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STM을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의 고장진단

        정선우,신지원,민순재,허장욱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ermal imaging cameras are mainly used at night, in bad weather, and in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Their durability due to the intended long-term use is very important as failure can cause fatal damage. Recently, the demand for thermal imaging camera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fire, and failure diagnostics, has been increasing. There are many studies on failure diagnostics in systems using thermal imaging cameras. However, few studies diagnose faults specifically in thermal imaging cameras. Therefore, this study extracted data values at a temperature range of 70~90°C for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infrared (IR) lenses with high risk priority number (RPN) for the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of thermal imaging cameras and confirmed that the resistance increased during the failure of the PCB module. The acquired time series data were analyzed using long short-term memory (LSTM), which is one of the deep learning technique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ree data accuracy errors were obtained by temperature, 0.028~4.208% higher accuracy was obtained compared to models of other systems. 열화상카메라는 주로 야간, 악천후 및 고온의 환경에서 사용되며, 고장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있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방역, 화재 및 고장진단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열화상카메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다른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는 연구는 많지만, 열화상카메라 자체의 고장진단을 연구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화상카메라의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에 대해 RPN(Risk Priority Number)이 높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적외선 렌즈(IR Lens)를 대상으로 70~90°C 온도에 따른 데이터 값을 추출하였으며, PCB 모듈의 고장 시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획득한시계열 데이터를 딥러닝 기법 중 하나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3가지의 데이터 정확도 오차를 온도별로 구하여 보았을 때, 다른 시스템의 모델에 비해 0.028~4.208%의 높은 정확도를얻었다.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긍정심리자본 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인식의 구조적 관계분석

        정선우(Jung, Sun-Woo),이영민(Lee, Young-Min),임다영(Lim, Da-Young) 경기연구원 2013 GRI 연구논총 Vol.15 No.1

        The existing studies suggest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ompetency composed of self-efficien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member’s extra-role behavior is analyzed and studied whether it is applicable as a significant variable. The study model for the effect relationship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built up on the base of the precedents studies, and did a survey of 298 local government officers, using the measuring device that was developed in the precedent studies, and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s and the adequacy of the study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ignificantly. Second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cts as a partial medi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effect relationship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argeting the local government officers, wh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local government officer was verifie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the member’s attitude and his or her behavior.

      • KCI등재

        동적기하 환경에서 Lakatos 방법에 따른 중학교 학생의 증명 스키마 분석

        정선우(Jung, Seon Woo),조민식(Cho, Minsh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동적기하 환경에서 공학적 도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가능성과, 학교수학에서 연역적 증명에 치중하고 있는 정당화 학습의 문제점과 대안을 고찰하였다. Lakatos의 증명과 반박의 방법을 교수·학습 모형으로 채택하여, 동적기하를 활용한 상호작용하에서 일어나는 학생들의 정당화 과정을 관찰하여 정당화의 특징을 Harel과 Sowder의 증명스키마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 동적 기하환경은 Lakatos 방법 중 추측의 개선 단계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에게 추상적 성질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므로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추측의 개선 단계에서 다양한 반례를 탐색하며 학생들은 임의성, 종속성, 불변성과 같은 기하적 대상의 추상적 성질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문제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하교육에서 학생들의 정당화학습에 대한 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of schema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Lakatos’ method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The Lakatos’ proofs and refutations has been adop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 justification of students under interaction with dynamic geometry softwares. These justific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Harel and Sowder s proof schema. Results show that the dynamic geometric environment confirm the need for more aggressive adoption, as it facilitates the recognition of abstract qualities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during the improvement of guesswork in the method of Lakatos. When searching for various responses at the stage of improving the guesswork, students showed intuitive recognition of the abstract qualities of geometric objects such as randomness, dependency, and invariance,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uld be developed into more general models, applying them to different levels of students and various difficult tasks, and contributing to a change in perspective on geometry.

      • 교통소외지역 대중교통체계 전환에 따른 수요응답형 버스 통행특성 분석: 세종시 두루타(DRT)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선우(Jung, Sun Woo),이연재(Lee, Yeon Jae),정송희(Jeong, Song Hee) 한국지역개발학회 2024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2

        Disadvantaged public transportation regions restrict daily mobility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As population decline exacerbates these issues, the need for Demand-Responsive Transport (DRT) to enhance local mobility has emerged. DRT offers flexible passenger transport, transcending fixed routes and schedules, improving transportation access, reducing costs, and providing efficient services based on real demand. Local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implementing DRT to ensure mobility rights and transportation welfare. To maximize DRT utility, understanding local travel demand and evaluating existing services are essential.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Sejong Citys DuRuTa Bus as a DRT cas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big data. Despite efforts to enhance transportation in disadvantaged area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DRT remains unexamined. This research assesses the DuruTa DRT bus service over half year driving record to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mand-Responsive Transport in an era of declining populations, aims to inform future public transportation mobility policies. To examine the travel behavior of the DRT service, this study employed Origin-Destination (O-D) analysis and Nearest Neighbor analysis to identify spatiotemporal patterns.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gainst existing bus public transportation passenger patterns to analyze the distinctive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DRT bus service in the rural areas of Sejong City.

      • 센서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소프트웨어 변경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버전관리기법

        정선우(Sunwoo Jung),김동규(Dongkyu Kim),정기원(Kiwon C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본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된 나노큐플러스 운영체제기반의 센서네트워크에서 각 노드의 응용모듈에 대한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을 응용모듈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하여 고유식별번호를 각 노드의 헤더파일에 저장한다. 관리자 또는 개발자가 헤더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각 노드의 고유한 식별번호를 사용하여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노드의 형상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버전관리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버전관리 기법을 나노큐플러스 운영체제기반의 센서네트워크 응용모듈에 적용하면 개발자 입장에서 각각의 응용모듈 변경에 대한 버전관리가 용이해지고, 형상항목인 소스코드간의 연관관계 및 변경된 소스코드의 버전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센서노드상의 응용모듈 동적재구성을 위한 버전동기화 도구

        정선우(Sunwoo Jung),길아라(Ara Kil),정기원(Kiwon C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일반적으로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수천 개의 센서노드로 구성된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노드들은 제한된 저장 공간과 효율적인 에너지자원소비 등의 제약사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센서노드에서 응용모듈에 대한 형상관리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된 나노큐플러스 운영체제(Nano-Qplus OS)기반의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각 노드들의 저장 공간이나 에너지자원 등의 여러 제약조건을 고려한 버전동기화 도구를 제안한다. 이것은 윈도우즈 기반의 eclipse개발환경과 버전관리도구인 CVSNT와 연동하여 각 응용모듈의 버전을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센서노드와 버전정보 저장소간의 버전동기화 도구인 NVSync(Nano-Qplus Version Synchronization)를 사용하여 센서노드의 응용모듈과 동기화함으로써 동적으로 노드들의 응용모듈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업의 가치 네트워크 모형

        부귀현(Gwihyeon Boo),정선우(Sunwoo Jung),조부연(Buyeon Cho)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2022 産經論集 Vol.42 No.2

        본 연구는 기업이 보유한 강점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사례를 기반으로 가치 네트워크 모형을 논의하였다. 가치 네트워크 모형은 기업이 보유한 강점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하는 가치 사슬 모형이다. 이는 HR 분야의 네트워크 조직 구조를 가치 사슬모형에 대입한 것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내 기업 중 가치 네트워크 모형을 지녔다고 판단된 기업인 ‘프레시스’의 사례를 분석하여, 가치 네트워크 모형의 구조를 알아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프레시스 대표와의 인터뷰, 프레시스 기업 내부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구에서는 단하나의 기업만을 분석했다는 한계점을 가지는 바, 다양한 사업 분야의 기업 사례를 대입해보는 것이 추후 과제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value network model based on the case of expanding the business based on the strengths of the company. The value network model is a value chain model that expands to various businesses based on the strengths of companies. This is the substitution of the network organizational structure in the HR field into the value chain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Presis', a company judged to have a value network model among companies in Jeju Island, and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value network model. For analysis, interviews with Presis representatives and internal data of Presis companies were used. Since this district has a limitation of analyzing only one company, it was suggested as a future task to substitute corporate cases in various business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