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이 국내 은행산업에 미치는 영향: 산업조직론적 관점에서의 분석

        전주용 ( Joo Yong Jun ),여은정 ( Eun Jung Yeo ) 한국금융연구원 2015 금융연구 Vol.29 No.4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have led to the rapid emergence of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often termed FinTech. This trend also propels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Banks, which provide banking services primarily via mobile and Internet channels. On one hand,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Banks is being expected to revitalize the Korean banking industry, which has been stagnant nearly for twenty years. 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countries, Korea already possesses advanced consumer finance infrastructure with a high rate of online banking usage. Thus additional benefits would be limited while adverse effects would be larger due to a relaxation of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and an increased risk of the financial system with the spread of shadow banking In this paper, we analyze how the industrial organizational approaches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roduction of the Internet-Banks on the Korean retail banking industry and discuss regulatory implications and some perspectives for future research. Specifically, we overview issues regarding the Internet-Banks, and then theoretically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Banks on the domestic banking industry under various scenarios from the perspective of Industrial Organizational approaches. Although the final outcome will vary depending on how FinTech services and the convergence of financial services will progress,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irst, the effects of consumer switching costs are as follows: If moderately high switching costs are incurred, the existing banks will delay innovation and lower investment costs while focusing on maintaining existing customers. Then they can choose to follow the entrants’ strategy if new entrants are introducing new products or services. In addition, if horizontal differentiation is not great as in lending markets and prices (or interest rates) appear to be strategic complements, the existing companies can choose strategies that allow entrance while the existing banks make appropriate investments. On the other hand, if the switching costs are so low that the share of the existing customers switching to new entrants is high and prices (or interest rates) are in a strategic substitute relationship, the existing banks may also more actively engage in service innovation activities. Second, the effects of network externality are as follows: Newly entering banks that have not reached some degree of economies of scale may reduce costs by outsourcing part of their businesse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existing banks and provide stable customer services. Not only newly entering banks but also the existing banks have motivation for cooperation. However, such cooperation is difficult to be maintained in the long term because all of them are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Meanwhile, for a competitor, various means-the rising cost of competitors, mergers and acquisitions, etc.―can be taken advantage of. If the new entrant has already a sufficient consumer base and utilizes network externality at least or better than existing banks, it will successfully enter the business without having any additional cooperation with the existing banks or will maintain an equal partnership. This case is likely to ultimate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financial platform including the Internet banks. Third, the effects on consumer welfare are as follows: It is expected that mixed bundling among related products for synergies will be more active with the launch of the Internet banks. The impact on consumer welfare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cross-products, and on the utility to the consumer from single-channel effects such as one-stop shopping. However, for those who want to use only some individual services, it may have negative effects due to high burden of costs. 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economies of scop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ore open form, both competition and consumer welfare will increase without increasing costs of using individual services due to the similarities of business models focused on financial platform. This suggests that it may have positive effects for the existing banks to enter the field where the Internet banks are currently operating in terms of consumer welfare only.

      • KCI등재

        비트코인의 이해

        전주용(Jooyong Jun),여은정(Eunjung Yeo)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4

        “비트코인(Bitcoin)”은 지난 2013년 한해 급속도로 주목을 받은 가상통화이다. 기술적 측면에서 비트코인은 어떠한 중앙 통제기관 없이 분산화 되어있으면서도 암호화를 통한 거래 익명성을 제공하면서 안정적인 거래를 가능하게 해주는 혁신을 이루어낸 반면,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투기를 조장하는 통화 공급 구조 및 그에 따른 통화 자체로의 효용성 저하, 그리고 유가증권 혹은 자산으로서의 법적 지위에 대한 불안정성 등의 문제점도 함께 갖고 있으며, 그 외에도 비트코인과 관련된 직접적인 범죄시도 가능성, 익명성을 악용한 불법거래 활용 가능성 등의 다양한 문제가 존재한다. 현재까지 나타난 시장에서의 반응을 화폐 및 금융경제학 측면에서 살펴보면 비트코인에는 화폐로서의 성격과 자산으로서의 성격이 모두 존재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향후, 비트코인이 화폐로서의 기능이 확장될 것인가? 지불수단으로서의 비트코인 시스템만 남고 비트코인 자체는 유가증권으로만 남을 것인가? 아니면 아예 모두 사라질 것인가? 이에 대해 답변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온라인 가상통화에 대한 수요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 모두 존재하는 현 상황을 고려하면 결국 가상통화는 어떠한 형태로든 등장하고 정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는 현재와 같은 국가의 통화 발행 독점 구조가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비트코인과 같은 방식으로 발행 및 유통되는 가상통화의 경우, 정착 과정에서 기존의 화폐금융 시스템 및 통화정책 운용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상당부분 타협점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비트코인의 특성상 자본이동 자유화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국제 금융 관련 정책의 경우 이에 대한 고려가 보다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Bitcoin is a new form of digital currency, or a cryptocurrency that has drawn global attention recently. It is circulated on a totally decentralized, peer-to-peer network based system, which is a technological breakthrough that allows purchases and sales without involving a trusted third party, such as Visa Inc. or Western Union Co. However, Bitcoin as a currency has its drawbacks such as a potential deflationary bias similar to the gold standard, high volatilities of exchange rates within a short period, unstable legal status, and hacking and security threats to the currency exchanges. While it is difficult to forecast what the future of Bitcoin would be like, a digital currency itself would survive in the sense that there will be still demand for digital currencies and technology advances to support them. This phenomenon of Bitcoin on one hand implies that central banks might not function as the monopolistic money suppliers any more. On the other hand, digital currencies would be necessarily regulated in the process of finding a compromis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many of the traditional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s.

      • KCI등재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정책효과성 추정

        전주용 ( Joo-yong Chon ),전재식 ( Jaesik Ju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7 勞動經濟論集 Vol.40 No.1

        본 논문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취업잠재력을 추정 하였다. 또한, 일자리사업의 실행·환류 측면에서 참여 전, 참여 중, 참여 후 등으로 구분하여 일자리정책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은 한국노동 패널조사(KLIPS) 자료와 일모아-고용보험DB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취업잠재력은 평균 56.3로 추정되었고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취업잠재력이 가장 낮았다.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모집·선발 시 취약계층·저소득층의 참여 정도는 약 30.8%로 나타났고 직접일자리사업 내에서 이들의 참여 비율은 71.5%로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직접일자리사업 내에서 취업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류(1~2분위)에서 취업취약계층의 비중이 더 높았다. 직접일자리사업이 취업취약계층 대상으로 한시적 일자리 제공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초 정책 의도, 또는 취지에 부합하도록 사업이 실제 추진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직접일자리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업 참여 이후 고용유지 기간은 취업잠재력이 높을수록 길어지고 사업 참여 이후 재취업 소요기간은 취업잠재력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취업잠재력에 따라 사업 참여 이후 고용효과에 차이가 분명한 만큼 직접일자리사업의 고용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참여자의 취업잠재력 제고 등 참여자 관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mployability of participants and employment outcomes in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ies(ALMPs). The data used in empirical testing is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15th survey data, participants database in ALMPs and Unemployment Insurance databas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Level of employability in participants with ALMPs is about 56.3 and that of participants with direct job creation(DJC) programs shows the most low level in sub-type of ALMPs. About 30.8% of all people participating in ALMPs belongs to vulnerable group and 71.5% of participants in DJC programs is in vulnerable group. In DJC programs, the participants with low level of employability are some more likely to be in vulnerable group. As the level of employability in participants with DJC programs increases, their job-search time after moved in labor market reduces and their duration of employment increases. To summarize, one can imply that the DJC programs are effective to transit vulnerable groups in labour market and improve the labor market outcomes by enhancing the employability of participants.

      • KCI등재

        핀테크가 은행업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강경훈(Kang, Kyeong-Hoon),전주용(Jun, Jooyong),한재준(Han, Jae-Joo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3

        핀테크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융합형 금융서비스를 지칭하며 기존 은행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은행은 다양한 종류의 금융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면서 그 과정에서 범위의 경제, 혹은 시너지를 추구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핀테크의 성장에 따라 은행이 취급해온 다양한 업무들 간에 존재하는 시너지의 형태, 크기 및 성격이 변화하게 되면서 은행권 전반에 그 영향이 파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통신기술 및 서비스 제공 경험 측면에서 당분간은 신규 핀테크 사업자들이 강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일부 은행은 온라인 금융플랫폼으로의 성격을 강화하면서 외부의 핀테크 서비스들을 포용하는 형태로 다기관 서비스 사이에서 범위의 경제를 유지하는 사업모델을 선택할 수도 있는 반면, 수신, 지급결제 및 관계금융형 대출의 종합적 취급에서 오는 시너지를 바탕으로 핀테크 기업들과 직접적인 경쟁을 지속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만일 핀테크의 성장이 송금, 결제 등 비신용시장을 중심으로만 진행된다면 은행의 수익기반이 약화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수직제약을 통한 지배력 행사 동기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후생 및 경쟁정책 측면에서 본다면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반면, 금융결제망, 신용정보 등 금융하부구조에 대한 동등하고 효율적인 접근 및 그림자 금융문제에 대한 모니터링 등이 동반된다면, 핀테크 업체들의 등장은 소매금융서비스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특히, 신용시장의 경우 개인정보 보호 정책과 빅데이터의 활용 사이에서의 충돌이라는 당면한 장애요인이 어느 정도 극복어 적절한 수준에서의 (경성)정보 공유가 이루어진다면 신용공급의 확대 및 연성정보 생산 동기 강화 등과 같이 기존 신용시장에 대한 보완적 역할을 통하여 사회후생을 증진시킬 수 있을 수 있다. FinTech refers to a variety of financial services provided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anks offer a range of financial ser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which creates economies of scope or synergy in the process, and, as FinTech spreads, the form, the scale and the nature of the synergies will change the banking sector as a whole. In terms of Big Data technology and service provision costs, FinTech firms can have strengths for a while. In response, some banks may choose a business model that maintains the economies of scope among inter-institutional services by embracing external FinTech service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inue to compete directly with FinTech companies based on synergies from the comprehensive provision of deposit taking, payment/settlement and credits. If FinTech"s growth is driven by competition in non-credit markets such as payments and remittance, banks are likely to be more motivated to engage in vertical restraint activities due to weaker revenue bases, which is not economically desirable. On the other hand, if fair access to the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hadow financial problems are provided, the emergence of FinTech firms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retail banking services. In the case of the credit market, competitions between banks and FinTech firms lead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information production and bank solvency issue. An appropriat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policy will facilitate the complementary role of credit information to the credit market, and will improve social welfare. However, conflicts betwee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ies and the use of big data will remain problematic.

      • KCI등재

        정보 탐색 및 처리 비용과 비최적선택: 이동전화 요금제 선택을 중심으로

        여은정 ( Eun Jung Yeo ),전주용 ( Joo Yong Jun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1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이동전화 요금제 선택에서 발생하는 비최적 선택이 정보 탐색 및 처리 비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설문을 통한 실증 분석을 수행한다. 먼저 이론분석에서 도출된 함의는 다음과 같다. 가입자에게 정보비용이 존재할 경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우선 전체 이용자 평균 수준의 이용량을 보이는 이용자에게 적합한 표준요금제를 제시함과 동시에 다수의 선택 가능한 요금제를 마련하는 전략을 택한다. 이로써 서비스 제공자는 정보 탐색 및 처리 비용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대다수 이용자들이 표준요금제를 선택하고 이에 고착되도록 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표준요금제를 이용하는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들을 중심으로 그 외 요금제 이용자들과 이용행태 및 이용량에 대한 인지 및 학습 여부, 정보 수집 적극성 등을 비교한 결과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며, 정보수집 적극성이 낮을수록 표준요금제를 선택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용자의 정보 탐색 및 처리비용이 비최적 선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이론분석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이용정보 관련 정책은 정보 탐색 및 처리 비용이 큰 이용자들에게 이해하기 쉽고 간략하게 표현된 이용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 수용도 뿐 아니라 요금제간 비교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search and analysis costs of information on consumer`s choice of cell phone plans. We assume that choosing optimal cell-phone plans requires consumers to go through a costly process of information search and analysis, which departs from the naive assumption in typical competitive market models. We show that the existence of search and analysis costs in consumers`` search process leads to suboptimal choices of cell phone plans. First, we propose a model where a monopolistic cell-phone service provider can come up with ``standard`` plans, thus inducing the consumers with high information costs to choose those plans without further searching of better alternatives and to be locked-in eventually. Second, we empirically show that the consumers with higher information search and analysis costs are more likely to choose the standard pla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 of the paper. Further, standard plan subscribing consumers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other consumers in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of new information, and so on. Our results imply that learning is such a costly process and, considering the high information costs for most of the consumers, the provision of usage information to consumers is necessary to be delivered in a simplified expression. Also, considering the consumers`` passive attitudes toward usage information seeking,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deliver usage information as directly as possible to consumers rather than to provide tools to help their active search, such as plan comparison websites.

      • KCI등재

        플랫폼 경제와 최근의 미국 내 반독점 관련 논의 : 뉴 브랜다이스(New Brandeis) 운동을 중심으로

        지인엽 ( Philip Inyeob Ji ),전주용 ( Jooyong Jun ) 한국산업조직학회 2021 産業組織硏究 Vol.29 No.4

        본고는 이른바 뉴브랜다이스 운동(the New Brandeis Movement)을 중심으로 최근 미국내의 반독점 관련 논의들을 정리하고 이후의 미국 정책 방향에 대하여 전망하고자 한다.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등 거대 글로벌 플랫폼의 독점적 위치가 최근 들어 더욱 공고해졌으며, 이러한 상황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미국 반독점 관련 법제가 거대 플랫폼에 대하여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해왔다는 불만도 증가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카고 학파의 원리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가진 법학자들을 중심으로 뉴브랜다이스 운동이 등장했다. 뉴브랜다이스 계열 연구자들은 소비자 후생 원리에 대한 대안으로 경쟁 보호(Protection of Competition)원리를 제안하며, 경쟁의 결과보다는 경쟁 과정 및 구조(process and structure)에 중심을 둔다. 이에 대해, 기존의 경쟁법 연구자들은 뉴브랜다이스 운동은 기본적으로 소비자 후생 기준 이전의 과거로 회귀하자는 것이며 소비자 후생이라는 일관된 기준에 따른 경제적 분석에 기초하여 사안별로 반경쟁성을 판단하는 현행 제도에 비해 오히려 후퇴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브랜다이스 운동에서 지적하는 거대플랫폼의 독점화 확산 경향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현행 반독점 관련 법제의 문제점들 및 보완 필요성은 미국 내에서도 널리 공감을 얻고 있다. 다만, 소비자 후생 원리를 고수하는 미 연방 대법원의 보수적 성향을 고려할 때, 판례보다는 입법적인 조치를 통하여 일부 행위에 대한 사전 규제 도입이나 당연 위법 부활 등을 구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We provide an overview of recent developments in the antitrust debate in the United States. Chief among the developments is the emergence of the New Brandeis Movement. It has been widely argued that global planforms such as Google, Amazon, Facebook and Apple gained substantial monopoly power, while it is equally arguable that the current Antitrust laws fall short of regulating the monopoly. In response, the New Brandeis Movement advocates contend that the traditional Antitrust framework centered around consumer welfare be abandoned. As an alternative they propose protection of competition that would mandate Antitrust authorities to adopt competition process and competitive structure as a regulatory framework. We outline merits of these competing arguments from both economists and legal scholars based on which we suggest that legislative attempts may be made to revive per se rules or preemptive regulations in the Antitrust arena.

      • SDBC : 복수의 공간 OODBMS 접속을 위한 개방형 미들웨어

        송창빈(Changbin Song),김기홍(Kihong Kim),전주용(Jooyong Jun),김주관(Jookwan Kim),권용식(Yongsik Kwon),차상균(Sang K. Cha)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Ⅰ

        최근 공간 데이터를 다루는 응용 분야가 급증하고, 이들 분야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DBMS 기술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고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는 우수한 공간 OODBMS 제품이 다수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업의 기관이나 기업에서는 현재 상황에서의 최선책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므로, 차후 성능 향상을 위해 DBMS를 교체하거나 여러 DBMS 상에서 구축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할 필요성을 내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과 다양한 공간 OODBMS의 상호운용(interoperability)을 지원하며 동시에 서로 다른 DBMS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지원하는 미들웨어로써, SDBC(Spatial DataBase Connectivity)를 개발한다. 응용 프로그램과 DBMS의 상호운용은 SQL, ODMG, ODBC, JDBC, OpenGIS 등에서 다루는 보편적인 문제이지만, SDBC는 공간 OODBMS를 응용 영역으로 하고 바이너리 수준의 상호운용을 지원하며 멀티 DBMS 기능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이들과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SDBC의 시스템 구조, 데이터 모델,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현재의 구현상황 등에 대해 기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