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scade cycloadditions of N-aromatic zwitterions and allylicsulfonium ylides: Dual roles of the allylic sulfonium ylidein the cascade reaction

        전현덕,유은정 대한화학회 202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4 No.2

        Dearomative cycloadditions of N-aromatic zwitterions have been performed tosynthesize diverse N-containing cyclic compounds. However, few practical syn-theses of polycyclic molecules are reported, and thus, a novel methodology isnecessary. We describe cascade reactions of N-aromatic zwitterions and allylicsulfonium ylides to furnish fused N-heterocyclic compounds. Unprecedentedly,molecules of the allylic sulfonium ylide react with the corresponding zwitterionas C1 and C3 synthons in the same reaction

      • KCI등재

        동해 북부해역 유광층에서 TEP 분포와 이산화탄소 인자와의 상호관련성

        전현덕,노태근,이동섭,Jeon, Hyun-Duck,Rho, Tae-Keun,Lee, Tong-Sup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2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는 식물플랑크톤이 배출하는 다당류 물질이 자가응집을 통해 생성되는 끈적거리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해중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는 동해 북부해역에서 TEP 농도 분포특성과 탄소순환에서 역할을 이해하기에 이산화탄소계 인자, 엽록소-a 농도들을 관측하였다. 동해 북부해역의 TEP는 $0{\sim}338{\mu}g\;Xeq\;l^{-1}$로 연안역의 농도보다 낮으나 다른 외양역의 대번식기와 유사한 값이 나타났다. TEP의 공간분포는 엽록소-a의 공간 분포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이 TEP의 주요 기원으로 사료된다. 직접 측정한 pH와 총 알칼리도의 값을 이용하여 총 용존 무기탄소($TCO_2$)를 계산하였으며, 염분 35 psu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환된 $NTCO_2$는 수온에 대해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수온으로 계산된 $NTCO_2$와 현장에서 측정한 $NTCO_2$와의 차이는 생물적인 과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제거($NTCO_{2bio}$)를 나타내는데, 난수역에서 $NTCO_{2bio}$값이 음의 값이 나타났고 TEP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생물적인 과정에 의해서 해수중의 이산화탄소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북위 $44^{\circ}-46^{\circ}$ 냉수역은 표층에서 TEP 농도는 낮지만, 엽록소-a 최대층에서 TEP의 농도 또한 높게 나타났고 TEP에 포함된 탄소(TEP-C)가 $NTCO_{2bio}$의 약 40%를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TEP농도가 해수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pH와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TEP의 반응은 살펴볼 수 없었으나 해수 중의 탄소순환에서 생물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TEP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 (TEP) are formed by aggregation of polysaccharide products excreted by phytoplankton and have sticky character like gel. They play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marine snow in water column. To stud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EP concentration and its role in carbon cycle in the surface ocean, we measured pH, Total alkalinity (TA), and chlorophyll-a in addition to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within the surface water column. TEP concentrations ranged from nearly undetectable values to $338{\mu}g\;Xeq\;l^{-1}$. They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previously reported values from costal sites, but showed similar values observed in other oceanic region during phytoplankton bloom period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EP concentra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chlorophyll-a, which indicate that the production of TEP were closely related to phytoplankton. Calculated total dissolved inorganic carbon ($TCO_2$) from the pH and TA was normalized to 35 psu of salinity ($NTCO_2$) and showed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temperature. Biological drawdown of $NTCO_2$ ($NTCO_{2bio}$) was estim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oretical $NTCO_2$ values and observed $NTCO_2$. In the warm region located south of $40^{\circ}N$ along the $132.5^{\circ}N$ meridional lines, $NTCO_{2bio}$ showed negative value and TEP concentrations were high. This suggested that negative $NTCO_{2bio}$ may be attributed to the biological processes. At the stations located between 44 and $46^{\circ}N$, TEP concentrations showed high concentration at the chlorophyll-a maximum layer within the water column while they showed low concentration in the surface layer. Carbon content of TEP constituted about 40% of $NTCO_{2bio}$ at the chlorophylla maximum layer. In this study, we could not observe any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P concentration and $NTCO_2$ or pH. It is obviou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 of TEP in the biological carbon cycling processes within surface layer.

      • KCI등재

        저-전력 전력 관리 회로를 위한 DC-DC 변환기

        전현덕,윤범수,최중호 한국전기전자학회 2018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논문에서 저전력 PMIC를 위한 고효율 DC-DC 변환기를 설계하였다. IoT 및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에 따라 전력 공급을 위한 고효율 에너지 습득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에너지 습득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전압은 낮고 넓은 분포의 값을 가지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서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설계 기법이 필수적이다.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서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를 얻기 위해 전원 전압 변화 감지 회로를 이용한 주파수 보상 회로를 설계했으며, 낮은 전력에서 고효율을 얻기 위해 burst-mode 제어 회로를 구성하여 정밀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였다. 설계한 DC-DC 벅 변환기는 0.95~3.3V의 입력 전압 조건에서 0.9V를 출력하며 부하 전류가 180uA일 때 최대 78%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In this paper, design of high-efficiency DC-DC converter is presented for low-power 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As PMIC technologies for IoT and wearable devices have been continuously improved, high-efficiency energy harvesting schemes should be essential. Since the supply voltage resulting from energy harvesting is low and widely variable, design techniques to achieve high efficiency over a wide input voltage range are required. To obtain a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for wide input voltage range, frequency compensation circuit using supply-voltage variation sensing circuit is included. In order to obtain high efficiency performance at very low-power condition, accurate burst-mode control circuit was adopted to control switching operations. In the proposed DC-DC buck converter, output voltage is set to be 0.9V at the input voltage of 0.95~3.3V and maximum measured efficiency is up to 78% for the load current of 180uA.

      • KCI등재

        청년기 여성의 성인애착의 차원과 연애만족도: 정서표현갈등을 중심으로

        전현덕(Jeon Hyun Duk) 한국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청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하위의 두 차원(애착회피 및 애착불안)이 연애만족도에 영 향을 주는 관계에서 정서표현갈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한 Baron과 Kenny(1986) 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 Sobel test를 실시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근거지를 둔 초기 성인기 여성 255 명이 응답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했다. 상관분석 결과, 모든 측정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 며, 연구가 매개 기제로 고려한 정서표현갈등은 애착회피와 연애만족도, 애착불안과 연애만족도의 관계 모두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음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기 여성의 연애만족도 향상 을 위한 치료적 접근에 대하여 정서표현갈등, 애착 체계에 차례로 초점을 두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dimension(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Korean early adulthood females. The participants were 255 females in Seoul and Kyung-ki.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t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every used factors in this study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ly,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showed tha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wo attachment dimension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and therapeutic approach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Time-domain CMOS temperature sensors with temperature-to-digital converter

        김상형,전현덕,박철규,최중호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설계교육센터 2018 IDEC Journal of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Vol.4 No.1

        In this paper, two types of CMOS temperature sensors using temperature-to-digital converter (TDC) are proposed. The proposed circuits are suitable for low-power, small- area hardware because it is a temperature sensor made only of general MOS transistors. It is also simple to implement calibration scheme in order to obtain desired accuracy. One temperature sensor is a temperature sensor using ring oscillator with the supply voltage variation compensation scheme and the other utilizes relaxation oscillator. Each circuit was fabricated with Samsung 65nm 1P4M CMOS technology and operates over the temperature range from -40◦C to 120◦C. The chip area of the temperature sensor using ring oscillator and relaxation oscillator is 0.056mm2 and 0.047mm2,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