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Menadione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홍삼사포닌의 영향

        장봉준,배춘식,조용성,차용호,박창원,조대현,장경진,Jang, Bong-jun,Bae, Chun-sik,Cho, Yong-seong,Cha, Yong-ho,Park, Chang-won,Cho, Tae-hyun,Chang, Kyung-jin 대한수의학회 1997 大韓獸醫學會誌 Vol.37 No.3

        It is known that 2-methyl-1,4-naphtoquinone(menadione, MD) induces hepatotoxicities both in vivo and in vitro. These toxic effects are believed to result from oxidative damages to hepatocytes by "active oxygen" species via one-electron reduction of the naphtoquinone. The ginsenoside(GS) is a complex mixture of individual ginsenosides which is known to produce a range of effects on the cardiova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s. In particular, GS has an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 we studied the effect of GS from red panax ginseng(red ginseng total saponin, RGTS) on free radical-induced liver injuries by MD. Administration of MD($150{\mu}M$) caused an increase in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decrease in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ies and total bilirubin levels in blood, caused depletion of GSH and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ctivities are shown in liver tissue. Administration of RGTS restored the AST levels that increased by MD, but catalas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RGTS also had an effect of restoring the GSH level and had some synergistic effects with SOD. These data suggest that RGTS may have some protective effects on liver injury which is related with the oxygen free radic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요추 수술 실패 증후군에 대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yun Kim),오성균(Sung Kyun Oh),송승엽(Seung Yeop Song),장봉준(Bong Jun Jang),김유미(Yu Mi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목적: 요추 수술 후 잔존하는 하지 방사통에 대하여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실시하여 진단과 증상 호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0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입원하에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 받은 요추 수술 실패 증후군 환자 112명(남자41명, 여자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퇴원 후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으며, 평균 연령은 62.4세(35-78세)였다. 요추 수술 후 증상 호전이 없거나 심해진 경우를 1군, 방사통이 호전이 있었으나 잔존하는 경우를 2군, 방사통이 호전 후 재발된 경우를 3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112명의 환자 중 1군은 15명, 2군은 59명, 3군은 38명이었으며, 수술 방법에 따른 요추 수술 실패 증후군 발생 비율은 부분 추궁판 절제술이 가장 높았다. 2군의 경우, 수술 전 환자의 방사통 이환 기간이 1년 이상 긴 경우 요추 수술 실패 증후군 발생에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시행 후 각 군 모두에서 시각 통증 척도와 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index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증상 호전을 보였다(p<0.05). 결론: 요추 수술 후에도 선택적 신경 차단술은 방사통의 원인 부위를 찾기 위한 진단적 가치와 함께 증상 호전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nd diagnosis using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for radiating pain after spin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12 to October 2013, 112 patients with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41 male and 71 female, with the mean age of 62.4 years and range of 35 to 78 years), who were admitted and underwent SNRB, were included. All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12 months.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Group 1 included patients with no improvement or aggravation of symptoms, group 2 included those with improvement of radiating pain, and group 3 included those with recurrence of radiating. Results: Among the 112 patients, there were 15 patients in group 1, 59 patients in group 2, and 38 patients in group 3. Laminectomy was the highest surgical procedure, inducing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In group 2, the occurrence of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was higher in case that radiating pain was complained more than 1 year before the first surgery.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ymptom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index on every group after SNRB (p<0.05).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SNRB is expected to improve the symptoms and to find the cause of symptoms as a diagnostic value even after spine surgery.

      • KCI등재
      • KCI등재

        국소 자가골을 이용한 경추 전방 유합술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yun Kim),오성균(Sung Kyun Oh),국승환(Seung Whan Kuk),장봉준(Bong Jun Jang),최지웅(Ji Woong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3

        목적: 유합 충전물로서 국소 자가골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6월에서 2009년 9월까지 퇴행성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중 전방 추간판 제거술과 polyetheretherketone 케이지와 국소 자가골편을 이용한 유합술 후 5년 이상 추시한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Visual analogue scale 경부통/방사통 점수는 술 전 5.8/7.7점에서 술 후 1년 1.6/2.3점, 술 후 5년 1.8/2.7점이었다. Neck disability index는 술 전 34.3점에서 술 후 1년 6.25점, 술 후 5년 6.51점이었다. 평균 6.4개월에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추체 간격은 1년 추시 평균 6.31 mm, 5년 추시 평균 6.22 mm로 감소하였고, 케이지 종판 내 함몰은 1년 추시 평균 1.28 mm, 5년 추시 평균 1.31 mm 간격 소실을 보였다. 3 mm 이상의 케이지 종판 내 함몰은 1년 추시 1예, 5년 추시 2예에서 나타났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나사못의 파손이 1예, 나사못 인장이 1예에서 발생하였고, 전 예에서 술 후 감염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유합 충전물로 국소 자가골을 이용하는 것은 장기간의 추시에도 우수한 골유합 및 임상 증상의 호전을 나타내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locally harvested autobone as a filling material for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or 21 patients diagnosed as cervical disc herniation with cervical myelopathy or radiculopathy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fusion using locally harvested autobone and polyetheretherketone solis cage from June 2006 to September 2009, with a follow-up period of longer than 5 years. Radiologic outcomes were evaluated by the rate of bone union, the change of intervertebral height, and the subsidence of the cage. Results: In clinical results, visual analogue scale score was 5.8±0.71/7.7±0.78 at preoperative, 1.6±0.58/2.3±0.97 at 1-year follow-up, 1.8±0.81/2.7±1.28 at 5-year follow-up, and neck disability index score was 34.3±6.2 in preoperative stage, 6.25±3.21 at 1-year follow-up, and 6.51±4.05 at 5-year follow-up. Radiologically intervertebral height was reduced from average 6.31±0.93 mm in 1-year follow-up to average 6.22±0.85 mm in 5-year follow-up. Subsidence of cage was average 1.28±0.41 mm at 1-year follow-up and average 1.31±0.43 mm at 5-year follow-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verage subsidence of cage in these cases was 3.25 mm.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 screw breakage occurred in 1 case, screw pull out occurred in 1 case, and there was no postoperative infection. Conclusion: Using locally harvested autobone as filling material for fusion resulted in outstanding bone union and improvement of clinical results. In long term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on rate and complication incidence. Therefore use of locally harvested autobone as a filling material for fusion is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 KCI등재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축성 압박장치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신경관 크기의 변화

        정호연(Ho Yeon Jeong),김태균(Tae Kyun Kim),하대호(Dae Ho Ha),심대무(Dae Moo Shim),우영하(Young Ha Woo),주민수(Min Su Joo),장봉준(Bong Jun Jang),김성배(Saintp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현재의 자기공명영상은 일반적으로 누운 상태에서 촬영하여 서있는 상태의 요추부 영상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축성 압박을 가하여 직립상태를 구현하여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고, 신경관 계측치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0월 1일에서 2011년 5월 31일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외래에 내원한 척추관 협착증이 의심되는 환자 중 축성압박장치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신경관 크기는 일반 앙와위 자기공명영상에서 요추 3-4번에서 남, 여 평균 195.57 ㎟, 203.20 ㎟, 요추 4-5번에서 194.64 ㎟, 211.43 ㎟, 요추 5-천추 1번에서 199.38 ㎟, 203.04 ㎟로 관찰되었다. 반면 축성 압박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는 요추 3-4번에서 166.43 ㎟, 174.27 ㎟, 요추 4-5번에서 154.81 ㎟, 158.67 ㎟, 요추 5-천추 1번에서 148.48 ㎟, 157.19 ㎟로 관찰되었다. 신경관 크기의 변화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축성 압박장치로 재현된 직립상태에서의 신경관 크기의 변화는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임상적 적용에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 conven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conducted in supine position, showing a slight different from that conducted in upright position. Therefore, we simulated the upright position by applying the axial load on a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 and measured the change of neural tube size in axial load and standardized the data.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the axial loading MRI obtained from spinal stenosis patients who visited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outpatient clinic between October 2010 and May 2011 showing radiologic and physical symptoms. Results: Neural tube sizes by conventional MRI were as follows: 195.57 ㎟ and 203.20 ㎟ on averag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L3/4; 194.64 ㎟ and 211.43 ㎟ on average in L4/5; and 199.38 ㎟ and 203.04 ㎟ on average in L5/S1. Neural tube sizes by axial loading MRI were as follows: 166.43 ㎟ and 174.27 ㎟ on averag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L3/4; 154.81 ㎟ and 158.67 ㎟ on average in L4/5; and 148.48 ㎟ and 157.19 ㎟ on average in L5/S1. Changes of neural tube sizes in L3/4, L4/5, and L5/S1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Conclusion: The axial loading device was an excellent tool in simulating the upright position for spinal stenosis patients, and the change of neural tube sizes reproduced for the upright pos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s thought to be meaningful for clinical applicability.

      • KCI등재

        요추 주위 근육 계측에 대한 자기공명영상검사와 초음파의 비교

        김창수(Chang Su Kim),우영하(Young Ha Woo),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yun Kim),이정미(Jeong Mi Lee),장봉준(Bong Jun Jang),유병민(Byung Min Y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요통의 원인 중 하나인 요추 주위 근육 위축에 대한 계측에 있어서 자기공명영상검사와 초음파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3월에서 2015년 8월까지 요추부 통증을 주소로 원광대학병원 외래에 내원하여 요추부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한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요추 4/5번, 3/4번의 양측에 위치한 대요근 및 요추 신전근의 근육 단면과 두께는 자기공명영상검사로 측정하였고, 초음파검사의 이미지는 자기공명영상검사가 시행된 곳에서 대요근 및 신전근의 두께를 양측에서 분석 하였다. 결과: 대요근을 자기공명영상검사로 측정한 근육 단면과 초음파로 측정한 근육 두께의 상관분석 결과, L4/5 좌측은 상관계수가 0.136 (p=0.64), L3/4 Rt는 0.070 (p=0.81), L3/4 Lt는 0.288 (p=0.32)로 의미있는 값을 도출하지는 못하였으나, L4/5 우측에서는 상관계수가 0.559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4). 대요근의 두께를 자기공명영상검사와 초음파로 측정한 값의 상관계수는 L4/5 Rt는 0.316 (p=0.27), L4/5 Lt는 0.022 (p=0.94), L3/4 Rt는 0.236 (p=0.41), L3/4 Lt는 0.287 (p=0.31)로 유의한 값을 도출하지는 못하였고, 요추 신전근의 근육 두께를 측정한 값의 상관계수도 L4/5 Rt는 0.207 (p=0.49), L4/5 Lt는 0.051(p=0.86), L3/4 Rt는 0.048 (p=0.87), L3/4 Lt는 0.154 (p=0.61)로 유의한 값을 얻지 못하였다. 결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얻어진 요추 주위 근육의 용적이 근육의 단면적인 모습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ultrasonography measurement of peri-lumbar muscle atrophy which is thought to be a cause of low back pain. Materials and Methods: Eighty-two patients (44 males, 38 females) who visited Wonk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15 to August, 2015 complaining of lumbar back pain and underwent lumbar MRI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ross section area (CSAMRI) and muscle thickness (MTMRI) of psoas major (PS) and lumbar extensor (LM) located on both sides of L4/5 and L3/4 was measured by MRI, and sono measurement of thickness of the same muscle (MTUS) at the same level of that MRI measurement were analyzed. Results: In correlation analysis of PS CSAMRI and PS MTUS 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L4/5 was 0.136 (p=0.64), L3/4 right (Rt) was 0.070 (p=0.81), and L3/4 left (Lt) was 0.288 (p=0.32). PS CSAMRI at L4/5 Rt showe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of PS MT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0.559 (p=0.04). In analysis of the PS MTMRI and PS MTU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L4/5 Rt was measured by a 0.316 (p=0.27), L4/5 Lt was 0.022 (p=0.94), L3/4 Rt was 0.236 (p=0.41), and L3/4 Lt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ult with 0.287 (p=0.31).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f the LM MTMRI and LM MTU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L4/5 Rt was 0.207 (p=0.49), L4/5 Lt was 0.051 (p=0.86), and L3/4 was Rt 0.048 (p=0.87), L3/4 Lt did not show a significant value with 0.154 (p=0.61).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muscle volume obtained from ultrasono is effective for evaluation of cross-sectional area of lumbar mus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