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교육을 위한 웹서버의 설계와 구축

        전영국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199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5 No.1

        본 논문에서는 교사교육을 위한 웹서버의 설계,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절차를 소개하고 사례 위주로 웹서버가 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산된 교수-학습 자료를 교사와 학생들 사이에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웹서버를 운영하는 방안을 교수설계 이론에 근거하여 소개하고, 통신망 활용을 체제적 설계와 미시적 교수 설계에 따라 다루었다. 그리고 분산된 교수-학습 자료를 웹서버상에서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1998년 8월에 인터넷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교사들이 전송한 메시지와 웹서버 로그 파일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통신망 활용의 문제점과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procedures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running a web server for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how a web server affects school settings with analyzed data. Our web server intends to help students and teachers share distribu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based on the theory of instructional design. The overall usage of the web server is analyzed by the simplified version of situated evaluation, with the data drawn from electronic messages and server log file collected from August 1998 to March 1999.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internet was carried out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during August 1998. The log file of web server and teachers' electronic messages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with WebTrends software. Different from cases of running web servers in U.S.A., our case indicated potential problem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factors on human resources belonging to a university computing center. This paper strongly suggests new directions of implementing innovations with a web server for teachers in Korea.

      • KCI등재

        순천만국제자연환경미술제에서 예술 작품을 감상한 심미적 경험에 관한 탐구

        전영국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대학 교수가 순천만 정원에서 개최되었던 국제자연환경미술제를 방문하면서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더 나아가 비평 활동 및 행위를 통한 작품과의 교감을 통하여 심미적 탐구를 함으로써 예술적으로 성장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감상자인 ‘나’는 예술작품이 설치되기 이전부터 그 현장에 가서 작품이 완성되는 과정, 전시회 중에 감상한 경험, 사진 찍기 및 비평적 글쓰기 활동을 하였으며 특정 작품 앞에서 퍼포먼스를 하면서 작품들과 교감하고 비평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는 예술가/연구자/교육자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지나간 기억, 자전적 이야기, 성찰, 해석 등을 통하여 예술 작품에 관한 감상/비평 경험을 심미적으로 탐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 년11월부터 2017년 2월 사이에 걸쳐 창작 과정에 관한 성찰 메모, 사진, 동영상, 작가의 방송 인터뷰 자료 및 자전적 기억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나는 예술 기반 연구방법으로 알려진 a/r/tography를 차용하여 예술적 감식안을 통해 작품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수양의 과정으로 성장하는 측면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생태와 예술을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던지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author’s biographical experiences for appreciating art works regarding natural environment situated in Suncheon garden. I, as a researcher, presented how I got involved with attending Suncheon Bay International Eco-Environmental Art Festival to appreciate art works while meeting some participating artists. My personal narratives also included how I gradually developed artistic perspectives after engaging myself in taking photos and writing an essay critique on the outdoor art works. In this paper, I conducted an autobiographical case study combining a/r/tography as an art-based method and narrative inquiry regarding my aesthetic experiences of appreciating eco-environmental art work and occasional performance next to art work.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2016 Nov and 2017 Feb including reflective memo taking, photos, video clips, public interview data and self-memory. Based on data interpretation, I depicted the major aspects of my aesthetic experiences by articulating the subjective unfolding of my inner artistic eyes as part of cultivating myself. At the end, I provided some comment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eco-environmental arts.

      • KCI등재

        Mathematica 를 이용한 웹기반 미적분 모듈의 개발

        전영국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4 No.2

        본 논문에서는 Mathematica를 자바 언어로 연결하는 J/Link를 이용하여 웹기반 환경에서 미적분 문제의 해를 단계별로 제시하는 모듈을 소개하였다. 이 모듈은 중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미분 문제의 해를 단계별로 제시함으로써 문제해결의 과정을 단계별로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미분 연산자를 적용할 함수와 미분된 결과 함수에 대한 그래픽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미적분 개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효과를 노렸다. 수학 전문가시스템인 Mathematica는 미분 문제의 해결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함으로써 수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수학 학습용 튜토리얼 또는 CMI로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FrontEnd에서 처리되는 수식 폰트를 자바서브릿에서 처리함으로써 웹환경에서 수식 기호를 우회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전자우편 에이전트인 Massage Assistant의 설계와 개발

        전영국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9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 No.1

        본 논문에서는 분산학습 환경에서의 개인용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의 하나로 인터넷 전자우편을 필터링하는 semi-autonomous Message Assistant를 설계하고 구현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검색과 관련되는 에이전트 이론과 관련하여 저자가 구현한 Message Assistant가 전자우편 클라이언트인 Eudora 속에서 plug-in 형태로 결합된 방법을 소개하였다. 맥킨토시 환경에서 상이한 여러 소프트웨어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 쓰이는 AppleEvent를 사용하여 메시지 필터링과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갖춘 Message Assistant의 여러 버전이 어떻게 향상되었는지 다루었다. 그리고 이 소프트웨어가 향후 autonornous 에이전트와 메시지 내용 분석도구로서 발전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수 설계 자동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전영국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9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교수 설계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와 개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함으로써 현재 설계, 개발되고 있는 프로토타입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먼저, 교수 설계 이론을 제시하고 교수 설계 자동화 시스템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소개하였다. 구체적인 시스템의 예로서 David Merrill의 IDXelerator를 다루었고, 저자가 개발 중인 ID Assistant 소개와 함께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수 설계의 자동화 연구는 교수 설계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되 질적 연구의 일부인 심층적 면담 기법의 경험적 데이터에 바탕을 둔 방식을 취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글로벌브릿지 체험 학습용 STEAM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형성 평가

        전영국,이아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및 과학 교과와 다양한 학습 자원을 연계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주말 및 방학 캠프 프로그램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우리는 다문화 학생들의 특성과 학년별 요인, 지역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흥미를 가지고 디자인 및 직접 만들기 활동에 중점을 둔 STEAM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7월부터 2016년 1월까지 2주마다 진행된 토요 전일제 활동에 참가한 초등 및 중학생 40여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겨울 집중 캠프에 지원한 학생들은 순천만의 생태를 연계한 모둠별로 연극 놀이와 과학적 탐구를 함으로써 예술적 감수성을 키울 수 있었다. 형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설문지를 비롯하여 면담 및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참여 학생들은 STEAM 융합 수업에 대체로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만족감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에 우리는 형성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학 중심의 글로벌브릿지 프로그램의 향상에 관한 보완 사항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quality of Global Bridge Program based on global experiential learning. The research was designed after reviewing the related studies, and conducted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s as part of formative evaluation. The case study had been carried out from July 2015 to Jan 2016 with 4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analysis of students' activities illustrated several features of multi-cultural learning, math-science activities based on the series of special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as well as the regular STEAM education units combining math, science, IT activities. The formative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seemed to enhance attitudes and motivations on math-science learning from creative project-based learning. Survey data analysis showed positive attitudes that were related with the acceptance level of such attitudes. The results of formative evaluation provided the future direction where the overall program could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 tight connection with the STEAM 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participants’ ways of active engaging themselves with science and math subjects as well as increasing their school marks.

      • KCI등재후보

        비대면 온라인 수학 수업 사례: ‘이산수학’과 ‘미적분’ 과목 중심으로

        전영국,박훈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현장수업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대학생 대상 이산수학과 고등학생 대상 미적분 수업을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한 사례를 소개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의 질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진행하였던 온라인 수학 수업에 관련된 텍스트, 동영상 및 학생들의 과제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 대상의 이산수학 강의는 주로 실시간 화상수업으로 진행되면서 C와 Mathematica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하고 과제 수행과 발표 시연을 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함양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고등학생 3학년 대상의 미적분 수업은 대학 입시 준비로 구글 Meet와 OBS Studio를 활용한 실시간 화상 수업과 문제풀이 위주의 단계별 설명을 해 나갔으며 칠판 수업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제공하는 혼합 형태를 띠었다. 두 개의 수업 사례를 비교 고찰하여 비대면 온라인 수업 진행에서 어려웠던 부분과 보완해야 할 점 등을 파악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파악하여 향후에 보완해야 할 부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by introducing cases of non-face-to-face online calculus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and calculus classes for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we collected data such as texts, videos, and student outcomes related to online math classes conducted over 2020 and 2021 for analyis and interpretation as part of a case study. As a result, the discrete mathematics lectures for university students were mainly conducted as real-time video classe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C and Mathematica programming tools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by performing tasks and demonstrating presentations. The calculus class for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dopted a mixed form of providing real-time video classes using Google Meet and OBS Studio. The high school teacher mostly dealt with problem-solving step-by-step explanations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exams, and provided video recordings of blackboard classes as a supplementary.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two class cases, we identified several stumbling blocks that would be resolved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upcoming online math classes.

      • KCI등재후보

        중등 수학과 예비교사의 학업 문제에 관한 탐구

        전영국,강윤수 한국학교수학회 2005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8 No.4

        본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들이 수학 공부에 대하여 어떤 형태로 동기 유발을 하는지, 학업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과목을 이수하는데 대한 견해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연구할 수 있다. 학생들이 느끼기에 수학이란 어떤 것이며 수학에 대한 관심사가 어떻게 펼쳐지는지에 대한 인식과 그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도 및 중요성에 대한 내적 외적인 요인을 탐색하고 개별 학생이 어떤 학업의 문제를 갖고 있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먼저 사범대학 진학 동기 및 선행 경험,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지식, 전공 공부, 일상생활 및 장래 비전이라는 네 범주에 따라 수학과 예비 교사들이 교직 전문성을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1,2,3학년생 4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면담을 통하여 교육과정 만족도와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 및 장래 비전을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범주에 따라 성별에 관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학과 전공 공부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우리는 수학과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내용을 토대로 진학 동기 및 과외 경험 및 수학 전공 공부와 관련된 학업의 문제를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런한 학업의 문제가 예비교사의전문성 개발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다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