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객혈에 대하 기관지경검사의 진단적 의의

        장중현 ( Jang Jung Hyeon ),이홍렬 ( Lee Hong Lyeol ),곽승민 ( Gwag Seung Min ),김세규 ( Kim Se Gyu ),장준 ( Jang Jun ),안철민 ( An Cheol Min ),김성규 ( Kim Seong Gyu ),이원영 ( Lee Won Yeong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6

        연구배경 : 객혈은 원인은 매우 다양한 비록이적인 증상으로, 원인을 알 수 없거나 반복적으로 계속되는 경우 원인 병소를 찾기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는 진단법이 굴곡성 기관지경검사이다. 특히 기관지경은 객혈의 원인중 꼭 감별해야 할 질환의 하나인 폐암의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검사라고 생각된다. 방법 : 객혈로 기관지경을 시행받은 47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인 조사를 하였다. 결과 : 1) 결핵의 원인질환으로는 활동성 폐결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만성기관지염, 폐암, 그리고 기관지확장중의 순이었다. 2) 객혈 환자의 기관지경검사상 진단은 기관지염, 활동성 폐결핵, 그리고 폐암의 순이었다. 3) 기관지경상 출혈부위를 찾은 경우는 전체의 47.2%이었고, 이중 좌엽 및 우엽이 비슷한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특히 양측 상엽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4) 혈담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질환은 만성기관지염, 활동성 폐결핵 그리고 폐암 등이었고 1일 200mL이상 대량객혈의 주요 원인질환은 활동성 폐결핵, 기관지확장증 및 폐국균종 등이었다. 5) 원발성 폐암 환자군과 비폐암 환자군 간의 임상적 특성을 구분하여 본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특히 50세 이후), 흡연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혈담이 한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 폐암으로 진달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객혈 환자에 대한 굴곡성 기관지경검사는 객혈의 원인 진단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검사법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Hemoptysis being a nonspecific symptom often presents a diagnostic dilemma, requiring the aid of even flexible bronchofiberscopy, a novel approach, for disgnosis, especially in the cases where hemoptysis attack is repetitive or where diagnosis is tentative at best. Bronchoscopy is essential for pathologic diagnosis of lung cancer, which mus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auses of hemoptysis. Methods : The authors evaluated a total of 479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oscopy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of hemopysis. Results : 1)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hemoptysis, followed by chronic bronchitis, lung cancer, and bronchiectasis. 2) The most common diagnosis by bronchoscopy was bronchitis, followed by active tuberculosis, and lung cancer. 3) It was possible in 47.2 percent of cases to identify bleeding points on bronchoscopy. The bleeding sites were most frequent in both upper lobes without predilection for each lung. 4) The most common cause of blood-tinged sputum was chronic bronchitis, active tuberculosis, or lung cancer, whereas massive hemoptysis i.e., more than 200mL of blood a day, was the result of active tuberculosis, bronchiectasis, or aspergilloma.5) Advanced age (especially more than 50 years), history of smoking or more than one month of blood-tinged sputum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patients with than without lung cancer. Conclusion : Flexible bronchofiberscopy is essential for the diagnosis of underlying causes of hemoptysis. The high incidence of active tuberculosis and tuberculosis-related diseases in our patients seems to reflect this hospital being a tertiary care center to which often the problem cases are referre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토포테칸 투약 후 발생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태정 ( Jung Hyun Tae ),이진화 ( Jin Hwa Lee ),김윤경 ( Yoon Kyung Kim ),심윤수 ( Yun Su Sim ),이경종 ( Kyung Jong Lee ),노영욱 ( Young Wook Noh ),박재정 ( Jae Jung Park ),류연주 ( Yon Ju Ryu ),천은미 ( Eun Mi Chun ),장중현 ( Jun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2

        Small cell lung cancer is characterized by an aggressive clinical course and a high tendency for early dissemination in spite of a good chemotherapy response. Topotecan is a topoisomerase I inhibitor, and it is used as second-line treatment for small cell lung cancer. The reported dose-limiting adverse reactions to topotecan are mainly hematologic. Yet pulmonary toxicity associated with topotecan is known to be rare. We report here on a case that showed the development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during the 3rd cycle of topotecan chemotherapy in a patient with small cell lung cancer. He developed dyspnea and respiratory failure, and the chest CT scan revealed diffuse ground-glass opacity that was probably due to chemotherapy-related pulmonary toxicity. He finally died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uberc Respir Dis 2008;65:142-146)

      • KCI등재후보

        염색체 이상과 일과성 완전방실해리의 소견을 보인 원발성 Aldosteronism~1 예 보고

        허준,이우형,장중현,김혜옥,신길자,박이갑 대한내과학회 1986 대한내과학회지 Vol.31 No.6

        In 1955, Jerome Conn first described a syndrome of hypertension, hypokalemia and hyperaldo-steronism with otherwise normal adrenal function. He named this entity $quot;Primary Aldosteronism$quot;. Thirteen cases of primary aldosteronism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aldosteronism associated with high degree AV block. This 24-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r hospital because of fever, back pain and paresthesia. As the diagnostic procedures, several hormonal assays, C.T. of adrenal gland and cytogenetic study were employed. She has been accompanied with a chromosomal anomaly: chromosome 18 mosaicism(46, XX/45, XX,-18), detected by karyotyping undertaken because of the patient's symptoms of amenorrhea, absence of pubic hair and breast development. This is thus a report in a case of primary aldosteronism in a patient with autosomal anomaly, presented along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

      • Hospitalized Cases of Adolescent and Adult H1N1 Influenza in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September 2009-January 2010

        Yoon, So Yoon,Ryu, Yon Ju,Kang, Hye Won,Baek, Doo Hyun,Kim, Soo Hyun,Choi, Min Young,Park, Hye Sung,Lee, Jin Hwa,Chun, Eun Mi,Chang, Jung Hyun,Cho, Young Joo,Jun, Yoon Hee,Shim, Sung Shine,Lee, Mi Ae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2

        연구배경:2009년 4월 새로운 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전세계적으로 대유행이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한 대학병원에서 발생한 H1N1 인플루엔자 감염환자 중에서 청소년과 성인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과 예후에 대하여 2009년 9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조사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대유행 H1N1 인플루엔자로 확진된 13세 이상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유행 H1N1 인플루엔자는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시행하여 확진하였다. 결 과:43명의 대유행 인플루엔자 입원 환자 중에서 7명(16%)은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1명(2%)은 사망하였다. 평균 연령은 45세였고 기저질환으로 천식, 당뇨, 허혈성 심장질환, 기관지 확장증, 암의 순서로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임상증상으로 발열이 가장 주된 증상이었으며 그 외에 기침, 호흡곤란, 콧물, 근육통 또는 관절통, 인후통을 호소하였다. 입원 시 42명 중 25명의 환자에서 흉부 방사선 검사 결과 폐렴을 동반하였고 만성호흡기 질환의 악화를 보인 경우가 11명의 환자에서 관찰 되었다. 또한 23명의 Fish환자에서 산소공급이 필요하였으며 이중 2명은 급성 호흡부전으로 인하여 기계 환기가 필요하였다. 중환자실 입원을 요한 7명의 환자들은 모두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5명은 천식, 3명은 허혈성 심장 질환이 있었고 임신 상태와 당뇨가 각각 1명으로 나타났다. 확진된 모든 환자들은 증상 발현으로부터 평균 2일 내에 항바이러스제를 처방 받았다. 결 론:천식은 입원치료를 요하는 대유행 인플루엔자 감염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동반된 내과적 질환이었으며 특히 허혈성 심장질환 동반하는 환자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을 필요로 함을 알 수 있으며 연구 결과 대부분의 환자에서 항바이러스제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