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부지식이전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조절효과

        장평,홍관수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0 금융지식연구 Vol.8 No.1

        Buyer and supplier knowledge transfer is perhaps one of the most effective supply chain integrative technologies. Working together, sharing proprietary design and manufacturing knowledge, establishes a level of trust and cooperation that results in many future collaborative and potentially successful relationship.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yer and supplier knowledge transfer on knowledge sharing and performance.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89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CEO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reward system are important factors for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sharing has direct effect knowledge performance. This research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CEO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reward system and knowledge sharing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external knowledge transfer. This research also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knowledge sharing and effectiveness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external knowledge transfer.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지식경영은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핵심요인이 되고 있으며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위해 기업은 내부지식의 획득과 관리뿐만 아니라 구매자와 공급자로부터 지식을 이전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외부지식에 대한 획득과 관리도 강화하여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성과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식공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최고경영자 의지, 평가보상 그리고 조직문화는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지식관리시스템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공유는 효율성과 효과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고경영자 의지, 평가보상, 조직문화와 지식공유간 그리고 지식공유와 효과성간에 미치는 외부지식이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지식관리시스템과 지식공유간 그리고 지식공유와 효율성간에 미치는 외부지식이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교육사(中國敎育史) 특집논문(特輯論文) : 서원, 학당, 학교: 청말민국 시기 섬서(陝西)의 학정(學政) 개혁과 지방사회 변천

        장평 중국사학회 2010 中國史硏究 Vol.69 No.-

        청대 陝西 學政 개혁은 光緖 二十八年(1902)에 시작되었고, 전 성에 학당이 설치된 것은 光緖三十一에서 三十二年 사이였다. 학당은 주로 청대 書院、義學、社學의 구지에 세워졌고, 光緖 三十四年(1908)에 이르러 陝西 전성에 개축 혹은 증축한 학당은 700여 곳에 달하였다. 민국 이후 학당은 학교로 개명하였다. 신식학교와 의무교육의 보급과 발전은 陝西의 각급 각종 학교를 발전시켜 규모가 확대되고 수량 또한 크게 증가하였다. 民國 二十五年(1937)에 전성에는 10,897개소의 소학교가 있었고 중학교 또한 22개소로 증가하였다. 民國 三十四年 항전 이후 전성의 소학교 수량은 13,979개소로 늘어났고, 중학교는 134개소에 달하여 민국시기 陝西 교육 발전의 절정에 이르렀다. 이러한 교육 개혁이 야기한 사회변천 또한 현저하였다. 한편으로 신식교육의 보급은 백성을 계몽하는 열쇠가 되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다량의 廟宇가 학교로 개축되어 지역의 경관 면에서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지역 사회의 외형적 형태면에서 변화가 나타났고 그 영향 또한 심원하였다.

      • 1905~1907

        長萍(장평)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08 아시아연구 Vol.- No.1

        本文利用学界新发现的光绪三十三年甘肃警狱制度相关史料,对自光绪三十一年(1905年)至三十三年(1907年)在甘肃省内所发生的巡警、监狱制度变革进行了梳理。认为至迟至光绪三十三年巡警制度已在甘肃普遍实行,监狱在惩治罪犯理念与方式上也发生的变化,罪犯习艺所不仅设置广泛,且较有成效,它不仅是一种制度的变革,更重要的是,对于边远省区社会近代化起到了积极的促进作用,这一意义要远远大于仅仅作为刑狱制度变革所体现出来的价值所在。

      • KCI등재

        논문 : 외부지식이전이 지식공유의 선행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

        장평 ( Ping Zhang ),홍관수 ( Kwan Soo Hong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0 금융지식연구 Vol.8 No.1

        지식경영은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핵심요인이 되고 있으며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위해 기업은 내부지식의 획득과 관리뿐만 아니라 구매자와 공급자로부터 지식을 이전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외부지식에 대한 획득과 관리도 강화하여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성과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식공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최고경영자 의지, 평가보상 그리고 조직문화는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지식관리시스템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공유는 효율성과 효과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고경영자 의지, 평가보상, 조직문화와 지식공유간 그리고 지식공유와 효과성간에 미치는 외부지식이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지식관리시스템과 지식공유간 그리고 지식공유와 효율성간에 미치는 외부지식이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Buyer and supplier knowledge transfer is perhaps one of the most effective supply chain integrative technologies. Working together, sharing proprietary design and manufacturing knowledge, establishes a level of trust and cooperation that results in many future collaborative and potentially successful relationship.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yer and supplier knowledge transfer on knowledge sharing and performance.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89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CEO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reward system are important factors for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sharing has direct effect knowledge performance. This research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CEO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reward system and knowledge sharing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external knowledge transfer. This research also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knowledge sharing and effectiveness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external knowledge transfer.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공급자의 지식특성이 구매자의 지식이전활동과 공급자의 지식이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평(Zhang, Ping),홍관수(Hong, Kwan Soo)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0 經營經濟 Vol.43 No.1

        Supply chains are comprised of individual suppliers and supplier performance varies. Buying firms’ representatives have reported the need for supplier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quality, delivery, cost reduction and product design capability. Certainly not all suppliers exhibit these shortcomings. However buying firms that do experience supplier performance and/or capability deficiencies are potentially hampered in their ability to compete in their respective markets. Supplier development is any effort by a buying firm with a supplier to improve the supplier’s performance and/or capabilities and to meet the buying firm’s short and long term supply needs. We investigate a mediation role of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to supplier performance improvement after identifying its antecedents such as supplier knowledge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38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supplier knowledge characteristics have indirect impacts on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through buyer’s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whereas the characteristics have direct impacts on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Therefore buyer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have mediation effect between supplier knowledge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패스트푸드 이미지가 고객만족도와 재구매 의도간에 미치는 영향

        장평(Zhang, Ping),권정주(Kwun, Jeung-Joo),홍관수(Hong, Kwan-Soo)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09 經營經濟 Vol.42 No.2

        Food service industry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for last ten years because of increasing income and the number of working women. Rapid change, heightened competition, and shortened life cycles are just a few of the constants faced by many fast food shops in today’s markets. Thus, service quality is very important to get competitive advantages. Before improving service qualit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ritical service quality factors influencing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Conclusumberfrom our sed lifof 277 samples highlight important relation,hips among fast food image and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dliree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greater the re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 This research also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liree of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s mtenquald by the dliree of fast food image. Therefore, the positive benefit decreases as the dliree of fast food image increases.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지식변화속도가 지식이전의 활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평(Zhang, Ping),홍관수(Hong, Kwan Soo)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08 經營經濟 Vol.41 No.2

        Heightened competition, rapid knowledge change, and shortened product life cycles are just a few of the constants faced by many firms in today’s markets. Many firms have responded to these conditions by outsourcing non-core activities. However, increased outsourcing yields less vertically-integrated firms whose abilities to provide competitive products on the competencies of their supply chains. The coordination problems and risks inherent in vertical alliances are magnified in vertically-integrated firms and so one can not assume that high levels of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or performance will occur naturally. Conclusions from our survey of 238 manufacturing firms highlight important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knowledge change speed and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transfer.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the greater the benefit of knowledge transfer. This research also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transfer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knowledge change speed. Therefore, the positive benefit decreases as the degree of knowledge change speed increases.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보완적 지식이 호혜성, 지식이전활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평(Zhang, Ping),홍관수(Hong, Kwan Soo)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3 經營經濟 Vol.46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파트너 개발을 위해 기업이 파트너에게 지식을 이전해야 할 때 어떤 특성하에서 지식을 이전해야 혁신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이 지식의 보완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 설문조사는 제조업의 공급사슬관리를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회수된 설문지 중 177부를 SmartPLS 2.0을 사용하여 지식의 보완성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주요결과 ?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파트너에 대한 호혜성이 높을수록 지식이전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기업의 지식이전활동으로 파트너의 혁신성과는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지식의 보완성에 다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사점 ? 호혜성, 지식이전활동, 혁신성과 간에는 높은 긍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지만, 지식의 보완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는 지식이전활동의 전략수립에 있어서 지식의 보완성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play a critical role in supplier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es, however, tend to neglect the importance of complementariness in knowledge transfer for supplier development program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mplementariness can play moderating roles among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Design/Methodology ?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77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Findings ? When considering the complementari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we find that the effect of reciprocity on the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is stronger for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complementariness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er level. Also the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s stronger for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complementariness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er level. Implicat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can enhance performance gains when they carefully combine reciprocity,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complementariness. Summari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