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에서 사랑의 상호성

        장성빈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오늘날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은 설득력 있는 규범적 사회이론으로 인정받는다. 그런데 그간 인정이론에 대한 논의는 주로 이른바 ‘사회적인’ 영역에 해당하는 권리와 연대라는 형식에 대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호네트에 의해 세 가지 인정형식의 하나로 제시된 것이지만 아직 풍부하게 논의되지 않은 사랑에 주목한다. 호네트는 인정투쟁 에서 도널드 위니컷의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해 아이와 어머니 사이의 관계에서 사랑의 전형을 발견한다. 반면 분배냐, 인정이냐? 와 이후의 작업들에서 사랑은 보다 동등한 상호관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제시되며 돌봄의 ‘상호성’ 또한 강조된다. 한편으로 이와 같은 전환은 두 가지 이점을 갖는다. 모성애의 전형에서 벗어난 사랑은 이제 보다 다양한 관계와 행위에 적용되는 규범적 개념으로 기능할 뿐 아니라, 친밀한 관계에서 우리가 따라야 하는 상호 규범이 무엇인지도 분명하게 해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변화는 양가적인데, 그것이 비대칭적인 돌봄에 대한 관심을 약화시키는 귀결도 불러오기 때문이다.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is widely acknowledged as a compelling normative social theory. However, discussions on recognition theory have primarily centered around the ‘social’ domains, traditionally considered public spheres, such as rights and solidar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concept of love, which, despite being one of forms of recognition proposed by Honneth, has not received extensive attention. On one hand, in Struggle for Recognition, Honneth draws upon Donald Winnicott's object relations theory to explorer the essence of love within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a child and their mother. On the other hand, in Distribution or Recognition? and subsequent researches, love is portrayed as a reciprocal relationship. This shift enables a more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love across diverse relationships, extending beyond the prototype of maternal love, and provides a clearer understanding of what the reciprocity of love means. Nevertheless, it’s worth noting that this change also overlooks the asymmetry of care in his theory.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익산 서동축제에 대한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장성빈,이희승 관광경영학회 2020 관광경영연구 Vol.99 No.-

        The festival quickly became a tourist attraction in the tourism market because it is relatively easy to develop programs and has a great impact on enhancing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using the festival as a means to create regional brand values and various added value, while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ness, helping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particular, local festivals generate regional income by using festivals such as promoting local areas, attracting tourists, and promoting special products as promotional opportunities, so festivals to enhance economic effects in many regions are being planned and held, and the number of such festival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study, utilizing big data analysis methods for texts being communicated on social media about the local festival Iksan Seodong Festival will help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ntinuous and strategic Iksan Seodong Festival and shift the paradigm considering future changes in tourism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basic data will be the basi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promote the Iksan Seodong Festival, and that the big data produced online will provide directions and useful directions on how to use it for research on the Iksan Seodong Festival and provide new methodologies. For the public visiting Iksan, the venue of the Seodong Festival, which is the venue of the Seodong Festival,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tourism products that can satisfy the needs and desires of social media users visiting Iksan even if it is not during the Iksan Seodong Festival, oper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social media users visiting the Iksan Seodong Festival, and a series of space creation and planning to utilize the venue throughout the year.

      • KCI등재

        공ㆍ사의 인정이론적 경계 긋기 -악셀 호네트에서 사랑의 인정을 중심으로-

        장성빈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0 사회와 철학 Vol.0 No.39

        One of the achievements of modern feminist theory is that it brought the affair of the home into the public realm and considered it as ‘problematically’. As the slogan of “second wave feminism”, which speaks about “private is political”, love is no longer free from the discourse of justice. On the other hand, we still have a sense that privacy is important to our personal lives. The task of defining the proper line between these two positions is an crucial. I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xel Honneth reinterprets Hegel's theory of recognition into the modern one and establishes three forms of recognition: love, rights and solidarity. Recognition is an indispensable condition for a good life that the individual's ‘good life’ is only possible when the recognition for each of these three forms of recognition are fulfilled. The ambiguity that is presented in the form of recognition of love, however, delays the completion of this project. Feminist theorists, who try to establish a new division, criticize the model of Honneth. Honneth’s model of recognition of love seems to repeat the history of “male-centered” division. By showing that the form of recogni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place, this paper seeks to relieve the Honneth’s recognition theory from the criticism and explores the concept of caring, which has been presented as a unique attitude of love, as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theory on public and private distinction.

      • KCI등재

        가족에 대한 인정이론적 접근: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에 근거한 가족모델의 구상

        장성빈 한국여성철학회 2023 한국여성철학 Vol.40 No.-

        오늘날 가족은 문제적이다. 정상가족의 ‘정상성’이 힘을 잃어가는 시점에서 가족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생산되고 있다. 어떤 이들은 더 나아가 가족이 그저 족쇄일 뿐이며, 가족으로부터 벗어나는 것만이 해방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가족의 규범성을 해명해야 한다는 과제가 우리에게 주어진다. 만일 가족을 여전히 어떤 긍정적인 성격을 담지하는 것으로서 고려하고자 한다면, 그것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가 설득력 있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우선 사랑과 정의라는 가족의 두 규범적 지향을 검토한다. 근대 핵가족 모델에서 사랑은 가족적 삶의 원리로 간주되었으며, 가족 안에서 가장 핵심적인 가치로 여겨졌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가족 구성원들의 평등을 요구하는 정의라는 지향이 가족 내부로 진입했다. 사랑과 정의 모두가 가족을 이야기할 때 불가결하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외견상 상반되는 성격 때문에 양자는 쉽게 조화될 수 없으며, 사랑 혹은 정의 각각을 중심에 두는 가족모델도 한계에 봉착한다. 본 연구는 악셀 호네트의 인정 개념을 통해 양자를 통합적으로 사유하고, 인정개념의 함축에 근거하여 가족에 대한 새로운 규범적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Today, the concept of the family is under scrutiny. In an era where the traditional notion of the ‘normal family’ is diminishing in significance, diverse discussions about the family are emerging. Some argue that the family acts as a constraint, and that emancipation from it signifies liberation. Consequently, there is a pressing need to clarify the normativity of the family. To sustain the importance attributed to the family, it becomes essential to articulate its meaning. This study initiates by examining two normative orientations of the family: love and justice. In the modern nuclear family model, love is considered as the cornerstone and central value, while justice, demanding equality among family members, has permeated familial relations. Despite their essential roles in the discourse on the family, the seemingly opposing nature of love and justice poses a challenge to their reconciliation. Moreover, family models exclusively centered on either love or justice exhibit limitatio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se aspects in an integrated manner, drawing upon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and proposes a novel normative model for the family.

      • KCI등재

        관광객들이 인식하는 관광 개발 주체의 관광목적지 사회적책임(DSR)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장성빈,이희승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9

        The tourism industry can caus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over-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As tourism develops, residents, the most critical stakeholder group of tourist destinations, are causing damage due to tourism development. At present, companies' concept of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applied to tourist destinations to derive and analyze implications. Therefore, the purpose was to determine how the DSR of developers recognized by tourists affects their tourism satisfaction and whether perceived value is mediated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and tourism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have shown that only ethical responsi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DSR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seco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DSR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Finally, after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n DSR and tourism satisfaction, only ethical responsibility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perceived value on tourism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t has a new concept of DSR and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researching tourists who have not been studied before. It has expanded its research area by further expanding the concept of DSR to provide new research directions and vision. Regar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urism developers should focus more on eco-friendly activities and transparently conduct development while keeping all legal obligations ethically.

      • 0WDM7 구름미세물리 모수화 방안의 대기수상 특성 개선을 통한 한반도 대류사례 모의

        장성빈,임교선,김권일,이규원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Double Moment 7-Class (WDM7) (Bae et al., 2019; Lim and Hong, 2010)은 한국형 지역예보 모델(KIM-meso: Korean Integrated Model for mesoscale phenomena)의 구름 및 강수 과정 모의를 위해 개발된 구름미세물리 모수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방안의 고체상 과다 모의 등의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대기수상의 특성을 개선하였다. 눈과 싸라기만을 포함하는 고체상 질량 가중 종단속도(Dudhia et al. 2008)에 우박상을 추가하였으며, 대기수상 간의 충돌-병합 효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관측기반의 새로운 빗방울 낙하속도-직경 관계가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 추가한 WDM7 개선이 지표 강수 모의와 대기 수상의 혼합비 연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여름철 및 겨울철에 발생한 대류 시스템을 선정하여 WRF 모델 적분을 수행하였다. 충돌-병합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두 사례에서 모두 탐지확률(POD: Probability of detection)과 공간 패턴 상관관계(PC: Pattern Correlation)가 개선되었다. 새롭게 적용된 고체상 질량 가중 종단속도는 우박에 의한 지표 강수를 크게 감소시키고 눈에 의한 지표강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실제 관측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빗방울에 도입된 새로운 낙하속도로 인해 두 사례 모두 얼음상의 혼합비가 감소하고 눈상의 혼합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 사항은 특히 겨울철 대류 시스템에서 강수량과 대기수상의 혼합비 연직 분포를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