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ptimization of shoot cultures and bioactive compound accumulation in Rosa rugosa during acclimatization

        장해림,박병준,박승아,피옥자,박소영,백기엽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3 No.1

        Rosa rugosa is a medicinal, ornamental, and edible plant native to Easter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ystem for biomass production and secondary metabolite accumulation during in vitro culture and acclimatization of Rosa rugosa. The highest rate of multiple shoot proliferation was achieved with 8.8 μM benzyladenine (BA) (83.3%). However, the number of shoots (14.4 per explant) at 4.4 μM BA was higher than that at 8.8 μM BA. Compared to BA, a combination of thidiazuron (TDZ) and indole butyric acid (IBA)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shoot induction, with only 50.0 ~ 79.2% and 4.2 ~ 16.7% relative shoot formation, respectively. During acclimatization, shoots were sampled every week and their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analyzed. Among various growth factors, fresh weight showed the most dramatic increase from the 3rd week (88.0 mg/plant) to 4th week (132.7 mg/plant).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the highest at 1 st week of acclimatization. Depending on developmental stages,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contents were higher in 1-yr-old shoots grown ex vitro than in those of older field-grown or in vitro-grown plants. Amongst different ages of field grown plants, 6-year-old plants, the oldest in this study, showed the lowest content in total phenolics.

      • 알프레도 하르(Alfredo Jaar, 1956~)의 1980-1990년대 작품에 나타나는 미디어 비판적 시각: 언론지 차용 작업을 중심으로

        장해림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16 미술사문화비평 Vol.7 No.-

        본 논문은 칠레 출신의 개념미술가 알프레도 하르의 1980년대와 1990년대 언론지 차용 작업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비판적 시각에 대한 연구이다. 본래 하르는 다큐멘터리 사진을 이용한 설치작품으로 뉴욕 미술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미술사에서는 그를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분류하여 사건의 기록적인 측면에서 연구해 왔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다큐멘터리 사진 작업이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시각 아래 제 작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그러한 시각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언론지 차용 작 업을 연구하는 것은 작가의 작품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하르의 1980년대 언론지 차용 작업은 칠레 쿠데타의 미국 개입의혹과 미국의 자유 주의 사상 이면에 만연하는 불평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언 론지의 표지나 광고, 혹은 보도사진을 병치해 미디어에 내포된 이데올로기를 지우고 자 신의 의도대로 의미를 전환시켜 미디어를 순수한 사회적 기록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또한, 그의 1990년대 언론지 작업은 제 3세계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 에 대한 서구 미디어의 태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는 사건이 발생한 기간 동안 발행 된 언론지의 표지를 나열해 미디어가 인종차별적 아래 해당 사건을 주요 뉴스에서 배제 시켰음을 폭로한다. 이를 통해 사건의 직접적 가해자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방관적 태도 역시 사건에 대한 책임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렇듯 그의 1980-1990년대 언론지 차용 작 업은 일상 속에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언론지의 기사 텍스트나 이 미지 혹은 광고에 변형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병치시킴으로써 기존에 미디어가 내포했 던 의미와 작가가 전환시킨 의미를 관람자가 비교하고 깨닫게끔 유도했다고 볼 수 있 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작업은 주류 미디어를 역으로 이용한 대항(counter) 미디어로서 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언론지 차용 작업은 미국뿐만 아니라 현재 대한민국에서도 활발히 논의 중인 우파와 좌파간의 첨예한 대립, 사회적 평등에 대한 시각, 제 3세계 주변국 사람들을 바 라보는 차별적 시선 등과 같은 정치적 사안과 연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하르의 1980-1990년대 언론지 차용 작업은 여전히 동시대적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critical perspective on media in 1980-1990’s press appropriations work of Alfredo Jaar, a conceptual artist from Chile Santiago. Alfredo Jaar began attracting attention from New York art scene by his installation art using documentary photography, and so he usually has been known as documentary photographer. However, generally his works were produced focusing on critical point of view on media. In this regard, studying press appropriation works, which reveal directly his critical point of view on media, w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broad understanding of his works in general. Jaar’s press appropriation works in 1980’s mainly focused on two subjects- his suspicion of U.S’ intervention in Chilean military coup, and the inequity hidden side of U.S.’ liberalism. In these works, he juxtaposed press’ coverage, advertisements, or photo images, to erase implicit ideology in media and subvert the meaning what he intented. By doing so, He raised a question of whether media can be shown as a genuine social documents. Also, his press appropriation works in 1990’s focused on demeanour of media at political event in the third world. In these works, he presented covers and news articles of U.S’ media that had been published in the period of the event and it was to reveals a fact that American press had intentionally avoided reporting the event. Jaar’s press appropriation works in 1980-1990’s are connected to current political issues, such as conflict between right wing and left wing, different perspective on social equality,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third world people. In this point, his 1980-1990’s press appropriation works can be evaluated as a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art works.

      • KCI등재

        기업의 네트워크 품질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해림,노전표,고소연,Yuan, Xina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6

        As the uncertainty and technical complexity increase, firms are placing more importance on their networks.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corporate network just focused on the structure of network instead of network quality, and did not decompose the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find out how the quality of different types of networks affects firms' performance and how those impacts vary according to firm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 ke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ile forward network quality significantly affect firms' NPD performance, the effect of backward network quality is not significant. Secondly, competitive network qualit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a firms' NPD performance. Thir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an reinforce the impact of backward network quality on NPD performance and weaken the impact of forward network quality. Four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trengthens the impact of non-competitor networks, while weakens the impact of competitor network quality on NPD performance. Current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orporate network quality by decomposition, and we also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firm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provide corporate managers some useful guidelines and insights for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by utilizing and reinforcing proper quality of corporate networks. 최근 들어, 환경의 불확실성 및 기술의 복잡성의 증가에 따라 기업이 자신의 네트워크를 더욱 더 중요시 여기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네트워크 관련하여 기존 연구에는 네트워크의 내용, 즉 품질이 아닌 네트워크의 구조에 중점 두고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를 세분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기업 네트워크의 내용에 입각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의 품질이 기업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런 영향관계가 기업가 지향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방 네트워크의 품질에 기업의 신제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나 후방 네트워크의 품질에 기업의 신제품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다. 둘째, 경쟁자 네트워크 품질은 기업의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기업가 지향성은 기업 후방 네트워크 품질이 신제품 성과에 대한 영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 네트워크 품질이 신제품 성과에 대한 영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넷째, 기업가 지향성은 경쟁자 네트워크 품질이 신제품 성과에 대한 영향을 약화시키는 반면에 비경쟁자 네트워크의 영향을 강화시킨다. 본 연구는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를 세분화하여 각각의 영향을 분석하고 또한 기업가 지향성의 조절 효과를 보았는데 학문적 시사점이 존재한다. 더불어 경영자들이 자신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어떤 네트워크를 강화하면서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루핑의 개방 구조에 의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장해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4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process with diagrams by 3D modeling the openworks of looping among the structures of textile fabrics with the Rhino7 program, and studies the textile design actually 3D printed by the FDM meth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ase of 3D printed textile design by the openworks of looping, and also to explore potential possibilities for the utilization of 3D printed looping structure by focusing on the structural and formative features due to the constructive shape and connectivity of tissues when the technique that has been transferred to textile material is reproduced with a solid material. The result of 3D printing is as follows. First, the openworks of looping is divided into four basic types: simple type, half-hitch type, loop and twine combination type, and hourglass pattern type. When this is 3D printed using the FDM method, the horizontally connected lines are fixed, but have the flexibility to be folded or rolled by gap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oops hanging up and down and changes in the size of the loops. Second, in the half-hitch type, loop and twine combination type, and hourglass pattern type, when the gap inside the ring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rows is narrow, when the upper and lower rings are bent in one direction, the lines are interlocked and fixed at the part where the gap is narrowed. It has a constructive shape to the point of standing on the floor. Therefore,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the rings, the angle at which the upper and lower rows interlock, the fixity and flexibility of the constructive shape may vary. Third, the openworks of looping 3D printed with a solid PLA material maintains the three-dimensional shape while maintaining the transparency and formative pattern of the textile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interact with the plane and the three-dimensional. Fourth, since the different types of looping are based on a skeleton called a ring, tissues can be mix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enabling a variety of tissue expressions within a single 3D printed fabric.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convergent expression between the structure of textiles and 3D printing.

      • KCI등재

        오리가미의 가변적 특성을 적용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장해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조합한 오리가미 패턴을 메쉬 원단에 PLA 소재로 3D 프린팅함으로써 텍스타일 구조의 다양한 변형 가능성을 실험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이다. 오리가미의 가변적 특성을 탐구하여 평면적으로는 가방, 입체적으로는 포장 및 오브제인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구조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서 문헌 조사 및 인터넷 검색을 바탕으로 오리가미의 개념 및 특성을 이해하고 오리가미의 가변적 특성을 적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및 기존 섬유와 융합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를 탐색한다. 그리고 도서에서 발췌한 오리가미의 기본적 도안들을 조합하여 메쉬 원단에 3D 프린팅함으로써 다용도를 위한 텍스타일의 가변적인 구조를 탐구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리가미를 적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펼친 평평한 상태와 접은 입체적인 상태의 두 영역 모두에서 실용 가능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으며, 대부분 하나의 상품에는 한 가지 방향으로 접는 방식이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히는 네 가지 오리가미 패턴을 3D 모델링하고 메쉬 원단에 3D 프린팅한 후 원단의 상하나 좌우를 연결하여 접히는 구조를 실습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오리가미 패턴들을 한 장의 원단에 3D 프린팅하여 서로 다른 패턴들을 조합하여 평면으로는 가방, 입체로는 포장의 기능이 기대되는 구조적 변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PLA 소재와 메쉬 원단과의 융합은 유연성과 견고함이라는 소재적 특성이 상호보완되어 오리가미가 적용된 포장 및 가방으로의 쓰임에 적합하였다. 오리가미의 가변성을 적용한 다용도의 텍스타일 구조의 가능성을 환경친화적인 용도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착상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3D printing textile design study that t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textile structure by 3D printing combined origami patterns with PLA material on mesh fabri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origami and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multi-purpose 3D printed textile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bag in two dimensions and packaging and objects in three dimensions. For the study, we underst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rigami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searches, and explore examples of textile design that applies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origami and 3D printing textile design that combines existing fibers. And by combining basic origami designs extracted from books and 3D printing them on mesh fabric, we explore the variable structure of textiles for versat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extile design cases using origami, it was difficult to find practical examples in both the unfolded flat state and the folded three-dimensional state, and it was found that most single products were folded in one direction. Second, we 3D modeled four origami patterns that fold in different directions, 3D printed them on mesh fabric, and practiced the folding structure by connecting the top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bric. And by combining different patterns by 3D printing two or more origami patterns on a single piece of fabric, the possibility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was presented, which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bag in two dimensions and as a packaging in three dimensions. Third, the fusion of PLA material and mesh fabric complemente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flexibility and sturdiness, making it suitable for use as origami-applied packaging and bag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lies in the idea of developing the possibility of a versatile textile structure using the variability of origami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 KCI등재

        3D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 유형 분석

        장해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리빙오브제의 개념을 이해하고 3D 모델링 및 프린팅 방식을 파악하며, 3D 프린팅으로 구현된 50여 가지의 리빙오브제 작품들을 수집하여 디자인 방식 및 조형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한 것이다. 사례를 통해 3D 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적 표현을 정리하고 디지털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창의적인 리빙오브제 디자인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오브제 사례들을 수집하고 3D 모델링 및 3D 프린팅 제작 방식과 연계하여 조형 유형을 다공형, 기둥형, 유닛의 반복형, 3D 스캔에 의한 재현형, 왜곡된 변형, 알고리즘에 의한 맞춤형, 찰흙형으로 총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리빙오브제의 가장 많은 조형 유형은 다공형과 기둥형에서 분류된 회전에 의한 대칭형이며 용도로는 대부분 조명, 의자, 테이블, 식기, 화병, 장식용 리빙오브제로 제작되었고, 화병과 조명이 가장 많았다. 방식 및 소재에서는 섬세한 표현이 가능한 SLS 방식의 나일론 소재가 다수를 이루었으며 프린팅 이후에는 캐스팅 및 주조로 전통적인 내구성 있는 소재들로도 대체되었다. 셋째, 디자이너 및 작가들의 의도에 따라 디지털 기술과 수작업의 혼용,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툴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창의적인 작품들이 창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3D 프린팅 리빙오브제의 조형 표현에 대한 이해를 도와 창의적인 3D 프린팅 리빙오브제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길 바란다. This study understands the concept of living objects, identifies 3D modeling and printing methods, and collects about 50 living object works realized through 3D printing to classify and analyze types based on design method and formativen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e living object design by organizing the formative expressions of 3D printed living objects through examples and examining digital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collecting examples of living objects and linking them with 3D modeling and 3D printing production methods, the formative types were divided into porous, columnar, repeating units, reproduction by 3D scanning, distorted deformation, customized by algorithm, and clay. A total of seven typ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Second, the most common form of living objects is the symmetrical type by rotation, classified into porous and columnar types. Most of them were produced as lighting, chairs, tables, tableware, vases, and decorative living objects, with vases and lighting being the most common. . In terms of methods and materials, the majority were SLS-type nylon materials that allowed for delicate expressions, and after printing, casting and casting were used to replace traditional durable material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works are being created through a mixture of digital technology and manual work, and the complex application of software and digital tools,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designers and writer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you understand the formative expression of 3D printed living objects and serve as basic data for designing creative 3D printed living o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