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부산지역 산업인구의 사고사에 관한 역학적인 조사연구

        정영선,Chung, Young-Sun 대한예방의학회 1977 예방의학회지 Vol.10 No.1

        산업재해로 인하여 발생한 사망자들의 그 원인 및 특성을 파악하여 산업재해의 예방대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져 과거 6년간의 부산지역 산업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들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얻은 성적은 다음과 같다. 1. 6년간 발생한 총 사망자수는 361명으로 평균 사망율은 33.8이었다. 연도별로는 1974년이 52.9로 가장 높고 가장 낮은 연도는 1970년도로 13.8이었으며 업종별로는 전기 가스 수도업이 149.3, 건설업 83.9의 순위였으며 최저율을 보이는 업종은 제조업으로 18.3이였다. 2. 연령별 사망율로는 $20{\sim}29$세군이 43.0으로 최고였고 다음이 $40{\sim}49$세군으로 38.1, $30{\sim}39$세군 32.0, 50세 이상군 31.9의 순위였고 최저는 19세 이하군으로 17.9였다. 3. 근속연수별 누적사망자 수는 6개월 이하가 전체의60.4%, 1년 이하가 72.9%, 2년 이하가 83.1%로서 1년 이하의 근무경력을 가진 자가 대부분이었다. 4. 월별 발생분포로는 8월이 15.8%로 최고였고 2월이 5.8%로 최저였으며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19.2%로 최고였고 최저는 월요일으로서 11.9%였다. 5. 재해원인별 분포는 차량에 의한 것이 28.3%, 추락 19.1%, 충돌 9.2%의 순위였으며 상병부위별로는 두부외상 44.6%, 전신외상 33.0%, 흉부외상 10.5%의 순위였으며 최저는 배부외상으로 1.9%이었고 상명 병별로는 뇌좌상 및 뇌출혈 39.4%, 골절 탈구 33.2%, 질식 8.0% 등의 순위였다. 6. 부상으로부터 사망까지의 기간별 누적사망자는 수상 당일 사망한 자가 74.2%, 3일 이내가 88.5%, 일주일 이내가 96.1%로서 대다수가 부상 후 일주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7. 1일 평균 임금별 누적사망자는 1,000원 미만이 56.8%, 2,000원 미만이 91.7%로 대다수가 2,000원이하였었고, 4,000원 이상인 자는 겨우 1.6%에 불과하였다. The author have performed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accidental deaths at industry from 1970 to 1975, in order to seek for the preventive measures of industrial accident with the under-standing of its ca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al death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deaths for 6 years were 361 (350 males, 11 females). and the mean death rate was 33.8 per 100,000 industrial workers during 6 years. By the highest as 52.9 was in 1974 and the lowest as 13.7 in 1970. By the industry group, the death rate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was 149.3, Construction 83.9 and the lowest was Manufacturing as 18.3. 2. Standardized mortality rate of the cases by the age group showed that 20-29 years old group was 43.0, 40-49 years old group 38.1, 30-39 years old group 32.0, and the lowest as 17.9 was under 19 years old group. 3.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cases by years of service showed that under 6 months was 60.4%, under 1 year 72.9%, under 2 years 83.1%. 4. By the month of occurrence, the highest was 15.8% which occurred in August and the lowest was 5.8% in February. The highest as 19.1% was on Friday and the lowest as 11.9% on Monday by the day of a week. 5. By the causes of accident, car accidents was 28.3%, fall accidents 19.1%, accidents by a crash 9.1% in that order. By the location of injury, head was 44.6%, multiple injuries 33.0%, chest 10.5%, and back was the lowest as 1.9%. The distribution of the cases by nature of injury shelved that cerebral contusion and hemorrhage was 39.4%, fracture and dislocation 33.2%, asphyxia 8.0% in that order. 6.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cases by the duration from injury to death showed that the injuried day was 74.2%, within 3 days after injury 88.5%, within 7 days 96.1%. Therefore most of the cases were occurred within 7 days after injury. 7. Byythe daily mean wages, most of the cases as 91.7% were under 2,000 won, and more 4,000 won was 1.6% merely.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 불안의 매개효과

        정영선(Young Sun Chung)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5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aternal overprotection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their anxiety. In this study, maternal overprotection was defined as anxiously shielding their young children from having negative experiences and maintaining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intrusive and permissive parenting for their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183 mothers and 18 teachers with young children aged from four to six years. Mothers rated themselves on the degree of their overprotecting behaviors measured by a maternal overprote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Y. S. Chung & Park, 2021). Teachers rated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e hypothesized relations among maternal overprotection,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after controlling with young children’s gender, maternal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was associated with varying levels of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Additionally the maternal overprotection linked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directly through their anxiety. These findings offer basic knowledge applicable to parent education and the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improving parenting behaviors. The limitations and othe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정영선(Young Sun Chung),박경자(Kyung Ja Park)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aternal Overprotection Scale to measure the degree of maternal overprotective behaviors in child-rearing. Methods: There were two parts in this study. In Study 1, the items and scale development was conducted and in Study 2, the scale evaluation was conducted. In Study 1, the sample consisted of 262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ged from five to six years. Mothers rated themselves on the degree of their overprotecting behaviors carried toward their children. The scale initially comprised 45 items, and it ended up with 18 items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udy 2, the data of additional 197 mothers who responded to these items were analyzed by mean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n Study 1,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scale identified three sub-scale factors: Intrusive Control (eight items), Permissive Indulgence (four items), and Anxious Protection (six items). In Study 2, the Cronbach’s α values ranged from .70 to .85, showing appropriat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The cross-validation was established using different samples. The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association with a maternal parenting attitude measured by the Parenting Dimensions Questionnaire (PBDQ). Conclusion: The Maternal Overprotection Scale reliably and accurately measured degrees of overprotective maternal parenting with young children. This scale can be used as a tool for estima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hers’ overprotection for their young children, as well as correlations with other aspects of development.

      • KCI등재

        패혈증비브리오균 감염증의 임상양상과 예후인자 분석

        정영선 ( Young Sun Jung ),정숙인 ( Sook In Jung ),강승지 ( Seung Ji Kang ),전충환 ( Chung Hwan Jun ),박경화 ( Kyung Hwa Park ),신종희 ( Jong Hee Shin ),정은경 ( Eun Kyeong Chung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3

        목적: Vibrio vulnificus 감염증은 지속적인 계몽에도 불구하고 위험 집단을 중심으로 해마다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치료에도 60% 이상의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최근 6년간 V. vulnificus 감염증 호발 지역의 일개 대학 병원에 내원한 V. vulnificus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임상양상과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부터 2005년까지 6개년간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임상 검체에서 V. vulnificus가 동정된 환자 81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역학적 특성, 임상양상, 검사실 소견, 예후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발생 년도 별로는 2003년이 27예(33%)로 가장 많았고, 월별로 8월과 9월에 50예(62%)로 집중되어 있었다. 성별로는 남자 68예(84%), 여자 13예(16%)였고, 평균 연령은57.8±9.4세였다. 기저질환으로 간경변 37예(45%)와 만성 음주력 32예(40%)를 포함하여 간 질환을 가진 환자가 73예(90%)였다. 총 71예(88%)의 환자에서 어패류 생식력과 해수 접촉력이 확인되었고, 피부 병변은 70예(86%)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피부 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 11명은 내원 당시 상부 위장관 출혈(2예), 복막염(2예), 패혈증(2예), 급성 담관염(1예), 장염(1예), 간농양(1예), 안내염(1예), 간부전(1예)의 소견을 보였고, 이 중 5예(45%)에서만 어패류 생식력이 확인되었다. 총 81예 중 53명(65%)이 사망하였다. 피부 병변을 동반한 환자에서 다변량 분석에서 의미있는 사망의 위험인자로는 백혈구 감소(<4000/mm3) (OR=8.6, 95% CI 1.3~55.2,p=0.023), 수술(근막 절개술이나 괴사조직 제거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OR=14.7, 95% CI 1.2~172.7, p=0.033)였다. 피부 병변을 동반한 V. vulnificus 감염증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한 군이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30일째 생존율이 더 높았다(53.7% vs 3.4%, p<0.001).결론: V. vulnificus 감염증은 여전히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고 위험군에서 여름철에 어패류의 생식이나 해수 접촉을 삼가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적극적인 근막 절개술이나 괴사조직 제거술을 병용함으로써 생존률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Aims: Vibrio vulnificus infection is a common fatal infectious disease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V. vulnificus infection. Methods: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confirmed V. vulnificus infections who were admitted t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0 to 2005 were enrolled.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findings, and prognostic factors were evaluated. Results: Eighty-one patients were enrolled. More than 90% of these patients had variou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such as chronic liver disease or diabetes mellitus. Seventy-one patients (88%) confirmed eating raw fish or exposure to sea water. Characteristic cutaneous lesions were observed in 70 patients (86%). The initial manifestations of the patients without cutaneous lesions were gastrointestinal bleeding (2), peritonitis (2), septicemia (2), acute cholangitis (1), enteritis (1), liver abscess (1), endophthalmitis (1), and hepatic failure (1). The overall case-fatality rate was 65%.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leukopenia (<4000/mm3) (OR=8.6, 95% CI 1.3~55.2, p=0.023) and medical treatment without surgery (OR=14.7, 95% CI 1.2~172.7, p=0.033)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among the patients with cutaneous lesions. Conclusions: Although V. vulnificus infection is a still a life-threatening disease in patients with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aggressive treatment including surgical intervention is important for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vibrio septicemia.

      • KCI등재

        인권중심 지방행정 구현을 위한 인권제도화 방향

        정영선 ( Chung Young-su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3 No.4

        우리나라 전체 지방자치단체 245개 중 약 90여개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인권 조례가 제정되는 등 지방자치단체 인권제도는 확산 일로에 있다. 그러나 외형적 발전과는 별개로 내용적인 측면에서 보면, 현 단계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제도는 실효성 있는 운영까지는 아직 담보해내지 못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인권제도가 도입된 지 10년도 채 안되는 짧은 역사 탓도 있지만 인권 관련 조직과 인력 운용 과정에서 인권 업무의 독자성을 확보하지 못한채 관성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점이 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점이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확산하기 시작한 인권제도가 뿌리내리고 실효성을 갖추기 위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될 요소와 그 운영 방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특히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제도 중에서 인권위원회, 인권 전담 사무조직, 인권센터와 인권옴부즈맨 등을 중심으로, 운영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인권행정 조직을 갖추기 위해서 어떠한 문제에 착안을 하고 시정을 해나가야 할지에 대한 방향 설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주요 연구 범위와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이처럼 인권제도 중에서 조직과 인력 부문으로 제한된 연구 분석을 통해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쟁점들을 도출하고, 향후 실효성을 갖춘 인권제도의 발전을 위해 유념해야 될 각 인권 조직의 운영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인권위원회의 독립적 위상 강화 및 심의·의결 기능 강화, 그리고 위원회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제반 여건의 강화, 인권업무 조직의 인권전담 기능 강화, 인권센터의 조사·구제 기능 강화 및 인권옴부즈맨의 기능 강화 방안 등을 위한 논거와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아울러 지방자치단체 집행부를 비롯한 인권업무 담당자들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전문성 관련 역량강화 방향과 인권에 기반을 둔 지방행정의 기본 방향 등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institution i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uggestion on the direction that how to develop more effective institution in view of rights-based approach. Recently,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human rights system including human rights ordinances, human rights commission, human rights center, ombudsman etc., whatsoever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institutions are variou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meanwhile, in spite of numerical increment of human rights institu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m seems to be vulnerable. One of main reasons is that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organization such as human rights commission, human rights unit, human rights center is very vulnerable, especially, in view of size and mandate of the organization itself. Moreover,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administrative powers` is weak as well as the professional capability of staff is not good enough to commit human rights tasks.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institutions, on reflection of independent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commission, strengthening on the decision- making function of the commission,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human rights task unit, strengthening on investigation powers of human rights center, guarantee on the mandate of human rights ombudsman are needed to be closely connected to the movement on good governance, which called, `human rights-based local administration.`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concentrate on building the organization for human rights tasks, and to give continuos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y of human rights for all members(including members of human rights commission, staff of human rights organization) in the local community for strengthening of empowerment.

      • KCI등재

        국가인권위원회 10년, 독립성 평가와 과제

        정영선(Chung, Young-Su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34 No.-

        출범 후 지난 10년간 인권위는 우리사회의 인권의식 성장과 국민의 인권보호에 상당한 기여를 해왔다. 인권위는 그 동안 실질적인 민주주의를 앞당기는 견인차로서, 인권관련 법령·정책 등에 대한 개선을 권고하고, 각종 인권 침해와 차별행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며,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인권에 대한 의식과 문화를 확산시키는 막중한 역할을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국가기구의 위상을 견지해 왔다. 인권위의 기능 중 핵심 중의 핵심은 독립성을 갖춘 국가기관으로서의 위상이다. 독립성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인권위의 기본적 기능인 정부권력 견제와 감시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창립과정부터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인권위 출범 후 국민의 정부와 참여 정부를 거치는 동안 인권위는 나름대로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제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이후 인권위의 존재 이유라고 할 수 있는 독립성이 훼손되면서 인권위가 본연의 임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 인권위의 독립성을 인정하지 않는 이명박 정부의 인권위 흔들기와 무자격자 인권위원인선으로 인해서 인권위는 권력기관을 감시하는 인권옹호기구가 아니라 권력기관에 면죄부를 주는 권력옹호기구로 변절해 버렸기 때문이다. 인권위는 종합적 인권전담기구로서 국가권력의 인권침해를 감시·견제하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을 옹호하고 누구나 차별 없이 평등하게 인권을 향유할 수 있도록 성역 없이 인권침해 현장을 조사하고, 바람직한 인권정책을 생산하고 견실한 의견을 낼 수 있는 독립기구여야 한다. 인권위는 태생적으로 권력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국가기관이기 때문에 정치체제의 변화에 따라서 좌고우면하는 자세를 유지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인권위는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기본적으로 국가의 정책에 대해 ‘인권적인’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기구이다. 그 인권적인 원칙이 설령 정부의 정책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정부는 인권위의 입장을 존중해야 하고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권위가 독립성을 유지·강화하기 위한 과제로, 헌법기구로 전환 등을 통한 법적·제도적 보완, 전문성과 다양성을 갖춘 인권위원 인선, 인권위 업무에 대한 대국민 신뢰성 제고, 인권위 업무의 전문성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시민사회와의 유대, 국제사회와의 철저한 공조 등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사이버강의 몰입, 스트레스와 문제해결에 대한 관계

        정영선(Young Sun Chung),김선아(Sunah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사이버강의 몰입구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몰입, 스트레스, 문제해결간의 관계를 밝혀 보려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K사이버대학교 재학생 1044명이였으며 학생들은 온라인설문지 형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즐거움, 관여, 주의집중, 시간왜곡의 몰입구인에서 학년, 연령, 결혼상태, 수강신청 과목 수라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이버강의 몰입은 스트레스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고 문제해결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사이버강의 몰입향상을 구체화하는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배경과 특성을 고려한 사이버강의 설계가 필요하며, 둘째, 성인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몰입감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버강의 평가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셋째, 성인학습자들의 사이버강의 몰입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와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학업상담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flow in cyber-class along with relationships among flow,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44 enrolled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rough voluntary on-line questionnaire. The analysis is following: The components of flow on cyber-class including enjoyment, engagement, focused attention, and time-distortion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upon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such as school grade, age, marital status, and number of registered classes. In addition, the flow on cyber-class has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stress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blem-solving ability. To improve the level of flow on cyber-class,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new on-line class and class materials with the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nd diverse backgrounds of adult learners. The incorporation of various interactive evaluation can also improve the flow level of adult learners in cyber class. Finally, the learning counselling service might be essential for adult learners to experience flow on cyber-class.

      • KCI등재

        영화 <로맨틱 레시피>에 나타난 음식 셔레이드 연구

        정영선(Chung, Young Sun),유동환(Yoo, Dong 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4 문화콘텐츠연구 Vol.- No.30

        음식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며 문화적인 표현인 동시에 미디어 안에 위치할 때는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그중에서도 영화와의 영향 관계가 주목된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스토리를 전달하고 있으나 아직 이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영화 속에 위치한 음식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의 숨겨진 스토리 가치를 찾기 위하여 영화의 비언어적인 표현 기법인 셔레이드 이론을 활용해 영화 <로맨틱 레시피>에 나타난 음식 셔레이드를 시간, 음식 장면, 내용, 사용목적 순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견된 첫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해 인물의 성격과 심리 상태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요리사 하산의 음식으로 나오는 성게는 영화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그의 천부적인 재능, 어머니와의 추억, 사회적 성공,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낸다. 이는 음식이 개인의 정체성 구축에 영향을 주며 주인공의 연대기적 성장과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관계의 표현으로 영화 속 음식은 갈등을 나타내고 화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프랑스 음식을 대표하는 말로리 여사와 인도 음식을 대표하는 하산의 아버지의 갈등을 봉합하는 건 하산의 음식으로 두 문화의 화해를 시도하며 관계를 매개한다. 세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장소의 표현이다. 음식은 그 자체로 사회, 국가, 문화를 나타내며 등장인물들이 속한 시공간을 보여준다. 셔레이드의 사용 목적에 따른 음식을 분석한 결과 영화 속 음식은 인물의 표현, 관계의 매개, 장소의 상징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식이 인물-관계-장소에 관여한다는 점은 향후 스토리의 핵심 요소인 인물-사건-배경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내포하며 이는 음식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에도 기여할 수 있다. Foo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humans and is a cultural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has a specific meaning when it is located in the media. Among them,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movie is noteworthy. The food in the movie has various meanings and conveys the story, but research to clarify this is still insufficient.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is approached in a socio-cultural context, but since the food in the movie is located in the movi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using theories in that field. This study analyzed the hidden story value of food in the movie using the Charade technique, a theory of the movie.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that appears in the movie using the movie’s charade technique to find the hidden story value. Charade is a non-verbal expression technique that shows a character’s emotions, events, or background. The film in question is <The Hundred-Foot Journey>, which deals with th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a French restaurant and an Indian restaurant that operate opposite each other. Food appears as a major charade in this film.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in the movie <The Hundred-Foot Journey> by viewing the food as a single accessory charade. The first characteristic found here is that it expresse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 through food. The sea urchin, which is served as the food of a young chef Hasan, continues to appear in the movie, representing his natural talent, memories with his mother, social success, and longing for his hometown. In the movie, the meaning of sea urchins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protagonist, showing that the food is also related to the chronological growth of the protagonist.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food, and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conflict and plays a role in helping reconciliation. Mrs. Mallory, who runs a French restaurant, and Hassan’s father, who runs an Indian restaurant, are the biggest pillars of the conflict, and they represent French and Indian food culture, respectively. Reconciling them is the food of Hassan and Margaret, who attempts to reconcile culture by welcoming strangers and mediating people’s relationship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role of food as a place. Food itself represents society, country, and culture, and shows the time and space to which the characters belong. Croissants, baguettes, foie gras, and Nan, Curry, and Samosa of India appear intersectionally, showing their group and cul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od symb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harade’s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identity,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conflict and reconciliation, and the symbol of the place that reveals socio-cultural differences. In addition, the fact that food is involved in person-relationship-place impli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to characters-incident-setting, a key element of future stories,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orytelling using food.

      • KCI등재

        장애 차별 및 장애인 권리구제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정영선(Young-Sun Chu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중인 장애 차별 관련 권리 구제 제도가 실효성을 갖추고 작동하고 있는 지에 대한 검토와 제도적 개선 방향을 고찰하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다. 먼저, 장애 차별 관련 권리 구제를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애의 개념과 외국의 입법례에 규정된 장애 개념 비교를 비롯하여 장애차별의 종류와 영역, 장애차별의 예외 등에 대해서도 외국의 입법례와 비교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장애차별시정 및 권리 구제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접수된 장애 차별 조사ㆍ구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장애인차별시정기구로서의 실효적 기능을 개략적으로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 차별 관련 구제제도의 실효성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선 방안으로는, 먼저 인권적 관점에서 ‘장애’의 개념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며, 이에는 장애인차별금지법 등 관련법의 ‘장애’ 개념을 수정하는 작업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장애인에 대해 협소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장기간에 걸친’ 경우만 장애로 한정하고 있는데, 장ㆍ단기간의 장애는 물론 일시적 장애, 과거의 장애 경력도 포함해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둘째, 장애 차별 유형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 특히 차별의 예외와 관련하여 외국 입법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과도한 부담’ 또는 ‘현저히 곤란한 사정’ 등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없어서 차별 예외에 대한 자의적 해석이 우려된다. 셋째,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장애인 차별 시정을 위해서는 사후적인 차별구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근본적인 방안은 장애인 차별에 대한 사회 각 구성원의 인식을 개선하여 차별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인 바,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 인권교육이 필수적이다. 넷째,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국가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인 차별 문제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발언이나 행위 또는 장애인시설에서 벌어지는 불합리한 행태에 대한 대책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하루의 일상생활을 시작하는 시간과 공간을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며, 그 책임의 상당부분은 국가가 져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애 차별시정기구로서의 국가인권위원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동안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인차별 시정을 위하여 일정 부분 노력해왔지만 장애계의 요구에는 미치지 못하는 미흡한 부분들이 많았다. 장애인 차별을 구제하도록 만들어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차별 시정기구로서의 본연의 역할에 보다 충실을 기할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rying to find out the direction to improve remedy system for rights of the disabled in Korea. First, comparing the concepts relating to ‘disability’ and ‘the person with disability’ in Korea with those of the cases in foreign countries, I found that we need to redress the narrowed concepts of those terms used in Korea and expend the concepts to the range of foreign cases. When we look into the laws relating to the concepts of ‘disability’ and ‘the person with disability’ including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Korea, narrowed concepts of those terminologies in the related laws cause the limited application of remedy system for rights of the disabled and those behaviors are in turn violating fundamental rights of the disabled. Second, we need to clarify the guideline for the type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rbitrary ado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lso induce the illegal discrimination, therefore we need exactly define what direct discriminations is, what indirect discrimination is, what exceptional cases can be excused in terms of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rights of the disabled, etc. Third, continuous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on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re essential to prevent the general public from the discrimination and violation against the disabled. Fourth, the various governmental policies are needed to prepare the reasonable methods for assisting the disabled, including daily program for the disabled, because the disabled also have rights to live as a common citizen in the our society. The state has the responsibility to support any facility and resource for the disabled, and has inclusive obligation to look after the disabled after all. Finall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s a body to redress discrimination and remedy of rights of the disabled shall be requested to play more active role to improve and promote the rights of the disable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