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안 환경에서 클러터에 강인한 능동소나 탐지 알고리듬

        장은정,권성철,오원천,이정우,신기철,김주호,Jang, Eun Jeong,Kwon, Sungchur,Oh, Won Tcheon,Lee, Jung Woo,Shin, Keecheol,Kim, Juho 한국음향학회 2019 韓國音響學會誌 Vol.38 No.6

        연안 환경에서 소형 표적의 탐지에는 고주파 능동소나가 적합하다. 연안 환경에서 고주파 능동소나를 사용할 경우 해양 생물 소음, 선박 소음, 항적 등에 의한 클러터로 인하여 오경보율이 매우 높다. 본 논문에서는 연안 환경에서 능동 소나에서 클러터에 강인한 탐지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측정치 추출 시 신호의 통계적인 특징을 이용하는 Constant False Alarm Rate(CFAR)와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클러터 제거율을 높인다. 제안 된 탐지 알고리듬은 해상 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약 96 % 이상의 클러터를 제거하였다. High frequency active sonar is appropriate for detecting small targets such as a diver in coast environment. In case of using high frequency active sonar in shallow coastal environment, a false alarm rate is high due to clutters caused by marine biological noise, ship noise, wake, etc.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target detection which is robust against clutter in active sonar system in shallow coastal environment. The proposed algorithm increases the rate of reduction clutter using calculation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ignal and a clustering method. The algorithm is evaluated and analysed with sea trial data, as a result, that shows the rate of reducing rate of clutter of 96 % and over.

      • KCI등재

        Comparison of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

        장은정,지병철,김상돈,이정렬,서창석,Jang, Eun-Jeong,Jee, Byung-Chul,Kim, Sang-Don,Lee, Jung-Ryeol,Suh, Chang-Suk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2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phase support in stimulated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ycl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83 IUI cycles during January 2007 to August 2009. Superovulation was achieved by using gonadotropins combined with or without clomiphene citrate. The luteal phase was supported by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300 mg/day (n=136 cycles) or dydrogesterone 20 mg/day (n=47 cycles) from day of insemin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f female, infertility factors, number of mature follicles ($\geq$16 mm), total motile sperm counts, and endometrial thickness on triggering day between the two groups. The clinical pregnancy rates per cycle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21.3% in the micronized progesterone group vs. 19.1% in the dydrogesterone group, p=0.92). The clinical miscarriage rate tended to be 3-fold higher in the micronized progesterone group (34.5% vs. 11.1%, p=0.36).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oral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has similar clinical outcomes compared with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Large-scaled randomized study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our findings. 목 적: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법과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시행된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 183주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과배란유도는 성선자극호르몬 단독 또는 클로미펜과 성선자극호르몬의 병합요법을 사용하였다. 136주기에서는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을 하루 300 mg으로 투여하였고 47주기에서는 디드로게스테론을 일일 20 mg으로 투여하였다. 결 과: 여성의 연령, 불임 인자, 성숙난포수 ($\geq$16 mm), 총운동성정자수, triggering 날의 자궁내막 두께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궁내 태낭이 확인되는 임상적 임신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21.3%, 디드로게 스테론 투여군에서 19.1%로 차이가 없었다 (p=0.92). 유산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34.5% vs. 11.1%, p=0.36). 결 론: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은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에 비하여 비슷한 임신율과 유산율을 보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디드로게스테론 투여군의 수가 적어 좀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3차원 소자 집적을 위한 Cu-Cu 접합의 계면접착에너지에 미치는 후속 열처리의 영향

        장은정,현승민,이학주,박영배,Jang, Eun-Jung,Pfeiffer, Sarah,Kim, Bi-Oh,Mtthias, Thorsten,Hyun, Seung-Min,Lee, Hak-Joo,Park, Young-Bae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4

        $1.5\;{\mu}m$-thick copper films deposited on silicon wafers were successfully bonded at $415^{\circ}C$/25 kN for 40 minutes in a thermo-compression bonding method that did not involve a pre-cleaning or pre-annealing process. The original copper bonding interface disappeared and showed a homogeneous microstructure with few voids at the original bonding interface. Quantitative interfacial adhesion energies were greater than $10.4\;J/m^2$ as measured via a four-point bending test. Post-bonding annealing at a temperature that was less than $300^{\circ}C$ had only a slight effect on the bonding energy, whereas an oxygen environment significantly deteriorated the bonding energy over $400^{\circ}C$. This was most likely due to the fast growth of brittle interfacial oxides. Therefore, the annealing environment and temperature conditions greatly affect the interfacial bonding energy and reliability in Cu-Cu bonded wafer stacks.

      • KCI등재

        Cu-Cu 열압착 웨이퍼 접합부의 계면접합강도에 미치는 $N_2+H_2$ 분위기 열처리의 영향

        장은정,김재원,현승민,이학주,박영배,Jang, Eun-Jung,Kim, Jae-Won,Kim, Bioh,Matthias, Thorsten,Hyun, Seung-Min,Lee, Hak-Joo,Park, Young-Bae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9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6 No.3

        3차원 소자 집적을 위한 저온접합 공정 개발을 위해 Cu-Cu 열 압착 접합을 $300^{\circ}C$에서 30분간 실시하고 $N_2+H_2$, $N_2$분위기에서 전 후속 열처리 효과에 따른 정량적인 계면접착에너지를 4점굽힘시험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전 열처리는 100, $200^{\circ}C$의 $N_2+H_2$ 가스 분위기에서 각각 15분간 처리하였고, 계면접착에너지는 2.58, 2.41, 2.79 $J/m^2$로 전 열처리 전 후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250, $300^{\circ}C$의 $N_2$ 분위기에서 1시간씩 후속 열처리 결과 2.79, 8.87, 12.17 $J/m^2$으로 Cu 접합부의 계면접착에너지가 3배 이상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u-Cu thermo-compression bonding process was successfully developed as functions of the $N_2+H_2$ forming gas annealing conditions before and after bonding step in order to find the low temperature bonding conditions of 3-D integrated technology where the quantitativ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was measured by 4-point bending test. While the pre-annealing with $N_2+H_2$ gas below $200^{\circ}C$ is not effective to improve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at bonding temperature of $300^{\circ}C$,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increased over 3 times due to post-annealing over $250^{\circ}C$ after bonding at $300^{\circ}C$, which is ascribed to the effective removal of native surface oxide after post-annealing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원격대학의 교육혁신지원사업 성과관리 지표 개발 연구

        장은정(Eun Jung Jang),권숙진(Suk Jin Kwon)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원격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성과관리 목표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구체적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의 성과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세부적인 성과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대학혁신지원사업,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LINC+,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국립대학 육성사업 등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성과관리 지표와 대학의 성과분석 모형 등과 관련된 문헌을 분석한 후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모형에 근거하여 성과지표 초안을 도출하였다. 『원격교육혁신모델 개발-적용-확산』으로 구분하여 연차별 사업 추진 성과를 관리하기 위해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 성과관리 지표를 개발하였다. 원격대학 관계자 및 4인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초기에 제안한 6개 영역이 일부 통합되어 최종적으로 5개 영역(융합형 원격교육혁신모델 개발실적, 융합형 원격교육혁신모델 적용, 융합형 원격교육혁신모델 확산, 사업성과관리, 사업비 집행 및 관리)과 11개의 지표 및 23개의 세부 지표(단계 평가지표 1개 포함)로 재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혁신지원사업의 연차 컨설팅 및 단계평가의 시행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specific directions for establishing goals and strategies for performance managemen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for cyber universities. The focus is on developing performance management indicators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 in cyber university.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literature related to performance management indicators fo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Drawing on the CIPP model, the study derives a draft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on university performance analysis models. The performance indicators are categorized into “Development-Application-Diffusion of Education Innovation Models” to manage the annual project progress. Following reviews by cyber university stakeholders and four experts, the initially proposed six areas were partially integrated, resulting in a final restructuring into five areas with 11 indicators and 23 detailed indicators.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nnual consulting and stage evaluation in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innovation projects.

      • KCI등재
      • SNS토론에서 학습자의 사고양식 및 셀프리더십과 학습성과의 관계 분석

        장은정(Jang, Eun-Ju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SNS 토론학습에서의 학습자 특성에 초점을 두고 페이스북을 활용한 SNS 토론에서 학습자의 사고양식 및 셀프리더십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의 사고양식은 입법적, 행정적, 사법적 사고양식으로 구분하고, 셀프리더십은 자기목표 설정, 자기보상, 자기처벌, 자기관찰, 자기신호화, 자연보상 집중, 성취 시각화, 내적 대화, 신념과 가정에 대한 평가의 9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학습성과는 토론의 참여도, 만족도와 자기평가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주일간 페이스북을 통해 SNS 토론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입법적 사고양식과 행정적 사고양식은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의 행정적 사고양식은 만족도의 서비스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습자의 셀프리더십 하위요인들은 입법적 사고양식, 행정적 사고양식과 사법적 사고양식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습자의 셀프리더십 하위요인들 중 자기보상과 성취 시각화는 사용의 즐거움, 서비스 유용성과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학습자의 셀프리더십 하위요인들 중 자연보상 집중과 성취 시각화는 자기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학습자의 사고양식 및 셀프리더십은 SNS에서 글을 올리는 참여도에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토론에서 학습자의 성향을 반영하여 토론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learner’s thinking style, self-leadership and learning outcomes during the discussion on SNS. The learning thinking style was composed of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styles. The self-leadership was composed of self-goal setting, self-reward, self-punishment, self-observation, self-cueing, focusing on natural rewards, visualizing successful performance, self-talk, evaluating beliefs and assumptions. And the learning outcomes were composed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elf-evaluation. 50 university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Facebook discussion for a week. The results of analyz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as follows. First, learner’s legislative and executive thinking style had an effect on self-leadership and executive thinking style had an effect on service usefulness. Second, some sub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n effect on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thinking styles. Third, self-reward and visualizing successful performance had an effect on pleasure of use, service usefulness, and overall satisfaction. Fourth, focusing on natural rewards and visualizing successful performance had an effect on self-evaluation. Lastly, learners’ thinking style and self-leadership had no effect on posting SNS. The results obtained here implied that discussion strategies with regard to establishing learner characteristic during the discussion on SNS.

      • KCI등재

        SNS 기반 토론에서 SNS 도구, 창의적 토론 기법과 집단의 크기에 따른 SNS 토론 전략 탐색

        장은정 ( Eun Jung Jang ),장혜정 ( Hea Jung C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토론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SNS 토론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SNS 도구를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으로, 토론 기법을 PMI 기법과 6색 사고모자 기법으로, 집단의 크기를 소집단(3~4명)과 중집단(12~13명)으로 구분하여 토론의 참여도, 만족도 및 성취에 대한 자기평가를 분석함으로써 SNS 토론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총 6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집단 29명과 페이스북 집단 37명으로, PMI 집단 33명과 6색 사고모자 집단 33명으로, 소집단 14명과 중집단 52명으로 구분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고 Nvivo를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카카오톡 집단과 페이스북 집단, 그리고 PMI 집단과 6색 사고모자 집단 모두는 참여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만족도 및 성취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모든 집단이 3.5 이상의 만족을 보였다. 둘째, 소집단은 중집단보다 .05 수준에서 만족도가 더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SNS 토론에서 소집단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토론 전략으로는, 토론 기간은 1주일 이내로, 토론 인원은 3~4명 내외의 소그룹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정하며, 토론에 대한 세부적인 규칙을 마련한 후 토론에 참여하도록 오리엔테이션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This study was for suggestions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discussion strategies using SNS discussion learning. Kakao-Talk and Facebook were classified as experiment equipment. PMI technique and Six Thinking Hats were classified for creative thinking ability technique. There were three to four people for small groups and twelve to thirteen people for middle group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alyzing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elf-evaluation of achievement. This study was experimented on sixty-six university students who take the class of teaching professions dividing twenty-nine students for Kakao-Talk groups and thirty-seven students for Facebook groups in Seoul for a week. Also, there were variables that thirty-three students for PMI technique, thirty-three students for Six Thinking Hats and fourteen students for small group, fifty-two students for middle group to discuss for a week. T test was implemented for differences analysis between groups. Meanwhile, quality analysis was implemented about the pros and cons of the discussions through Nvivo. Consequently, firstly, between Kakao-talk and Facebook groups, and between PMI technique and Six Thinking Hats groups are no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and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y are satisfied over 3.5. Secondly, small group is more satisfied than middle group for discussion in these groups(p<.05). This result shows that small group is more suitable than another. Lastly, within a week is appropriate for the discussion period and three to four people are suited for SNS discussion. Also, it needs to make detailed regulations and to guide students before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