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의 결합 가능성

        장성규(Jang, Sung-kyu)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2 No.-

        본 논문은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을 중심으로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적 실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텍스트는 이질적인 매체인 게임 서사와 영상 매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고유한 매체적 특성을 살리기 위한 독특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들 미학적 실험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 텍스트는 게임 서사가 지니는 비선형적 성격을 재현하기 위해 영상 매체를 게임 내부 서사와 게임 외부 서사의 두 겹 이야기 구조로 설정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영상 매체에서 재현 불가능한 게임 서사를 텍스트의 속 이야기 층위에서 구현하는 것에 성공할 수 있었다. 둘째, 게임 서사의 캐릭터 재현 과정에서 영상 매체가 지니는 특성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이미지 제시를 통해 캐릭터를 구현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영상 매체는 시각적 이미지 재현에 특화된 성격을 지니며, 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게임 서사의 캐릭터 특성을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셋째, ‘나비’ 이미지 등 도교적, 불교적 사유의 시각적 재현을 통해 텍스트의 주제 의식을 환기시키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관념적인 사유를 이미지 스토리 텔링을 통해 구체화시켜 제시하기 위한 중요한 실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와 같이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은 게임 서사와 영상매체라는 이질적인 매체를 독특한 실험을 통해 결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선구적인 뉴미디어 텍스트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various technical experimental aspects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a mainly with the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This text is remarkable in respect of performing a unique test to raise the original medium characteristic of each in the process of combining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which are different media each other. These esthetic experimental strateg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rst, this text set the image medium into dual story structure of internal game narrative and external game narrative in order to realiz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of game narrative. As the result, this research could succeed in realizing the game narrative impossible in reproducing in general film medium in the story layer in the text. Second, this research utilized a strategy to realize the character through direct image suggestion utilizing the image medium in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game narrative character. Film medium has a characteristic specialized in the visual image realization, by properly utilizing this. Third, this research shows a characteristic to air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text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 of Taoistic, Buddhistic thinking as ‘butterfly’ image, etc. This is remarkable in respect that it is an important experiment to concretize and suggest the ideological thinking through image storytelling. This way, director Jang, seonwoo’s film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 can be evaluated as an advanced new media text, in respect of combining the different media, game narrative and film medium through the unique experiment.

      • KCI등재

        1930년대 후반기 소설의 고전 서사 양식 수용 연구

        장성규 ( Jang Sung-ky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3 No.-

        본 논문은 1930년대 후반기 소설의 고전 서사 양식의 수용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930년대 후반기는 서구적 근대에 대한 회의와 성찰이 담론 장의 주된 문제설정으로 대두한 시기였다. 이는 문학 장에도 영향을 미쳐, 기존의 서구적 문학 및 `novel`개념에 대한 광범위한 성찰을 추동했다. 이 과정에서 당대 문인들은 조선 및 동양의 전통적인`文`개념에 대한 재인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태준을 비롯한 작가들은 서구의 `고백`이나 일본 사소설과는 다른 자기 객관화를 장르적 특성으로 하는 조선의 `탁전` 양식을 수용하여 조선적 자전소설의 형식을 창출했다. 이는 특히 자기 중심적 서술의 한계를 지니기 쉬운 자전소설의 장르적 속성을 극복하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다른 한 편으로 채만식, 박태원, 유진오 등의 작가들은 조선 및 동양의 고전 텍스트를 삽입하여 스토리 이면의 숨겨진 주제의식을 표출하는 기제로 활용했다. 이러한 조선 및 동양의 고전 텍스트의 삽입은, 특히 표면적으로 진술되기 어려운 작가의식의 우회적 발현을 위한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속에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930년대 후반기 소설의 고전 서사 양식 수용은 서구적 `novel`과 조선 및 동양적 `文`의 결합을 통해 독특한 조선적인 `소설` 양식을 형성하기 위한 실험이었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rom a literary historic point of view. In late 1930`s, The doubt about Western modernization was issued in the literary discourse. Hence the writers of the time tried new undersanding of traditional `Mun(文)` to reflect of the concept of `novel` which was the western concept. As the result, the writers including Lee Tae-june created the form of Korean autobiographical novel by accepting of `Takjeon`(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On the other hand, Chae Man-sik, Park Tae-won, and Yoo Jin-oh inserted Oriental classical text into their novels to express the theme indirectly. The insertion of oriental classical text was related to the project of inter-textuality to express writer`s intention circuitously. In this respect, the acceptance of Classical literary genres was meaningful experiment to create Korean form of novel combining western concept of `novel` and eastern concept of `Mun` in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삼천리』의 외국문화 수용과 소수자 문학의 기회

        장성규(Jang Sung-Gyu)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29

        『삼천리』의 외국문학 수용은 단순한 이식과 전파가 아닌 당대 조선적 근대문학의 기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삼천리』는 당시 조선문학의 과도기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서구 문학의 압축적인 소개와 중국 신문학을 통한 근대적 문학 언어의 형성을 기획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의 식민지적 현실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며 이로부터 『삼천리』는 아일랜드 문학의 적극적인 전유를 기획한다. 그 결과 『삼천리』는 제국의 언어와는 다른 탈식민적 언어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에스페란토어의 적극적인 소개와 수용으로 나아간다. 에스페란토어는 제국의 언어를 비민족주의적인 방식으로 극복하는 언어 형식이라는 점에서 당대 조선의 문학 성격을 소수자 문학으로 인식했던 『삼천리』의 문제의식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외국문학 형식이었다. 이와 같이 『삼천리』의 외국문학 수용은 다층적인 방향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그 결과 당대 조선문학의 정체성을 소수자 문학으로 인식하고 이를 기획하기 위한 언어 형식으로서 에스페란토어를 수용하는 단계까지 나아간다. 특히 이 소수자 문학의 기획은 제국의 언어와 배타적 민족주의의 언어를 동시에 극복하려는 기획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Samcheonli''s adoption of foreign literature was not simply transplantation or diffusion. It was progressed as one of the projects of 'Chosun''s typical modern litera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transitional phase of Korean literature, 'Samcheonli' attempts to establish modern literary language by introducing Western literature compactly and adopting 'Chinese new literature'. However, these attempts gave salience to the recognition of colonial reality in Chosun. Hence the writing staff in 'Samcheonli' attempted to appropriate Irish literature actively. This lead to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decolonized language. As a result, they planned to actively adopt Esperanto. Because Esperanto was a linguistic form which can overcome 'the language of empire' in 'non-national' way, it was most appropriate way to demonstrate 'Samcheonli''s consciousness that the present Korean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the minor. As mentioned, the adoption of foreign literature in 'Samcheonli' was proceeding in these various direction simultaneously. As a result, they regarded present Korean literature as literature of the minor, and to present this idea they adopted Esperanto as linguistic form to demonstrate this idea. This project to form the literature of the minor was significant because it was the attempt not only to overcome 'the language of empire' but also to surmount 'the language of the nationalism' which was extremely exclusive.

      • KCI등재
      • KCI등재

        재난 소재 한국 소설의 미학적 전략

        장성규(Jang, Sungkyu)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0 No.27

        This paper aims to examine aesthetic strategies frequently used in recent Korean novels about disasters. Despite its achievements, existing research has limitations in dealing with disasters only at the material level.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seeks to extract specific aesthetic strategies and, based on them, to manifestly restore thought behind the text.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in detail: First, there is an attempt to invoke historical awareness as a “montage” by summoning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based on the typical text of Jung, Yujung as a medium of disaster. Second, Choi, Soochul s tex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there is an attempt to expose the mechanism of “biological control power” in modern society and to reason for “melancholy” as a powerful way to resist it. Third, SF text such as DJUNA is the representative, Attempts exist to combine SF imagination with an allergic problem consciousness. These characteristics of recent disaster-based novel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trigger a new perception of the potential disasters in our daily lives.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 디아스포라와 국제연대의 기억 -한흑구를 중심으로

        장성규 ( Sung Ky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한흑구 문학은 그 중요성에 비해 거의 연구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흑구는 매우 드물게 식민지 시대 재미 유학생의 구체적인 체험을 토대로 하여 식민지 디아스포라로서의 자기 인식과 미국 내의 다양한 디아스포라간의 연대에 대한 모색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한흑구는 미국문학에서도 특히 당대의 ‘흑인문학’과 월트 휘트먼에 대한 체계적이고 능동적인 수용을 시도한다. 이를통해 그는 제국주의적인 미국문학이 아닌, 소수자문학으로서의 미국문학에 대한 탈식민적 인식을 확보한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그는 미국 내의 흑인은 물론, 폴란드와 아일랜드 등의 식민지 디아스포아인들과의 교감을 추구하며 이들과의 문학적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성과는주로 재일 유학생을 중심으로 수행된 민족주의적 정체성의 탐구와는 구별되는 소수자문학의 주체로서의 정체성 탐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의의를 지닌다. It is true that literature of Han Huk-gu has not almost been studied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But, Han showed self-recognition as colonial diaspora and seeking about diverse diasporas in the USA based on specific experiences of a Korean student in America in the colonial era very rarely. This has meanings of important literature history. Concretely, Han especially tried systematic and active acceptance about “literature of African Americans” and Walt Whitman of the time in American literature. Through this, he secures post-colonial perception on American literature as minor literature, not imperialistic American literature. In this cognition, he pursues communion with colonial diasporas such as Polish and Irish people as well as African Americans and seeks possibility of literary solidarity with them. The result has the meaning that it represents identity exploration as a subject of minor literature separated from ethnic identity exploration which was mostly implemented by Korean students in Japan.

      • KCI등재

        좌절된 혁명의 기억 -4.19의 호명과 환타지 미학-

        장성규 ( Sung-kyu J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4 No.-

        4ㆍ19가 지니는 한국현대사에서의 역사적 위상에 비해 이를 형상화한 소설 텍스트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 원인중 하나가 바로 4ㆍ19에 대한 소재주의적 층위에서의 접근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근대소설이 미메시스의 욕망만큼이나 강력한 환타지의 욕망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오히려 텍스트에 징후적으로 표출되는 환타지의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로부터 그 미학적 전략을 추출하는 것이 보다 생산적인 접근일 수 있을 것이다. 환타지는 단순히 신기하거나 낯선 소재적 층위의 요소가 아니라, 정치적 무의식의 표출 기제이자 지배적 리얼리티에 대한 인식론적 회의의 방법론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미학적 기능을 고찰하기 위해 환타지적 요소의 첨가와 삭제, 그리고 대조 양상으로 나누어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첨가``는 일반적인 인식 구조 속에서 간과된 것들을 대면하게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작가로 최인훈을 들 수 있는 바, 그의 「주석의 소리」, 「총독의 소리」, 「열하일기」 등의 텍스트는 4ㆍ19의 의미를 공시적, 통시적 측면에서 탐색하기 위한 미학적 방법으로 환타지를 사용하고 있다. ``삭제``는 통념화된 현실을 재인식하도록 만드는 계기로 작동한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이제하의 「환상지」와 오탁번의 「굴뚝과 천장」을 들 수 있는 바, 이들 텍스트는 5ㆍ16으로 인해 좌절된 혁명의 기억을 호출하며 군부 독재 시대의 현실에 균열을 가하는 미학적 성과를 보여준다. ``대조``는 지배적인 리얼리티를 낯설게 만드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이어령의 「환각의다리」와 남정현의 「너는 뭐냐」 등을 들 수 있는 바, 이들 텍스트는 각기상호텍스트성의 발현과 ``현대성``에 대한 비판을 통해 혁명의 의미에 대한 성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4ㆍ19를 직접적인 소재로 다루지 않더라도 다양한 환타지 미학을 통해 좌절된 혁명의 기억을 호명하는 텍스트의 성취는 가볍게 여길 수 없다. 특히 이들 텍스트는 단순히 4ㆍ19를 일시적 사건으로 반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각기 상이한 방식으로 그 의미를 미학적 층위에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 그 문학사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It is true that the study on novel text which gave 4;19 a shape is absolutely deficient comparing to its historical status in Korean modern history. One of the reasons would be considered as due to approaching to this subject from the view point of material stratum about 4;19. But if we consider that the modern novel has desire for fantasy as strong as the desire of mimesis, on the contrary, positively analyzing the aspect of fantasy expressed as a sign in the text and extracting the aesthetic strategy from it could be more practical approach. The fantasy is not a simple element of miraculous or strange material stratum, but it functions as a expressing mechanism of a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a method of epistemological skepticism on ruling reality. This study analyzed texts classifying them as aspects of an addition, deletion and contrasting of the fantastic elements to examine these aesthetic function. The ‥addition… performs the function to face at those omitted in the structure of general cognition. We could take Choi Inhoon a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belongs to this, his texts 「Voice of Juseok」, 「Voice of Governor」, 「Diary of Yeolha」 etc. use the fantasy as a aesthetic metho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4ㆍ19 in synchronic and diachronic aspects. The ``deletion`` functions as a motif to make conventionalized reality recognized as new one. The representative works belong to this could be 「Whansangji」 written by Lee Jeha and 「Chimney and Ceiling」 by Oh Takbeon, these texts call the memory of the frustrated revolution by 5ㆍ16 and show aesthetic performance which gives the reality of military dictatorship period a crack. The ``contrast`` performs a function which makes ruling reality looks strange. The representative works belong to this could be 「legs of hallucination」 by Lee Earyeong and 「Who are you」 by Nam Jeonghyun etc., each of these texts performs introspection on the meaning of the revolution through manifestation of mutual text and critique on ``contemporary``. We could not consider lightly the performance of texts which call the memory of the frustrated revolution through the various fantasy aesthetics, even if we do not take 4ㆍ19 as a direct material. Particularly these texts has its meaning in the literary history in the point that each of them gives a meaning of 4ㆍ19 a shape in the aesthetic stratum in different ways, instead of putting an end to 4ㆍ19 at the point of simply reflecting it as a temporary event.

      • KCI등재

        리얼리즘 문학의 연속성과 전후문학의 재인식 : 박연희 론

        장성규(Jang Sung-kyu)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7

        기존의 전후문학 연구는 특정 작가들에게 편중된 한계를 지닌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전후문학을 곧바로 추상적 관념성의 세계로 평가하면서, 전후문학이 지니는 현실대응적 성격을 간과해 온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현재적 관점에서 전후문학을 새롭게 조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박연희는 그 문학사적 중요성에 비해 충분히 연구되지 못한 작가이다. 그러나 박연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문학사적 성취를 보여준다. 첫째, 그는 「방황」을 비롯한 일련의 일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통해 강력한 비민족주의적 반식민주의 역사 인식을 보여준다. 이들 작품에서는 민족주의적 배타적 종족주의를 넘어서면서 민족국가를 뛰어넘는 반식민적 연대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는 기존에 고평되던 전후문학 작품들이 추상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탐구나 감상적 민족주의를 벗어나지 못한 점을 고려한다면 매우 중요한 문학사적 성취로 평가될 수 있다. 둘째, 그는 「증인」, 「환멸」등의 작품을 통해 남한의 자본 주의와 북한의 (국가)사회주의를 동시에 비판하고 있다. 그는 이들 작품에서 남한과 북한 체제를 동시에 객관화시켜 비판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뛰어난 현실인식을 선취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셋째, 그는 4월 혁명을 형상화 한 「개미가 쌓은 성」등의 작품을 통해 전후문학이 지니는 지식인 중심성을 극복하고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복원 시키고 있다. 이들 작품에서 그는 주로 지식인의 관점에서 해석되고 형상화 되어온 4월 혁명에 대해, 하위주체가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했는가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보여준다. 이는 전후문학, 그리고 4월 혁명을 다룬 대부분의 작품이 강한 지식인 중심성을 노정하며 정작 혁명에 대해 추상적 이데올로기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인식을 보이는 것과는 다른 문화적 성취로 평가될 수 있다. 박연희에 대한 문학사적 복원이 필요한 것은 기존의 전후문학 연구가 전후 현실의 문제를 추상적인 이데올로기의 층위나 감상적 민족주의의 층위로 환원시켰기 때문이다. 박연희는 카프와 해방공간에서 지속되어온 리얼리즘 문학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으며, 따라서 박연희에 대한 문학사적 복원은 곧 리얼리즘 문학의 연속성을 규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박연희가 기존 리얼리즘 문학의 감상적 민족주의나 지식인 중심성을 극복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보였다는 점은 현재 리얼리즘의 미학적 갱신의 과제에도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Park Yeun-hee is a writer insufficiently studied regarding his literature's historic importance. His literature is important in three points. First, he shows non nationalistic anti colonial historic recognition at his novels which take pla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se novels, he shapes anti conlonial solidarity beyond nation state. Second, he shows critical recognition about South Korean capitalism and North Korean (national) socialism. At 'The witness' (Jeungin), 'Disillusion'(Hwanmyeol) he objectively critics South and North Korean system, which was extremely precise social recognition at those times. Lastly, he overcomes elitism of Korean postwar days' literature and restores voices of subaltern in his novels which symbolizes The April Revolution'(q 19), especially at 'The Castle built by Auts'(Camiga-ssaeunsuug). In these novels, he shows subaltern's recognition and movement on 'The April Revolution'. Unlike almost every other writer's novels which wrote about The April Revolution' which was flooded with elitism and abstract ideologies. Repercepting Park Yeun-hee's literature is important because existing studies of Korean postwar days' literature regard postwar days' reality with abstract ideology or nationalism. Park Yeun-hee accedes realistic literature's history, so repercepting his literature is examining continuance of realistic literature. Especially, he literature implies aesthetic problem of nowday's realistic literature.

      • KCI등재

        파국과 종말의 상상력 : 한국 재난 서사 콘텐츠를 중심으로

        장성규(Jang, Sung-kyu)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9 No.-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대두하고 있는 한국 재난 서사 콘텐츠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2000년을 전후하여 문학을 시작으로 영화, 드라마, 게임, 웹툰을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재난 서사가 활발히 생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주요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포스트 아포칼립스가 우세한 서구와는 달리, 한국의 경우에는 재난 ‘이전’에 대한 시공간 설정이 두드러진다. 이를 통해 인간에 의해 도래할 것으로 예견되는 재난을 경고하는 것이 한국 재난 서사 콘텐츠의 특성 중 하나이다. 둘째, 극한적인 시공간 설정을 통해 인간의 본원적 정체성을 탐구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대안적 윤리에 대한 모색이 활발히 수행되는 특성이 두드러진다. 셋째, 재난에 대한 심성구조가 양식적으로 투영되는 양상이 드러난다. 서사의 불가능성을 재현하거나 대중의 상상력을 무한한 서사로 구축하는 실험들은, 재난을 미학적인 층위에서 사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러한 재난 서사 콘텐츠를 통해, 우리는 이데올로기 이면에 놓인 현실을 직시할 수 있다.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saster narratives, which have been exploding since the 2000s. Disaster narrative is actively produced across various media, including movies, dramas, games, and webtoons, starting with literature around 2000. An analysis of the predominant content indicates that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stand out: First, unlike the West, where the post-apocalypse scenario prevails, the time–space setting before the disaster is prominent in Korean narratives. This warns of a disaster that is expected to hit. Second, there is a tendency to explore the fundamental human identity through extreme time and space settings. In particular, it is notable that the search for alternative ethics is actively carried out in this process. Third, the aspect in which the mentalities for disaster are projected formally is revealed. Experiments that represent the impossibility of a narrative or construct the public’s imagination as an infinite narrative are noted in that they consider disaster on an aesthetic level. Through these disaster narrative contents, we can recognize the reality behind the ideology.

      • KCI등재

        200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타자 형상화 방식의 변화 과정 연구

        장성규(Jang, Sung-kyu)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4 No.-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way to represent the others of korean novels in 2000’s. In the initial stage, these novels, such as Oh Soo-Yeon’s ‘Don’t die, Abu Ali’, tended to use nonfictional narrative methods. Henceforward, in her collection of short stories Golden Roof she combined both nonfictional and fictional narratives. This helped her show awareness about the others and her distinctive ‘narrative-identity’ generated from her narrating. Henceforward, novels about the problems of the others increased, and these novels dealed with the others from sympathetic points of view. These had limits that stereo-typed characters appeared in these novels. However, Kim Jae-young’s ‘Elephant’ brought the other as ‘Homo Sacer’ into being and provided tremble to threat structure of speculation of subject. After 2010, young writers tend to use ‘lively’ narrative method to suggest solidarity of minorities. Conventional national boundarie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re deconstructed, and solidarity of minorities, which were alienated from global world-systems, is suggested in Choi Min-seok, Cho Hae-jin and Kim Hee-seon’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