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부가 인체에 미치는 영양학적 고찰

        정문경,김성환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3

        일반적으로 두부는 만드는 방법이나 두부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두부가 있다. 두부의 효능으로는 혈중 지질, 지단백, 콜레스테롤 등의 농도를 감소시켜 동맥경화와 뇌혈관을 깨끗하게 하여 심뇌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내 유용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콜레스테롤 배설을 촉진시키고, 장 기능에 대한 생리적 효과와 식사 후 혈당 상승 억제와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두부에는 칼슘이 풍부해 뼈 손상을 막아주고, 뼈 조직의 생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반면, 빈혈이 있는 사람의 경우 두부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콩에 들어있는 phytic acid라는 물질은 아연 및 철분과 같은 무기물의 흡수를 저해하기 때문에 철 결핍성 빈혈 환자는 더 심한 철분 부족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건강식품으로 선호되고 있는 두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천연 첨가제를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nutritional aspect of tofu. Tofu is a widely-enjoyed food made from soybeans, and it is a great example of how a simple food like soybeans can be woven into human food traditions in a way that is natural, inexpensive, and nourish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remember about tofu is its basic whole food nature. Tofu is produced with significantly less processing than most low-fat soymilks, it is a soy food that is much closer to a "whole foods" category than soy protein isolates and concentrates. From a health benefits standpoint, there are also benefits to tofu that has been fermented. Replacing meat and dairy with tofu and other soy products would also lower our total cholesterol intake by about 125 mg per day and our saturated fat by about 2.4 g per day. These nutritional changes, in turn, would lower our risk of several chronic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 KCI등재후보

        인터넷 중독이 남자대학생의 학업성취와 대학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문경,김경희 한국교정복지학회 2012 교정복지연구 Vol.- No.26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이 남자대학생의 학업성취와 대학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남자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와 대학생활부적응의 차이를 알아보며 인터넷 중독이 학업성취와 대학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간략형 척도(KS-A), 학기 평점평균(Grade Point Average), 대학생활부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서울, 전남, 충남, 충북의 소재의 4년제 대학교 4곳의 남자대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 중 358명의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분석,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남자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은 고위험사용자군 16명, 잠재적위험사용자군 54명, 일반사용자군은 288명으로 남자대학생의 인터넷 중독률은 19.5%로 높으며 인터넷을 재미가 있어서 이용하는 집단과 인터넷 이용시간이 5시간 이상 집단이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인터넷 중독이 높을수록 학업성취가 낮으며, 자신감 상실과 주의집중 곤란이 높고 건강상태가 나쁘며 반사회적 성향이 높은 대학생활부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examined an effect of the internet addi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of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levels of the internet addiction that depend on general features of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at depend on the level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to figure out an effect of the internet addi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e survey paper that is composed of the adult-internet addiction self-test simplified criterion (KS-A), GPA (Grade Point Average), and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criterion was used. It was conducted by setting 408 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4 of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Jeonnam, Choongnam, and Choongbuk, as the target subjects, and in order to analyze 358 surveys among them, the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analysis, ANOVA, Moments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SPSS 18.0 program, were used. As a result, as for the level of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fied to have 16 of high-risk users, 54 potential-risk-users, and 288 general users, and the internet addiction rate of male university students was as high as 19.5%, and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group that uses the internet for fun as well as the group that used the internet for more than 5 hours have high level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it could be seen that as the level of the internet addiction increas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d with loss of confidence and attention, and their health conditions were poor and they had high anti-social tendencies to be reflected in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s well.

      • KCI등재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전보배상청구권

        정문경 민사판례연구회 2013 民事判例硏究 Vol.- No.35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in the en banc Decision 2010Da28604, May 17, 2012 that the real action is not able to exist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the real rights because it bases its existence as well as establishment on the real rights, and changed its previous opinion that the real action may still exist under some conditions despite the loss of real rights and the previous real rights holders such as real estate owners can claim the compensatory damages due to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of real action. However the dissenting opinion in this en banc Decision asserted that it depends on the legal policy whether to approve such compensatory damages, and thus there are no theoretical and practical needs to change the previous opinion which protected equally real rights and claims. In the aspect of legal theory, the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real action are based on real rights, and thus real action is accessory to the real rights. In this respect, it shall not be deemed that if real action is once established, it can still exist despite the loss of the real rights as the principal rights. Therefore the majority opinion is superior to the dissenting opinion in legal theory. However, the dissenting opinion's assertion that when the previous owner lost ownership due to the completion of subsequent purchaser's acquisitive prescription of property rights, in the case of this en banc Decision, remedies for lost previous ownership are needed, is worth listening up. In this regard, this paper dealt with the need and resonable scope of remedy for lost ownership. In conclusion, the remedy for the previous owner's lost ownership would be, in principle, the performance of rights to claim for damages by torts. Additionally in the aspect of coherence in existing precedents, it is hard to say that merely approving the rights to claim for damages by torts is not enough to protect the previous owner's ownership,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of an unlawful act of the non-rightful person, proximate causal relation, starting point of computing extinctive prescription regarding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compensation and so on. Moreover, if the viewpoint of the dissenting opinion is taken, then it is, in fact, difficult or complicated to resolve legal disputes in regard to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scope of compensatory damages due to the real action's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Considering the need and resonable scope of remedy for lost ownership, the majority opinion seems reasonabl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대법원 2012. 5. 17. 선고 2010다28604 전원합의체 판결은 물권적 청구권은 그 성립뿐 아니라 존재근거를 그 발생기반이 된 물권에 두고 있어 물권과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없음을 명확히 함으로써, 물권의 상실에도 불구하고 이미 성립한 물권적 청구권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음을 전제로 그 이행불능으로 인한 전보배상을 인정한 기존 판례의 태도를 변경하였다. 이에 대하여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별개의견은,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전보배상을 인정할지 여부는 법률 정책적인 결단이므로, 기존 판례가 이를 인정하여 채권에 못지않게 물권 내지 물권자를 보호해 온 상황에서 판례의 태도를 변경할 이론적․실무적인 필요성이 없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법이론적인 측면에서 물권적 청구권의 성질을 본다면, 물권적 청구권은 모권(母權)인 물권에 그 성립뿐만 아니라 그 존재근거를 두고 있고, 성질상 물권을 관철하기 위한 ‘도구적 권리’로서 어디까지나 물권에 종(從)된 권리라고 할 것이므로, 물권적 청구권이 모권인 물권이 소멸한 이후에도 여전히 독자성을 가지고 존속한다고 보기는 어려워,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이 이론적인 면에서 더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사안과 같이, 부동산에 관하여 무권리자 명의로 소유권등기가 마쳐지고 그 무권리자의 소유권 이전행위에 기초하여 전득자의 해당 부동산에 관한 취득시효가 완성됨으로써 그 소유권을 상실하게 된 종전 소유자에 대하여 권리구제를 해 줄 필요성은 적지 않다는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별개의견도 경청할 만하다고 할 것인바,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이 소유권을 상실한 사람에 대한 권리구제의 필요성과 그 타당한 범위를 검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물권의 상실에 따른 종전 소유자의 권리구제는 원칙적으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행사라 할 것이고, 종전 판례와의 체계정합성의 측면에서 그 위법행위의 구성, 상당인과관계,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 손해배상액의 산정 등을 고려할 때,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인정만으로 종전 소유자의 권리보호에 부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위 전원합의체 판결의 별개의견과 같이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에 의한 전보배상청구권을 별도로 인정할 경우, 물권적 청구권의 이행불능의 이론적 구성, 손해의 개념 구성, 손해배상의 범위,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고, 과연 권리구제의 강한 필요성이 인정되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과 결과 면에서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법이론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도 별개의견의 입장에 동조하기는 어렵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