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대상 위드 코로나 시대의 교수법 고찰

        정애리,조영복,Jung, Ae-ri,Cho, Young-bok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2

        While online research is in full sw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a plan to gradually switch face-to-face classes along with 'recovery of daily life'. As such, there is a need for an agreement that appropriately considers the position of promoting face-to-face classes, the position of studying online classes, and the position of students taking classe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teaching method of Coexist with COVID-19 centered on the student's position as the host of the cla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suggest directions for innovative teaching methods that reflect the considerations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analyze the needs of learners who are consumers.

      • KCI등재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공공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정애리(주저자) ( Ae Ri 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1 No.-

        오늘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양산되는 수많은 콘텐츠는 정치.경제.사회.문화.예술 등을 아우르며 우리의일상생활과 학문, 비즈니스 영역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더 이상 사적 미디어로 바라보지 않고 소셜 미디어가 표방하는 개방.공유.참여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공적 미디어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등장 이후 공공성 담론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공공성 구현을 위한조건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을 위해 공공 콘텐츠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literature review)방법을 사용하여 소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공공성개념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살펴보고 소셜 미디어의공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공공성 구현을 위해서는 첫째, 이용주체와 정보의 신뢰성, 둘째, 정보의 정확성, 셋째, 내용의 공정성, 넷째, 디지털 시민성 등의 조건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의 공공성 실현을 위해해결되어야 할 문제들도 발견되었다. 공적 미디어라함은 소외계층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사회구성을 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 이용을 가로막는 장벽요인으로 피로감, 사회적 부담감,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폭력과 사이버 불링 등이 해결되어야 할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을 위해 공공 콘텐츠의 디자인 방향으로 보편성, 독립성,우수성, 다양성, 책임성, 혁신성 등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소셜 미디어 관련 연구가 사적영역의 이용 패턴 및 효과 연구에 치중하여 왔음을 직시하고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론적 프레임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oday, lots of contents produced by social media make a huge effect on our daily life and academic and business field all over the politics;economics; society;culture;art, etc.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sider social media as a public media which can realize values of openness, sharing and participation, which are imitated by social media, not a private media. To achieve it, it examined current position of publicness discourse after the appearance of social media and suggested conditions for embodiment of publicness from an angle of social communication. Furthermore, it suggested design direction of public contents for public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concept of publicness has been evolved in the environment of social communication by literature review and confirmed public values of social media. And then, it suggested that first, confidence of using subject and information, second, accuracy of information, third, fairness of contents, fourth, digital citizenship, etc. should be necessary to realize publicness of social medi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to realize publicness of social media during the process. Public media should minimize negligent classes and embrace lots of social organizations, but there were fatigue, social burdensome, privacy violation, cyber violence, cyber bulling as the obstacles for using social media. Based on the discussion, it suggested conditions of universality, independence, excellence, variety, responsibility, innovation, etc. as the design direction of public contents for public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suggest theoretical frame exploring possibilities of public application while considering that studies on social media have been biased on using pattern and effects of private area.

      • KCI등재후보

        소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SNS 비이용자(non-user) 개념에 관한 고찰

        정애리 ( Ae Ri 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3 No.-

        최근 커뮤니케이션 환경 전반에 걸쳐 가장 큰 화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등장에 따른 미디어 산업의 지각변동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사회적 보급과 혁신적인 네트워크 기술의 등장에 따라 SNS는 폭발적 성장을 거듭하였고, 미디어로서의 지위도 획득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분명 존재하며, 이용을 하지 않는 혹은 거부하는 사람들도 학문적 논의의 대상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SNS 관련 연구에서 소외된 비이용자들을 학문적 영역으로 끌어들이고, 비이용자 개념의 확대를 제안하면서 이론적 지평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literature review) 방법을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 환경의 양면적 특성을 살펴보고, 비이용자에 대한 관련 논의들을 토대로 비이용자 유형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 검토를 통해 SNS는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며, 미디어적 지위를 확보했으나 동시에 회의적인 시각도 공존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비이용자 유형은 접근(access), 기량(skill), 태도(attitude)의 세 가지 차원에서 총 8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지금까지 SNS를 이용하지 않는자를 단순히 ``non-user``라는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이러한 구분을 통해 비이용자들의 심리적 거부 요인들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비이용자 개념은 고정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고 진화하는 개념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비이용자에 대한 시각의 확대는 커뮤니케이션 단절을 방지하고 참여·공유·개방이라는 SNS 본연의 가치를 실천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The largest issue through recent overall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seismic change of media industry according to appearance of Social Network Service. With social spread of Smart phone and appearance of innovative network technology, SNS has continued to achieve explosive growth. As a result, it gained a position as media. However, non-users of social media still clearly exist in our society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o study with such non-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ure non-users who had been alienated from study related to SNS to academic realm, and to broaden theoretical horizon while suggesting expansion of non-users concept.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reviews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environment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nd provides the types of ``non-users`` based on relevant discussion about them. Based on review of existing study, it could be identified that SNS realized its original values such as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But at the same time, skeptical view on social media co-exi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types of SNS non-users can be divided into eight groups in terms of access, skill, and attitude. Until now, people who do not use social media have been simply regarded as one group of ``non-user`` bu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ould be known that non-users of SNS can be divided in psychological refusal factors. In conclusion, it was known that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concept of non-users does not have fixed meaning but is evolved concept. Expansion of view on non-users would prevent communication break and would be a cornerstone for practicing original values of social media such as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 ‘디지털 격차’ 담론의 변화와 그 함의

        정애리(Ae-Ri Jung)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2

        디지털 기술의 사회적 확산은 디지털 격차에 관한 다차원적인 연구를 발전시켜 왔다. 지금까지 기기 접근여부와 격차의 확대여부에 초점을 두었던 이분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이용 및 활용격차로의 시각을 전환하고 격차의 역동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격차의 현상을 분석하는 데 치우친 나머지, 현상의 결과를 설명할 만한 이론적 진전은 주변영역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틀을 제안하고자 하는 작은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매체의 사회적 확산과 동시에 심화되고 있는 격차현상을 이해하고, 로저스(Rogers)가 제시한 ‘S-curve 채택곡선’의 재해석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통해 오늘날 격차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능력 차원에서 다층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기존 사회-경제적 격차와 중첩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단일 미디어에 적용되었던 ‘S-curve 채택곡선’은 기술 확산의 사회적 특성과 생산적 정보 활용을 위한 수용자 능력변인에 따라 새롭게 해석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가와 정책결정자들은 격차의 문제를 극복이나 해결의 대상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그 포용범위를 넓혀가는 점진적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Most research of the digital divide focuses on the presence or absence, narrowing or widening, of the gaps in access and usage of digital media. Many researches into the gaps of internet usage have contributed to this field, but theoretical progress has been retarded partly due to the binary nature of the arguments. Furthermore, the consequences and social implications of the gaps have not been properly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oretical expansions of the digital divide and try a reinterpretation of the 'S-Curve of Adoption' by E. Roger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digital divide resulting from a converging media environment. This emerging type of divide overlaps with existing socio-economic contexts and capabilities, in terms of human communication competences. In conclusion, a single 'S-Curve Adoption' can be reframed as a new dimension, considering the audiences' competences for valuable usage of the digital media.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of the 'S-curve slope' be recognized in terms of converging media rather than a single medium. Thus,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need to acknowledge that a possible solution for the digital divide is the inclusion of an alienated stratum and the expansion of an opportunity for media participation.

      • 공기호흡형 연료전지에서 작동 온도가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

        정애리(Aeri Jung),공임모(Im Mo Kong),김민수(Min Soo Kim)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11

        In an air-breathing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system, water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ssue. Generally, flooding problem is occurred at low temperature condition. However, as operating temperature is increased, water is removed well by water evaporation and gas diffusion.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flooding is solved at higher temperature. In this study, effect of operating temperature on performance in an air-breathing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is examin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improved until specific temperature as opera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reason for enhanced performance is found as effective water removal through the analytical approach for water contents in gas diffusion layers.

      • KCI등재

        간호 술기 가상현실(VR)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학습몰입, 술기자신감, 술기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사용성 검증

        정애리(Ae-Ri Jung),권은진(EunJin Kwon),서지영(Jiyoung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연구 목적은 간호학생의 간호 술기 VR(Virtual Reality)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술기 자신감, 핵심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콘텐츠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 29일부터 12월 16일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부천 소재 B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7명 중 실험군 60명, 대조군 57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며, 자료 분석은 SPSS 2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²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학습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수준인 학습행동-사고의 통합영역(t=2.78, p <.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술기자신감(t=3.53, p =.001)과 술기 수행능력(t=3.55, p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용성 검증 결과 100점 만점에 78.13±9.80으로 나와 시스템 사용성이 수용 가능하며 등급상으로 좋음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간호 술기 VR 시뮬레이션 콘텐츠가 술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며, 향후 다양한 교과목으로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nursing skills Virtual Reality (VR) simulation program on the learning flow,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nd performance of the nursing students, and to verify its usabil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16, 2021, with 117 second-grade nursing students (experimental group, 60; control group, 57) at University in Bucheon.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n inequality control post hoc desig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he χ²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using the SPSS 28.0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flow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merging action-awareness performance (t=2.78, p <.01).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nfidence in the nursing skills (t=3.53, p =.001) and performance (t=3.55, p =.001) of the nursing students. The usability verification score was 78.13±9.80, indicating that the system usability was acceptable, and the grade was good. Therefore, the nursing skills VR simulation program may be termed effective for improving skills and could be expanded to various other sub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학생의 심장해부학 학습 경험 : 질적 내용분석

        정애리(Jung, Aeri),강지영(Kang,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간호학에서 해부학은 간호사가 되어 환자를 돌보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할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하는 중요한 전공기초 교과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위한 심장해부 간호실습모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심장해부 학습 경험을 생생하게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심장해부 간호실습모듈은 사전학습, 현장학습, 사후학습, 과제학습으로 이루어진 4단계의 학습과정이다. 1단계 사전학습은 심장모형을 활용한 이론수업, 2단계는 심장박물관 현장견학으로 심장해부학 카데바 실습과 특강, 심장박물관 투어, 심장 VR 체험활동을 포함한 실습수업, 3단계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그림으로 그리고 색칠하면서 심장해부를 복습하는 사후학습, 4단계는 심장박물관 현장학습 후에 실습일지를 작성하는 과제학습이다. 연구 참여자는 2019년 2학기에 해부학을 수강한 B대학교 간호학과 1학년 학생 중에 사후 및 과제학습 내용인 실습일지를 분석하는데 동의한 학생 70명이며, 그 중 7명의 학생은 개별면담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심장해부학 학습 경험을 자유롭게 서술한 실습일지 내용과 개별면담 내용을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심장해부 간호실습모듈을 통해 학습한 경험은 3개의 중심주제와 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학생들은 “심장을 생생하게 체험하며 학습함”을 경험하였다. 도출된 3개의 중심주제는 ‘심장을 이해함’, ‘심장을 체험함’, ‘생생하게 학습함’ 이었다. 학생들은 심장을 직접 보고 만지며 생생하게 체험하면서 학습하였다며 만족감을 표현하였고 잊지 못할 특별한 경험이었다고 말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심장해부 이론수업에 심장박물관 현장견학을 통한 심장 카데바 실습을 추가한 심장해부 간호실습모듈을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심장해부 학습 경험을 포괄적으로 탐색한 실습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간호학생을 위한 해부학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nursing, human anatomy is a major basic course for nursing students in which they lear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This course is essential to taking care of patients and must be mas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cardiac anatomy nursing practice module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heart anatomy learning experience. The cardiac anatomy nursing training module developed in this paper is a four-step 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pre-learning, on-site learning, post-learning, and task learning. Step 1 or pre-learning is a theory class using a heart model. Step 2 or on-site learning is a hands-on lesson in which a heart museum tour includes a heart cadaver training and a special lecture, as well as a heart VR experience activity. Step 3 or post-learning is a review process on the heart anatomy conducted by drawing and coloring the heart. Step 4 or task learning is the process of writing and reflecting on the practical training diary after on-site learning at the heart museum. Among the first-year nursing students who took anatom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70 students agreed to analyze the practice diary, and seven of them participated in individual interview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at evaluates the contents of a practice diary and the individual interviews on the heart anatomy practice. The experience acquired through the cardiac anatomy nursing practice module was derived with three core themes and six sub-themes, where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learning while experiencing the heart vividly.” The three main themes derived were “understanding the heart,” “experiencing the heart,” and “learning vividly.” The students expressed satisfaction by describing a crowned heart, a mysterious heart, a beautiful heart, a wise heart, and a powerful heart, and by learning while directly observing and touching the heart. The students also stated that it was an unforgettable and special training. In conclusion, basic data were gathered for the development of an anatomy practice nursing education program by means of comprehensively explor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who were able to experience cardiac anatomy practice via heart cadaver training through a heart museum field visit in theory class.

      • 정보제공이 외래 의식 하 수술, 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정애리 ( Ae Ri Jung ),이인숙 ( In Sook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6 간호학의 지평 Vol.1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contents, and effects of providing information to alleviate patients` anxiety during outpatient surgery. Methods: The PICOTS-SD (Participants, Interventions, Comparisons, Outcomes, Time, Setting, Study design) was used and 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the studies,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was used. Results: In the 11 selected studies, intervention methods included verbal, written paper, video, and websites, and the outcome variable was anxiety.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nxiety,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as ambival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current trends in providing information as an intervention. Howev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further needed in Korea, to verify the effects of such an intervention on patients` anxiety.

      • 아두이노 기반의 PIR 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출입감지 및 비접촉 도어락 구현

        정애리(Ae-Ri Jung),조영복(Young-bok C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2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사람간 접촉을 최소화할수 있는 일상에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상에서 사용되는 출입문에 비접촉 도어락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PIR 센서를 이용한 도어락을 구현한다. PIR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도어락 장치가 활성화되어 RFID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도어락은 출입 여부를 감지하여 고독사를 방지하며, 접촉하지 않고 RFID로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위생상의 장점도 지닌다. 또한, 도어락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장치인 만큼, 상술한 구현은 실습 강의에서도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This paper implements a door lock using PIR sensor based on Arduino. When the PIR sensor detects movement, the door lock device is activated and RFID tags can be used. This door rock can prevent lonely death by detecting whether the resident is in or out, and it also has hygienic advantage because it unlocks without contact by using RFID. In addition, as door locks are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the above-mentioned implementation can also increase participation in hands-on le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