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부지식이전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조절효과

        장평,홍관수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0 금융지식연구 Vol.8 No.1

        Buyer and supplier knowledge transfer is perhaps one of the most effective supply chain integrative technologies. Working together, sharing proprietary design and manufacturing knowledge, establishes a level of trust and cooperation that results in many future collaborative and potentially successful relationship.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yer and supplier knowledge transfer on knowledge sharing and performance.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89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CEO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reward system are important factors for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sharing has direct effect knowledge performance. This research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CEO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reward system and knowledge sharing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external knowledge transfer. This research also suppor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knowledge sharing and effectiveness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external knowledge transfer.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지식경영은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핵심요인이 되고 있으며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위해 기업은 내부지식의 획득과 관리뿐만 아니라 구매자와 공급자로부터 지식을 이전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외부지식에 대한 획득과 관리도 강화하여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성과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식공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최고경영자 의지, 평가보상 그리고 조직문화는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지식관리시스템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공유는 효율성과 효과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고경영자 의지, 평가보상, 조직문화와 지식공유간 그리고 지식공유와 효과성간에 미치는 외부지식이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지식관리시스템과 지식공유간 그리고 지식공유와 효율성간에 미치는 외부지식이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시장규율 효과에 대한 연구 :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기대가 생명보험 해지율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박경국,빈기범,박도현,김건욱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9 금융지식연구 Vol.17 No.3

        This paper investigates if financial consumers execute market discipline based on the expected service quality of financial service companies focusing on the lapse and surrender ratios of life insurers. Specifically, consumer complaint occurrence rating, which had been periodically issued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f Korea, were used to proxy financial consumer’s expectation on service quality of life insurers, and tested if life insurers’ lapse and surrender ratios are affected by the service quality expectation using panel data regression model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lapse and surrender ratios of the life insurers with improvement in consumer complaint occurrence rating is lower than other life insurers, which implies that the life insurance policyholders execute market discipline on life insurers based on the expected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financial supervisor to do active role in providing reliable information on service quality of financial service companies in order to assist rational decision making of financial consumers that are often faced with information asymmetry. 본 연구에서는 금융소비자가 금융회사와의 거래에서 기대되는 서비스 만족도를 통해 금융회사에 시장규율을 행사하는지 여부를 생명보험에 대한 해지율을 중심으로 실증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금융소비자가 금융감독원이 집계하여 발표하는 생명보험회사별 민원발생평가등급에 기초하여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고 시장규율을 행사함으로써 해지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자료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민원발생평가등급이 개선될 경우 금융소비자가 더 나은 서비스 만족도를 기대하여 해지율이 낮아지는 쪽으로 시장규율을 행사한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는 금융감독원은 정보비대칭에 직면하는 금융소비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공신력 있는 정보제공자(또는 정보공시 요구자)로서의 역할을 지속하고 필요시 정보제공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핀테크 영역의 규제 샌드박스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김인식,서윤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20 금융지식연구 Vol.18 No.1

        The regulatory sandbox refers to a system that provides space for new industries to freely develop by radically alleviating regulations or completely eliminating regulations within a limited range so that new industries are not inhibited by existing regulations. Regulatory sandboxes are not necessarily used only in the financial sector, but can be applied to all newly formed industries, but due to the risk, the value of their use is greater in the financial sector where relatively conservative regulations are regulated. The regulation sandbox is conceptually very useful, but it has various problems with its actual operation. First, it is very difficult to operate an appropriate level of sandbox. If the experiment is conducted in an excessively limited rang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ctual effect. Conversely, if the sandbox is set to an excessively wide rang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amage that the new industry can cause. In addition,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the risks should be shared between the government, businesses, and consumers about the protection of consumers in the sandbox, but the specific ratio is controversial. In addition, all of the countries operating sandboxes are British and American legal countries where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can exercise comprehensive powers, which does not match the reality of Korea adopting regulations under strict laws. As the strength of sandbox is cle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is, but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require careful and detailed legal design as it contains various problems. 규제 샌드박스란 새롭게 형성되는 산업이 기존 규제로 인하여 발전이 저해되지 않도록 제한된 범위 내에서 규제를 파격적으로 완화하거나 혹은 완전히 철폐하여, 신산업이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도를 말한다. 규제 샌드박스가 반드시 금융영역에만 활용되는 것은 아니며 새롭게 형성되는 산업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그 위험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보수적인 규제가 규정되어 있는 금융 영역에서 그 활용가치가 더욱 크다. 규제 샌드박스는 관념적으로는 매우 활용도가 높으나 실제 운영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제가 따른다. 먼저 적절한 수준의 샌드박스를 운영하기가 매우 어렵다. 만일 지나치게 제한된 범위로 실험을 진행하는 경우 실질적인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고 반대로 지나치게 넓은 범위로 샌드박스를 설정한다면 신산업이 야기할 수 있는 피해를 통제하기 어렵다. 또한 샌드박스 내의 소비자 보호에 대해서도 그 위험부담을 정부와 기업 및 소비자가 나누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으나 그 구체적인 비율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샌드박스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은 모두 금융 감독청이 포괄적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영미법계 국가들로, 엄격한 법률에 의거한 규제를 채택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샌드박스의 강점이 분명한만큼 이에 대해서는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으나, 이와 동시에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만큼 신중하고 세밀한 법률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금융기관의 대출집중 행태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김종희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9 금융지식연구 Vol.17 No.2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financial regulation such as the regulation of DTI or Loan to Deposit ratio on the loan concentration in individual banks and the possibility of credit risk of them. In order to measure this,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loan concentration and financial regulation by focusing on banks’ loan data and macro data of 90 individual banks over the period 2008: 1Q – 2017:3Q. It is able to use the results of its empirical analysis to draw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the 72 saving banks have the highest loan concentration and the scale of the 6 local banks is also high. However these high figures from two groups is mainly coming from the high ratio of firm loan while the high concentration ratio of the 6 major banks is coming from that of house loan. Second, the growth of loan concentration is the main determinants of the possibility of banks’ credit risk, and such a tendency is much stronger in local banks and saving banks rather than in major banks. Third, financial regulation is able to weaken the loan concentration so that the possibility of banks’ credit risk is getting low. And such a tendency is much stronger in case that the two methods of regulation is using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금융위기 시점인 2008년 1분기부터 최근의 2017년 3분기까지 총 39개 분기에대하여 6개 시중은행, 6개 지방은행, 그리고 78개 저축은행 등 총 90개 은행들의 대출자료와 주요 거시변수의 자료 등을 이용, 각 은행들의 대출포트폴리오에서 발생하는 대출쏠림 현상이 은행의 위기 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DTI 규제 및 예대율 규제 등의 금융규제가 이와 같은 대출쏠림 현상과 이로 인한 은행의 위기 가능성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으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은행들의 대출포트폴리오에서 특정부문으로의 쏠림현상, 즉 대출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은 저축은행들이다. 지방은행들의 경우에도 대출쏠림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이와 같은 은행의 가계대출로의 쏠림현상의 증가는 해당 은행의 대출손실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은행과 저축은행에게서 이와 같은 경향은 더 강하게 발생하였다. 셋째 DTI 규제와 예대율 규제 등의 금융규제의 강화는 은행의 대출집중도를 약화시킨다. 즉 금융규제는 가계대출을 감소시키고 기업대출을 증가시키는 가게대출의 구축효과가 있으며, 대출손실률을 감소시키는 금융규제의 위험 이전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경제 불확실성 측정과 중화권 주식 시장 변동성에 대한 예측력

        김민기,이기영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8 금융지식연구 Vol.16 No.3

        This study constructs a measure of Chinese economic uncertainty based on the methodology of Jurado, Ludvigson, and Ng (2015) after revising the method to reflect unique features of Chinese macroeconomic data. Utilizing 106 macroeconomic and financial series, we measure economic uncertainty index in China, and examine whether economic uncertainty spreads to stock market uncertainty, which is measured as stock market volatility. Our empirical test supports that Chinese economic uncertain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s Chinese stock market volatility as well as stock market volatility of the both Hong Kong and Taiwan markets. Our empirical results are robust when controlling for economic policy uncertainty (EPU), proposed by Baker, Bloom, and Davis (2016). Overall results emphasize the role of economic uncertainty in determining stock market volatility and imply uncertainty spillover from macro-economy to stock markets 본 연구는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Jurado, Ludvigson, and Ng (2015)의 방법론을 토대로 중국 경제 구조와 현실에 부합하게 수정하여 구축하였다. 이에 필요한 106개의 방대한 거시 경제 및 금융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였고, 이를 토대로 구축한 불확실성이 중국을 포함한 중화권 주식 시장의 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경제 불확실성은 중국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양(+)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중국과 인접한 홍콩 및 대만의 주식 시장 변동성 또한 매우 강건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축한 중국의 경제 불확실성의 유의미한 예측력은 Baker, Bloom,and Davis (2016)의 경제 정책 불확실성 (EPU)을 통제해도 여전히 강건하였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이 금융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뚜렷하며, 경제적 불확실성이 금융 시장으로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장경쟁과 자본구조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류두원,류두진,양희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8 금융지식연구 Vol.16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degree of market competition and capital structure of firms. We construct a sample of KOSPI- and KOSDAQ-listed firms, divided into a period exclusively during the 2008 crisis and a period excluding the crisis, and conduct a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firms’ debt ratio as the dependent variable. We find that although the degree of product market competition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firms’ debt ratio, interestingly, such effect is not apparent during the 2008 crisis period. Our results support traditional theories including the agency problem and the pecking order theory. Overall, we show that the determinants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in Korea, events such as a global financial crisis may affect product market competition effect. 본 연구는 외생적 충격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장경쟁정도와 기업의 자본구조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KOSPI와 KOSDAQ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금융위기 기간과 그 이외 기간으로 나누어서 하위표본을 구성하고, 부채비율을 종속변수로 삼아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장경쟁정도는 부채비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금융위기 기간에는 그 영향력이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강건성 분석을 거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국내기업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은 대리인문제 및 자본조달순위 이론과 같은 전통적인 경제학 및 재무이론에 의하여 설명되며, 금융위기와 같은 외생적 충격은 제품시장경쟁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구인기업의 성장과 수익이 근로자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혜영,정희석,김선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20 금융지식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growth and profit of the company on the maintenance of the number of workers through the change in the number of employees of job firms that have applied for work-net from 2016 to 2018. As a result, the average total asset and average sales increased, but the average number of employees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and the average number of employees grew similar to the average total asset growth. This is because the employment growth rate is followed by the rate at which firms increase their total assets. Total assets, total capital, and sales, which represent the size of the company,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employees and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number of employe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key financial index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corrected R2 0.51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total assets and the s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estimation of employees were asset total and sales.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asset size of the firm and the sales size of the firm, depending on the investment results, were the major influences on the retention of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financial factors that greatly affect the number of employees in job openings.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워크넷에 구인신청을 한 구인기업의 근로자 수 변화추이를 통해서 기업의 성장과 수익이 근로자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평균자산총계와 평균매출액은 증가했지만 평균근로자수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평균근로자수증가율은 평균총자산증가율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총자산을 증가시키는 비율만큼 고용증가율도 따라오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기업규모와 외형규모를 나타내는 자산총계와 자본총계, 매출액은 근로자수와 상관관계가 모두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근로자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주요재무지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출한 회귀모형식의 설명력(수정R2 0.51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산총계와 매출액의 회귀계수는 통계적으로 1% 수준에서 유의하여 근로자수 추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는 자산총계와 매출액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기업들이 근로자를 유지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투자결과에 따라 나타나는 기업규모와 외형규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구인기업의 근로자 유지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재무적 요인을 규명한 것에 대해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인구고령화를 반영한 주택수요추계 및 주택가격의 장기전망

        형남원 ( Namwon Hyung ),전성애 ( Seong-ae Jeon )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9 금융지식연구 Vol.17 No.3

        인구의 연령구조를 반영하여 추계한 주택수요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과 같은 인구요인의 변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Mankiw and Weil(1989)은 20년 후인 2007년경에 미국의 주택가격이 급락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Mankiw-Weil의 예측과는 달리 주택가격의 대폭락이 현실화되지는 않았지만, 이 연구는 인구요인을 주택가격 예측에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후속연구는 주택수요의 추정에만 한정되었거나, 주택수요와 주택가격 사이에 유의성의 확인에는 실패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거시경제 변수를 포함한 시계열 모형을 통해 주택가격을 예측하려는 연구도 활발하였는데, 장기예측이 어려운 거시경제변수의 특성 때문에 단기적인 예측에 국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요인이 반영된 주택수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것을 이용한 주택가격의 장기예측 모형을 제시하였다. 먼저 Mankiw-Weil의 방법을 보완하여 가구주의 연령구조, 1인가구 여부, 결혼 여부 등 가구의 특성이 반영된 MW주택수요지수를 도출하고, 주택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의 결과, 주택수요는 주택가격과 장기적 균형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래가구 정보를 이용하여 추산한 MW주택수요지수를 활용하여 주택가격을 장기 전망하였다. 주택공급, 경제성장, 물가상승 등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별 주택가격의 장기적 동향을 예측함으로써 향후의 주택관련 정책에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가구 구조의 변화로 단기적으로는 주택 가격의 상승세가 예상되지만 중장기 이후에는 대체로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주택공급량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2026∼2032년경에 주택 가격이 정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The role of demographic changes such as baby boom and bust in the housing market has recently been brought to light by Mankiw and Weil(1989). Although the Mankiw-Weil forecast of a 47% decline in the house prices over the next 20 years is based on a serious misuse of their demand variables, Mankiw and Weil were the first to consider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nge on the long-run prediction of housing market. In this paper, we extended the estimation of Mankiw-Weil model based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calculate long-term housing demand, which we call MW demand index. To analyze the housing market, we collect the data on the housing supply, the price of housing, GDP, CPI and interest rates. Since those variables are non-stationary and cointegrated, we construct the ADL type model with error correction term. Utilizing the MW demand index up to 2045 and based on various scenarios of housing construction, we can make long-run prediction of housing price. The implication for future housing prices is apparent from the MW demand index, which shows the housing price will grow more slowly and reach its peak around 2026∼2032 and then decline.

      • KCI등재

        신용스프레드의 경기변동 예측력 변화와 원인 분석

        신동준,박의환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20 금융지식연구 Vol.18 No.1

        This study examines the stability of the predictive power of the credit spread and analyzes what it caused. Based on the Bai and Perron(2003)'s multiple structural breaks test, we find that the predictive power of the credit spread for future economic activity has changed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For robustness checks, we add the call rate and the term spread to a predictive regression model, however, the previous results in this paper are reproduced. To shed light on the results, we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credit spread and find that the quantitative growth, such as the volumes of trading and issuing, and qualitative growth, such as rising in the creditworthiness of the issuing entities, in Korea corporate bond market affect to the predictive power of the credit spread since 2008. 본 논문은 한국의 신용스프레드가 경기변동에 대한 예측력에 변화를 확인하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신용스프레드의 경기변동에 대한 예측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Bai-Perron(2003)의 구조변화 검정을 수행한 결과,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에 신용스프레드의 경기변동에 대한 예측력에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강건성 검정을 위해 콜금리와 장단기 스프레드를 모형에 추가하여 경기변동을 예측하여 보았는데, 콜금리와 장단기 스프레드의 예측력에는 변화가 없었고 신용스프레드만 경기변동과의 관계가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신용스프레드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국내 회사채 시장이 거래량이나 발행량 등 양적인 성장과 발행 주체들의 신용도 상승에 따른 질적 성장으로 신용스프레드가 경기변동을 예측하는 능력에 변화를 가져왔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해외 주식투자와 동적 환헤지 전략

        이준행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9 금융지식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of dynamic FX hedging strategy and compares to static hedging strategies in overseas stock investment. We use 2 state Markov Switching Model(MSM) of exchange rates to determine the optimal FX hedging ratio of dynamic strateg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SM provides useful information in the sense that dynamic hedging strategy generates better performance than full hedge and unhedge strategy. We can enhance portfolio returns of overseas stock investment by making adjustments the hedge ratios of FX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regime or state. This study verifies the robustness of dynamic hedging strategy by analyzing the performances in different periods. It outperforms other hedging strategies in stable period of currency as well while it is well known that dynamic strategy has advantages in turbulent periods like global financial crisis. Also we find the strategy which adjusts hedge ratio in every 1 week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in every 1 month. 본 연구에서는 해외 주식투자 시 동태적인 환헤지 전략을 구사할 경우, 그 성과가 정태적인 환헤지 전략에 비해 개선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동태 환헤지전략에서 국면에따라 조정하는 환헤지 비율은 환율의 2국면 국면전환 모형을 이용한다. 분석결과, 2004년 이후 기간에서 unhedge 보다는 full hedge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동적헤지는 ful1 hedge 보다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국면전환 모형이 유용함을 보여준다. 국면전환모형의 유용성이 떨어질 수 있는 환율의 안정기에도 동적헤지전략이 우월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2010년 이후의 기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2010년 이후 기간을 분석한 경우에도 헤지비용을 고려하면 동적헤지가 더 우월한 성과를 보여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한 동적환헤지 전략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헤지조정주기를 1개월에서 1주일로 짧게하면 그 결과는 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율국면에 대해 1주일 단위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활용하는 이득이 헤지비용의 증가 보다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