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혁명과 입증의 측도

        전영삼 한국과학철학회 2019 과학철학 Vol.22 No.3

        Until now, it has been thought not to be easy to take a Bayesian approach to Kuhn's view of scientific revolutions. However, it is not true that there have been no attempts to narrow the gaps between both of th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such main attempts critically, and consequently, to add a new one to them by means of the likelihood ratio measure of confirmation which is one of Bayesian measures of confirmation. 지금까지 과학 혁명에 대한 쿤의 견해에 베이즈주의적 접근은 쉽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시도들이 없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를 바탕으로 과학 혁명에 대한 쿤의 견해를 베이즈주의의 입증 측도 중 하나인 우도비 측도를 이용해 새로이 해명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예측주의에 대한 베이즈주의적 접근과 엄격한 시험

        전영삼 한국논리학회 2022 論理硏究 Vol.25 No.1

        In general, predictivism claims that predicted evidence rather than accommodated one can support a concerned hypothesis correctly. In this paper, mainly, Maher's Bayesian approach to predictivism and Worrall's view on it are critically examined. With the examinations, it'll be shown that higher-level theories play an important role beyond the hypothesis in question. And, regarding such theories, it is argued how adequately Maher's and Worrall's predictivism can be criticized from the perspective of Mayo's severe tests. Thereb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rengthen Mayo's denial of (strong) predictivism in a fresh way. On the way, also, her own faults shall be revealed and put right appropriately. Jung's discussions have been very helpful as a mediation for my goals. 일반적으로 예측주의에서는 포섭된 증거보다 예측된 증거가 해당 가설을 올바로 지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하게 예측주의를 옹호하는 마허의 베이즈주의적 접근 방식과 워럴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해당 가설의 배후에서 그 상위 이론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드러내고, 그러한 이론들과 관련해 메이요의 엄격한 시험의 관점에서라면 그들의 예측주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로써 본 논문의 목표는 (강한) 예측주의에 반대하는 메이요의 견해를 새롭게 강화하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메이요 자신의 잘못을 드러내고 그를 시정하기도 할 것이다. 논의 전개 중에 정동욱의 견해는 좋은 매개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괴델 이후의 힐베르트와 카르납: 체계 상대성 문제를 중심으로

        전영삼 한국과학철학회 2009 과학철학 Vol.12 No.2

        In this paper, I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s of system relativity between the Hilbertians and Carnap after Gödel. And it is shown how the differences lead to whether or not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o prove the consistency of a system. As a result of this work, I illustrate an usefulness of the work by showing how it solves clearly some misunderstandings that still remain until now. 본 논문에서는 괴델 이후 힐베르트주의자들과 카르납에 있어 체계 상대성의 의미를 비교 ․ 검토하고 있다. 이로써 그들 양자 사이의 체계 상대성에 대한 차이가 어떻게 일관성에 대한 증명의 강박 여부로 나타났는가를 밝히게 된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최근까지 여전히 남아 있는 카르납에 대한 몇몇 오해를 명료히 해소하여, 그러한 작업의 유용성을 예증코자 한다.

      • KCI등재

        베이즈주의 : 귀납 논리와 귀납 방법론의 역할 관계로부터 살펴보기

        전영삼 한국과학철학회 2011 과학철학 Vol.14 No.2

        Looking back into the recent discussions concerning Bayesianism,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s, even though they appear to be different each other, may be clearly arranged into a distinct point at issue and a difficulty on a common view if we examine them more carefully. Focusing on Cheon (2008) and Yeo (2011), the two Korean articles among the discussions, this paper shall make it explicit as a dispute point what they attempt to resolve, and cast doubt on Bayesianism in an aspect emerging from the debate. The common view that I have on the way is a perspective of distinguishing between inductive logic and methodology of induction, and of asking how they relate to each other in their roles. 베이즈주의에 관한 최근 논의들을 보면, 일견 서로 무관해 보이는 문제들일지라도 좀더 주의 깊게 살펴본다면 어느 공통의 관점에서 그것들이 함께 명료히 정리되어 그 쟁점과 난점이 뚜렷하게 떠오르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즈주의에 관한 최근의 논의들 가운데 천현득 (2008)과 여영서 (2011)의 두 국내 논문에 초점을 맞춰, 그것에서 고민하는 문제들을 하나의 쟁점으로 뚜렷이 드러내고, 그로부터 떠오르는 베이즈주의에 관한 한 가지 회의(懷疑)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그것들을 살펴보는 ‘공통의 관점’이란 귀납 논리와 귀납의 방법론에 대한 구별과 그것 사이의 역할 관계에 관한 시각을 말한다.

      • KCI등재

        논리주의의 세계 구성

        전영삼 한국과학철학회 2005 과학철학 Vol.8 No.2

        It is usually accepted that logical empiricism has already fallen into collapse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More recently, however, a new view of it has emerged that it contributed to explicating the objectivity rather than to the certainty of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paper, agreeing the view basically, I'll try to show with focus on Carnap that the work of logical empiricism was done in the way of expanding logicism into empirical science. And, by comparis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probability and empirical probability, I suggest my preliminary answer for one of the fundamental questions resulted from such expansion, viz., how logical knowledge can evolve or change in response to empirical knowledge. Although it seems natural by the name of logical empiricism that logicism contributes to the work of logical empiricism, the representatives of the new view emphasize the contribution of neo -Kantianism for it. I am afraid that it may lead us to misunderstand in some respect that the work of logical empiricism was done in the direction different completely from that of logicism. At least I don't think that it has been emphasized enough how logicism acted on the work of logical empiricism. 일반적으로 이미 20세기 중반부터 논리 경험주의는 붕괴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좀더 최근에, 그것의 근본 과제는 과학적 지식의 확실성보다 그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놓여 있다고 보고, 그것의 기여를 강조하는 새로운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논자는 본 논문에서 이러한 시각에 동의하되, 카르납을 중심으로 논리 경험주의의 작업이 근본적으로 논리주의를 경험 과학으로 확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확대의 결과 나타나는 근본 문제 중 하나, 곧 논리적 지식이 어떻게 경험적 지식에 의해 변화되어 나아갈 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 관해 논리적 확률과 경험적 확률의 관계를 원용해 논자 나름의 시사적인 답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논리 경험주의’라는 말이 시사하듯 논리주의의 기여는 자연스러운 듯하나, 새로운 시각의 대표자들은 신칸트주의의 기여를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자칫 논리 경험주의의 작업이 논리주의의 그것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나아간 것이라는 오해를 낳을 수 있다. 적어도 전자의 작업에 후자가 어떻게 작용했는가는 충분히 강조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통속 과학으로서의 인과론과 인식적 인과성

        전영삼 한국과학철학회 2007 과학철학 Vol.10 No.2

        Even though almost a century has passed since Russell denied in 1913 the notion of causality in the sciences, it still seems to remain in the practice of science until today. There may be certainly several possible alternatives for understanding the situation; but in this paper, not criticizing the other views, I simply accept the one that Russell was right in some respect and at the same time the use of the notion of cause in science may be justified in other respect. Instead, I examine two claims which are thought to be essential for establishing the view, and I show how they are complementary for each other for it. The claims to be examined are Norton's that causation is a kind of folk science, and Williamson's that causality is only mental in that it is posited by us ourselves, with his suggestion for what he calls "epistemic causality". 1913년 러셀이 과학에서 인과의 개념을 부정한 이래 근 100년이 가까워 오고 있지만, 과학의 실제에서 현재까지 인과의 개념은 여전히 존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가능한 방안은 여러 가지일 수 있으나, 여기서는 일단 다른 방안들에 대한 논박 없이, 어느 면 러셀도 옳고, 다른 면 과학에서의 인과 개념의 사용도 옳다는 입장을 취하기로 한다. 대신,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안을 지지하는 데 결정적이라 보는 두 주장을 검토하여, 그것들이 해당 방안을 지지하는 데 어떻게 상호 보완적일 수 있는가를 논증하고자 한다. 검토하고자 하는 두 주장은, 과학에서의 인과론을 일종의 통속 과학이라 보는 노턴의 주장과, 인과성이란 어디까지나 우리 자신이 구성한 정신적인 것일 뿐이라 보고 이른바 ‘인식적 인과성’을 제시하는 윌리엄슨의 주장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