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뤼엘의 비-철학과 중도의 사유

        정순백 철학연구회 2017 哲學硏究 Vol.0 No.119

        Pour succéder à la manière et à la logique de la pensée du Milieuqui est une tradition de celle-là extrême-orientale, et pour les faireévoluer, cette thèse traite par rapport à eux la non-philosophie, deFrançois LARUELLE, le philosophe français contemporain, qui sembleavoir l’attitude du Milieu. Dans ce processus, nous élucidons ceux quela pensée non-philosophique commence de l’immanence radicale del’Un-en-Un comme réel immanent lequel se donne l’allure duGongxing(空性), en même temps que l’immanence de l’Un-en-Un estdifférente de la philosophie de la Différence dont l’immanence estmélangée de la transcendance et de la l’immanence, et est totalisanteou transdante/transcendantale. Ensuite, nous considérons pourquoi laVision-en-Un de la non philosophie a besoin de la Vision-en-Milieu-en-Unde l’auteur de cette thèse au moment d’examiner la Dualité unilatéralede la Vision-en-Un depuis l’immanence de l’Un. Plus concrètement, laVision-en-Un convient à unilatéraliser et à voir le (non-)Un et le NonUn en Un-en-Un, mais pour voir leur Dualité unilatérale, leurrapport-sans-rapport et leur singularités, elle a besoin de la Vision-en-Milieu-en-Un. En fin, nous éclairons ce que la Vision-en-Milieu-en-Un,en tant que pensée non-philosophique, peut être un fil-conducteurdécisif afin de proposer une nouvelle voie vers la philosophie future,qui peut s’échapper du nihilisme métaphysique, comme la fin de laphilosophie, l’attachement pour la pensée du Gong, lequel risque d’êtreune transcendance absolue, et la philosophie de la déconstruction comme pensée de la Différence dans laquelle l’immanence et latranscendance se sont mélangées. 이 논문은 중도의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현대프랑스철학자 프랑수아 라뤼엘의 비-철학을 동양 사유의 한 전통인 중도의 사유방식 및논리와 함께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살핀다. 이 과정에서 비-철학이 공성(空性)으로 볼 수 있는 내재적 실재로서 일원적 일자의 철저한 내재성으로부터 사유한다는 점과 동시에 일원적 일자의 내재성은 초월성과 내재성이 혼재된 차이의 철학의 전체적이거나 초월적 혹은 초월론적인 성질의 내재성과 그 결을 달리한다는 점을 밝힌다. 다음으로, 일자의 내재성으로부터 보는 일심, 즉 일원적 관점이 갖는 일원적 이원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라뤼엘의 일원적 관점은 필자의 ‘일원적 중도의 관점’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검토한다. 일원적 관점은 실제로 비일자와 비-일자를 일원적 일자로 일원화시켜 보기엔 적합하지만 그들의 일원적 이원성, 즉 비-관계적 관계와 그들의 특이성을 함께 살피기 위해서 반드시 일원적 중도의 관점의 동반을 필요로 하는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비-철학적 사유로서 일원적 중도의 관점은 절대적초월로의 위험이 있는 동양의 공(空)사상에 대한 집착의 태도에, 그리고 초월성과 내재성이 혼합되어 있는 차이에 대한 사유로서 해체론 시대의 철학에 철학의 종말이라는 형이상학적 허무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미래 철학으로의 새로운길을 제시하기 위한 결정적인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 KCI우수등재

        라뤼엘의 비-철학과 학문방법론

        정순백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4

        본 논문은 라뤼엘의 비-철학에 의한 철학 비판, 특히 차이의 철학의철학적 이중성과 철학적 결정의 문제점을 살핀 후, 내재적 실재 일자로서 일원적 일자의 철저한 내재성에 근거하여 사유하는 비-철학이 일원적 인과관계를통해 제시하는 학문방법론으로서 일원적 이원분석을 연구한다. 본 논문은 이과정에서 철학을 포함한 모든 학문의 보편적 방법론이고자 하는 비-철학의 일원적 이원분석이 갖는 철학적 의의를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핀다. 첫째, 일원적 이원분석은 서양철학의 맥락에서 차이와 해체 철학이 형이상학을 비판한후 미래 철학으로의 길을 열기 위해 직면한 무력감을 극복하는 강력한 방법으로서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학문방법론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일원적이원분석이, 동양 전통사유의 한 축인 중도의 논리를 현대의 학문방법론으로계승하고 발전시키려는 사유작업 ― 중도학 ― 에 결정적인 실마리로서 하는역할이다. Après avoir examiné la critique sur la philosophie, notamment la duplicité philosophique et le problème de la décision philosophique par la non-philosophie de Laruelle, cette thèse traite la Dualyse unilatérale, comme une méthode de science, que la non-philosophie sur la base de l’immanence radicale de l’Un-en-Un en tant qu’Un réel immanent présente à travers de la causalité unilatérale. Cette thèse considère au milieu de ce travail la signification philosophique laquelle la Dualyse unilatérale de la non-philosophie, qui veut être une méthode universelle pour toutes les sciences la philosophie y comprise, a en deux aspects. Premièrement, c’est ce que la Dualyse unilatérale est non seulement une méthode puissante surmontant l’impuissance des philosophies de la Différence et de la déconstruction afin d’ouvrire un cheminement à la philosophie futurale après avoir critiqué la métaphysique dans le context de l’histoire de la philosophie occidentale, mais aussi peut être une méthode universelle pour toutes les sciences, y compris la philosophie. Deuxièmement, c’est ce que la Dualyse unilatérale rend service comme un fil-conducreur décisif à l’auteur de cette thèse, qui veut succéder à la logique du Milieu comme un axiome des pensées extrême-orientales traditionelles et faire l’évoluer vers une méthode de science contemporaine, c’est-à-dire ‘la Science du Milieu’.

      • KCI등재

        철학적 중도로서 리좀

        정순백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5

        본고는 『천 개의 고원』의 서문인 「리좀」을 바탕으로 하여, 리좀을이해하기 위한 핵심개념 중의 하나인 ‘미리우(milieu)’를 ‘리좀적 중도’이자 일종의 ‘철학적 중도’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의 구체적인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텍스트에서 서양 전통 형이상학의 나무-뿌리 형태의 책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리좀-수로 형태, ‘책-리좀’의 사유 체계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리좀적 사유가 어떻게 ‘길’이 되고, 동양적 ‘도(Tao, 道)’와 만나 리좀적 중도가 되며 철학적 중도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밝힌다. 다른 한편으로, 본고는 리좀적 사유가 우리로 하여금 내재적 차이와 타자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이 하도록 하며, 또한 공(空)한 다양체의 원리에 따른실천적 삶의 수행을 돕는 방법으로서의 의의를 가짐을 조명한다. 이 연구는 동양의 중도의 사유를 현시대에 적합하게 풀어내어 철학적으로 실천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ette étude se propose d’éclaircir le ‘milieu’ chez Deleize, qui estun concept primordial pour comprendre le rhizome, comme milieurhizomatique, une sorte de milieu philosophique, sur la base de‘rhizome’, l’introduction de Mille plateuaux. Au long de cette étude, nous envisageons d’abord le système du‘livre-rhizome’, type du rhizome-canal dans le ‘rhizome’, qui aremplacé celui-là de l’arbre-racine dans la métaphysique occidentaletraditionnelle. Ensuite, nous montrons comment la pensée-en-rhizomedevient une voie, se métamorphose en milieu rhizomatique, et peut êtrecomprise comme milieu philosophique par la rencontre avec le Tao enOrient. Par ailleurs, cette étude révèle le fait que la pensée-en-rhizomeest une méthode adéquate à comprendre mieux la Différence et l’Autreimmanents, et à renforcer de pratiquer les principes de la mutiplcitévides(空). De sorte que les effets de cette étude aideront à pratiquerphilosophiquement et convenablement la pensée du Milieu en Orient ànos jours, même s’ils sont insuffisants.

      • KCI등재

        불교의 중도에 비추어 본 들뢰즈의 중도(Milieu)와 리좀의 논리

        정순백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코기토 Vol.- No.99

        Cette étude se propose d'examiner le rhizome et la logique du rhizome d'après la méthode de 'la rhizomatique immanente', sur la base du rhizome, l'introduction de Mille plateuaux. D'ailleurs, cette étude envisage la logique du rhizome qui se déplie au 'milieu' c'est-à-dire le milieu rhizomatique, et des sens et des limites de celui-ci, en les considérant d'après la logique de la vision-en-milieu(中觀) et de la voie du milieu(中道), plus concrètement d'après la logique de Gong(空) et la vision de celui-ci(空觀) dans le Haesimmilkyong. Au cours de l'examen, cette étude révèle le fait que la logique du rhizome, en tant que pensée d'immanence, manque de radicalité de celle-ci, bien qu'elle apporte beaucoup de significations philosophiques comme 'Rhizomatique et Science de multiplicités' à la philosophie contemporaine. Car la logique du rhizome demeure en creux dans le milieu philosophique qui se prend à une trace de pensée dualiste. Cependant, la rencontre des pensées d'Occident et d'Orient à travers le rhizome aidera la pensée immanente à chercher une voie propre et une méthode de science de la philosophie coréenne, et à tâtonner une pensée créative et une voie philosophique à venir, au-delà de la limite de l'Orient. 본고는 천 개의 고원 의 서문인 「리좀」을 바탕으로 하여, 내재적 과정으로서 리좀과 ‘리좀의 논리’를 ‘리좀학’의 내재적 방법에 따라 검토한다. 다른 한편, 본고는 ‘미리우(Milieu)’에서 펼쳐지는 ‘리좀적 중도(voie du Milieu)’, 즉 ‘리좀의 논리’를 철저한 내재성이 수반되는 불교의 중관 및 중도의 논리, 구체적으로 해심밀경 에 나타나는 공관의 논리에 따라 부분적으로 고찰하면서, 그것의 의의와 한계를 살핀다. 그 과정에서, 본고는 ‘리좀의 논리’에 의거하는 ‘리좀학’이 공(空)한 다양체(les mulplicités)에 관한 사유의 심화, 바꾸어 말하면 ‘다양체학’으로서 현대철학에 지대한 철학적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재성을 지향하는 사유로서의 철저함이 결여되어 있음을 밝힌다. 왜냐하면 ‘리좀의 논리’는 은연중에 이원론적 사유의 흔적을 띠는 ‘철학적 중도’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리좀을 통한 동ㆍ서양 중도 사유의 만남은 ‘내재적 중도’의 사유로 하여금 한국철학의 고유한 길이자 보편적 학문방법론의 연구, 나아가 동양이라는 경계를 넘어 창조적 사유와 미래 철학의 길을 모색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