, 78%) by the silver nitrate-impregnated silicic acid column(100㎝×10㎝, i.d.) chromatography. In addition, the silver nitrate-impregnated silicic acid could be semipermanently used for isolation of ALA, because Ag^+ ion was not dissociated from the stationary ph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