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영어교사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교수 현황, 인식 및 교수 역량에 관한 고찰

        장정은,임현우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6 영어교육연구 Vol.28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ractices, perceptions, and professional competenc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 teaching by Korean and native English-speaking(NES) teachers of English in Korea. Data collected from 100 teachers (50 Korean teachers and 50 NES teach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employed to probe into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ICC teaching. Based upon a model for profession-oriented competences for foreign language teacher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s of ICC teaching were also measured. Both Korean and NES teachers reported that they frequently incorporated the teaching of culture or ICC into their English instructions. More than 90% of the two teacher groups agreed on the importance of ICC teaching in Korean secondary English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gap in teachers’ perceptions between ICC objectives and whether and how to assess their students’ ICC. Lastly, the two teacher groups rated rather highly on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s for ICC teaching, but their degrees of confidence on the subareas of competences showed differences. Implications for English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along with study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고전문헌 중 안면신경마비에 사용된 혈위의 시대적 변화와 중요도 분석

        장정은,박시현,김경호,이승덕 대한한의학회 2023 대한한의학회지 Vol.44 No.3

        Objectives: Many acupuncture point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treatment of Bell's palsy, but information on which acupuncture points are more important in treatment is not provid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acupuncture points currently used clinically in Bell's palsy. Methods: By reviewing the full text of 11 books that recorded acupuncture prescriptions from the Qin Dynasty to the Qing Dynasty, the frequency of use of acupuncture points, their meridians, and their loca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average number of acupuncture points used for local, adjacent and distal points selection was 10.5, 2, 4 respectively. The number of acupuncture points increased from the Qin Dynasty to the Ming Dynasty 《Bojaebang》and then decreased, but the proportion of local points has been still high. From the Ming Dynasty, ST4, ST6, GV26, and GV24 were mainly have been used as the local points. Except for the GB12, the use of the rest of the acupuncture points gradually decreased in the adjacent points. In the distal acupuncture points, it was summarized to point of lung and large intestine channel until the Ming Dynasty, and LI4 was mainly used in the Qing Dynasty. Yangming meridian has been most often used at the local and distal area except for the adjacent area. Conclusions: In the treatment of facial paralysis, the lower part of the face had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local acupuncture points, and the Yangming had the highest proportion by meridian.

      •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관(官)주도의 다문화주의를 중심으로

        장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2 Ewha Law Review Vol.2 No.1

        「The Basic Law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has the significant meaning in the sense as ‘Basic Law’ that governs the overall points of the treatment of a domestic foreign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promotion and foreign policy that arrange the cardinal directions about the foreign-related and map the detailed, legal interpretation or legislative guidelines. Therefore, it’s the best way to discuss critically how foreign residents treated by this law and search for solutions in that it can be the meaningful work as the precedence step that could change a larger framework of policies and improves new initiatives. First of all,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is law implies the problem that it neglects the human issues such as the fundamental right to life of foreigners in the operation of the law.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in the law specifically implies the lineage-centered nationalism and causes unilateral policies of assimilation and contradiction. The main cause of these problems is the priority of the legislative policy that focuses on their incorporation into society, quickly solving out the Korean-related social conflicts and preventing very low fertility rates by addressing the declining population than the settlers themselves’ substantial improvement of living a life. Thus the policy enforcement of this law ne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 penetrating to this law’s “multiculturalism” code and a community’s blood-centered causes of nationalism that exists in the distorted form in Korean society. Ultimately this law must be in need of revisions for changed for the effectiveness that it focuses on the fundamental right to life, that is the survival right of foreigners in Korea to entitlement to a good environment.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은 한국에 있는 외국인들의 처우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규율하는 ‘기본법’으로서 국내 외국인의 처우에 관련한 정책의 종합적 계획적인 추진 및 외국인 정책의 기본적인 방향을 정하고, 외국인 관련 세부법의 해석지침이나 입법 및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지도하는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그 중대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 법이 어떠한 관점에서 외국인 이주자들을 바라보고, 그들에 대한 처우를 예상⋅규정하고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세부법과 정책의 큰 틀을 새롭게 구상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선행단계로서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이 법의 입법목적은 실제 법률의 적용대상인 외국인들의 생존권 등 기본적 인권문제에는 등한시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법률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법률이 혈통중심의 민족주의를 기저로 하고 있어 일방적인 동화주의 정책의 모순과 폐해를 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요 원인은 입법정책의 우선순위가 이주민의 실질적인 생활의 향상 그 자체보다 그들을 신속하게 한국사회로 편입시키며 이주민 관련 사회의 분쟁을 방지하는 것과 저출산율에 따른 인구감소를 해결하는 것에 놓여있다는 데에 존재한다. 관주도의 정책집행이 가지게 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 법을 관통하고 있는 ‘다문화주의’코드가 과연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혈통중심의 민족주의와 상충 내지 모순을 일으키며, 왜곡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이주민들의 생존권 및 생활환경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이 법의 개정이 이루어졌을 때에 재한외국인을 위한 기본법으로서 그 실효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스레피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장정은,이상철,최송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2

        부산광역시 내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파악을 위하여 사스레피나무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m2) 89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을 통해 89개의 조사구는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 나무 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총 3개의 군락으로 나뉘었다. 군락 Ⅰ은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 피나무 군락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주로 분포하며, 교목층에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경쟁관계인 상태에서 아교목층에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였고 극상 수종 중 하나인 개서어나무가 관목부터 교목층까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Ⅰ에서 사스레피나무는 다른 상록활엽수에 비해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위치하며, 낙엽활엽수림으로 천이되어도 수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Ⅱ는 곰솔-사스 레피나무 군락으로 특별한 교란요인이 없는한 현 상태를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Ⅲ은 동백섬에 위치한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인위적인 관리를 받고 있었다. 교목층에는 곰솔이 단일 수종으로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동백나무가 우점하였으며, 비관리지역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사스레피나무와 다수의 상록활엽수가 각각 출현하였다. 따라서 군락 Ⅲ에서는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관리가 없을 경우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관목층에 후박나무, 돈나무 등 상록활엽수종들이 다수 출현하고 있는데 기온이 계속해서 상승한다면 향후 곰솔은 쇠퇴하고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89개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수종들과 사스레피나무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9가지 수종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그중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수종은 돈나무, 떡갈나무 등 4종이 있었으며,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수종은 5가지 수종으로 그중 사스레피나무와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동백나무가 -0.384로 가장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s of Eurya japonica in Busan. As a result of the TWINSPAN and DCA analysis, 89 plots of 100m2 each were divided into 3 communities: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E.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 japonica community, and P.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Community Ⅰ consisted of the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E. japonica which was mainly located in the high altitude inland. While Q. serrata and P. densiflora competed in the tree layer,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nderstory layer was E. japonica. Since Carpinus tschonoskii, one of the climax species, was distributed evenly from shrub to tree layers, it was likely that deciduous oak trees or Carpinus tschonoskii would become dominant species in community Ⅰ. In community Ⅰ, E. japonica was found in higher altitude than the other evergreen broad-leaved tree and was expected to maintain their tree vigor even if the vegetation structure is converted into the deciduous forest. Community Ⅱ, the P. thunbergii-E. japonica community, was predicted to maintain its tree vigor unless there were unexpected disturbance factors. Community Ⅲ, consisting of P. thunbergii-C. japonica and located in Dongbaek Island, was under artificial management. In community Ⅲ, P. thunbergii was the only species in the tree layer, while C. japonica was predominant in the understory layer. E. japonica and various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were present in the understory layer and shrub layer, which were unmanaged area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unless C. japonica is continuously managed, E. japonica is likely to become the dominant species. There were also various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such as Machilus thunbergii and Pittosporum tobira, present in the shrub layer. If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rise, the habitat is expected to becom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future as P. thunbergii community declines. The result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of E. japonica and species appearing in 89 plots showed that 9 species we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p<0.05). Four species, including P. tobira and Q. dentata, had a positive correlation. Five spec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C. japonica, which had the same ecological position as E. japonica, showed the most negative correlation at -0.384.

      • KCI등재

        QGIS를 이용한 InVEST 모델 서식지질 분석 및 평가 - 21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장정은,권혜연,신해선,이상철,유병혁,장진,최송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1

        Among protected areas, National Parks are rich in biodiversity, and the benefits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to human are higher than the others.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is being used to manage the value of national parks based on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Ecosystem services are classified into four services: supporting, provisioning, regulating and cult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abitat quality among supporting services. Habitat Quality Model of InVEST was used to analyze. The coefficients of sensitivity and habitat initial value were reset by reflecting prior studi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protected areas. Habitat quality of 21 national parks except Hallasan National Park was analyzed and mapped.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was evaluated to be between 0 and 1, and the closer it is to 1, the more natural it is. As a result of habitat quality analysis, Seoraksan and Taebaeksan National Parks (0.90), Jiri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0.89), and Sobaeksan National Park (0.88)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ord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rea and habitat quality of 18 national parks except for coastal-marine national parks, the larger the area, the higher the overall habitat quality. Comparing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of each zone,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park nature preservation zone, the park nature environmental zone, the park cultural heritage zone, and the park village zone. Considering both the analysis of habitat quality and the legal regulations for each zone of use, it is judged that the more artificial acts are restricted, the higher the habitat qu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habitat quality of 21 National Parks by readjusting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protected areas in Korea. It is expected to be easy to intuitively understand through accurate data and mapping, and will be useful in making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protected areas in the future. 보호지역 중 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으로 다른 곳에 비해 인간에게 제공되는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립공원의 가치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생태계서비스는 공급, 조절, 문화, 지지의 4가지 서비스로 분류되며, 본 연구에서는 지지서비스 중 서식지질을 평가하 였다. 서식지질 평가는 InVEST의 Habitat Quality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 및 국내 보호지역 실정을 반영하여 인자별 민감도 및 서식지질 초기값 계수를 재설정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21개 국립공원의 서식지질을 분석하고 지도화하였다. 서식지질은 0과 1사이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자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서식지질 분석결과 설악산·태백산국립공원(0.90), 지리산·오 대산국립공원(0.89), 소백산국립공원(0.8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해안-해상형 국립공원을 제외한 18개 국립공원의 면적과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면적이 넓을수록 전반적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용도지구별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 공원마을지구 순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서식지질 분석과 용도지구별 법적인 규제를 함께 고려하였을 때, 인위적인 행위가 제한될수 록 서식지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보호지역 상황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21개 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적확한 수치와 지도화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이 용이하며, 향후 보호지역의 개발 및 보전에 관련한 정책 결정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체벌금지에 관한 조례제정권의 범위에 대한 법적 쟁점 : 학생인권조례와 초⋅중등교육법 및 동시행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장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2 Ewha Law Review Vol.2 No.2

        As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Enforcement of the Law recently amended, changed from allowing the possibility of the exceptional cases of corporal punishment into banning inflicting direct pain in the body so-called physical punishment. But there is no prestigious provision for the new non-violent punishments alike indirect corporal punishment. Consequently, there is a opposition of opinion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bout whether the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previously enacted banning all types of corporal punishment for students conflicts with newly revise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rticle 18 and The Enforcement of the Law Article 31, paragraph 8 under the legal interpretation. The real question is setting the extent of the authority of establishing the regulations as the local autonomy law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legislative power of Congress granted the democratic justification endorsed by the people through elections. To shed light on this deadlock, above all, the propriety of the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should be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fully discussed on the validity of the legislative system. And setting the authority range should be under not by applying uniform standards but by considerating comprehensively with whether it respects for the rule of law, the currently specific issues in the area and the purpose of enactment with a emphasis for the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Thu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with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were interpreted as the provision made intended for advocating such a ‘human rights’ in the protection with the basic rights to their body of the students in their communities, the legitimacy of the law could be acknowledged. 경기도 학생인권조례와 초⋅중등교육법과 동시행령의 관계에 대한 해석의 핵심적 쟁점은, 자치입법권의 행사로서 의미를 가지는 조례제정권과 모든 국민의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받은 국회의 입법권과의 범위 획정과 그 한계 설정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경계선의 획정 및 권한의 범위 설정은 획일적인 기준이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현실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자치권의 정도, 현안이 된 사안의 구체적 성격, 조례의 실질적 성격과 상위 국가 법령의 입법취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일정한 민주적 정당성에 기한 권한을 부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가기관의 하위기관으로서의 역할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여, 각 지역의 특수 상황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따라서 경기도 학생인권조례의 적법성 및 그 타당성을 논의하는데 있어서 법률유보 및 법률우위의 원칙을 준수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법치주의에 따른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해당 지역사회의 주민들이 당면하는 고충을 해결하기 위한 자치조례로서 그 지역의 특수성이 인정되는 경우인지, 당해 조례가 표방하는 ‘인권보호’라는 목적이 헌법상 학생들의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기본권 보호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는지, 교사의 수업권과의 관계 속에서 헌법적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조례 및 법률의 해석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해석의 작업을 통해 경기도 학생인권조례의 체벌금지조항이 궁극적으로 그 지역의 학생들의 인권을 신장하기 위한 의도에서 제정되었으며, 국가 전체의 법질서에 반하지 않음을 인정할 수 있다면, 그 조례의 법적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동권리관점에서 고찰한 시설보호아동 대상 프로그램 사례연구

        장정은,선미정,심혜선,정선욱 한국아동복지학회 2023 한국아동복지학 Vol.72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ization of children’s rights through a program implemented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an ICT-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livered to 13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nin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t Seoul between April and December 2022, sponsored by a conglomerate company.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November 4, 2022, to January 24, 2023, involving a total of 106 participants, including children, residential care workers (Focus Group Interviews), program instructors, and volunteers (Survey). Additionally, various documents such as program proposals and meeting records were also analyzed. Utilizing an inductiv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children’s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participate, the right to development, and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The research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tructuring and conducting programs in childcare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 KCI등재

        목회상담자의 구원환상 역전이에 대한 상호주관적 이해

        장정은 한국목회상담학회 2017 목회와 상담 Vol.29 No.-

        Countertransference has been considered as an obstacle for the therapist to overcome since Freud’s introduction of psychoanalysis. Freud contended that the analyst should get rid of his or her countertransference and function as a blank screen through which the patient projects his or her own aspects of the inner world. However, intersubjective theory and relational psychoanalysis began to see countertransference as an inevitable derivative of the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nalyst and the patient. This paper introduces a case of the author’s play therapy in which the analyst ate soup which the child patient made for the analyst. The analyst’s supervisor understood the analyst’s behavior as countertransference, referred to as a rescue fantasy derived from the analyst’s religious background. The analyst was eager to help and direct the child to reach growth and maturation through his intervent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subjective theory and relational psychoanalysis, the analyst’s behavior contributed to the child’s needs for emotional bonding and developmental change. A pastoral counselor inevitably comes in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ith religious values and influences, even if he or she does not expose the religiosity in the relationship on the surface. The religiosity of a pastoral counselor works at a deep and unconscious leve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astoral counselor creates an intersubjective area into which his or her religious devotion and attitudes enter. In this sense, pastoral counseling pays attention to the intersubjective area, which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정신분석 역사에서 역전이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왔다. 프로이트는 분석가의 역전이가 분석관계를 훼손하는 것으로 여겼다. 그것은 아직 해소되지 못한 분석가의 내적 갈등의 산물이며, 그렇기에 그것은 빈 스크린으로 기능해야 하는 분석가의 역할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현대정신분석의 중요한 흐름인 상호주관성 이론이나, 관계정신분석은 역전이를 분석관계의 불가피한 파생물로 여길 뿐만 아니라, 그것이 갖는 치료적 함축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필자의 놀이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목회상담자가 갖게 되는 구원환상 역전이를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필자는 이 사례에서 아동내담자가 만든 수프를 함께 먹음으로 수퍼바이저로부터 구원환상이 행동화되었고, 그것이 치료적인 어려움을 갖고 올 수 있다고 지도받았다. 이 사례에서 필자는 아동의 성장과 치료적 변화에 대한 열망을 갖고 있었으며, 이것은 필자의 종교적 교육과 가르침과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호주관적인 관점에서 보면, 필자의 구원환상 역전이는 내담자의 정서적 유대와 발달적 변화의 필요를 만족하는데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목회상담자는 상담적 관계에 종교적 가치와 태도를 갖고 참여하게 된다. 그것은 종교적 가르침을 드러내거나 주입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목회상담자의 무의식적 태도와 자세 속에는 종교적 가치를 갖고 있으며, 그것은 상담관계 안에 무의식적 층위에서 역전이를 형성하게 된다. 곧 목회상담자는 종교적 희생과 사랑의 태도를 갖고 상담관계에 참여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호주관적 영역을 창조한다. 그렇기에 목회상담자는 그 역전이가 만들어내는 상호주관적 영역에 대해 주목해야 하며, 그것이 갖는 치료적 유익과 어려움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는 목회상담의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작업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