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문인들의 상예적(尙藝的) 서예미학

        장지훈 ( Jang Ji Ho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0 No.-

        Seongjeong, Cheongi, and the Holy Spirit, which emer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literary ideologies that supported freedom and individuality by advancing from ideas such as traditional self-reliance. It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Wang Yang-myeong's Simhak(心學), which opposed the normative and rationalized willism of self-reliance and emphasized personal independence and individual aesthetic sensitivity. This style of literary art deepened self-complacency(自得) in the first half of literature The reason for the psychological aesthetics was to pursue a more free, individual, subjective and creative art from past traditions and regulations. For these reasons, there was no reason to follow existing notions unless the identity of art was lost. Therefore, calligraphy rejected the existence and reproduction of objective norms, and re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text to strengthen the tendency of self-discipline and creation. Th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lligraphy was recognized as a self-complacency, and the activities of seeking and creating the essence of calligraphy began to stand out. The writ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took a purely artistic approach rather than the practical and ethical aspects of calligraphy, leading to various aesthetics and creation. It was intended to advance from the Zhujianic calligraphy to the mid-term to explore the true calligraphy of Joseon.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sense that one should change from thinking and practice without sticking to existing rules of beauty and creation. Therefore, he focused his attention on discovering the essence of calligraphy, reflecting o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focusing on the practice of change and self-complacency. Park Ji-won's discussion of create a new one based on the old one(法古創新) and Lee Kwang-sa's discussion of a living thing(活物) were all the products of the consciousness to pursue artistic achievement through the living calligraphy of the era. The open reasons of the late Joseon Period greatly influenced the scholarship and artistic spirit of calligraphers, resulting in a variety of calligraphy theories and creation. Thus, the philosophical analysis and academic exploration of calligraphy essence intensified, not the passive approach of calligraphy, which was regarded only as a formative or trivial talent. This was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not as leisure but as academic and artistic dimensions. As a result, calligraphy in Joseon was more mature in character and style, and the artistic aspects of calligraphy were emphasized more.

      • KCI등재

        조선 유학자들의 서예인식에 관한 연구

        장지훈(Jang, Ji-hoon)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49

        본고는 조선 유학자들의 학문성향과 서예인식의 관련성을 조명한 글이다. 즉, 학문사상적 관점에 따른 서예본질에 대한 이해와,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향하는 서예심미관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조선의 道學者는 서예를 理氣心性論과 연계지어 이해한다. 퇴계 이황은 성리학적 심성론에 기인하여 궁극적으로 ‘敬’의 자세로 일관하면서 유가의 도통관인 心法을 서예의 본질로 상정했다. 우암 송시열 또한 서예의 心法을 본질로 삼으면서도, 心法을 구현하는 심미관을 ‘直’에 두었다. 도학자들은 대체로 서예는 心法의 구현임을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人正則書正의 윤리적 서예관을 형성하였다. 조선의 實學者는 서예를 우주론적 관점에서 易理的으로 이해하거나, 사실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自得, 實心, 眞등과 연계지어 인식한다. 옥동 이서 는 퇴계의 서예관을 계승하면서도 서예의 본질을 『周易』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적으로 접근한다. 이계 홍양호는 貴古淺今의 사유에서 벗어나 易理로써 서예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善變을 도모한다. 박지원 또한 變易의 사고를 바탕으로 서예는 習俗을 벗어나 자기만의 새로운 형식과 감성의 표현임을 인식했다. 다산 정약용은 서화에 있어서 지나치게 이상적이고 관념적 풍조를 병폐로 여기고, 원형에 대한 사실적인 표현과 시대정신을 담아낼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서예인식은 기존의 理중심적 심미관에서 氣중심적 심미관으로 전향된 것이라 하겠다. 조선의 陽明學者는 학문의 근원을 良知에 두고, 서예에서 주체적인 心의 발현을 강조한다. 원교 이광사는 기존의 도덕적 心法에서 벗어나, 서예란 자기진정의 眞法을 구현하는 것임을 천명했다. 한편 老莊的사유를 견지한 창암 이삼만은 서예란 모든 法의 극치를 넘은 無法의 단계, 즉 自得의 절대자유 경지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양명심학·노장적 사유는 기존에 지배적이었던 윤리적 서예인식에서 이미 벗어나 眞情主義심미관을 지향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처럼 조선 유학자들은 학문사상과 서예를 연계지어 이해함으로써 서예의 윤리성·예술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의 서예가 획일화되지 않고 다양한 인식과 심미관을 전개해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illuminates the relevance of the academic propensity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In other words, I understood what the calligraphic essence of the calligraphic viewpoint is and the calligraphic aesthetics of the calligraphy based on that perception.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understand calligraphy in conjunction with the theory of mind and mind. Due to the neo-philosophical theory, Toegye Lee Hwang has assumed the essence of calligraphy, which is the conduit of Yuga, which is ultimately consistent with the attitude of “respect”. Wuam Song Cheol also puts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its essence, while putting the aesthetics that embody the essence into a ‘straight’. The doctors generally recognized that calligraphy was the embodiment of the law of mind, and as a result, they formed the ethical calligraphy of the people’s righteous sentence. The practitioners of Joseon recognize calligraphy from a cosmological point of view as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r in connection with self-interest, essence, and truth based on realistic spirit. Although Okdong Isa succeeded the calligrapher of Toegye, he approaches the essence of calligraphy in a metaphysical way in terms of 『周易』. Leegye Hong Yang-ho is abl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a reason for deviating from the thought of the present. Park Ji-won also recognized that calligraphy is a new form of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ased on the thought of mutation. Dasan Jung Yak-yong emphasizes overly idealistic and ideological trends in the paintings as a sickness and a realistic expression of the original and the spirit of the times. The calligraphers’ perception of calligraphy has been shifted from the existing science-centered aesthetics to the energy-centered aesthetics. The Yangmyung scholar of Joseon places the source of learning in good conscience and emphasizes the manifestation of subjective mind in calligraphy. Lee Kwang-sa stated that calligraphy is a realization of the true law of self-calmness. On the other hand, Chanam Lee Sam-man, who maintained the old-fashioned reason, regarded the calligraphy as the absolute level of selflessness which is beyond the extreme of all laws. Such a bilingual study. It is said that the tentative reason is to deviate already from the prevailing ethical calligraphy recognition and to aim for the emotionalism aesthetic. In this way, Joseon Confucian scholars can understand the ethics of calligraphy by linking academic thought and calligraphy. Expressed various views of artistr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Korean calligraphers have not developed uniformity but developed various perceptions and aesthetics.

      • KCI등재

        눈물점 마개 사용 후 발생한 합병증의 치험 증례

        장지훈,채종근,김병진,이하범.Ji-Hoon Jang. M.D.. Jong-Keun Chae. M.D.. Byoung-Jin Kim. M.D.. Ha-Bum Lee. M.D.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3

        Purpose: To report cases of complications after using punctual plugs wit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tudied 3 complicated cases after the use of punctual plugs: a 46-year-old female with recurrent mucopurulent discharge, a 42-year-old male with a pinkish mass over the punctum, and a 29-year-old female with recurrent epiphora. Results: The 46-year-old female was diagnosed with canaliculitis caused by actinomyces, the 42-year-old male with chronic pyogenic granuloma, and the 29-year-old female with canalicular obstruction. All 3 cases improved after proper treatments. Conclusions: Complications after the use of punctal plugs are not common but they can be significant. They have to be used carefully after through evaluation and obtained proper informed consents from the patient.

      • KCI등재

        한글 서예의 미학 - 서체미를 중심으로 -

        장지훈,張志熏(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글은 서예와 만나면서 풍부하고 다양한 서체와 미감을 형성해왔다. 다만 전통의 한글 서예는 어떠한 형태로 변화해왔는가에 대해서는 인식하기 용이하나, 어떠한 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쉽지 않다. 때문에 한글 서예의 미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자 서예의 예술적 특징을 한글 서예에서도 발견하고, 이를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글 서예를 전통의 서법적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먼저 한글 서예의 서체는 대략 고체 ․ 정자체 ․ 흘림체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는 자형이 좌우대칭과 정사각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체로 단정하고 근엄하여 경건(勁健)의 미를 느낄 수 있다. 획의 굵기 변화는 미세하나, 예서와 해서가 혼합된 남조의 해서풍처럼 기필과 수필의 방필(方筆)이 두드러지며, 대체로 금석의 졸박한 기운이 서려있다. 정자체는 전반적으로 평정한 결구와 안정적인 필세가 특징적이다. 판본의 고체가 필사화 되어가면서 고체에 비해 자형이 세련 되고 필획의 유연함이 두드러지며, 직선적인 필획과 방정한 자형의 정제된 글꼴 속에서도 맑고 담백한 운치를 느끼게 한다. 흘림체는 서간이나 가사 등의 경우, 정자체의 기본 자형을 바탕으로 때로는 거칠고 강렬한 필획을 가미하고 필속을 경쾌하 게 하여 절주(節奏)의 미가 강하다. 반면, 궁서의 경우 곡선적인 섬세한 필획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수려하면서도 정제된 멋이 깃들어 있다. 한글은 한자에 비해 비록 문자의 구조와 글꼴은 단순하지만, 한자 서예가 지닌 다양한 서체의 미학이 한글 서예에도 내재되어 있다. 특히 한글 서예는 특정 서체를 막론하고 한국인의 섬세하고 우아한 격조에서부터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한 생동감은 물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운치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자연친화적인 정서와 심미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 KCI등재

        임플란트 고정체의 의원성 동요 후 골 유착 반응에 관한 연구

        장지훈,조진현,이청희,Jang, Ji-Hoon,Cho, Jin-Hyun,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3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 유착된 임플란트에 인위적 비틀림을 가한 후 골 유착이 다시 일어나는지, 혹은 일어나지 않는지, 일어난다면 이전의 골유착보다 강화되는지, 약화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 (commercial pure titanium 99%)으로 직경 3.75 mm, 길이 4 mm의 표면처리 없는 실험용 임플란트를 제작하였다. 3.0 kg이상의 뉴질랜드산 흰색 암컷 토끼 7마리의 좌우 경골에 제작한 임플란트를 2개씩 식립 후, 6주의 골유착 유도 기간 부여 후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한 경우를 I군으로, 다시 임플란트 고정체를 재위치시키고 봉합하여 4주간의 치유기간을 더 두고 측정한 경우를 II군으로 분류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조직 형태학적 분석을 위하여, 1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1마리의 토끼를 희생시키고, 2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2마리의 토끼를 희생시켜 각각 4개, 7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 (${\times}20$) 분석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Bone-Implant contact, BIC, %)비율과 치밀골 부위에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나사산 수를 측정하여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비율을 측정하였다. 비틀림 제거력과 BIC및 CBa비율에서의 I군과 II군의 통계적 유의성 ($\alpha$=.05)을 평가하였다. 결과: 비틀림 제거력 측정에서 I군은 $10.8{\pm}3.6$ NCm로 측정되었으며, II군은 $20.2{\pm}9.7$ NCm로 측정되었으며, I군보다II군의 비틀림 제거력이 평균 98.1% 증가되었다 (P<.05). 조직 형태학적 분석에서 BIC와 CBa 비율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P>.05), RT/BIC와 RT/CBa 값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임플란트 고정체에 의원성 비틀림 동요가 발생한 경우에 초기 골유착을 얻기 위해 필요로 했던 치유기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 이전보다 견고한 골유착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osseointegration of the implants that had mechanical unscrewing possibly occurred or not. Furthermore, if it happened, the degree of re-osseointegra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previous osseointeg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mooth implant (commercial pure titanium 99%) specimens, whose diameter and length was 3.75 mm, 4 mm, respectively were produced. Two implants were inserted into each tibia of 7 New Zealand female white rabbits weighing at least 3.0 kg. The torque removal force for each implant after 6 weeks of implants placement was measured and included in group I. The torque removal forces were assessed after the fixtures were re-screwed to original position and the subjects were allowed to have 4 more weeks for healing and included in group II. One rabbit was sacrificed after first measurement and produced 4 slide specimens in group I, and two rabbits were sacrificed after 2nd measurement, 7 slide specimens, in group II for histomorphologic investigations. All slide specimens were assess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BIC (bone-implant contact) as well as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 value produced by counting the screw threads embedded in the compact bones under the optical microscopic analysis (${\times}20$).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orque removal force, BIC and CBa between group I and II. Results: As for the torque removal force, the result was $10.8{\pm}3.6$ Ncm for group I and $20.2{\pm}9.7$ Ncm for group II. Furthermore, the torque removal force of group II increased by 98.1% in average compared to group I (P<.05). On the other hand, histomorphologic analysis display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IC and CBa values between group I and the group II (P>.05), and RT/BIC and RT/CBa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substantial re-osseointegration within shorter periods than the period needed for the initial osseointegration in case of iatrogenically unscrewed implants.

      • KCI등재

        연구논문 : 윤순(尹淳)의 심학적(心學的)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장지훈 ( Ji Hoon J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3 No.-

        조선후기 陽明學의 비판적 수용은 개인의 정감과 心靈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문예에서 성정의 眞과 自得을 심화시킨다. 특히 서예방면에서의 眞과 自得은 東國眞體형성과 유관하다. 즉, 서예의 朝鮮風을 추구한 동국진체는 朱子學的 서예미학과 陽明心學的서예미학이 융합된 변증적 서예발전의 결과이며, 그 중심에 尹淳(1680-1741)이 있었다. 윤순의 서예인식은 法古에 비중을 둔 中和美추구에서 시작된다. 그러다 鄭齊斗의 문하에서 心學의 요체를 이해한 후 스스로가 처한 삶의 현장에 부합되는 實心의 문예를 자각한다. 그리하여 전통 유가적 서예인식에서 점차 주자학과 양명학의 圓融에 의한 實心의 서예추구로 전환된다. 이러한 사유는 윤순의 서예창작관으로 전개된다. 그는 蒼勁拔俗을 강조하는데, 이는 보편적 미의식을 넘어 진정과 개성에 비중을 둔 주체적 미의식의 발로였다. 즉, 세속적인 형태미를 줄이고 필획에 내재된 神彩를 통해 주체적 心態구현에 비중을둔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形似와 모방에 치우친 擬古主義에 반대하는 것이었다. 또한 그는 中和美로 대표되는 東晉의 王羲之를 존숭하여 그 이후의 서예를 배제하다가, 점차 비판적으로 수용해나간다. 그리하여 최상의 서예를 ‘세속 사람들의 안목에 거슬리는 것’이라면서 중용적 사유보다 심학적 개성주의를 존중한다. 윤순이 후대에 높이 평가받는 것도 기존의 유가적 서예도통관·이단관만 고집하지 않고 제가들의 서예를 받아들여 自得을 꾀하기 때문이다. 그의 변화정신은 심미취향의 변화뿐만 아니라, 주자학과 양명학의 圓融에 의한 유연한 사고에 바탕한 것이며, 그의 글씨가時體’로 불렸던 점도 이와 유관하다. 윤순의 時體는 典雅하면서도 여러 서체의 복합에 의한 조형적 아름다움, 창작층과 향수층의 다양한 미의식의 고취, 그리고 時代性을 모두 충족시켰다. 擬古에만 그치지 않고 창작주체의 개성과 시대정신을 투영함으로써 서예의 진정한 法古創新을 실현한다. 즉, 주자학적 중화미와 양명학적 개성미를 융화시켜 전통의 격조와 시대미감을 겸비한 自得의 서예를 창작한다. 이러한 점이 그의 서예미학을 주목하는 이유이다. The critical acceptance of Yangmy.nghak(陽明學: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 the Late Chos.n period led to the free expression of personal emotions and spirits to deepen the Chin(眞: truthfulness) of oneself and Chad.k(自得: self-satisfaction) in art. Especially, Chin and Chad.k in calligraphy was relevant to the development of Tonggukchinch`e(東國眞體: literally, the true style of Chos.n). Tonggukchinch`e that pursued a Chos.n style of calligraphy in line with Chin and Chad.k was the result of dialectical development of calligraphy that added the Yangmy.ngsimhak calligraphic aesthetics upon Chuchahak(朱子學: The Zhu Xi School of Neo-Confucianism) calligraphic aesthetics. At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was Yun Sun(尹淳, 1680-1741). Yun Sun`s sense of calligraphy had begun in the pursuit of Chunghwami(中和美: beauty of means) weighing on P.pko (法古: rooting in the old). He came to realize the art of true mind that was in accordance with his everyday life journey after he grasped the essence of the Simhak under Chong Che-Du(鄭齊斗)`s guidance. Thus the traditional confucius calligraphic sense of him was transformed into the calligraphic pursuit of true mind by the fusion of Chuchahak and Yangmy.nghak. This thought has evolved into his calligraphic aesthetics. He came to emphasize Ch`angky.ngbalsok(蒼勁拔俗), the expression of independent aesthetics that moved beyond universal aesthetics to appreciate the truthfulness and individuality. That is, he reduced the elements of formal beauty and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mind-shape through the spirits and postures inherent in a brush stroke. It was on the other hand to oppose to .ikochui(擬古主義: slavishly mimicking the old), buried in the keeping the similarity of forms and mimicking. He used to exclude calligraphies after Wang Hee-Ji(王羲之: Wang Xizhi) but gradually came to accept them critically. He appreciated the individualism of Yangmy.ngsimhak rather than the thoughts of means as he asserted that the best calligraphy was "what was against the eyes of people." His after-life honor is due to this pursuit of Chad.k by embracing calligraphies of all schools without insisting on the Confucius calligraphic virtue and heresy. His spirit for change was based not just on his aesthetic tastes but on flexible thoughts building upon the fusion of Chucha and Yangmy.nghak. That says pretty much why his calligraphy was called "Sich`e(時體: a poetic style). His Sich`e, while having its grace and elegance, fulfilled all elements of formative beau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calligraphic styles, the elevation of aesthetic senses of the artist and the appreciator, and the sense of time. By projecting the individuality of the artist and the sense of time and not buried in mimicking the old slavishly, he realized the true P.pkoch`angsin(法古創新: creating the new based on the old) in calligraphy. He created the calligraphy of Chad.k that had the elegance of the tradition as well as the aesthetic sense of the time by the fusion of chunghwami of Chuchahak and the individualism of Yangmy.nghak. That is why we pay our attention to his calligraphic aesthetics.

      • KCI등재
      • KCI등재

        洪良浩의 서예인식과 서예비평

        장지훈(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12 서예학연구 Vol.20 No.-

        18세기에 활동했던 洪良浩(1724-1802)는 서예가 ․ 문장가 ․ 금석학자로 주자학을 바탕으로 양명학 ․ 실학 등 학문사상을 다양하게 받아들였던 개방적 성향의 인물이었다. 그래서 당시 보편적으로 유지되어 왔던 貴古賤今의 사고를 부정하였다. 詩를 논하는 데에도 옛 글의 형태를 쫓는 어리석음을 비판하면서, 人心의 영활성과 天機의 오묘함을 自得하면 古法이 자연히 수반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후기 문예전반에서 擬古에 반하는 性情 ․ 天機 ․ 性靈 등의 표출을 진작시켰던 미학사조와 유관한 것으로, 書壇의 擬古풍토에 대한 비평으로 이어갔다. 홍양호의 서예에 대한 인식은 근본적으로 易理에 바탕한 것이었다. 즉, 우주의 생성이치인 易의 원리를 서예의 기본구성인 자획의 운용에 적용하였다. 서예는 음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千變萬化하는 이치를 구현한다는 變易의 논리와, 시대에 따라 서풍은 변해가지만 서예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不易의 사고와, 서예는 지극히 간명한 원리 즉 자획음양에 대한 원리만으로도 그 본질과 변화를 깨달을 수 있다는 簡易의 이치를 피력하였다. 이는 法古에 버금가는 善變의 당위성을 말한 것으로, 서예에서 관념적 古의 절대가치와 허명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에 대한 비판과 今의 가치를 인정하려는 의지가 담겨있었다. 홍양호의 書家에 대한 비평은 중국 서가들에 대한 논의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을 만큼 우리나라 서가들에 대한 관심과 자부심이 고취되었다. 우리나라 서가에 대한비평은 무조건적 찬양과 이단적 사고를 지양했으며, 다소 객관적이면서도 포용적인 자세를 지향하였다. 글씨의 典範을 晉 ․ 唐의 法으로 운운하기도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 서예를 단순히 중국의 아류로 인식하지 않고 그 우수성과 예술성을 적극 표방하였다. 이는 민족사관에 바탕하여 우리나라 서예를 주체적으로 인식하려는 비평정신의 발로였다. 이러한 홍양호의 서예학적 탐구와 비평은 18세기 서예의 조선풍을 진작시키고 민족 주체적 서예인식이 심화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했다고 하겠다. Hong Yang-ho (洪良浩1724-1802) who lived in the 18th century was a writer, calligraphist, epigraphist and very open-minded in learning such doctrines as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 and Practical Science, based on Neo-Confucianism. Consequently, this propensity did not allow him to unconditionally receive the predominant thought of that period that old things should be highly valued but not for new ones. He criticized a mere following of old forms, for example, when discussing poems and suggested that understanding of both human ingenuity and profundity of nature would naturally make it possible for one to get those old styles. Such understanding has meaningfully connected with the promotion of human disposition, nature and human spirit, which all are opposed to imitation of ancient style in the late Chosun Dynasty, led to the strong criticism of the imitation trend accompanied by coarse skills. The understanding of Hong about calligraphy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reason of Change, which means that he applied the principle of Change explaining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o the stroke of letters, one of basic elements of calligraphy. In the explanation of his view on calligraphy, he expressed his opinions of that firstly, calligraphy realizes the reason of endless change and secondly, the essence of calligraphy will not change even when its style may change with time and thirdly, people could understand the essence and change of it only if they would realize the simple principle of yin and yang and stroke techniques. That means that he emphasized the need of making proper changes, what could be next to the old styles. Here he criticized the reckless following of not only the ideal absolute value of calligraphy but a false reputation and at the same time, he put importance on the value of the current thing. It could be found that his criticism of calligraphy shows his interest in the country's calligraphers and the inspired pride of them, while he nearly didn't mention and discuss Chinese calligraphers. In criticism of Chosun's calligraphers, he tried to maintain rather objective and inclusive attitude, turning away from blind praise and heretical thinking. Although he understood that the standard of letters in calligraphy came from the Chin and Tang Dynasties in China, but he thought that Chosun's calligraphy was not just an imitator of Chinese one, instead he highly valued its excellence and artistry. It is of course based on his national view of history for a subjective understanding of our own calligraphy. His study and criticism of calligraphy provided the foundations for stimulating Chosun style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and deepening the national subjective understanding of it as well.

      • KCI등재

        韩国关于《说文解字》研究现状及《说文解字》<叙>的书法美学

        장지훈(Jang Ji-hoon)(張志熏),김혜란(Kim Hye-ran)(金惠蘭)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Written by HuShen(許愼) of the Eastern Han Dynasty, Shuowenjiezi(說文解字) is the first Chinese poem to giv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meaning, shape and sound of 10,000 Chinese characters when they were first. Therefore, the book is regarded as must-read in various fields of study, including Graphonomy(文字學) that studies Chinese characters, Phonetics(聲韻學) that studies sounds, Exegetics(訓詁學) that studies meanings, and Confucian classics(經學) that studies Confucian scriptures. In regard to this Shuowenjiezi(說文解字) in China, continuou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since the Han Dynasty. In contrast, in Korea, modern research was conducted in earnest. Of course, Shuowenjiezi(說文解字) was int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read to officials as must-reads, and some research on Shuowenjiezi(說文解字) was cond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a full-fledged study of Shuowenjiezi(說文解字) has been identified since the 1980s. In light of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Korean Shuowenjiezi(說文解字) from when it was introduced and how it has been conducted so far. Thus,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Shuowenjiezi(說文解字) was compiled and analyzed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modern. Meanwhile, in the case of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it is not only a theory about literal science, but also provides the basis for the theory of calligraphy theory of all time. This paper, by analyzing the calligraphy aesthetic point of view contained in the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also researched on what theoretical basis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acted on the Chinese and Korean calligraphy theory. The paper, which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Shuowenjiezi(說文解字) in Korea, is valuable in that it can examine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research on Korean alphabets in the context of history.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e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reveals what aesthetic sense is being provided in the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y theory. 본 논문은 東漢의 許愼이 저술한 『說文解字』에 관하여 국내의 연구현황을 종합하고, 나아가 「설문해자 · 서」에 내재된 서예미학사상을 논한 글이다. 중국과 한국을 막론하고 『설문해자』에 관한 연구는 중문학 · 한문학 · 서예학 등의 학문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분야에 따른 주제와 내용 등이 실로 다양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설문해자』에 관하여 주로 어떠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는지 궁금증을 토대로, 고려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설문해자』에 관한 연구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 ·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설문해자』의 내용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가 아니라, 역대의 연구현황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의 성격에 해당하는 글임을 앞서 밝혀둔다. 『설문해자』는 1만여 漢字가 처음 만들어질 때의 뜻과 모양 그리고 독음에 대해 종합적으로 해설한 중국 최초의 字典이다. 때문에 이 책은 한자의 字形을 연구하는 文字學, 字音을 연구하는 聲韻學, 字義를 연구하는 訓詁學, 그리고 유가의 경전을 연구하는 經學 등의 분야에서 필독서로 손꼽힌다. 그 가운데 「설문해자 · 서」는 서예와 관련된 미학적 관점을 내재하고 있어서 후대 서예이론의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한국에 『설문해자』가 유입된 시기는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설문해자』가 사용된 뚜렷한 예는 高麗時代(918-1392)에 나타난다. 고려 仁宗(在位 1122-1146) 14년(1136)에는 과거시험의 하나인 雜科에 明書業을 두었다. 명서업이란 文字와 書法을 구명하는 직업이다. 이를 통해서 보면 『설문해자』는 고려의 과거시험에서 필수과목으로 채택되었고, 관리가 되기 위한 필독서로서 인식되었다. 특히 자학과 서법을 겸하도록 하여 자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서예의 실력을 동시에 요구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들을 양성하는 기관으로는 성균관 내에 ‘書學博士’가 있었고, 胥吏로는 각 관서마다 書令史 · 書藝 · 試書藝 · 書手 등이 있어 서사를 담당하였다. 이런 제도의 완비로 고려시대에는 자학과 서예의 보편화를 촉진시켰다. 이처럼 고려시대에는 『설문해자』가 관리들에게 보편화되었고, 이를 통한 전문직업인이 발탁되었으며, 『설문해자』에 근거한 자학과 서법이 중시되었다. 다만 『설문해자』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는 남아있지 않다. 朝鮮時代(1392-1910)에는 『설문해자』에 관하여 본격적인 연구는 아니지만 文論과 著作이 일부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李瀷(1681-1763)의 「說文」, 深有鎭(1723-?)의 『第五游』, 洪良浩(1724-1802)의 『六書經緯』, 李忠翊(1744-1816) 「說文新義序」, 朴齊家(1750-1805)와 李德懋(1741-1793)의) 「六書策」, 李圭景(1788-1856)의) 「說文辨證說」, 朴瑄壽(1821-1899)의 『說文解字翼徵』, 朴致馥(1824-1894)의) 「字訓序」 등이 있다. 이 가운데서도 「설문변증설」과 『설문해자익징』이 『설문해자』자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저작이라면, 나머지는 字源의 풀이가 부족했던 당시의 韻書를 보완하여 어려운 글자의 유래를 밝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정도였다. 그 외에 『설문해자』가 거론된 것은 어려운 글자나 기물 등을 해석할 때 인용되는 수준이다. 조선시대에는 『설문해자』의 위상에 비해 학계에서 크게 주목 받지 못했던 것 같다. 왜냐하면 한국에서는 한자 자원에 대한 이해나 연구보다는 한자의 뜻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실용적 字典’이 필요했기 때문에 『설문해자』보다는 『玉篇』류가 중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18세기 이후 淸朝 고증학에 영향을 받으면서 『설문해자』의 가치에 주목하게 되었는데, 『설문해자』를 본격적으로 연구한 「설문변증설」과 『설문해자익징』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 이규경의 「설문변증설」은 그간 중국에서 이루어졌던 명 · 청대의 주요 『설문해자』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설문해자』의 한계에 대해 철저히 고증하고 조목조목 변증한 것으로, 당시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연구수준을 보여준다.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조선시대 『설문해자』 연구의 대표저작으로, 1912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금문을 통하여 『설문해자』의 오류를 교정했을 뿐만 아니라 한자의 구조이론에 대해서도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다. 특히 文과 字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는데, 聲符의 유무에 따라 성부가 있으면 ‘文’, 없으면 ‘字’로 구분했고, ‘文’은 다시 繁從 · 聯從 · 疊從 · 專義 · 專省 등으로 나누는 등 중국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구조이론을 구축했다. 또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운용했으며, 글자 해석에 조선의 주류사상이었던 성리학적 전통과 조선후기 실학의 利用厚生的 실천정신 및 實事求是的 연구방법을 반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