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직무자율성, 업무부담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전영욱 ( Jeon Yeong-uk ),김진모 ( Kim Jin-mo ),황영훈 ( Hwang Youngh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3

        대기업 팀 상황에서의 소통 부재는 중요한 정보전달 방해와 상황판단 및 의사결정을 왜곡시켜 조직과 팀의 수행능력을 떨어뜨리며, 현재 이러한 현상이 대기업 현장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팀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직무자율성, 업무부담이 조직침묵의 유형 중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A그룹 14개 계열사 조직구성원 26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체념적 침묵에는 직무자율성이 부적으로,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업무부담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방어적 침묵에는 리더의 윤리적 행동이 정적으로, 직무자율성과 업무부담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기업의 조직침묵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개입의 설계 및 실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in a team hampers delivery of important information, distorts circumstantial judgment and decision-making, and as a result lowers performance of the team and the organization,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the field of large firms. This study aimed at figuring out how ethical behavior of team leaders, job autonomy, and workload affect organizational silence in large companies. To that end, 266 cases from 14 affiliates of group A were analyzed. As a result, job autonomy negatively, leaders` ethical behavior and workload positively affected acquiescent silence. Defensive silence was positively affected by leaders` ethical behavior, while negatively affected by job autonomy and workload. The results will help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organizational silence in large corporations and grasp implications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vention to predict and prevent organizational silence.

      • KCI등재

        중학생의 가정배경과 직업정체성이 특성화고 선택에 미치는 영향

        전영욱 ( Jeon Yeong-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가정배경과 직업정체성이 특성화고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7차시(2016)에 참여한 일반고와 특성화고 1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789명이었으며, 여학생이 48.8%, 남학생이 51.2%였다. 중학생의 가정배경과 직업정체성이 특성화고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학업성적과 교육포부를 통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가정배경 중 아버지 학력은 중학생의 특성화고 선택에 부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어머니 학력, 경제수준, 성별은 유의한 예측변수가 아니었다. 둘째, 중학생의 직업정체성은 특성화고 선택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즉, 직업정체성이 높은 중학생일수록 특성화고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연구의 주요변수는 아니지만 학업성적과 교육포부는 중학생의 특성화고 선택에 부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즉, 중학생의 학업성적과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특성화고를 선택할 가능성은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background and vocational identity on the choi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To this end, data from first-year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7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6 were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89 students, 48.8% of female and 51.2% of m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education level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iddle school students' choi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econd, the vocational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hoi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Although it was not a major variable in this study,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iddle school students' choice of specialized high school.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농촌지도인력이 인식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고객의 요구 및 농촌지도기관의 업무수행수준

        김진모(Jin mo Kim),전영욱(Yeong Uk Jeon),임정훈(Jung Hoon Lim),유영주(Young Ju Yoo) 한국농촌지도학회 2017 농촌지도와 개발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 of customer which is essential to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specify their needs and identify the performance level of public agricultural extension organization by the needs of customer. To meet these purpose,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ed the agricultural extension workfo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lassify the customer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as 9 types. Second, the needs by customer types are specified 12 types. Third, those who attached to Rural agricult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organization in provinces recognize themselves as more performing organization tha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region, except one area.

      • KCI등재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한 청소년학 연구동향 분석

        김태한 ( Tae Han Kim ),전영욱 ( Yeong Uk Jeon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청소년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청소년학 연구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20년까지 미래청소년학회지에 게재된 경험적 연구 340편을 생태학적 모형에 따라 다섯 영역(개인,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로 범주화한 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영역은 미시체계로 245편(72.1%)이었고 개인(49.7%), 외체계(5.0%), 거시체계(2.4%), 중간체계(1.2%)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층적 맥락 구조가 청소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관심이 미시체계와 개인으로 상당히 편중되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미시체계 영역으로 분류된 게재논문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 미시 맥락 중 가정(52.7%) 및 학교(33.5%)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지역사회, 청소년시설 및 기관, 사이버공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실천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youth studies using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as an analytic framework. To this end, 340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Future-Oriented Youth Society from 2004 to 2020 were select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five domains based on the ecological model - person, microsystems, mesosystems, exosystems, and macrosystem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ain which were studied the most was microsystems (72.1%), followed by person (49.7%), exosystems (5.0%), macrosystems (2.4%), and mesosystems (1.2%). This result shows that a disproportionat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icrosystems and person although the other domains als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development. Second, a family (52.7%) was the micro context that the most number of microsystems studies investigated - the second is a school (33.5%). However, research on the other micro contexts (a local community, a youth organization, and cyberspace) were relatively rare.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호주와 핀란드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점제 비교 연구

        최수정(Choi Su Jung),전영욱(Jeon Yeong Uk),류지은(Ryu Ji Eun),이은표(Lee Eun Pyo),고귀영(Ko Gwi Young),서예린(Suh Ye L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이 연구는 호주와 핀란드를 중심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학점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호주와 핀란드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체제와 교육과정 편성, 운영, 평가 및 연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호주와 핀란드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체제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호주는 지방분권적 체제 하에서 종합고등학교 내에서 운영되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반면, 핀란드는 중앙집권적 체제로 일반교육과 구분되는 별도의 직업교육 기관에서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측면에서는 두 국가 모두 학점제에 기반하고 있으며, 무학년제를 채택하고, 학생의 교과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점제 도입과 관련하여, 정책적·학문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redit system in secondary and vocational education in Australia and Finla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 Australia and Finland and compares how the curriculum is organized, operated and evaluated at secondary level. Australia and Finland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while Australia operate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mainly in comprehensive high schools under a decentralized system, while Finland is a centralized system and is divided into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separat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However,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both countries are based on the credit system, adopting the unemployed school system, and guaranteeing the choice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olicy direction to introduce and operate the credit system at the high school level recently has made meaningful implications through the present situation of overseas countries.

      • KCI등재

        지역4-H조직의 내적 적합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진모,김진군,전영욱,이정은,최영창,이은영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4-H조직의 내적 적합성을 탐색하고 이를 기술하는데 있었다. 2006년 8월부터 10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지역4-H후원회 회장 및 임원진 3명, 지역4-H연맹 회장 1명, 학교4-H 지도교사 4명, 지역의 영농4-H회장 1명, 시·군 농업기술센터 소장 및 4-H담당자 9명을 주요 연구 참가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역4-H조직 관련자들이 인식하는 지역4-H조직의 주요성과 격차로, ① 민간4-H조직을 중심으로 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활동 부재, ② 지역4-H조직 간 다양한 종류의 협력 부재, ③ 지역사회에서 4-H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 부족이 나타났다. 둘째, 지역4-H조직의 핵심 과업으로 ① 4-H의 가치 및 이념에 부합하고, 지역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확보, ② 지역4-H 조직 간 협력적 네트워크 확립, ③ 4-H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 및 지지 확보가 나타났다. 셋째, 지역4-H조직의 내적 부적합성으로는 ① 인원 확보의 어려움과 핵심과업에 대한 전문성 결여, ② 관료화되고 경직된 낡은 문화, ③ 조직적 자원의 축소 및 조직 간 낮은 네트워크의 수준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internal fit in Local 4-H Organization. The mai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one leader and two members of Local 4-H Society for the support, one leader of Local 4-H Association, four School 4-H teacher, one leader of Local farm 4-H, 9 local agricultural extension work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m from August, 2006 to October, 2006.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 1. Key performance gaps of local 4-H organizations were identified: ① lack of local 4-H based activities, ② lack of various types of partnership between local 4-H organizations, ③ lack of understanding value of 4-H activities in the communities. 2. Key tasks of local 4-H organizations were identified: ① developing local 4-H programs based on 4-H's values and ideas, ② establishing the cooperative networks among local 4-H organizations, ③ ensuring the interest and support about 4-H in the communities. 3. Internal misalignments of local 4-H organizations were identified: ① difference of recruitment and lack of expertise, ② bureaucratic and rigid cultures, ③ decrease in organizational support and low level of network among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