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반 내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s-2 (IMUP-2) 발현

        전수연,이현정,정현민,김진경,김기진,Jeon, Su-Yeon,Lee, Hyun-Jung,Jung, Hyun-Min,Kim, Jin-Kyeoung,Kim, Gi-Jin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3

        목 적: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s (IMUPs) family는 SV40의 유전자 도입을 통한 불사화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새로이 분리 동정된 핵 내 단백질로써, 세포의 증식과 종양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태반 발달과정에 따른 발현 양상과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태반과 자간전증 태반조직에서의 IMUPs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고, IMUPs 유전자의 HTR-8/SVneo trophoblast cells 내로 도입 후 IMUPs의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IMUPs 발현을 분석하고자, 정상 태반 (n=15), 중기 자간전증 태반 (n=11), 그리고 말기 자간전증 태반 (n=15)조직을 수집하여 RT-PCR, RNA in situ hybridization, 면역조직화학법, 그리고 Western blot 등을 실시하였다. IMUP-2의 기능을 확인하고자 HTR-8/SVneo trophoblast cells에 IMUP-2 plasmids를 transfection한 뒤 24시간 후에 각 그룹간의 세포 수를 계수하였으며,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하고자 RT-PCR, 그리고 Western blot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 과: IMUPs는 주로 태반 내 합포영양막세포와 포합체결절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IMUP-1의 경우 정상과 자간전증 태반에서의 발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IMUP-2의 경우 정상 태반에서 매우 약한 발현을 보였으며, 자간전증에서는 발현의 증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으며 (p<0.001), 특히, 중기 자간전증의 태반조직 내에서는 강한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IMUP-2의 유전자 도입에 의해 과발현된 HTR-8/SVneo trophoblast cells에서는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들의 증가로 영양막세포의 수가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결 론: 이러한 결과들은 IMUP-2의 발현이 정상 태반의 발달에 관여할 뿐 아니라 증가된 IMUP-2는 영양막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킴으로써 자간전증과도 상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IMUP-2는 자간전증을 예측 및 진단 할 수 있는 마커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s: Members of the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 (IMUP) family are nuclear proteins implicated in SV40-mediated immortalizat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but the mechanisms by which their expression is regulated are still unknown in placenta. To investigate to expression and functions of IMUPs in placenta, we conducted to compare IMUPs expression in normal and preeclamptic placenta tissues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IMUP-2 in HTR-8/SVneo trophoblast cells after IMUP-2 gene transfection. Methods: The expression of IMUPs was analyzed in placental tissues from the following groups of patients (none underwent labor): 1) term normal placenta (n=15); 2) term with preeclamptic placeneta (n=15); and 3) pre-term with preeclamptic placenta (n=11) using semi-quantitative RT-PCR, RNA in situ hybiridization,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In order to evaluate the function of IMUP-2 in HTR-8/SVneo trophoblast cells, IMUP-2 plasmids were transfected into HTR-8/SVneo trophoblast cells for 24 hours. Results: We observed that IMUPs are mainly expressed in the syncytiotrophoblasts and syncytial knot of placental villi. The expression of IMUP-1 was not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preeclamptic placenta tissues. However, IMUP-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eterm preeclamptic placenta tissues than in normal placenta tissues without labor (p<0.001). Furthermore, we confirmed overexpression of IMUP-2 induced apoptosis in HTR-8/SVneo trophoblast cells through up-regulation of pro-apoptotic protei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IMUP-2 is involved in placental development as well as increased IMUP-2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preeclampsia through the inducing of trophoblast apoptosis.

      • KCI등재

        반하사심탕에 대한 임상연구 분석

        전수연,김원배,석은주,송시영,정종길,이숭인,Jeon, Su-Yeon,Kim, Won-Bae,Seok, Eun-Joo,Song, Si-Yeong,Jeong, Jong-Gil,Lee, Soong-In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8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6 No.3

        Objective : This study's purpose was to review the clinical studies of Banha-Sasim-Tang. Method : We searched papers about Banha-Sasim-Tang using KISS, KTKP, PUBMED, Embase, Science Direct, and the key words 'Hangeshashinto', 'Ban Xia Xie Xin Tang', 'Pinellia Heart-Draining Decoction', 'Banhasasim tang' were used. Papers not matched with in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Results : Until today, there have been 65 studies on the Banha-Sasim-Tang. Of these, 12 studies were classified as clinical research papers. There were 4 cases of Functional Dyspepsia, 2 cases of Peptic Ulcer, 6 case of Oral mucositis induced by Anti-cancer Therapy. Conclusion : It can be seen that Banha-Sasim-Tang has established the basis for application to the purpose of functional dyspepsia, peptic ulcer and oral mucositis induced by anti-cancer therapy.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4) - 박세채의 「왕양명학변」을 중심으로 -

        전수연 ( Jeon Su-yeon ),김민재 ( Kim Min-jae ),김용재 ( Kim Yong-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론의 영수로 지목되었던 남계 박세채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17~18세기의 조선에서는 예학에 대한 주자학적 관점의 천착과 동시에 탈주자학적 경향의 학풍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술적 견해 차이에 근거한 시대 인식으로 인해 사대부 간의 갈등과 분화 역시 한층 심해지고 있었다. 조선 학계에서 양명학은 육구연의 심즉리 계보를 계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황의 양명학 비판 이후로 줄곧 ‘선학(禪學)’으로 치부되었다. 이런 상황에 더하여 박세채는 육왕학이 유행한 이후로 명나라의 유풍(儒風)이 일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서, 조선도 명나라처럼 되는 것이 아닐까 우려했다. 이 같은 이유로 박세채의 학문성향은 도통을 중시하는 벽이단적 성향을 띄게 되었다. 한편 그의 제자인 정제두는 홀로 양명학을 탐독한 후 이를 토대로 학술체계를 세웠으며, 자신의 견해를 스승인 박세채에게 전하였다. 정제두가 학술체계를 세운 만큼 박세채도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했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왕양명학변」이다. 「왕양명학변」에서 박세채는 『대학고본』, 「대학문」, ‘치양지’, 「주자만년정론」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변론을 진행한다. 이것은 양명학의 출발점과 집대성, 다시 말해 양명학과 주자학이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왕수인의 학술 전개 과정 전부를 변척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격물’에서부터 양명학의 요체인 ‘치양지’에 이르기까지 왕수인의 문집으로부터 선별한 전거를 제시하고 그에 대해 반박하면서 치밀하게 비판하고 있다. 박세채의 양명학 비판도 비록 이황의 변척과 마찬가지로 ‘양명학은 선학이다.’라는 관점으로 귀결되지만, ① 치양지에 대한 분석이 시도된 점, ② 왕수인 만년 시기의 저술을 비판의 대상으로 선정한 점, ③ 양명학에 대한 비판을 왕수인의 문집까지 탐독한 후 도출하였다는 점 등에서 차별성을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박세채의 변척은 오히려 정제두가 양명학에 대한 고유한 이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양명학을 대표하는 강화학파가 형성되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by Park Se-Chae(朴世采), who was pointed out as the leader of "Soryon(小論)".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oseon had a Neo-Confucianism(朱子學), view of Ritual theory (禮學) and at the same time a Post Neo-Confucianism(脫朱子學) trend was taking place. Therefore, the conflict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nobility were also intensifying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times based on academic differences. In Joseon academia, Yang-Ming Studies was regarded to have inherited Lu Jiuyuan's(陸 九淵) Xinjili(心卽理), and had been dismissed as a Soenhak(禪學) ever since Yi Hwang'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In addition to this situation, Park Se-Chae was concerned that Joseon would become like Ming Dynasty, seeing that the Confucianism of the Ming Dynasty had not flousrished since Lu-Wang xue(陸王學) became popular. For this reason, Park Se-Chae's academic tendency had grown to reject heresy, which valued Confucian Orthodoxy(道統) Meanwhile, his disciple Jeong Je-Du(鄭齊斗) studied Yang-Ming Studies by himself and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based on it, delivering his views to his teacher, Pak Se-chae. As Jeongjedu(鄭齊斗)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Park Se-Chae had to respond logically, and the result was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王陽明學辨)". In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Park Se-Chae conducted a series of arguments for the "the Ancient Text Daxue(古本大學)", "Daxuewen(大學問)", "Zhiliangzhi(致良知)" and "Zhu xi in later life(朱子晩年定論)". This is a criticism of Wang Shouren(王守仁)'s entire academic development process, which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Yang-Ming Studies's starting point and collectivity, the gap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He, Park Se-Chae, also presented selected premises from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nd refuted them carefully, ranging from "Gewu(格物)" to "Zhiliangzhi" a key element of Yang-Ming Studies. Park Se-Chae'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also came down to the perspective that 'Yang-Ming Studies is Soenhak’ as Yi Hwang's alteration. However, the following three distinctions had been ensured : ① the analysis of 'Zhiliangzhi' was attempted, ② Wang Shouren's works were sel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③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was derived after reading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s a result, the transformation of Park Se-Chae rathe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Jeong Je-doo to develop his own theoretical system for Yang-Ming Studi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Ganghwa school(江華學派) representing Korean Yang-Ming Studies.

      • SCOPUSKCI등재

        경질탄산칼슘 구조체 고충전을 위한 보류시스템 최적화 방안 탐색

        전수연(Soo-Yeon Jeon),박정윤(Jung-Yoon Park),김형진(Hyoung-Jin Kim)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6 펄프.종이기술 Vol.48 No.5

        In papermaking industry, inorganic fillers such as CaCO3, produce some positive functions in high opacity and brightness, good surface smoothness, print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paper. They also provide the relative savings of production cost. However, fillers are also the sources of the negative effects such as the loss of strength of paper and the retention problem due to the poor retention mechanism. They also tend to be distributed unevenly in the Z-direction of paper. Therefore, much research efforts were focused on the modification and pre-flocculation of fillers to solve the retention problem and the strength reduction by using GCC (grounded calcium carbonate) and PCC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In this paper, PCC was designed to form the structured PCC by using PF1 and PF2 as pre-flocculation agents. Different retention system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high retention mechanism of the fillers with the structured PCC and polyelectrolytes such as C-PAM (cationic polyacrylamide), C-starch and glyoxal as retention agents. To evaluate the optimum retention system, the retention ratio of PCC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turbidity of RDA (retention and drainage analyzer) filtrate, air permeability (FAP) of the wet-web indicates dewatering performance. Lastly, the formation index of handsheet was evaluated. The lower values of the three factors (i.e., the turbidity of RDA filtrate, FAP of the wet handsheet and the formation index of handsheet) indicated that the structured PCC has provided the more favorable retention of the fillers.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군수품 품질정보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전수연(Sooyune Jeon),이동헌(Donghun Lee),배만재(Manjae B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국방산업에 관련된 데이터의 양적팽창과 기술성장에 따라, 유의미한 품질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정책 제정 및 품질보증 업무에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데이터에 기반한 경향 파악 및 의사결정 도출은 다수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고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는 핵심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국방산업에 서는 개발단계부터 양산단계까지 다양한 품질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기반의 업무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축적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체계 운용을 통해 신뢰성이 확보된 군수품의 품질정 보를 수집하여 정형화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사용자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종합표준플랫폼을 제시 하였다. 제안된 종합표준플랫폼은 군수품시험성적서 정보시스템(Test Report Information Service for Military Supplies, TRIS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TRIS 시스템을 통해 축적되는 정형 데이터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국방산업 비정형 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방산업의 데이터 인프라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 며, 종합표준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은 군수품 품질보증에 관한 무기체계 별 전략 수립 및 동향 파악에 유용하게 활용 될 것이다 Due to the expansion of data and technical progress in the military industry, it is important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for assuring quality and making policies. The analysis of trends and decision making based on big data is helpful for increasing productivity in business and find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We propose an application to collect reliable quality information for munitions and build a big data platform for using the accumulated information and numerical data. We verified the proposed platform using the Test Report Information Service (TRIS) system and suggest a method that utilizes un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data accumulated by TRIS. Thu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platform will help in building infrastructure for military data, making efficient strategies, and analyzing trends for assuring munitions quality.

      • 고려후기 한문학의 의미

        전수연(Jeon Soo-yeon) 대동한문학회 2003 大東漢文學 Vol.19 No.-

        이 글에서는 고려후기의 '記' 작품을 대상으로 한문학 작품의 양식적 역사적 탄력성을 살펴보았다. 고려후기 문학은 불교에서 성리학으로 전환하는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며, 불교와 유교를 아우르는 사상적 융통성은 풍부한 문학사의 실상을 보여준다. 기라는 양식은 단순히 일의 시말을 기록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이념적 규정을 넘어 자기확장을 함으로써 생명력을 발휘한다. 神異를 사실의 기록이라는 양식적 틀에 아우름으로써 현실성을 갖게 하고, 議論성을 강화하여 자칫 양식의 경계를 넘을 듯하면서도 기록성이라는 양식적 규범성은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위대한 功業의 기록물에서 개인 체험의 서술물로, 寺刹重修記에서 승려의 所居記로, 불교적 소거기에서 성리학적 樓亭記로 사상사적 흐름을 따라서 영역확장을 하며 역사적 탄력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허구의 양식인 소설을 중심에 두고 모든 한문학 양식을 수필에 몰아넣어야 하는 서구적 양식 논의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중세문학사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많다. 경계를 넘어서면서도 경계를 허물지 않는 한문학의 탄력성은, 문학과 다른 예술과의 경계를 허물고 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지금의 상황에서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또한 현실적 기능성에 바탕을 두고 현실생활과 긴밀한 관련을 맺은 한문학은, 갈래나누기에 있어 기능과 서술방식을 모두 아우른다. 기능과 서술방식을 아우름으로써 뭇표현들을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포괄적인 시각은, 자신의 방식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어하는 오늘의 풍토에 매우 유용하다. This is a research paper on the flexibility of genre in view of the historical aspects of Sino-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Ki(記) of the late Goryeo Dynasty.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late Goryeo Dynasty reflected the shift from Buddism to Sungrihak(性理學, Metaphysical Confucianism). The flexibility of Confucianism coexisting with Buddism brought about a new abundance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The genre Ki(記) not only recorded fact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but also showed its vitality by expanding its field beyond the limit of the genre. Being involved in the frame of record of the facts, religious inspiration(神異) also has the sense of realism. Also by intensifying one's view, it is already beyond the boundary of genre but it doesn't break its principles. From a document of one's great personal achievement to a story of one's personal experiences, from a record of temple reconstruction(寺刹重修記) to a record of monks residences(승려의 所居記), from the residence record for monks in Buddism to the record for a pavilion in Sungrihak(성리학적 樓亭記), All these records have shown the flexibility of genre and the trend of thought and the changes that took place. Consequently, it will be rather unreasonable to apply the western form to the medieval literature history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This is because the form of essays, non-main stream genre in the western forms, can't cover all of the Sino-Korean Literature genres focusing on the non-fictional record. The flexibility of Sino-Korean Literature is already beyond the boundary of the genre but it doesn't break its principles. So it indicates progress in the unity of the literature and other arts. Having both the function and the form of narration in classifying the genre, Sino-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practical function is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realities of life. To absorb a variety of expressions in the genre of literature, it is able to reflect the current trends to reveal one's own life in accordance with his own life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