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섬서 신목 대보당 한화상석 연구

        전호태(Jeon Hotae) 부산경남사학회 2009 역사와 경계 Vol.72 No.-

        In Dabaodang of Shenmu in Shaanxi Province of China, 14 stone reliefs tombs of Han Dynasty were discovered and construction materials of one stone reliefs tomb of Han Dynasty were collected. These tombs were built around 100CE and 140CE and caught attention of many with coloring and engravings on only the door of chamber of tomb. The common theme of the engravings of door was ascendence to immortality, and there was a tendency to standardize the composition of subject materials. Such trend was most apparent in engravings of door leaf. Engravings of Door of Han Dynasty tombs of Dabaodang show us what the Middle of Eastern Han Officials thought of roles of "doors." Engravings of Door differ from Eastern Han stone reliefs tombs and shrines from other regions in that its basic themes are stylized animal mask holding a ring in mouth and Red Phoenixes(or the big scarlet birds). In other regions, various engraved subjects in the stone reliefs tomb tend to be used to compose the engravings of door leaf. In contrast, the elements of the engravings of door leaf are limited in Han Dynasty tombs of Dabaodang and shows some standardization in the composition of engraved subjects. We can see that the tendency to set Four Directional Deities as the main figure of the engravings of door to some degree affected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engravings of door leaf. Such trend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composition of the engravings of door leaf in Han Dynasty tombs of Dabaodang. The fact that the Four Directional Deities played a major role in the composition of the engravings of door means that the architects of Han Dynasty tombs of Dabaodang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guarding of the tomb and that such attention was reflected in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engravings of door. Thus, through such standardized subject compositions, the engravings of door leaf in Han Dynasty tombs of Dabaodang shows the perception that the door is not only the entrance to the separated space of the tomb but also the boundary of the whole interior of the tomb and the tomb itself.

      •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인의 화장과 화장품

        전호태 ( Jeon Hotae ) 국립중앙박물관 2023 고고학지 Vol.29 No.-

        고구려인이 어떻게 화장했는지, 어떤 재료로 어떤 종류의 화장품을 만들어 사용했는지를 전하는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고분벽화에 보이는 화장한 얼굴, 중국의 기록에 보이는 화장 기법과 재료, 화장 상태, 유물에 남은 화장한 얼굴 등을 상호 비교 검토하면 고구려인의 화장 기법, 재료 등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낼 수는 있다. 고구려 여인의 화장을 보여주는 사례 가운데 이른 시기의 작품은 안악3호분 벽화다. 벽화의 귀족 여인과 시녀는 4세기 중엽 고구려 여인은 얼굴에 백분을 바르고 화장 먹으로 눈썹을 그렸으며, 윗입술을 검게, 아랫입술을 붉게 칠하는 연지 화장을 하거나, 위아래 입술 모두 붉게 칠했음을 알게 한다. 5세기 초 고구려 여인들은 입술연지 외에 볼연지도 했음을 고분벽화로 확인할 수 있다. 순천 동암리벽화분 인물도에서 확인되는 볼연지는 이후, 평양과 국내성 고분벽화의 여인 얼굴에도 보인다. 전성기인 5세기 고구려에서 지역 간 문화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여인의 화장 기법 확산도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는 사례들이다. 이마의 곤지화장은 고구려의 경우, 5세기 전반 작품인 남포 옥도리벽화분부터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남조 송나라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곤지화장이 출현하고 있어 고구려와 남조 송 가운데 어디에서 먼저 곤지화장이 시작되었는지 가리기는 어렵다. 상당한 거리에 있는 서로 다른 두 사회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같은 방식의 화장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게 하는 경우다. 남성이 얼굴에 백분을 바르고, 입술연지를 하는 사례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도 확인되고, 중국의 삼국시대 이래의 기록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록과 유적 인물도로 보아 남성 화장이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일반적인 관습으로 받아들여졌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남성 화장이 어느 정도 보편적으로 확산되었는지를 이런 유적과 기록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다. There is no record of what makeup in Koguryo looked like, what kind of items people used, or how and with what materials the cosmetic items were made. However, examining the painted faces in Koguryo tomb murals and comparing them with the makeup techniques, materials, and faces left in Chinese records and artifacts might provide a glimpse into the cosmetic techniques and materials used in Koguryo. One of the examples of Koguryo women’s makeup is from Anak Tomb No. 3, one of the earlier tomb murals. The aristocratic lady and her maid in the painting show that in the mid-4th century Koguryo, women powdered their faces with white, drew their brows with dark ink, and used yeonji makeup technique where they painted their upper lips black and tinted their lower lips red. Tomb murals also show that in the early 5th century, Koguryo women not only used yeonji makeup on their lips but also on their cheeks. The cheek blush can also be found in Dongam-ri Mural Tomb in Suncheon as well as the tomb murals of Pyeongyang and Guknaeseong. This shows that women’s makeup technique spread throughout the regions as cultural exchange flourished in Koguryo at its peak. Using gonji makeup on the forehead is first seen in Okdo-ri Mural Tomb of Nampo which dates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Similar makeup techniques also appear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Chinese Song Dynast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Koguryo or Song was the first to use gonji makeup. It is possible that similar makeup styles burgeoned in two different societies independently. Men powdering their faces and doing yeonji makeup on their lips can be found both in Koguryo tomb murals and Chinese records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likely that men wearing makeup were commonly accepted in ancient East Asia. However, the extent of the popularity of men’s makeup cannot be determined solely by such records and artifacts.

      • KCI등재

        고구려 장천1호분 연구

        전호태(Jeon, Hotae)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무덤구조와 벽화 내용으로 보아 고구려 장천1호분의 축조 년대는 5세기 중엽을 넘어서지 않는다. 427년 단행된 평양 천도로 말미암아 수도로서의 지위는 잃었으나 고구려에서 국내성이 지니고 있던 전통문화 중심으로서의 지위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오랜 기간 고구려의 관습, 신앙, 제의 등이 성립되고 유지, 발전되는 과정에서 그 중심적 역할을 한 것이 국내성 지역이었던 까닭이다.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되어 정착될 때 그 출발점으로 역할이 부여되었던 곳은 국내성이다. 광개토왕 시대에 불교신앙과 문화, 국가의 새로운 사회문화 중심으로서의 평양 개발이 본격화 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 기간 기존 평양문화의 성격과 내용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고구려 전통문화의 색채는 약한 반면 漢系 문화를 포함한 각양각종의 문화가 뒤섞여 있어 이국적 성격이 강하였던 평양문화에 불교문화가 침투하여 자리 잡는 데에는 시간이 걸렸다. 평양과 달리 고구려 전통문화가 쌓여 있던 국내성 지역에서는 국가 차원의 불교신앙 장려정책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불교문화가 새롭고 주요한 문화적 흐름으로 자리 잡는다. 5세기 중엽 연꽃무늬 고분벽화가 국내성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것도 이러한 문화적 흐름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장천1호분은 국내성 지역을 중심으로 불교문화가 확산되면서 고구려인의 내세관에 어떤 변화가 초래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사례에 해당한다. 장천1호분은 5세기 전반 고구려와 중국 북조 및 내륙아시아 유목제국 유연 사이에 어떤 식의 문물교류가 있었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장천1호분 벽화에 다양하고 빈번하게 나타나는 서역문화 요소는 고구려가 북위를 통해서 서역의 문물과 접하였을 뿐 아니라 유연을 통로로 삼아서 직접 서역과 교류하기도 했음을 알게 한다. 간다라 미술의 체취가 여전히 남아 있는 장천1호분 벽화의 여래도와 보살도는 서역으로부터 고구려로 불교문화가 직접 전해졌음을 뒷받침하는 증거자료라고 할 수 있다. 장천1호분은 고구려인이 전통적 가치와 관념에 기초하여 불교적 가르침을 이해하거나 재해석하기도 했음을 알려준다. 벽화에 보이는 남녀쌍인연화화생상은 그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장천1호분 벽화는 연꽃으로 장식된 공간을 거쳐 연꽃만의 세계로 들어가도록 벽화가 구성되고 제재의 배치가 이루어졌다. 이런 식으로 벽화의 제재를 구성하고 배치한 것은 연꽃과 연봉오리를 장식무늬로만 쓰지 않고 화면 밀도를 조절하는 도구이자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는 장치로도 사용하려 했던 까닭이다. 장천1호분은 5세기 전반 국내성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불교신앙과 문화의 전파, 확산, 정착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생생한 회화 기록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e tomb structure and mural contents suggest strongly that the construction date for Jangcheon Tomb No.1 is no later than mid-5th century. Although Guknaeseong lost its privilege as the capital after it moved to Pyeongyang in 427 A.C.E., its status as the center of traditional culture in Koguryo was maintained without much change. This is because while Koguryo’s tradition, religion, and ceremonies were established, maintained, and developed, Guknaeseong stood at the center of hte process. When Buddhism enters and settles in Koguryo, Guknaeseong was its starting point. Despite the fact that Pyeongyang began to be developed as the center of national social culture and Buddhist culture during King Gwanggaeto’s reign, its original cultural characteristics did not change for a long time. Because Pyeongyang culture was very diverse including different elements from the Han and other foreign cultures with weaker strand of Koguryo traditions, it took a time for Buddhist culture to enter Pyeongyang. In Guknaeseong region where Koguryo traditional culture had long developed unlike Pyeongyang, Buddhist culture becomes the new and important cultural trend as a result of national encouragement of Buddhism. The lotus pattern tomb mural that was popular centered on Guknaeseong in mid-5th century stems from such cultural trend. Jangcheon Tomb No.1 is a good example that shows in detail the change in Koguryo people’s view of afterlife when Buddhist culture flourished around Guknaeseong region. Jangcheon Tomb No.1 reflects the kind of cultural and material exchange between Koguryo and Chinese Northern Dynasty and Inner Asian Nomadic Empire Yenyen. The Central Asian element that frequently appear in Jangcheon No.1 Tomb murals show that not only did Koguryo came into contact with Central Asian culture through Northern Wei but also that it had direct exchange with Central Asia through Yenyen. Tath gata and Boddhisattva that retain the Gandhara style in Jangcheon Tomb No.1 supports the idea that Buddhist culture entered Koguryo directyl from Central Asia. Jangcheon Tomb No.1 also suggests that Koguryo people understood and analyzed Buddhist ideas based on traditional values and concepts. The Couple Reincarnation in Lotus Blosso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Jangcheon Tomb No.1m ural is organized so the viewer first goes through a lotus-decorated space into the world only of lotus blossoms. Such composition of elements allowed lotus blossoms and buds to function not only as decorative patterns but also as a tool to control the density of the frame and define the spacial characteristics. Jangcheon Tomb No.1 is a detailed pictorial record of the process of Buddhist religion and cultuer’s introduction, spread, and establishment in Guknaeseong reg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와 모용선비(慕容鮮卑) 삼연(三燕)의 고분문화

        전호태(Jeon Hotae)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중장기병술(重裝騎兵術)은 북중국에서 5호16국시대가 개막되기 이전 이미 중국에서 도입, 활용되던 무장기법이자 전투방식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 전연(前燕)은 북중국이 혼란기에 접어들자 적극적으로 기존의 중장기병을 받아들여 전장에 투입하였다. 고분에서 출토되는 고구려와 전연의 중장기병 관련 유물이 세부 기법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도 두 나라가 큰 시차 없이 독자적으로 중장기병술을 도입,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삼연(三燕, 전연·후연·북연)은 100여 년에 걸친 접촉을 통해 인력과 기술, 물자를 교환했다. 특히 전쟁에 수반되는 인적 약탈은 상호문물의 교류에 큰 역할을 하였다. 436년 북연의 멸망과 함께 이루어진 용성(龍城) 사족(士族)과 민호(民戶)의 고구려 유입은 5호16국시대 후기 북중국의 지식과 기술이 고구려에 집중적으로 전해지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 삼연의 벽화고분은 중국 한, 위·진 벽화고분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출현하였다. 고구려는 4세기 중엽부터 생활풍속계 고분벽화를 다수 제작하고 5세기 중엽에는 장식무늬계 고분벽화라는 독자 유형을 출현시킨다. 반면 모용선비 삼연 사회에서 고분벽화는 일시적인 문화 현상에 그친다. 북연의 권력자 풍소불(馮素弗)의 무덤 형식과 출토 유물은 5세기 전반 모용 선비 문화의 성격을 잘 알려준다. 풍소불 무덤은 묘제에서는 선비적 정체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껴묻거리 구성에서는 한문화의 영향이 뚜렷하다. 풍소불 무덤은 북연(北燕) 시기에도 모용선비가 호족과 한족 연합국가에 걸맞은 새로운 문화를 정립시키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였음을 알게 한다. 주류 묘제가 없던 삼연과 달리 고구려는 5세기에 이르러 한(漢) 문화에서 기원한 석실분을 고구려식 묘제로 소화하여 재정립시킨다. 외래의 불교신앙을 고구려 문화의 한 요소로 자리 잡게 했음도 연꽃장식무늬 주제 고분벽화를 통해 확인된다. 5세기 고구려에서 성립하여 내외에 각인시킨 고구려 중심의 천하관(天下觀)도 동북아시아 패권국가로서의 정치적·문화적 자신감에서 비롯된 현상이자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armed cavalry was adopted and utilized by China before the Sixteen Kingdoms Period. Goguryeo and Former Yan (前燕) of Murong-Xianbei (慕容鮮卑) actively adopted armed cavalry and deployed it in wars when Northern China fell into turmoil. The differences in details and techniques shown in cavalry-related artifacts from Goguryeo and Former Yan tombs are due to the fact that these two kindgoms independently adopted and developed cavalry at about the same period. The tomb murals of Goguryeo and the Three Yan kingdoms (三燕) of Murong-Xianbei developed with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 Chinese Han, Wei, and Qin. From the mid-fourth century, Goguryeo created many tomb murals with life and customs motifs and produced a unique genre of decorative patterned murals in the mid-fif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omb murals in the Three Yan kingdoms of Murong-Xianbei never advanced beyond a temporary cultural phenomenon. Goguryeo and Three Yan kingdoms of Murong-Xianbei exchanged human resources, technology, and materials over a hundred years of interactions. The looting and abductions that occurred from wars contributed to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the two. With the fall of Northern Yan (北燕), the elites and peasants of Longcheng (龍城) entered Goguryeo, passing important knowledge and technology of the late Sixteen Kingdoms Period in Northern China. The tomb structure and the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tomb of the Northern Yan authority Feng Sufu (馮素弗) show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fifth century Murong-Xianbei culture. The tomb shows a strong Xianbei identification in its form and an influence of Han culture in the composition of burial accessories. The tomb shows that, even by the Northern Yan period, Murong-Xianbei was yet to establish a new culture to represent the kingdom of unified nomadic and Han people. Unlike the Three Yan Kingdoms, Goguryeo established the stone chamber tomb from the Han culture in its own style in the fifth century. The lotus decoration motifs show that Goguryeo had also adopted the foreign religion of Buddhism as an element of its own culture. The Goguryeo -centered cosmic view established in the fifth century is also the result of political and cultural confidence as a formidable power in the Northeast Asia.

      • KCI등재

        울주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와 동아시아 선사고대미술로 본 기록문화

        전호태(HoTae Jeon)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7 No.-

        천전리 각석 세선각화는 각석 상부 전면에 점각 기법으로 다수의 동물이 표현되고, 그위에 기하문 도형들이 긋고 갈기 수법으로 깊게 새겨진 뒤 등장한 세 번째 단계의 암각작품이다. 명문과의선후관계가명확하지않으나일부중첩을고려하더라도상대적으로앞선시기부터 세선각화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천전리 각석 하부에 세선각으로 묘사된 것은사슴, 말, 새등의 짐승과 남녀 인물이나 기마인물 등 사람, 여러 척의 배, 상상 속의 신수인 용등다양하다. 사람과 말의 행렬 가운데 일부는 명문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도 있을 듯하다. 한국의 선사 및 고대 유적, 유물에 등장하는 선각화는 문자문화의 정착과 확산 이전에통용되던 그림 기록으로 볼 수있다. 선사 및 고대유적, 유물에 다수의 선각화를 남긴 일본에서도 그림은 문자 기록 이전의 기록 수단이었다고 할 수있다. 문자기록의 발달과 확산이 빨랐던 중국의 경우, 다양한 도상을 담은 청동기에 금문이 새겨지는데, 금문이 많아지면서 도상이 줄어드는 경향을보인다. 이것은 도상이 지닌기록으로서의 기능이 문자로 옮겨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구술문화가 지배적이었던 내륙아시아 지역에서 중세 후기까지 암각화 작업이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기록 수단으로서 그림의 기능이 유지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세선각화의 제재로 등장하는 용은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 작업이 종교적, 주술적 효과를염두에 둔 그림 기록일 가능성을 고려하게 한다. 문자기록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림 기록의 주술적 기능과 효과에 대한 신라인의 관념과 신앙이 세선각화 작업에 동력을제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는 신라 기록문화의 변화과정을 보여주는귀중한 유적 자료로 재인식,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Cheonjeonri Gakseok line engraving is a three-layered work displaying multiple animalsin dot engravings on the whole of the upper surface and geometric patterns engraved ingrinding method on the overall surface. Although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theimages and the engraved text is unclear, some overlaps suggest that the line engravingsbegan in relatively early period.The subject matter of figures adorning the bottom of the surface is diverse, ranging fromanimals such as deer, horse, and bird to men, women, figures on horseback, number of ships,and dragon. Some of the human figures and horses may be linked to the engraved text.The line engravings that appear in prehistoric and historic Korean sites and artifacts canbe understood as the pictorial record used before the advent of written language. In Chinawhere written text was developed and popularized from early period, text is engraved onbronzeware with various images. As more text is engraved, the number of imagesdecreases, suggesting that such communicative property of the images was graduallyreplaced with that of the texts. This may also be the reason why the Gakseok engravingswere continued to be produced until the end of the medieval times in Inner Asian regionswhere oral tradition was dominant.Dragons that appear as a subject of line engravings bring up the possibility that suchengraving process included religious and shamanistic characteristics. Despite the spread ofthe written language, Shilla people’s beliefs in the shamanistic functions and effects ofpictorial records seem to have encouraged the line engravings to be made. Line engravingsin Cheonjeonri Gakseok should be re-evaluated as a resource showing the developmentsof Shilla’s written and drawn records.

      • KCI등재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지털 고구려박물관 전시

        전호태(Hotae J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6 No.-

        가상공간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겪는 여러 가지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공간이든 아날로그 세계든 변함없이 진지하게 매달려야 하는 문제는 전시구성과 바탕에 흐르는 스토리텔링이다. 결국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펼쳐 나갈 것인가가 전시의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고구려 전시는 대상이 되는 시기의 유적과 유물이 주로 북한과 중국에 집중적으로 남아 있다. 이런 까닭에 천년 왕국 신라나 해상 왕국 가야, 고대 동아시아 네트워크사회의 중심이던 백제처럼 역사의 현장에서 펼치는 오프-라인 전시의 효과를 누리기가 어렵다. 고구려 역사와 문화를 되살리는 디지털 전시 기법과 전시 공간이 적극 도입되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디지털 고구려박물관의 전시 공간은 고구려 역사의 전개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고 시기별 전시실을 둘, 또는 셋으로 나누어 관람객이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알 수 있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 초기의 두 전시실은 각각 유화의 방, 온돌 위의 하루다. 관람객은 두 전시실을 통해 고구려 성립 초기의 신화적 사고 및 고구려 주거문화, 음식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중기의 두 전시실은 군마의 발굽, 색동치마다. 각각의 전시실은 영역 확장을 통해 고구려 문화의 영향권을 확대시킨 중기 고구려사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5세기 전성기 고구려의 화려한 문화를 복식문화와 함께 만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후기의 세 전시실은 각각 청룡과 백호, 천리장성, 하늘이다. 관람객은 사신 위주 고분벽화가 후기 정치 사회의 전개와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천리장성 축조를 둘러싼 권력투쟁의 결과 연개소문의 독재 정권이 성립하여 당과 고구려의 갈등이 깊어진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전 시기를 관통하는 하늘에 대한 관념이 고구려의 천문 지식과 문명신들의 세계와 만나는 계기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임지는 君師로서 국왕의 모습을 구체화한 것이다. Using virtual spaces for exhibitions can help a museum move beyond various restrictions of physical space.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is that it can use space more freely, However, whether in a digital or a physical space, one must always focus on telling the story underlying the exhibition. After all, the success of the exhibition relies on what story is chosen and how it is told. Most of the artifacts and sites related to Koguryo are located in North Korea and China, which means it is difficult to create an on-site physical exhibition like those for Silla, a millennial kingdom, Gaya, the maritime kingdom, or Baekje, the center of the East Asian trades. Thus, it would be beneficial to actively adopt digital exhibition methods and create virtual spaces to showcase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guryo. The exhibition space of the Digital Koguryo Museum can be divided into early, medium and late sta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oguryo history. It is a good idea to divide the exhibition rooms by time by two or three, allowing visitors to know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two exhibition rooms of the early period are the day of Yuhwa room, the day above the ondol. Visitors can understand the mythical thinking, Koguryo residential culture, and food culture at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Koguryo through the two exhibition rooms. The two exhibition rooms in the middle period are the hoof of the horse and color skirt. Each exhibition room will help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Koguryo's history, which has expanded the influence of Koguryo cultur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o meet the gorgeous culture of Koguryo with a costume culture.. The three exhibition rooms in the latter period are blue dragon & white tiger, Cheonlijangseong and sky. Visitors can see that the four Deities tomb murals are deep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ate political society. As a result of the power struggle over the construction of the Cheonlijiangseong, the dictatorship by Yeongaesomun was established, which deepened the conflict between the Chinese Tang Dynasty and Koguryo. The notion of Koguryo's sk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meet Koguryo's astronomical knowledge and the world of civilization.

      • KCI등재

        고구려인의 미의식과 고분벽화

        전호태(Jeon, Hotae)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9 No.-

        고구려 고분벽화는 고구려인의 문화 정체성이 어떤 미의식을 바탕으로 시대와 지역, 개성과 보편성을 드러내는지 잘 보여준다. 안악3호분이나 각저총 벽화는 5세기 전반 고구려의 평양 및 국내성 지역 사람들이 현세와 내세 삶의 형식과 질서를 동일하게 보는 시각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미인상을 비롯한 복식의 디자인 등 사회적으로 선호되는 미적 기준이나 가치 등이 달랐음을 알게 한다. 427년 평양 천도 후 고구려 사회에서는 불교신앙이 크게 유행하여 고분벽화의 제재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집안 국내성 지역을 중심으로 다수 제작된 연꽃 장식무늬 고분벽화는 무덤 안에 연화정토를 구현하려 한 경우이다. 5세기 고구려 집안 국내성 지역에서 연꽃은 내세 삶의 통로로 인식되고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5세기 고구려 사회의 우선적 과제는 남북문화의 통합, 고구려 천하관을 담은 새로운 문화의 정립이었다. 쌍영총 앞방과 널방 천장석의 활짝 핀 두 연꽃은 고구려 문화를 새롭게 정립시키려던 사람들이 남북 양식의 혼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려 했음을 보여준다. 6세기 초부터 시작된 사신도 고분벽화 시대는 평양 지역이 흐름을 주도했다. 평양 진파리1호분 벽화의 사신도는 중국 남조 사신도와 양식적으로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 집안 국내성 지역의 통구사신총 벽화 사신도는 중국 남북조 고분의 사신도와 양식적 공통점 보다 차이점을 드러낸다. 강서대묘 벽화의 사신도는 집안과 평양 지역 고분벽화 사신도가 보여주던 고구려 남북문화의 서로 다른 흐름을 넘어선 새로운 작품이다. 배경 화면을 비워 사신을 우주적 깊이의 공간에서 유영하게 한 강서대묘 벽화 화가의 창의성은 7세기 전후 평양을 중심으로 고구려 천하관에 바탕을 둔 새로운 문화의 정립이 이루어졌음을 확인시켜 준다. 특정한 제재와 관념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과 표현은 고구려에서 시작되어 한국 미술과 사상, 문화와 종교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한국 남북국시대에 제작된 완성도 높은 예술품들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제작경험, 미적 감각과 미의식이 후대로 이어지며 너비와 깊이를 더해 갔음을 확인시켜 준다. Koguryo tomb murals show what aesthetics Koguryo people’s cultural identity was based on and how it shows period, region, and unique and universal quality. Anak Tomb No.3 or Gakjeochong murals show that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people of Pyeongyang and Guknaeseong shared the idea that similar ways and orders of life ruled the current and the afterlife but differed in the aesthetics and social values including the idea of human beauty and design of clothes. After moving its capital city to Pyeongyang in 427 A.C.E., Buddhism became significantly popular in the Koguryo society, also influencing the subjects of the tomb murals. A number of decorative lotus pattern murals produced around Jian Guknaeseong region shows that the creators attempted to reproduce Pure Land of Lotus inside the tombs. In the 5th century Koguryo Jian Guknaeseong region, people viewed lotus flowers as pathway to the afterlife and beautifully depicted them. The major tasks of the 5th century Koguryo society were to unify the northern and southern culture and establish a new culture of Koguryo-centered world view. The two lotus flowers in full bloom located in the front chamber and main chamber ceiling stones of Ssangyeongchong suggest that people who sought to establish the new Koguryo culture endeavored to go one step further from merely unifying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style. The age of the Four Deities in tomb murals that began in the early 6th century was led by Pyeongyang region. The Four Deities of Jinpari Tomb No.1 share many stylistic elements with their Chinese Southern Dynasty counterparts. The Four Deities of Tonggusashinchong of Jian Guknaeseong region, however, show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with those of Chines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Four Deities of Gangseodaemyo is the new piece of artwork following the distinct northern and southern cultural trends of Koguryo characterized by the Deities in the murals of Jian and Pyeongyang region. The painter’s genius to have the Four Deities flow through the depth of cosmic space by clearing out the background confirms that the new culture based on the Koguryo-centered world view has established itself around Pyeongyang around the 7th century. The sophisticated analysis and expression of specific subject and concept began in Koguryo and became a part of Korean art, ideology, culture and religion. The highly polished works of art created in the Korean North and South Dynasty confirms that the experience, aesthetics, and sense from Koguryo tomb murals continued throughout the time, adding to depth and breadth.

      • KCI등재

        울산 천전리 서석 암각화의 용

        전호태(Jeon, Hotae)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7

        천전리 서석은 선사시대부터 성스러운 힘이 깃든 곳으로 인식되었다. 천전리 서석에는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성스러운 힘에 대한 인간의 인식에서 비롯된 주술적 새김의 흔적이 남아 있다. 삼국시대 및 통일기 신라의 왕족, 귀족, 승려들이 이 바위를 찾아 저들이 이곳에 다녀갔다는 사실을 기록이나 그림으로 바위에 새겼다. 서석 주암면 아래쪽에 남아 있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과 길고 짧은 여러 형식의 명문들은 신라인이 직접 남겼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높이 부여할 수 있다. 천전리 서석 주암면 하부에 새겨진 용들은 신라의 유적, 유물에 등장하는 용과 형태상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 용1은 천마총 출토 금동제합에 장식된 용과 매우 닮았으며 용2는 경주에서 출토된 여러 점의 장식문호 및 일본 교토 출토 하니와에 새겨진 용과도 유사한 부분을 지니고 있다. 용4는 경주 출토 장식문호에 선 새김 된 용의 특징도 일부 지녔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의 청룡과 비슷한 묘사기법이 적용되었음을 보여주는 부분도 있다. 신라에서 용은 수신이자, 왕과 국가, 불교의 수호자로 인식되어 그와 관련된 설화와 고사에 자주 등장한다. 신라인의 용에 대한 인식이 담긴 설화, 고사는 유적, 유물로 형상화되기도 하는데, 경주 출토 장식문호 및 토기 부착 토우도 이러한 의도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경주 출토 장식문호 가운데에는 용의 역할이 중시된 용과 사람, 짐승들의 장식 사례들을 발견할 수 있다. 천전리 서석에 새겨진 용도 용이 중심이 된 설화, 고사의 형상화 과정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From the prehistoric times, Cheonjeon-ri Seoseok was seen as a site of sacred power. In the site remain many traces of ritualistic engraving from human understanding of sacred power from prehistoric to historic times. Royals, nobles and monks from Three Kingdoms to Unified period Silla looked for this rock and engraved the record of their visit in text or images. Various images and texts, short and long, that remain on the main surface of Seoseok carry great historical meaning and value as records directly engraved by Silla people. The dragons engraved on the lower part of the Cheonjeon-ri Seoseok main surface share many formal characteristics with dragons that appear in Silla sites and artifacts. Dragon 1 is very similar to the dragon decorating Gilt bronze bowl excavated from Cheonmachong in Gyeongju while dragon 2 share some features with dragons on many decorative pottery from Gyeongju and Haniwa from Kyoto. Dragon 4 show some of the features shared by line engraving of a dragon from decorative pottery from Gyeongju as well as techniques similar to those used in Blue Dragon of Koguryo tomb murals. In Silla, dragon is a water god as well as a protector of the king, kingdom, and Buddhism, appearing often in related legends and lores. The legends and lores containing Silla people’s view on dragons sometimes materialize as sites and artifacts. The clay figures on pottery and decorative pottery from Gyeongju can be understood as such products. Of the pottery excavated from Gyeongju, we can find examples of decorative motifs of dragon, men, and animals, in which dragon’s role is emphasized. It is likely that the dragons on Cheonjeon-ri Seoseok also appeared from a process of visualizing legends and lores of dragons.

      • KCI등재

        중국의 한국고대사 인식과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전호태(Jeon Hotae)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다민족국가인 중국은 중화민국 성립 단계부터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국가정체성을 규명하는 이론적 바탕으로 삼고 이를 정교하게 다듬는 데 주력하여 왔다. 함께 진행된 변강 연구도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일환이었다.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신중국 정권이 티베트 침공을 강행하면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은 정치ㆍ사회ㆍ교육 제 방면에서 전면에 내세워졌고, 역사교과서에도 적극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민족간, 지역간 평등과 공존을 담보해주어야 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한족중심이라는 전제가 붙고 이것이 애국주의, 통일주의와 접합되면서 중국 내 소수민족의 자치주의는 크게 억압되었다. 1986년 중국이 개혁ㆍ개방 노선을 채택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정치적ㆍ문화적 충격에 대비하고 다양한 사유방식의 유입에 대처하는 차원에서 변강 연구는 재개되었고,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기반과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도 본격화하였다. 중국 동북지역 역사문화도 한족중심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한 변강 연구의 주요 대상이자 과제였다. 고구려사는 동북지역 연구에서도 가장 중요한 연구주제였으며, 고분벽화는 고구려사의 성격을 규정하고 입증하는 데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유적으로 여겨졌다. 중국의 연구자들은 대학의 세계사 교재에서 고구려사를 한국고대사에서 분리해내고 한국고대사의 영역을 한반도 중남부로 제한해버리는 역사인식과 서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구려사를 漢化된 고구려인의 역사, 동북지역 한문화권 확산과 전파의 과정으로 규정하고 설명하려 한다. 이런 시각을 지닌 연구자들에게 고분벽화는 고구려가 한문화를 바탕으로 성립하고 발전한 나라였음을 확인하게 하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물질적 증거일 뿐이다. 2000년 전후 쏟아져 나오는 중국학계의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논저는 한문화의 속성을 그대로 지닌 문화적 증거물로서의 고분벽화에 관한 것들이다. 앞으로도 중국의 연구자들은 중국 변강문화가 증원문화의 영향권 아래 편입되는 과정을 역사적 시공간 속에서 찾아내거나 상정하여 그려내는 작업에 몰두할 것이고, 동북지역 연구의 경우 그 좋은 대상이자 사례로 고구려 고분벽화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낟. 비록 논리성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연구시각과 허술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준비된 논저들이지만 중국 연구자들의 관련 연구 성과는 동북3성 지역의 지방 행정단위 상징물 조성사업, 관광홍보용 예술 활동 등에 활용되면서 적지 않은 대중교육 효과를 누리고 있다. 동아시아 역사인식과 서술의 공유 부분 확대, 이를 위한 공동 연구 기반 조성과 공동 연구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보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우려되는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왜곡된 인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대량 생성된 연구성과 물들이 중국 내외를 잇는 중국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고 공유되면서 왜곡된 동아시아 역사인식체계가 확산되고 재생산될 가능성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한국학계가 고구려사, 고구려문화,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를 좀더 폭넓은 시각에서, 학제적 차원, 국제적 공동 연구의 차원에서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장을 마련하고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 마련에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다.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a multi-ethnic nation, established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as means of defining its national identity since the foundation of Republic of China in 1911 and endeavored to elaborate this theory. Borderland research, which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was also one of the efforts to supplement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After winning the Chinese Civil War, the govern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invaded Tibet, further enforcing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in politics, society, education, and began to include the theory in history textbooks. As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which should have secured ethnic, regional equality, became centered around Han ethnic people and combined with nationalism, the independence of minor ethnic groups in China was strongly oppressed. In 1976, as China chose to reform and open, borderland research was resumed as a preparation for political and cultural shock from outside contact. The full-fledged fundamental research also began to strengthen the basis and goals of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The history and culture of northeast China was the main object of borderland research based on unificative multi-ethnic nation theory. The history of Goguryeo was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heme among the northeastern region research, and murals were considered the crucial evidence defining historical identity of Goguryeo. The Chinese researchers have separated history of Goguryeo from ancient Korean history and limited ancient Korean territory to central and southern Korea. Furthermore, Chinese researchers see history of Goguryeo as a history of Sinicized people and an extension of Chinese Han culture. For researchers with such point of view, murals are the best material evidence supporting their idea that Goguryeo’s foundation and development relied solely on Han culture. The post-2000 study of Goguryeo murals by Chinese scholars are all about Goguryeo murals as a cultural evidence for direct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Chinese scholars would continue to focus on describing the process of borderland culture’s assimilation to Chinese culture, and it is likely that those scholars would choose Goguryeo tomb murals as a good example of assimilation process in northeastern China. Despite their fallacious point of view and illogical reasoning, the Chinese scholars’ recent studies are becoming public and more widespread as they are applied in local trademark creation projects and used in tour advertisements and in arts. Such a trend is considered inappropriate when each country’s cooperation is necessary to refine East Asian historical views. Also, some premeasures should be taken as a preparation for spreading history distortion through Chinese network. This is the moment for Korean scholars to try seeing Goguryeo tomb mural research from long term point of view and to be more active in establishing network between international schol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