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FP Method 기반의 새로운 적응형 디지털 전치 왜곡 선형화기 알고리즘 개발

        장정석(Jeong-Seok Jang),최용규(Yong-Gyu Choi),서경환(Kyoung-Whoan Suh),홍의석(Ui-Seok Hong) 한국전자파학회 201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전치 왜곡 선형화기를 위한 새로운 선형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DFP(Davidon-Fletcher-Powell) method를 활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빠른 수렴 속도를 가지며, 가중치 갱신 step-size를 초기 설정값 없이 매 루틴마다 최적의 값을 갱신한다. 전력증폭기 모델링에는 전력 증폭기의 기억 효과를 모델링할 수 있는 memory polynomial 모델을 사용하였고, 선형화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간접 학습구조를 따랐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을 위해 기존의 LMS(Least Mean-Squares), RLS(Recursive Least squares)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In this paper, a new linearization algorithm for DPD(Digital PreDistorter) is suggested. This new algorithm uses DFP(Davidon-Fletcher-Powell) method. This algorithm is more accurate than that of the existing algorithms, and this method renew the best-fit value in every routine with out setting the initial value of step-size. In modeling power amplifier, the memory polynomial model which can model the memory effect of the power amplifier is used.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linearizer is based on an indirect learning architecture. In order to verify for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we compared with LMS(Least Mean-Squares), RLS(Recursive Least squares) algorithm.

      • KCI등재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 본 놀이치료 임상사례 연구

        장정은 ( Jung Eun Jang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5 목회와 상담 Vol.25 No.-

        In this paper, a clinical case of play therapy is presented through the lens of Melanie Klein’s Object Relations Theory, which even today is often used as a key approach to the psychoanalytic play therapy with children. Klein considered the play of children as equivalent to free association of adults. In a reliable and safe environment with child analysts, children can project their inner stories and express them without resistance by using play figures through which their own unconscious representations and conflicts are discovered. They can also re-experience past events that have affected their lives. Reliving these through play therapy can weaken their influence on the children’s psyches. In this clinical case, which lasted for around three years, a 7 year-old boy reenacted through play a traumatic event and a series of unfortunate consequences. This reenactment was closely related to his need to master his own traumatic experiences. He was able to control his anxiety and aggressiveness by bringing his inner object relations and conflicts into the play, which allowed him to step into the unresolved developmental path from a paranoid-schizoid position to a depressive position. In the beginning, he separated toy figures into good guys and bad guys, which symbolized dichotomous thinking in his min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play therapy, he was able to attain the mental capacity that made it possible for him to have a whole object relationship. This argument illuminates that play is an area where meanings are created and possibilities are brought into being. Pastoral counseling can be called a form of play whose area is filled with religious symbols and resources. The representative resource for the play of pastoral counseling and care is the Bible, into whose stories and figures clients can transfer their own inner problems. They can have the opportunity not only to find their own inner object relations through the stories but also to realize a new alternate way to resolve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The therapeutic process of play therapy can provide a methodological guideline for pastoral counselors to build up their own identity.

      • KCI등재
      • 고정형 USN 교통센서를 활용한 신호교차로용 위험차량 판단기법 연구

        장정아(Jang, Jeong-A),최정단(Choe, Jeong-Dan),문영준(Mun, Yeong-Jun),장병태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9 No.-

        신호교차로는 신호등이 있어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이 신호(적색, 황색, 녹색)에 따라 차량의 통행우선권을 할당하여 교통류를 제어하는 도로 구간이다. 녹색표시는 교통류를 합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황색표시는 녹색표시에서 적색표시로 바뀌는 경과시간에 사용된다. 적색표시는 차량이 진행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법적 구속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교통사고는 신호위반으로 인하여 발생이 되고 특히 교통량이 적은 새벽에 발생할 경우는 치사율이 매우 높으며,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는 황색신호나 딜레마구간으로 인한 측면사고와 차량출발에 따른 연속차량의 후면추돌 사고의 수가 높은 상황이다. 이에 최근에는 적색표시에 신호를 위반할 경우 단속카메라를 설치하여 안전의식을 높이고 교통사고를 줄이고자 하는 시스템들이 설치되고 있다.

      • KCI등재

        영화 「매트릭스」에 나타나는 미국의 저항적 프로테스탄티즘 - 저항적 메시아와 구원자 국가 개념을 중심으로 -

        장정애 ( Jung Ae J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0 No.4

        A concept of resistant protestantism is projected in a form of civil religion in Anglo-Protestant culture which expresses the ideas of American Zionism. American belief that it was chosen as a `New Israel` and its received mission is to redeem the world is developed to a sort of `Crusader Americanism`. It manifests itself in an American foreign policy which condemns non-American values as vices or enemies. This phenomenon, resulting in `justified` violence, utilizes Calvinistic concepts as persuasive reasoning. Among Hollywood movies, the Matrix could be regarded as symbolizing these concepts. Based on a Calvinistic presumption of total corruption, Redemption and Predestination, the movie shows corrupted programming Matrix, a messianic hero, Neo and a chosen people, Zion. Neo is the `One` who is predestined as a messianic figure to save Zion. Neo fights Agent Smith who is featured as an Anti-Christ. Neo and Zion in the Matrix can be understood as an allegory of redeemer nation projecting the logic of a Calvinistic struggle.

      •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 이해: 자기-자기대상 모체 개념을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에 대해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의 흐름 가운데 위치한 자기심리학은 인지영역의 확장이나 자아의 강화에서 치유의 원인을 찾지 않았다. 자기애 개념에 관심을 갖고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시킨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의 자기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 자기 구조의 변화가 정신분석이 치유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 시작했다. 동일하게 전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자기심리학은 내담자가 보이는 전이를 해석을 위한 관찰 자료로 이해하기보다, 자기 구조의 성숙과 변화를 위한 발달의 재활성화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억압과 분열로 마음 속 깊이 분리되어 있던 자기의 측면은 상담관계에 전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다시금 성장하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가 담겨져 있다고 자기심리학은 본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치료개입은 공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이 전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이 활성화를 통해 자기 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체로서의 자기에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자기심리학의 핵심적인 상담개입 방법이 공감이다. 분석가의 공감적 개입은 내담자의 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담자의 자기 구조가 지금 여기의 분석관계에서 다시금 재활성화되도록 이끈다. 그리고 성숙한 분석가의 공감에 의해 촉진된 원초적이고 유아적인 자기의 융합 욕구는 결국 분석가의 건강한 공감에 조율할 수 있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구조는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런 자기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코헛의 치유개념을 살펴보며 이해하려고 한다. 먼저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의 다른 이해들을 살펴보면서, 코헛이 자기애를 어떻게 다르게 이해했는지를 묘사할 것이다. 더불어 코헛은 자기애에 대한 다른 이해를 통해 어떻게 정신분석의 치유과정을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하면서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보다 심화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re in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Self-psychology located in the flow of psychoanalysis did not seek the principle of cure in the expansion of the cognitive domain or the strengthening of the ego. Self psychology constructed upon the concept of narcissism was interested in the self-structure of the client, and began to see that the change in this self-structure is the reason why psychoanalysis generates cure. Equally, self-psychology, which showed a deep interest in transference, began to understand transference as reactivation of development for maturation and cohesion of self-structure, rather than as observational data for interpretation. Self-psychology saw that the aspects of the self were deeply separated in the mind due to repression or splitting and transferred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hich contained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client to grow aga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has begun to emerge as important in self-psychology is empathy. Self-psychology sees transference as sphere in which development of self-structure is reactivated. In this process, empathy is an important psychoanalytic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client’s self as a whole and understands it as it is. The analyst’s empathic intervention not only promotes the client’s transference, but also leads the client’s self-structure to be reactivated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here and now. And the primitive and infantile desire for fusion of self promoted by the mature analyst’s empathy can eventually be tuned to the analyst’s healthy empathy, and in this process, the client’s self-structure changes.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in self-structure occurs by examining Kohut’s concept of cure. I will first look 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narcissism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nd then describe how Kohut understood it differently. In addition, I will describe how Kohut tried to explain the healing process of psychoanalysis throug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eeply through case vignet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