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지방정치의 민주화와 '마찌즈꾸리' 운동

        장원호 현대일본학회 2001 日本硏究論叢 Vol.14 No.-

        본 논문은 일본 마찌즈꾸리(마을 만들기) 운동의 전개과정이 일본 지방정치의 민주화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지방정치의 민주화를 위한 두 가지 주된 요인으로 지방정부의 자율성과 지역시민들의 정치참여를 제시하고 마찌즈꾸리 운동이 일본의 지방정치의 영역에서 이러한 요인들을 어떻게 신장시키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다양한 형태의 마찌즈꾸리 운동을, 행정주도형, 주민주도형, NPO주도형, 기금형으로 구분하고 그에 맞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각 유형의 특징과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일본의 마찌즈꾸리 운동은,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지방정치의 민주화를 위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퇴동맥 수술 후 발생한 임파루의 음압 요법 치료

        장원호,염욱,오홍철,한정욱,김현조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5

        Lymphorrhea is a common complication after inguinal dissection for exposure of the femoral artery. Injury of the lymphatics occurs frequently because they are anatomically close to blood vessels. Uncontrolled lymph drainage increases postoperative morbidity, and wound infection may follow. Despite current treatment options, lymphorrhea after inguinal dissection is still difficult to manage and results in a prolonged hospital stay. A vacuum-assisted closure device was used in a 72-year-old woman who had lymphorrhea after vascular surgery by groin incision. Vacuum-assisted control for lymphorrhea resulted in earlier closure of the wound and reduce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임파루는 대퇴부 절개를 이용한 혈관 수술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임파선은 해부학적으로 혈관과 매우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혈관 노출 과정에서 드물지 않게 손상된다. 임파액을 적절하게 배액시키지 않으면 환자가 다른 합병증으로 이환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흔히 창상 감염을 야기한다. 이에 대한 다양한 치료법이 보고되었음에도 임파루는 치료하기 어렵고 결국에는 재원기간을 연장 시킨다. 서혜부 절개를 이용한 혈관 수술을 받은 72세 여자환자에게서 수술후 임파루가 발생하였으며 창상에 음압 요법을 시행하였다. 조기에 적절한 배액이 되었고, 창상 치유가 원활하여 창상 봉합이 가능하였기에 재원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둔상에 의한 기관지 절단 환아에게 체외막형 산화기 보조하에 시행한 응급 이엽 절제술 − 1예 보고 −

        장원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6

        Blunt bronchial injuries rarely occur in children. This can be a life threatening condition and respiratory management is important for successful treatment. We present here a pediatric patient who had traumatic bronchial transection with difficult airway management. Surgical treatment was carried out under ventilatory support us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in the emergency room. During the application of ECMO, systemic heparization was unnecessary and there were no thrombotic complications. In conclusion, ventilatory support using ECMO is useful for treating selected patients with blunt trauma regardless of using heparin. 둔상에 의한 기관지 손상은 소아에서 드물게 발생하나 치명적일 수 있으며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호흡 유지가 중요하다. 외상에 의해 기관지가 절단된 소아 환자에게 기도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응급실에서 체외막형 산화기를 이용한 환기 보조 하에 성공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기에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체외막형 산화기 보조 기간 동안 전신적 헤파린 투여는 필요하지 않았으며,혈전성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헤파린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선택적인 둔상 환자에게서 환기 보조를 위한 체외막형 산화기는 유용하다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정중 흉골 절개 후 시행한 변형 Robicsek 흉골 봉합법이 수술 후 흉골감염에 미치는 영향

        장원호,염욱,김동현,오홍철,한정욱,김현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6

        배경: 통상적인 정중 흉골 절개를 이용한 개심술 후 흉골의 불안정성과 흉골 창상 감염은 대부분 동반되어 발생하며 수술 후 경과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흉골 봉합 방법을 사용함에 따른 흉골 감염 빈도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흉골 절개를 이용한 개심술을 시행 받은 성인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86명의 A군 환자들은 통상적인 흉골 봉합법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71명의 B군 환자에게는 변형 Robicsek 흉골 봉합법을 사용하였으며. 두 군간의 수술 후 흉골창상 합병증의 빈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A군보다 B군이 더 높았다(61±10세 vs 57±13세). 수술 전 좌심실 구출 율 30% 미만의 좌심실 기능 부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 투석이 필요한 신부전 및 당뇨의 빈도가 B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그 외 수술 전후 감염의 위험 인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군 환자 중 2명에게서 표재성 흉부 창상 감염이 발생하였고 B군에서는 4명의 환자에게서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55). 그러나 A군 환자들 중 6명의 환자들에게서 흉골 감염이 발생한 반면 B군에서는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고위험 환자에게 변형 Robicsek 흉골 봉합법을 사용함으로써 흉골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흉골 감염 빈도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In the majority of cases, sternal instability and wound infection concomitantly present after a cardiac operation following conventional median sternotomy, and these complications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postoperative cour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sternal wiring techniques on sternal infection. Material and Method: Between April 2004 and December 2008, 157 adult patients underwent cardiac operation through a median sternotomy. 86 patients who had undergone standard peristernal wiring were included in group A, whereas 71 patients who had undergone modified Robicsek sternal wiring were included in group B. The incidences of sternal wound complications in the two groups were assessed. Result: The mean age of the group B patients was older than that of the group A patients (61±10 years vs 57±13 years). The incidence of preoperativ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ejection fraction <30%),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nal failure requiring dialysis and diabetes mellitu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B, whereas the other perioperative risk factors for infe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wo patients in group A experienced superficial wound infection, whereas 4 patients in group B displayed superficial wound infec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255). Yet poststernotomy deep sternal wound infection appeared in 6 patients of group A, whereas none of the patients in group B displayed this malady. Conclusion: The modified Robicsek sternal wiring technique showed greater sternal stability even for the patient with a high risk for infection, and the technique caused a lower incidence of deep sternal wound infection.

      • KCI등재

        95세 환자에게 응급으로 시행한 대동맥 판막 치환술

        장원호,염욱,한정욱,오홍철,현민수,김현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3

        As the average age of the general population increases, a growing number of elderly patients are presenting for cardiac operations. Although aortic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aged 80 years and older has been shown to have excellent outcomes with good long-term survival rates, some physicians are still hesitant to refer elderly patients for surgical intervention. A 95-years old fe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cardiogenic shock and an emergency operation was required. S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emergency aortic valve replacement. We report here on a case of successful emergency surgical treatment for aortic stenosis in a 95 years old woman. 전체 인구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심장수술을 시행 받는 고령의 환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80세 이상의 고령의 환자들에게서 시행한 대동맥 판막 치환술이 훌륭한 결과와 좋은 만기 생존율을 보이고 있지만, 몇몇 내과의사들은 고령의 환자들에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95세 여자 환자가 심인성 쇼크를 주소로 내원하였고 응급 수술이 필요한 상태였으며 응급으로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 받았다. 95세의 고령환자에게 성공적으로 응급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의 Vacuum-assisted closure를 이용한 치료 - 3례 보고 -

        장원호,허균,박영우,김현조,정윤섭,염욱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2

        =Vacuum-Assisted Closure in Treatment of Poststernotomy Wound Infection and Mediastinitis- Three cases report - 흉골 절개술 후 종격동염은 드물게 발생하나 심장 수술 후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으로 발전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창상 감염의 치료로서 창상 세척과 변연 절제술 후 직접 상처 부위를 봉합하거나 근육 피판을 사용하여 왔다.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창상 감염의 새로운 치료로서 VAC (Vacuum-assisted closure) 술기에 대해 기술 하고자 한다. 이 술기를 흉골 절개술 후 발생한 창상감염 및 종격동염 환자 3명에게 성공적으로 적용하였고, 이러한 새로운 방식으로 흉골 부위 상처를 치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방의 혁신과 어메니티 정치문화 : 엔터테인먼트 기구로서의 지방정부

        장원호,이승종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5 行政論叢 Vol.43 No.2

        There are two main factors for local innovation: one is the innovativ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other the innovative capacity of local resid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second factor. Regarding the innovative capacity of local resident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olitical culture. The paper first reviews three political cultures in terms of their local innovation potential: development-oriented political culture, efficiency-oriented political culture, and amenity-oriented political culture. Based on the review, we argue that amenity-oriented groups, such as youth, the highly educated, the rich, and the professionals, are the main groups for local innovation. In turn, the consideration becomes how to attract such innovative groups. The paper next employs a concept of "the entertainment machine" emphasizing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such as parks, opera house, museums, etc. Our logic is that once the entertainment machine attracts amenity-oriented groups into a locality, they catalyze local innovation. Based on a variety of data such as Census and Korean General Social Surveys, we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young, the highly educated, the rich, and professionals are more amenity-oriented and that these groups can become carriers of local innovation in Korea. 지방자치체의 혁신을 위한 요인으로는 크게 지방정부의 혁신역량과 일반 주민의 혁신역량을 들 수 있는데, 이 연구는 그 중 일반주민의 혁신역량을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지역주민의 정치문화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정치문화를 개발지향정치문화, 효율지향정치문화, 그리고 어메니티지향 정치문화로 유형화하여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러한 비교를 통해, 우리는 지역의 혁신을 위한 주민의 역량으로 어메니티 정치문화를 지향하고 있는 저연령층, 고학력층, 고수익집단, 그리고 전문가 집단들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어메니티 정치문화를 지향하는 집단의 유입과 관련하여 엔터테인먼트 기구로서의 지방정부에 대하여 시론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엔터테인먼트 기구로서의 지방정부는 먼저 관광 및 문화산업을 바탕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우리는 그것보다도 엔터테인먼트 기구로서의 지방정부가 혁신역량을 가진 집단들의 유입을 촉진하고 그들 집단들에 의해서 지방정부의 혁신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주장을 증명하기 위하여 한국종합사회조사와 인구센서스, 그리고 지방정부의 총계자료를 이용하여 저연령층, 고학력층, 고수익집단, 전문가 집단이 어메니티 정치지향적이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우수등재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AlN 박막을 통한 AlGaN/GaN 이종접합의 전류 개선 연구

        장원호,김태현,임준혁,차호영 대한전자공학회 2021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8 No.5

        본 연구에서는 얇은 AlGaN 장벽층을 갖는 AlGaN/GaN 이종접합 소자의 특성 향상을 위하여 원자층 증착법 방식을 이용한 AlN 박막을 적용한 결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얇은 AlGaN/GaN 층 위의 AlN 박막 증착은 분극 효과를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계면의 이차원 전자가스 (2-dimensional electron gas, 2DEG) 농도가 증가하며 전류 특성 향상이 가능하다. 본 실험에서는 4nm의 얇은 AlGaN 장벽층을 갖는 AlGaN/GaN 이종접합 구조에 10nm 두께의 AlN 박막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2DEG의 전자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증가된 전자 농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0nm 정도의 두꺼운 AlGaN 장벽층을 갖는 구조의 특성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AlN 박막과 함께 추가적인 SiNx 박막 패시베이션을 증착하였을 때 더욱 큰 2DEG의 전자 농도 및 전류량 증가를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를 통해 AlGaN/GaN 이종접합 구조의 2DEG 특성을 원자층 증착법 방식을 이용한 박막 공정으로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s of an AlN film grown by atomic layer deposition on the thin AlGaN barrier AlGaN/GaN heterojunction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he AlN thin film induced stronger polarization effects on thin-AlGaN/GaN structure, which increased a 2-dimensional electron gas (2DEG) density. Using a 10 nm ALD AlN thin film on 4 nm of thin AlGaN/GaN epistructure, the 2DEG carrier density was drastically enhanced, which is comparable to a conventional 20 nm thick AlGaN structure. Further enhancement of 2DEG carrier density and current level was achieved after SiNx passivation was added on AlN film. In this study, the 2DEG characteristics of the AlGaN/GaN heterojunction structure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by the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 was confirmed.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은유 분석

        장원호,박성빈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비 유아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은유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 유아교사들이 응답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은유적 표현은 크게 6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치우침 없는 구분’, ‘일보다 앞서는 삶’, ‘달성하고 싶은 최상의 상태’, ‘반드시 필요한 존재’, ‘불가능한 현실’,‘개인마다 다른 기준’범주의 순서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치우침 없는 구분’으로 인식하며, 일과 삶의 분명한 구분을 강조하였다. 또한 두 영역 간의 균형을 일보다는 삶에 무게를 두며 인식하였고, 일과 삶의 균형이 잘 맞춰진 상태를 이상적이라고 여기기도 하였다. 그 밖에도 일을 위해 꼭 필요한 개념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인식하였으며, 일과 삶의 균형이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는 부정적 인식을 나타내기도 했다. 끝으로 개인마다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기준이 다름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교직 생활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사양성기관에서 직무관련 교과목을 증설하거나 직무 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work-life balance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with 227 sample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work-life balance was largely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tegories were in order such as accurate distinction, more-important-than-work life, best condition, indispensable thing, impossible reality, and individual criteria.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work-life balance as ‘accurate distinction’ and emphasized clear distinction between work and life. Work-life balance was recognized by putting more weight on life than work, and also thought as best condition.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work-life balance as a necessary concept for work, and expressed perception that negative work-life balance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realize. Work-life balance was considered as an individual criteria because people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balance between two are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expand job-related subjects and operate job-related programs at the teacher-rearing institutions so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perceive teaching life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