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관생도의 생활관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룸메이트 적합도를 중심으로

        장원형(Wonhyeong Jang),강수호(Suho Kang),이민수(Minsu Lee),전영수(Youngsu Jun),김현호(Hyunho Kim)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3

        In this study, determinants of the satisfaction of cadets were analyzed focusing on roommate compatibility. To this e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barrack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s barrack satisfaction was obtained as an estimated amount of coefficient. As a result linear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extraversion, agreeableness, hobby, noise induction, and adapt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 estimat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fitting the linear regression model by grade, the agreeableness and extraversion variables commonly showed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efficient estimates for freshmen and sophomores, and the examination results variable showed significantly high negative coefficient estimates for juniors. In the case of seniors, unlik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the agreeableness variabl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personality and values independent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leadership fact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efficient estimates.

      • KCI등재

        비교직 분야의 진로를 희망하는 과학교육과 학생들에 대한 연구

        장원형(Wonhyeong Jang),홍훈기(Hun-Gi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사범대학 학생들이 비교직 분야의 진로를 고려하는 현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학생들의 진학 및 진로 계획을 양적으로 조사함과 동시에 ‘비교직 분야로의 진로 희망’이라는 현상에 집중하여 그 안에 내포된 본질적인 의미에 대한 실증적인 탐구를 도모하고자 연구 대상 학생들의 진학 및 진로 계획을 조사함과 동시에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 중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는 혼합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학교 입학 당시에는 교사가 되고자 하는 생각이 어느 정도 있었으나, 사범대학에 재학하면서 교사에 대한 생각이 사라진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는 교원 양성과정이 학생들에게 실제 학교 현장에 대한 감각을 길러주지 못함과 동시에, 현직 교사의 낮은 처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취업에 대한 어려움과 대학원 졸업자에 대한 높은 사회적 대우라는 두 가지 요인에 따라 많은 학생들이 비교직 분야의 진로를 희망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교육과정을 포함한 사범대학의 전반적인 교원 양성과정을 개선하여 사범대학의 정체성을 확고히 다짐과 동시에 교육 목적의 다양화를 추구해야 할 것, 현직 교사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여 교사들의 직업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교사 직업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할 것,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분야로의 진학·진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을 이야기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in which a large number of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consider the career path of the field of comparative work, and to derive their implications. Therefore, in order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the entrance and career plan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of Hankuk university and to focus on the phenomenon of hope of career in the field of non-disciplinary work and to provide empirical research on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lan,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nduct qualitative case studies on some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ccording to the study, students had some idea of becoming teachers when they entered college, but they had no idea of teachers when they were attending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ining process failed to develop students sense of the actual school site, while at the same time negative perception of the current teacher s low treatm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two factors -difficulty in finding a job and high social treatment for graduate graduates- have led many students to hope for a career in the field of comparative jobs, according to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we talked about improving the overall teacher training process of the education college, including the curriculum, making a firm commitment to the identity of the education college, improving the treatment of current teachers to enha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raise awareness of teachers jobs at the same time, and helping students enter and move into various fields.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한 STEAM R&E 학생 연구보고서 분석

        장원형(Jang Wonhyeong),이경건(Lee Gyeong-Geon),유인성(You Insung),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In this study, STEAM R&E research activities, which are examples of STEAM education s implementation, we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who are subject to STEAM education. To that end, STEAM R&E student research report from 2012 to 2017 posted on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website was collected and a text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from Feb. 18 to March 15, 2019.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our words ‘experiment’, ‘design’, ‘structure’ and ‘device’ acted as keyword for STEAM, and that six words that made up STEAM, including technology (T), engineering (E), humanities and arts (A) and math (M), formed a network of pentagon, enabling science (S)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convergence of STEAM education. These results differ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n in the STEAM education-related journal paper. In addition, students generally set up the latest social issue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as research subjects to show a good fit with STEAM s goal of solving problems that may b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from a converged perspective, and they were able to see that they conducted a number of deacademic convergence studies that adequately incorporated element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humanities and arts and mathematics. However, compared to other areas,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integrate the humanities and arts fields with those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students can properly integrate the humanities and arts fields into other areas in the future in setting the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육의 학생 실행 사례인 STEAM R&E 연구활동을 STEAM 교육의 대상자인 학생들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에 게시된 2012년부터 2017년까지의 STEAM R&E 학생 연 구보고서룰 수집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은 2019년 2월 18일부터 3월 15일까지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실험’, ‘설계’, ‘구조’, ‘장치’의 네 가지 단어가 STEAM의 핵심 키워드로서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과학(S)을 중심으로 기술(T), 공학(E), 인문·예술(A), 수학(M) 등 STEAM을 구성하는 6개의 단어가 오각형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과학(S)이 STEAM 교육의 융합 과정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TEAM 교육 관련 전문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분석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대체로 최신 사회 이슈와 과학 기술을 연구주제로 설정하여 일상생활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를 융합적인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STEAM 교육의 목표에 잘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과학, 기술, 공학, 인문·예술, 수학의 융합 요소들을 적절히 융합한 탈학문적 융합 연구를 다수 수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타 분야에 비해 학생들은 인문·예술 분야를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와 융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추후 STEAM 교육의 방향 설정에 있어서 학생들이 인문·예술 분야를 다른 분야에 적절히 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을 위한 상업용 게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장원형(Wonhyeong Jang)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8

        This review study introduces commercial games in which game-based learning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facilitate digital game-based learning and analyz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ch game.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that verified educational effects or suggested learning methods using commercial games was reviewed, and two pedagogical majors with experience in publishing papers in academic journals read the target literature and presented the outline, subject, method, and mai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researchers directly checked what was said in the literature while playing the games to be analyzed, and if possible, linked them to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games we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knowledge of various subjects, and game-based learning was applied to various subjects regardless of school level, with positive effects on factors such as interest, creativity, and learning commitment.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digital games can be sufficiently used in education.

      • KCI등재

        서로 다른 산을 조절인자로 활용하여 제조한 지르코늄 기반 금속유기골격체의 Diisopropyl Methylphosphonate 흡착 특성

        장원형 ( Wonhyeong Jang ),김홍현 ( Honghyun Kim ),정상조 ( Sangjo Jeong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5

        UiO-66은 높은 흡착능력과 구조적 및 열적 안정성 등으로 여러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금속유기골격체(MOF)이다. UiO-66은 제조과정에서 조절인자로 사용되는 산의 종류와 양에 따라 구조적 특성이 변형되고, 화학작용제 흡착 능력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을 조절인자로 첨가하여 UiO-66을 합성하고, 그 특성을 FT-IR, XRD, 적정장치, 그리고 유사화학작용제 diisopropyl methylphosphonate (DIMP)를 활용한 흡착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UiO-66의 제조과정에서 염산을 첨가할 시 UiO-66의 Zr-OH 결합과 UiO-66의 유기연결체인 테레프탈산 구조에 일부 손상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구조 손상은 염산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을 때, 그리고 합성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길어질 때 발생하였다. 하지만 아세트산과 포름산을 조절인자로 활용하여 제조한 UiO-66은 구조적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염산을 활용하여 제조한 UiO-66에 비하여 결정도, 비표면적, 공극의 부피, 그리고 DIMP 흡착 능력이 모두 높게 나타나 향후 화학작용제 흡착제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acid used as a modulato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UiO-66 can be modified and the adsorbability of chemical warfare agents can be enhanced. In this study, several acids as a modulator were used to synthesize UiO-66. Their properties were analyzed with FT-IR, XRD, titrator, and adsorption isotherms using chemical warfare agent simulant, DIMP. The UiO-66, structurally damaged by hydrochloric acid as a modulator, showed lower crystallinity and DIMP adsorption capacity and also smaller specific surface area and volume of voids compared to those of UiO-66, which was manufactured using acetic acid, and formic acid as a modulator. Additionally, UiO-66 which was synthesized by adding formic acid and hydrochloric acid as a modulator, showed the highest DIMP adsorption capacity and is likely to be used as an adsorbent for chemical warfare agent in the future.

      • KCI등재

        교과서 속 탐구 활동 분석을 통한 불일치 상황의 해석 - 끓는점 측정 실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장원형 ( Wonhyeong Jang ),최민지 ( Minji Choi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1 현장과학교육 Vol.15 No.5

        과학적 실천으로서의 탐구의 중요성이 강조된 이후 국내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탐구 능력 향상을 목표로 제시하며 과학적 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하여 새로운 과학 지식을 구성할 것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과학적 실천으로서의 탐구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았으며, 이러한 모습은 교과서에 제시된 이론과 실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상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끓는점 측정 실험을 예시로 교과서 속 탐구 활동을 분석하여 불일치 상황의 발생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끓는점 측정 실험의 관찰 결과만을 서술하였을 때 교과서에서 요구하는 답과 다른 결과가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험자의 조작 오류 혹은 외부 변인의 개입에 의한 것이 아닌 실험 자체가 학교 실험실 환경에서는 통제될 수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구성된 것에서 기인하였다. 하지만 불일치 상황에 대한 대처가 되어있지 않아 학생과 교사들로 하여금 원활한 탐구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과학적 실천으로서의 탐구에 부합하지 않는 모습이다. 추후 후속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상의 탐구 활동 체계를 전반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fter the importance of inquiry as a scientific practice was emphasized, the domestic science curriculum suggested the goal of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emphasized the composition of new scientific knowledge by collecting evidenc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experiments to solve scientific problems. However, in the actual school field, the exploration as such a scientific practice was not properly reflected, and this aspect was noticeable in the inconsistency situation between the theory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the inquiry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occurrence of inconsistency situations by analyzing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s as an example of a boiling point measurement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only the observation results of the boiling point measurement experiment were described, it was found that different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swer required in the textbook,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assumption of the ideal situation that was controlled experiment itself in school laboratory and was not due to manipulation errors or intervention of external variables. However, the inconsistency situation has not been dealt with, preven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conducting smooth exploration, which does not seem to be consistent with the inquiry as a scientific practice. It will be necessary to check the overall inquiry activity system in the curriculum through follow-up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반구조화된 소집단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장원형(Jang, Wonhyeong),홍훈기(Hong, Hun-Gi)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2

        과학교육에서 탐구는 좋은 과학 수업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과학을 다른 교과와 구분 지을 수 있는 중요한 활동으로 여겨진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탐구 중심의 학습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탐구 중심의 학습을 통하여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집단 자유탐구의 경우 학생들이 탐구주제 선정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소집단 내에서 여러 부정적인 효과들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소집단 자유탐구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학생 주도적, 개방적인 자유탐구의 형식은 유지하되 공동의 탐구목표와 구조를 제시하는 반구조화된 소집단 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S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과정 1개 소집단을 사례로 하여 예비 적용함으로써 연구자가 사전에 의도하였던 효과들이 관찰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적용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과정을 무리 없이 수행하였으며, 탐구주제 선정 과정에서의 마찰이나 무임승차효과 등 기존의 소집단 자유탐구에서 나타나던 여러 부작용들이 관찰되지 않아 프로그램의 기대 효과를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반구조화된 소집단 탐구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소집단 자유탐구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르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science education, inquiry is regarded as an important activity to distinguish science from other subjects as a factor in determining good science class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at inquiry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science classes, and that such inquiry learning can foster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with existing group inquiry at school sites, such as the difficulty of selecting a topic for inquiry or the negative effects within the group. In this study, a semi-structured group inquiry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in advance, presenting common search goals and structures,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student-led and open free inquiry to improve the problems of existing group inquiry. In orde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and propose ways to improve the program, we wanted to make sure that the effects that the researcher had intended were observed by applying the preliminary application of one of the mentorsip program of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as an example.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the students carried out the program s course without difficulty, and the expected effects of the program were not observed because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free-rider effec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exploration subject were not observed.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semi-structured group inquiry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school sites to solve the problems that existing group inquiry had,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search skills highligh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에디션을 활용한 게임 기반 학습 방안 - 중학교 과학2 ‘물질의 구성’ 단원을 예시로 -

        최민지 ( Minji Choi ),장원형 ( Wonhyeong Jang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하여 중학교 과학2 ‘물질의 구성’ 단원을 대상으로 하는 게임 기반 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게임 기반 학습은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기술해 놓았으며, 실제로 작동 가능한 맵 파일과 지도안 예시를 함께 제공하였다. 개발된 학습 방안의 현실적인 적용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검증하고자 중학생 8명을 대상으로 예비적용 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학생들이 게임 기반 학습을 통해 흥미를 느꼈고, 이해가 잘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game-based learning method was developed for Middle School Science 2 'compositions of substances' using 'Minecraft'. The game-based learning described specific utilization measures for teachers to use in the school field and provided examples of maps that can work together.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expected effect of the developed learning method, a preliminary application an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8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interested and understood well through game-based learning.

      • KCI등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백은숙(Paik, Eun-Sook),장원형(Jang, Wonhyeong),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의 실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 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을 실제로 경험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반화학 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의 학생들은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 혹은 ‘고등학교에서 수강인원이 적은 과목을 개설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Ⅱ를 선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의도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 반면,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화학의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 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문제풀이 위주의 학습을 하던 고등학교와 개념 중심의 학습을 하는 대학교 사이에서 큰 괴리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고등학교과정 중에 심층적인 개념학습이 필수적임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에 대한 화학과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을 뿐 아니라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내용에서 대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단원을 수직적 연계성과 수평적 연계성 측면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igh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studied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And responses from 75 university stud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many high school students do not choose Chemistry Ⅱ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ecause they try to get good scores and high school did not support classe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general chemistry at universities. Also,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ntended curriculum, whil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mplemented curriculum. Finally, university students felt a big gap between high school with problem-solving learning and university with concept-focused learning, and mentioned that in-depth conceptual learning is essential during high school cours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chemistry students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also analyzed the units that university students find difficult in the content of high school chemistry and university general chemistry in terms of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