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 있어서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수술전 평가에 관한 연 구

        정동근(DK Chung),강순범(SB Kang),이효표(HP Lee),신면우(MW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5

        1985년 1월부터 1987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고 입원하여 임상병기 설정을 위한 검사와 복부 및 골반 CT 스캔을 시행한 121예를 대상 으로 임상병기와 CT staging비교하여 이중 수술을 시행한 96예에서 임상 병기와 CT staging 을 수술병리학적 소견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21명의 침윤성 자궁암 환자에 대한 임상병기와 CT staging을 비교한 결과, 임상병기와 CT staging이 일치한 경우가 63예(52%) 였으며, CT staging이 임상병기보다 과대 평가한 경 우가 37예(31%) 과소평가한 경우가 21예(17%)였다. 2. 수술을 시행한 96예의 침윤성 자궁암 환자의 임상병기와 수술 및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 하여 보면 일치한 경우가 60예(63%)엿으며, 과대평가는 18예(19%) 과소평가는 18예(19%)였 다. 임상병기에서 오류를 보인 36예 중 IB의 경우가 12예(33%) IIA가 20예(56%), IIB가 3예 (8%), IIIB가 1예(3%)였다. 3. 수술을 시행한 96예의 침윤성 자궁암 환자에서 CT staging과 수술 및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하여 보면, 일치한 경우가 68예(71%)였으며, 과대평가는 17예(18%), 과소평가는 11예 (11%)여다 .CT staging에서 오류를보인 28예중 Stage I이 10예(36%), Stage IIA가 1예(4%), stage IIb가 16예(57%), stage IVA가 1예(4%)였다. 4. 방대동맥 임파절 전이에 대한 CT 스캔의 민감도는 67%, 특이도는 100%,정확도는 99%(95/96)였으며, 골반 임파절 전이의 경우에는 민감도 24%, 특이도는 96%, 정확도 77%(74/96)였다. 또한 자궁방 결합조직의 경우에는 민감도 83%, 특이도 81%, 정확도 81%(78/96)이었으며, 방광 침습의 경우는 민감도 33%, 특이도 100%, 정확도 98%(94/96)를 보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침윤성 자궁경부 환자에서 임상병기에 비하여 CT staging이 보다 높은 일치율을 보엿고, CT에 의한 자궁방결합조직 침습의 판별은 비교적 정확하였으며, 골 반 임파절과 방대동맥 임파절전이에 대한 CT 의 간파능력은 높히 평가할 수 있었다. 결론 적으로 CT 스캔은 침윤성 자궁암 환자에서 치료방침을 정하는데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료 된다. One hundred and twenty-one patients with primary invasive carcinoma of the cervix were evaluated by Computered Tomography to assess CTs ability to screen patients prior to radical surgery. CT agreed with clinical stage in 52% upstaged tumors in 31% and downstaged tumors in 17%. Clinical stage differed from surgicopathologic stage in 37% of 96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radical surgery . In comparison with surgico-pathologic stage in 96 patients , CT was inaccurate in 28 patients (29%) . Sixteen (57%) of 28 errors were in the CT stage IIb category. The sensitivity of CT for para-aortic lymph node involvement was 67% and the specificity was 100% .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T for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was 24% and 96% respectively. CT showed 100% specificity and 33% sensitivity in dectecting bladder invasion which was confirmed by cystoscopy. In conclusion, CT offers an easy, noninvasive method to stage invasive carcinoma of the cervix. It offers the advantage of a single diagnostic method to evaluate the local extent of pelvic tumor, paraaortic lymphadenopathy and to lesser extent pelvic lymphadenopathy.

      • KCI등재

        자궁내막증환자의 맹낭액내 프로스타글란딘 농도에 관한 연구

        정동근(DK Chung),이진용(JY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10

        자궁내막증환자의 맹낭액 양과 맹낭액내 프로스타글란딘 농도 변화의 유무와 또한 자궁내막 증의 정도와 맹나액 양 및 프로스타글란딘 농도 사이의 연관을 규명하기 위하여 진단복강경 을 이용하여 자궁내막증환자 20명과 정상복강경 소견을 보인 불임환자 19명을 대상으로하여 맹낭액을 채취하여 맹낭액의 양 및 맹낭액내 프로스타글란딘 농도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자궁내막증환자의 맹낭액 양은 대조군에 배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다만 양군에서 모두 난포기와 배란주위기에 비하여 황체기에 맹낭액 양이 유의하게 증가하엿다. 2 자궁내막증환자에서 프로스타글란딘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또한 자궁내막증의 정도와 프로스타글란딘 농도의 연관은 없었따. 다만 자궁내막증 제 2기 환자의 맹낭액내 6-keto-PGF1a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맹낭액내 프로스타글란딘 전체 양도 양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4.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월경주기에 따른 맹낭액내 프로스타글란딘 농도는 유의 한 변화가 없었고, 각 월경주기에서 양군의 프로스타글란딘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경미한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불임의 기전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이 어떠한 역 할을 할 것이라는 추론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관계를 규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자궁내막 증올 인한 불임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ssociation between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is well known but the mechanism whereby minimal or mild endometriosis renders a women infertile is obsc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volume of Cul-de-sac fluid and concentration of certain prostanoids were changed in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to determin whether a direc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extent of disease and fluid volume or prostanoid concetraion. Women with laparoscopically proved endometriosis stage I(n=12)and stage II(n=8), were included in this study . The control group (n=19) consited of those patients with infertility without evidence of a peritoneal factor. The volume of Cul-de-sac fluid of women with endometrio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from that obtained from diseases-free women.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a significantly greater volume of Cul-de-sac fluind wa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disease-free women in luteal phase than in follicular or periovulatory phase . Cul-de-sac fluid prostanoid concetration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 Furthermore meaningful elevation of prostanoid with severity of disease could not be demonstrated.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6-keto PGF 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tage II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subject . we not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f total Cul-de-sac fluid contents of prostanoids between two group . we also found no significantly cycle variation in prostanoid levels within each group of patients . No significantly difference was demonstrated in prostanoid level between two group within each phase of the menstraul cycle . Despite the attractive concept that prostanoids may play a local role in the mechanism of ifertility no direct causal relationship has been demontrated to date. The role of prostaglandins in case of endometriosis-induced infertility required further investigation.

      • KCI등재

        임신과 분만시 모체혈장 beta-endorphin에 관한 연구

        정동근(DK Chung),김정구(JK Kim),문신용(SY Moon),이진용(JY Lee),장윤석(YS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0

        1986년 4월부터 1986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외래에 내원한 정상임부 43명, 분만을 위하여 보원에 입원한 임부중 질식분만한 임부 33명과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임부 21명 및 정상 비임부 21명을 대상으로 모체혈장 -Ep치를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기간중 모체혈장 -Ep치는 치는 각 임신기수에서 유의한 변화를 하지 않았으며 정상 비임부의 것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가 없었다. 2. 모체혈장 -Ep치는 분만 제 1기에서 임신 제 3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진통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분만 제 2기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에 감소되어 분만 제 3기에서 분만 제 1기의 후기의 수준이 되었다. 3. 각 분만기수에서 자연분만과 oxytocin유도분만시의 모체혈장 -Ep치 사이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4. 분만방식에 따른 모체혈장 -Ep치는 응급제왕절개분만의 경우가 선택적 제왕절개분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자연질식분만 및 흡인질식분만의 경우와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5. 응급제왕절개술과 선택적 제왕절개술의 경우 마취전과 마취후의 모체혈장 -Ep치는 각각 유의한 차가 없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hanges in maternal plasma beta-endorphin level during pregnancy, labor, and delivery, and the effects of the mode of delivery and general anesthesia o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mmunoreactive -endorphin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in venous plasma of 43 pregnant women during pregnancy, 33 pregnant women during labor, and 21 pregnant women submitted to emergency or elective cesarean section prior to induction and immediately after fetal extration. The venous plasma samples of 21 nonpregnant women were taken as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pregnancy and was slightly increased in pregnant women than in nonpregnant women. 2.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irst stage of labor than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s labor progressed,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ncreased furthermore, peakde at the second stage of labor, and thereafter declined to the level of the first stage of labor.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maternal plasm -endorphin levles between spontaneous and oxytocin-induced labor and delivery. 4.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in emergency section group after fetal extr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elective secti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 among the spontaneous delivery group, the vacuum extraction group and the cesarean section group. 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ean maternal plasma -endorphin levels of women underwent emergency or elective cesarean section prior to induction of anesthesia and immediately after fetal extraction.

      • KCI등재

        부인과 악성종양에 대한 항암제의 화학감수성 검사를 위한 피부막하 종양이식 분석법

        강순범(SB Kang),정동근(DK Chung),조경훈(KH Cho),김승철(SC Kim),이필형(PH Lee),이효표(HP Lee),신면우(MW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11

        1987년 1월부터 1987년1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산부인과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부인과 악성 종양 환자중 경부암 32예, 난소암 5예, 자궁내막암 4예, 육종 2예, 융모상피암 1예를 대상으 로 신피막하 종양이식 분석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SRCA에서의 항암제 독성은 단일화학요법에서 비교적 적은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epirubicin과 cis-platin 및 5-fluorouracil과 cis-platin의 복합화확요법의 경우는 증등도의 독성 을 보인반면 CAP, VAC의 복합화학요법의 경우는 심한 독성을 보였다. 2. 대조군 BALB-C생쥐 총 164마리에서의 종양이식 성장율은 양성을 보인 경우가 77% 종양 의 크기에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13%, 일부퇴행을 보인경우가 10%이었다. 또한 신피막하 종양이식 분석법의 분석가능율은 93%(41/44)이었다. 3. 부인과 악성종양에 대한 각종 항암제의 감수성을 비교한바 자궁경부암에 있어서 각각 5-fluorouracil 에 50%(6/12) cyclophosphamide에 38% (3/8), cis-platin에 46%(6/13), bleomycin 에 43%(3/7), epirubicin과 cis-platin의 복합화학요법에 88%(15/17)의 감수성을 보였다. 난소암 의 경우에는 CAP복합화학요법에 80%(4/5) 자궁내막암의 경우에는 5-fluorouracil 및 epirubicin 에 각각 100%의 감수성을 보였으며 육종의 경우에는 VAC에 100%의 감수성을보였다. 융모 상피암의 경우는 methotrexate에서만 감수성을 보였다. 부인과 악성종양의 각각의 이식절편 에 대한 동일한 항암제의 화학 감수성은 다양한 이질성을 보였다. 4. SRCA에 의한 화학감수성 결과와 임상치료효과를 비교한 바 전반적인 예상 정확도는73% 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피막하 종양이식분석법은 부인과 악성종양의 각종 항암제에 대한 감 수성 검사로서, 임상적 치료 효과의 예상 정확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항암제의 독성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시행하기 용이하고 단시일내에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항암제 선택에 매우 유용한 화학감수성 검사 방법으로 사료된다. Subrenal capsule assay (SRCA) is a promising method in the selection of individual chemotherapy for cancer patients . We established the laboratory procedures of SRCA to make an animal model of in vivo chemosensitivity test for determining gynecologic tumor responsiveness to chemotherapy. A total of 44 SRCA were performed with several gynecologic malignancies(32 cervical 5 ovaria, 4 endometrial carcinomas, 2 sarcomas, and 1 choriocarcinoma). 1mm X 1mm X 1mm fragment of fresh human gynecologic turmors were implanted under the renal capsule of immunocompetent female adult BALB-C mice and tested against several chemotherapeutic agents or their combination. In present study the xenografts under the renal capsule showed the variations in growth rates. This appeared to reflect the difference growth potential characteristic of each tumor as well as the heterogeneity of the cell population comprising each tumor. An average of 77% of tumors showed positive growth, 13% demontrated no measurable change ,and 10% showed partial regression in size. The evaluable assay rate was 93% (41/144). The response rates of cervical carcinomas to several chemotherapeutic agents varied from 38%(3/8)to cyclophosphamide to 88%(15/17) to epirubicin plus cis-platin . Response rates of ovarian cancers varied from 0%(0/2) to cis-platin to 80%(4/5) to CAP . Varibale response rates were also noted in endometrail carcinomas and choriocarcinoma, the results of the SRCA and the and the clinical outcome of the patients could be compared in 15 cases porspectively. An overall predictive accuracy rate of 73% was obtained in present series. In conclusion the SRCA is considered as a reliable vivo clinical chemosensitivity test in the selection of individual cancer chemotherapy.

      • KCI등재

        조발성 난소기능 부전증에 관한 연구

        김미화(MH Kim),정동근(DK Chung),이영준(YJ Lee),김정구(JK Kim),문신용(SY Moon),이진용(JY Lee),장윤석(YS C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8

        1985년 5월부터 1986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중 조발성 무월경이 의심된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발성 난소기능부전증에 관한 임상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28.1±3.5세 이었으며, 원인에 따라 세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제 1군은 16명으로 완전한 성적 성장발육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이었다. 이중 성염색체 검사가 5명에서 정상이었으며, 2명에서는 45X, 7명에서 X-염색체의 Mosaicism으로 염색체 핵형 검사 결과 밝혀졌다. 제 2군은 16명으로 무월경시기 전까지는 완전히 육체적 발육이 되어 있었고, 규칙적인 월경을 가지고 있다가 무월경이 된 환자이었다. 그중 10명은 성염색체가 정상이었고, 다른 환자들은 염색체핵형 분석을 시행하지 아니하였다. 제 3군은 전에 배란이 되었던 사람으로 이차성 무월경 및 불임을 주소로 온 사람으로 8명이 이에 속한다. 제 1군의 2명, 제 2군의 1명에서 뇌하수채 기능저하에 의한 난소기능 저하로서 시야검사, skull X-ray는 모두 정상이었고, 무후각증의 소견도 없었다. 제 1군의 1예, 제 2군의 3예, 제 3군의 4예에서 estrogen-progesterone치료후에 배란유도제를 사용하여 배란을 유도하였으나, 모든 환자에서 배란이 되지 아니하여 임신에 성공한 예는 없었고 자가면역증의 증거를 가지고 있는 환자는 1예에서 발견되었다. The characteristics of 40 patients with presumptive premature ovarian failure have been examin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to 1985 to March 19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age is 28.1(SD: 3.53). 2. Three distinct clinical groups were identifiable, group I consisted of 16 women, who failed to undergo complete sexual maturation, five of them had normal sexual chromosomal analysis, two of them had 45X, seven of them had mosaicism of X-chromosome. Group II consisted of 16 women, achieving complete maturation and with regular menses of several years before the onset of amenorrhea, or sporadic menses. Group III was composed of 8 women with evidence of ovulation during or following the investigation period. 3. Two of group I and one of group II had a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and had a normal visual field test, and skull x-ray and had no appearance of anosmia. 4. 1 case of group I, 3 cases of group II, and 4 cases of group III had a clomid induction following estrogen-progesterone therapy. But none of them had a ovulation induction and a successful pregnancy. 5. Autoimmune evidence was seen in 1 case of these pstients.

      • KCI등재

        악성난소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및 예후 (III)

        강순범,이효표,정동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9

        1975년과 1982년에 각각 발표한 본 교실의 제 1차 및 제 2차 악성난소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에 이어서 1981년 12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5년 1개월간 서울대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받은 악성난소 종양환자 96예에 대하여 임상병리학적 소견과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악성난소종양의 발생빈도는 16.6%이었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50∼59세에서 가장 빈도가 높았고 평균연령은 47.8세였다. 환자중 무경산군은 26.0%이었고 원발성 불임율은 12.5%였으며, 폐경기 여성이 45.8%를 차지하였다. 2. 자각증상은 복부종괴촉지(65.6%), 하복부 동통(58.3%), 위장관 장애(14.6%), 이상자궁출혈(10.4%)의 순이었으며, 진찰소견으로는 복부종괴촉지(80.2%), 복수를 동반한 복부팽창(34.4%), 복부팽만(14.6%)의 순이었다. 3. 복수의 세포진 검사 양성율은 60%였으며, 자궁내막조직검사상 2예에서 자궁내막암을 동반하였다. 종양표지물을 검사한 결과 양성율은 CEA 43.2%, -FP 10.0%, LDH 22.2%, CA 125 37.5%이었다. 4. 양측성을 보인 예는 49.0%였으며, 원발성 난소암 87예의 임상기는 제 1기 43예(49.4%), 제 2기 7예98.0%), 제 3기 29예(33.3%), 제 4기 8예(9.2%)였다. 조직 병리학적 분류는 상피성 난소암 78예(81.3%), 악성생식세포종 6예(6.3%), 악성성기삭 기질성 종양 3예(3.1%), 전이성 난소암 9예(9.4%)였다. 5. 수술 범위는 완전제거 47예(49.0%), 거의 제거한 경우 19예(19.8%), 부분적 제거 20예(20.8%), 조직생검 10예(10.4%)였다. 보조적 치료로서 방사선 요법을 시행받은 경우가 7예 였으며, 화확요법은 55예서 시행되었는데 단일 화확요법이 22예, 복합요법이 33예에서 시행되었다. 6. 화확요법의 관해율은 CAP 73%, CAF 63%, melphalan 48%의 순이었다. Melphalan 167 course, CAF 28 course, CAP 92 course의 화확요법을 시행한 결과 나타난 혈액학적 독성은 CAF와 CAP의 경우 21%와 20%에서 백혈구 감소증을 나타냈으며, melphalan 단독요법의 경우 13%로 적은 빈도를 보인 반면 혈소판 감소증은 3가지 화확요법에서 5∼7%의 빈도로 나타났다. 빈혈의 경우 복합요법에서 10∼13%를 보인 반면 melphalan단독요법의 경우 7%를 나타냈다. 상피성 독성의 경우 CAF와CAP의 경우 80∼100%에서 나타났으며 melphalan의 경우 62∼72%에 나타났으며, 간 독성은 CAP 7%, melphalan 5%로 나타났으며, CAF의 경우 간 독성은 전무하였다. 신경독성은 CAF 13%, CAP 7%의 순이였으며, 신독성은 CAP의 경우 20%의 빈도를 보인 반면 CAF와 melphalan에서는 전무하였다. 7. 65예에 대한 추적조사 결과 전반적인 2년 생존율은 56%였으며, 임상기별 2년 생존율은 제1기 85%,제2기 62%, 제2기 20%,제 4기 0%였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때 악성난소종양의 조기발견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진단후 적절한 수술요법과 보조적 화확요법 그리고 화학치료후 2차및 3차 추시 개복을 통한 치유판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국내의 여건으로 비추어 볼때 치료후 관해율 및 생존여부에 대한 계속적인 추적조사의 실시가 매우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Clinico-pathologic survey and follow-up were made on 96 malignant ovarian tumors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Dec. 1981 tod Dec. 1986 following first and second reports of clinico-pathologic observation on malignant ovarian tumors published in 1975 and 1982,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malignant ovarian tumors among ovarian tumors was 16.6%. The mean age was 47.8% yeat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50∼59 years group. The frequency of nulliparity was 26.0%, and primary infertility rate was 12.5%. About half of patients were postmenopausal state at first visit. 2. The main subjective symptoms were palpable abdominal masses(65.6%) and lower abdominal pain(58.3%). On physical examination pelvic masses and abdominal distensions with ascites were noted in 80.2% and 34.4% of patients respectively. 3. Peritoneal cytology was reported as positive in 60% of patients tested. Tumor makers of CEA, -FP, LDH, and Ca-125 were increased 43.2%, 10.0%, 22.2%, and 37.5% of the selected patients, respectively. 4. The bilaterality of tumor was noted in 49.0%. According to FIGO classification, 87 patients of primary tumor were classified to stage I in 49.4%, stage II in 8.0%, stage III in 33.3%, and stage IV in 9.2%. According to WHO classification, epithelial tumors were found in 81.3%, germ cell tumors in 6.3%, sex-cord stromal tumors in 3.1%, and metastatic tumors in 9.4%. 5. Tumors were completely resected in 47 patients(49.0%) on primary surgery. Seven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and 33 patients were treated with multiagent chemotherapy, and 22 patients received single agent chemotherapy postoperatively. 6. Respone rates by chemotherapy were 73% by CAP regimen, 63% by CAF regimen, and 48% by melphalan. More hematologic toxicities were observed in multiagent chemotherapy than in single agent chemotherapy. Epithelial toxicities were seen in 80∼100% with CAF and CAP regimens, whereas in 62~76% with melphalan. Hepatotoxicities were noted with CAP(7%)and melphalan(5%).CAP and CAF regimens showed neurotoxicites in 7% and 13%, respecitively. Nephrotoxicities were only noted with CAP regimen in 20%. 7. Overall two year survival rate in 65 patients was 56%.Two year survival rates by stage were 85% in stage I, 62% in stage II, 20% in stage III, and 0% in stage IV. In conclusion, mehtods of early detection need to be developed for ovarian cancer. Proper primary surgery and adequate adjuvant chemotherapy are essential to achieve complete remission, and second or third look operation is also warranted in a patient with no clinical evidence of disea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Finally, we emphaseze the necessity of long term follow-up on survival for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 KCI등재

        자궁경부에 발생한 평활근육종 1 례

        목정은,김영탁,김암,정동근,이인식,정재현,김상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

        자궁경부에서 발생하는 육종은 발생수가 적어 치료에 대한 경험축척이 미진한 관계로 권장할만한 치료기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현재까지 시도되고 있는 모든 치료기법이 괄목할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예후가 불량한 악성종양이다. 향후 여러 치료방법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표준화된 진단 기준이 시급히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들은 간단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자궁경부에서 발생한 평활근육종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Leiomyosarcoma of the uterine cervix is very rare in occurrence and highly malignant. Since Aaro and Dockertys first report in 1959, there has been only a few articles on this subject. Because of the rarity of cervical leiomyosarcoma, no standard criteria has been used in the diagnosis and histopathological classification and no definite recommendation established in management. Variety of therapies has been employed in the management with poor overal prognosis. Further experiences with a large number of cases are necessary for better management and prognosis. We present a case of leiomyosarcoma arising from uterine cervix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난소임신 3 예

        목정은,김영탁,이영배,김암,정동근,이인식,조윤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3

        저자들은 최근 본 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임신 3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Ovarian pregnancy is a rare form of ectopic gestation. However, improved diagnosis of acute hemoperitoneum of ovarian origin may reveal a higher incidence than reported earlier. Three cases of primary ovarian pregnancy are repor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concerned.

      • KCI등재

        양성 난소기형종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 2 례

        목정은,김영탁,이영배,김암,정동근,이인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8

        저자들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양성 난소기형종에서 발생되는 희귀한 악성변형증 편편세포암 2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presence of malignant squamous cell components in the ovaries is rare whether it is primary or metastatic. We present two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arising from benign cystic teratomas of ovary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자궁경부편평상피암에서 종양표지물 SCCA 및 CEA의 효용성

        목정은,김영탁,이영배,김암,정동근,이인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9

        1989년 7월 1일부터 1990년 6월 30일까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상피내암 및 침윤성 자궁경부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37명을 대상군으로, 동기간 동안에 양성 부인과질환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35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혈중 SCCA 및 CEA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43.1세, 대상군의 평균연령은 46.6세 였으며 대상군의 임상기별 분류는 0기 4례, 1기 19례, 2기 11례, 3기 3례였다. 2. 대상군의 혈중 SCCA의 평균치는 4.44ng/ml로 대조군의 혈중 SCCA의 평균치인 1.21ng/ml보다 의의있게 높았으며(P$lt;0.001), 대상군의 혈중 CEA의 평균치는 3.79ng/ml로 대조군의 혈중 CEA의 평균치인 2.10ng/ml보다 유의하게(P$lt;0.05)높았다. 3. 대조군에서는 혈중 SCCA 농도가 2.0ng/ml이상인 경우가 35례 중 1례로 2.86%의 양성율을 보였으나 대상군에서는 혈중 SCCA농도가 2.0ng/ml 이상인 경우가 37례중 27례로 58.6%의 양성율을 나타내어 대상군에서의 양성율이 대조군에서의 양성율보다 의의있게 증가되었다(P$lt;0.001). 혈중 SCCA의 민감도는 56.8%, 특이도는 97.1%였으며, 양성진단능율 및 음성진단능율은 각각 55.3%, 68.6%였으며, 혈중 CEA농도의 민감도는 50%, 특이도는 71.4%였으며, 양성진단능율 및 음성진단능율은 각각 34.4%, 21.7%였다. 4. 혈중 SCCA의 평균치는 0기에서 1.45ng/ml, 1기에서 3.56ng/ml, 2기에서 5.37ng/ml, 3기에서 10.53ng/ml로 임상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자궁경부암의 암 기에 따른 혈중 SCCA의 양성률은 0기에서 0%(0/4), 1기에서 52.6%(10/19), 2기에서 81.8%(9/11), 3기에서 67%(2/3)로 0기 및 1기에 비해 2기에서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큰 의의는 없었다(P$lt;0.05). 5. 혈중 CEA평균치는 0기에서 3ng/ml, 1기에서 2.56ng/ml, 2기에서 6.85ng/ml, 3기에서 3ng/ml로 자궁경부암의 암 기에 따른 혈중 CEA 평균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lt;0.05). 자궁경부암의 암 기에 따른 혈중 CEA의 양성률은 0기에서 100%(2/2), 1기에서 38.5%(5/13), 2기에서 50%(3/6), 3기에서 100%(1/1)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6. 혈중 SCCA 농도 및 혈중 CEA농도는 수술후 4주에 의의있게 감소되었다. 7. 치료전 혈중 SCCA농도가 6ng/ml 이상인 3례에서 항암화확요법 1주일 후에 혈중 SCCA의 현저한 감소를 볼 수 있었으며, 수술 4주 후에는 모든 예에서 혈중 SCCA농도가 2.0ng/m이하로 감소하였다.항암화학요법후의 혈중 CEA 농도는 치료전 보다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이상과 같이 자궁경부암의 종양표지물질로 알려진 SCCA와 CEA의 자궁경부편평 상피암 치료후 치료효과판정 및 재발암의 조기진단의 지표로서의 효용성을 살펴본바 CEA보다는 SCCA가 치료효과 및 재발암의 판정에 더 유용할것으로 생각되나, 연구기간 중 재발암의 예가 없어 재발암의 추적지표로서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향후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한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umor makers SCCA and CEA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as markers for monitoring patients, we analyzed serum SCCA and CEA concentrations of 37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as a study group and 35 patients with benign pelvic disease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control group was 43.1 years old and that of the study group was 46.6 years old. The distribution of the clinical stages of 37 cervical carcinomas were: CIS4, stage I 19, stage II 11, stage III3. 2.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 of SCCA of control group was 1.21ng/ml and that of study group was 4.44ng/ml(P$lt;0.001). 3.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s of SCCA by stage were 1.45ng/ml for CIS, 3.56ng/ml for stage I, 5.37ng/ml for stage II, 10.53ng/ml for stage III. 4.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 of CEA of control group was 2.10ng/ml and that of study group was 3.79ng/ml(P$lt;0.05). 5.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stag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and the concentration of serum SCCA, but not between former and the concentration of serum CEA. 6. Elevated SCCA and CEA levels in serum fell to normal within 4 weeks after radical surgery in all patients. 7. Elevated SCCa level in serum decreased significantly 1 week after pretreatment adjuvant chemotherapy but the decrease of elevated CEA level in serum was not significant after pretreatment adjuvant chemotherap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icacy of serum SCCA level as a tumor marker was greater than that of serum CEA and that serial measurements of these antigens, especially in cases with high pretreatment serum, levels may be useful in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and determining therapeutic respo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