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강호・점필재 부자의 현실인식과 실천궁행

        정성식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This paper is to examine awarness of reality and actual practice of Kim Sukja and Kim Jongjik, a father and his son, who deepened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stressed its social practice in early Joseon’s ideological climate where practical Confucianism was emphasized. Kim Sukja followed study of Jeong Mongju from his teacher Giljae and handed it down to his son Kim Jongjik,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a scholastic mantle in early Joseon and Kim Jongjik, as a leader in early Joseon’s Sarim school, tried to avoi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against Hungu school and greatly helped to promote Sarim school’s sortie into politics. Kim Sukja and Kim Jongjik were assessed as ambivalent by posterity and unlike negative assessment by Heo Gyun or Jang Yu, positive one bore some fruit by Jo Hwangjo, which led to systematic and active respect presented by scholars of later generations. In the genealogy of authentic ethics of early Joseon from Jeong Mongju to Jo Gwangjo, Kim Sukja and Kim Jongjik are referred to as connecting members and the formation of this theory of Taotong academically justifies Sarim school that inherited study of thought on righteousness, where significance in terms of history of thought lies in. 본 논문의 목적은 실천적 유학이 강조되고 있었던 조선 초기의 사상적 풍토 속에서, 유교경전을 중심으로 철학적 사색을 심화시키고 그 사회적 실천을 역설한 강호 김숙자와 점필재 김종직 부자의 현실인식과 실천궁행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다. 강호는 스승 길재로부터 정몽주의 학문을 이어받아 다시 그것을 아들인 점필재에게 전수함으로써 조선 초기의 학통을 형성하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수행하였고, 점필재는 조선 초기 사림파의 선두 주자로서, 훈구파와의 대립과 갈등양상을 지양하면서 사림파의 정계 진출을 도모하는데 많은 도움을 제공하였다. 강호와 점필재 부자에 대한 후세 평가는 대체로 양면적이었는데, 허균과 장유의 부정적 평가와 달리, 이들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조광조에 의하여 일정한 결실을 보게 됨으로써 후세 학자들의 존숭이 체계적이며 적극적으로 드러났다. 정몽주에서 조광조까지의 조선 초기 도학의 정통계보 흐름에서 강호와 점필재가 중요 매개 구성원으로써 언급되는 바, 이러한 조선 초기의 학통형성은 의리계열의 학문을 계승한 사림파에게 학문적인 정당성을 확보시켜주는 것으로 그 사상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崔承老의 儒佛觀 탐구 -「시무(時務) 28조」를 중심으로

        정성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09 한국 철학논집 Vol.0 No.26

        본 논문에서는 최승로(崔承老, 927~989)가 지어 올린 ‘시무 28조’라는 상소문을 조목조목 고찰함으로써 최승로의 유불에 대한 입장과 관점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고려의 제6대 임금인 성종(成宗, 960~997)은 유교를 숭상하고 지향하는 모습을 뚜렷하게 보여 주는데, 이러한 모습은 성종 스스로의 유교 지향성과 최승로의 유교적 합리주의가 절묘하게 어우러져 만들어진 것이었다. 성종 대의 정교이념 구축은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통치체제정비를 마련할 수 있었다. 그의 ‘시무 28조’는 신라 말로부터 시작된 사회적 변혁의 추세를 통해 여러 가지 여건을 수렴하면서 도달한 국가적, 사회적 의견의 합일방향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시무 28조’에 나타난 그의 사상적 특색은 유교적 정치이념의 구현을 추구하며, 불교를 비판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승로의 불교비판은 종교로서의 불교 교리 자체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불교에서 파생되는 폐단에 대한 비판이었다는 한계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시무 28조’에서 명쾌하게 드러난 최승로의 정교이념은 성종에게 효율적으로 수용되어 성종대의 문화정책에 유감없이 전개되었다 할 것이다. 최승로가 남긴 이와 같은 유불관은 고려 전반기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되며, 주자학 수용 이전의 고려 유학사상을 대표할 만한 인물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자유액적의 증발에 미치는 분위기 속도의 영향

        정성식,하종률,이중순,이상석,Jeong, Seong-Sik,Ha, Jong-Ryul,Lee, Jung-Sun,Lee, Sang-Seok,Kawaguchi, O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0 No.6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performed to obtain the effect of relative velocity between droplet and environmental gas on the evaporation of a n-heptane free droplet of 180 $\mu$m in diameter flying in a hot and normal pressure air flow. Measurement of droplet diameter and velocity was conducted in a series of time by an electrically controlled optical system.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an empirical equation associated with the relation between evaporation rate constant and relative velocity was obtained.

      • KCI등재

        조선 초기 변계량의 역사의식

        정성식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Byun Gye-ryang, who led lif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early Chosun Dynasty was the time to celebrate the founding period through the revolution and the Suseong period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founding ideology of the new dynasty. In the wake of the historical upheaval of the early Chosun Dynasty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Byun Gye-ryang made efforts to study by acquiring studies through active activities under the leadership of representative Confucian thinkers who led the era. In the era when Byun Gye-ryang was active in earnest, it was considered precious to promote stability due to the conditions of the times as the Suseong perio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was required to establish a stable system operation of the country and a solid state of the governance order in name and reality. During the founding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e theory of minister-centeredness prevailed in general. It was Jeong Do-jeon who led the theory of finance-centeredness during this period. He expected the social implementation of civilian politics based on sage politics in establishing a new political system of the country in the real situation of the founding period. Jeong Do-jeon tried to firmly maintain the belief that the most powerful and capable person should be in charge of political affairs for the benefit of all the people instead of the tyranny of hereditary monarchs. However, Byun Gye-ryang strongly insisted on the theory of monarch-centeredness as Taejong, a powerful monarch, ascended the throne based on the new reality of the Suseong period. Therefore, all power must be concentrated on the king, and only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power can the dynasty be preserved. Byun had to find ways to supplement the intention of governance because he had to remove all possible risk factors from the royal family's position. Byun Gye-ryang thought that the selection of talent should be precise. This is because the scale of power depends on whether there are many or few talents. It was argued that in order to accurately select talent, it was necessary to block the path to illegal entry and omit to consider the number of years in government office.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초기에 삶을 영위한 변계량의 역사의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조선 초기는 혁명을 통한 창업기와 새로운 왕조의 건국 이념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수성기를 함께 맞이하는 때이다. 변계량은 고려 말 조선 초기라는 역사적 격동기를 맞이하여 특색있는 역량을 보이며 한 시대를 이끌었던 대표적 유학사상가들의 문하에서 활발한 활동을 통해 학문을 습득함으로써 유학의 학통을 계승하며 연구에 노력을 기울였다. 변계량이 본격적으로 활동한 시대는 수성기로서 시대 여건상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소중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명실상부하게 국가의 안정된 시스템 운영과 통치 질서의 확고한 모습을 정착시키는 것이 요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조가 개창되는 창업기에는 전반적으로 재상중심론이 우세했던 때였다. 이 시기 재상중심론을 주도하였던 사람이 정도전이었다. 그는 창업기라는 현실 상황에서 국가의 새로운 정치체제를 구비하는 데 있어서 바로 현인정치에 입각한 민본정치의 사회적 구현을 기대하였다. 정도전은 임금이 모든 권력을 장악하여 아무런 제한없이 자기 마음대로 권력을 운용하는 전제정치 대신 현명하고 재능있는 인물이 모든 백성의 이익을 위해 정무를 관장하여야 한다는 믿음을 굳게 지켜나가고자 하였다. 그러나 변계량은 이와 달리 수성기라는 새로운 변화 현실을 바탕으로 강력한 군주인 태종이 즉위함에 따라 군주중심론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따라서 임금이 모든 권력을 장악하여야 하며, 권력의 집중을 통해서만이 왕조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변계량은 왕실의 입장에서 가능한 모든 위험요인을 제거해야 했기 때문에 통치의 도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변계량은 인재의 선발을 정밀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인재가 얼마나 많고 적은지에 따라 세도의 척도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인재등용을 보다 치밀하게 진행하려면 불법으로 진입하는 길을 엄격히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홍익인간(弘益人間)’ 이념과 다문화사회

        정성식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ongik Human’ ideology and re-examine its meaning, and to connect it with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to explore implications for peace and coexistence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Hongik Human’ ideology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s, deeply embedded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from the Dangun era to the present, as a major context in the founding myth of our people with a long history. The ideology of ‘Hongik Human’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ufficiently established as an ideological basis for promoting cultural convergence in a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The ‘Hongik Human’ ideology contains the ideal of coexistence that any human being should be able to enjoy the benefits given by heaven without discrimination. For example, it is a world where opposing things coexist, like a world where bears and tigers can live in one cave. In the ideology of the ‘Hongik Human’, it is not self-righteousness that only I am right or self-existence that only I exist, but harmony and coexistence that we should live in harmony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ruth are deeply embedded. In Dangun mythology, heaven, earth, and humans appear in order. Humans are born in the form of a heavenly soul planted in a land existence. Sky, land, and humans symbolize different cultures, suggesting a typical pattern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each culture is fused to form a new culture. In the Dangun myth, the birth of Dangun can be said to mean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cultures. The archetyp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ism are inherent in this myth, which embraces different opponents and their cultures and sustains communities in an orderly manner. Today, as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have emerged as a huge trend in the global community, they are undergoing rapid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religious. At this time, we need experts in each field to work together to find ways to more actively and actively utilize the wisdom of tradition obtained from the ‘Hongik Human’ 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