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동 조건에 따른 양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영양성분 변화

        장민영(Min-Young Jang),조연지(Yeon-Ji Jo),황인국(In-Guk Hwang),유선미(Seon-Mi Yoo),최미정(Mi-Jung Choi),민상기(Sang-Gi M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7

        Innovative freezing technology is currently applied to preserve foodstuffs for long-term storage. Generally, the quality of frozen food is closely related to the types of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s depending on freezing rate. When onions were frozen at -40°C, freezing rates were 0.1, 0.5, and 0.7°C/min depending on air-blast quick freezer mode. Onions were thawed by microwave irradiation at 400 W. Hardness of onion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freezing and thawing compared with blanched onion. However, the fastest freezing rate did not affect hardness. Thawing loss of onion decreased with a faster freezing rate. For morphological observation, onion frozen at a faster rate showed a smaller ice-crystal size. Vitamin C content decreased upon blanching or freez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reezing rate. Although free sugar content also decreased upon blanching and freezing, its highest content was at 0.7°/min freezing. Among organic acids, malic acid content was highest at 0.7°C/min freezing. Based on this study, it could be suggested that a faster freezing rate is effective to improve frozen food quality in accordance with preventing tissue damage or minimizing destruction of nutrients.

      • KCI등재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 텍스트 수준 분석

        장민영(Min young, Jang),박은혜(Eunhye, Par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 동화 텍스트 수준을 분석하고,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동화의 수준 및 적정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교사용 지도서 내 제시된 동화 216편이며, 텍스트 수준 분석은 텍스트의 질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을 위한 도구는 2010년 미국 공통핵심교육과정(CCSS)에서 제안한 문학텍스트 수준 분석을 위한 교사용 평가 도구(TC: QMR-L)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생활주제별로 3-5세 동화 텍스트 수준을 살펴본 결과, 11개 생활주제 중 7개의 생활주제에서 연령에 적정하지 않은 텍스트 비중이 높았다. 특히 ‘나와 가족’, ‘우리 동네’, ‘우리나라’ 3개 주제는 다른 생활주제에 비해 연령에 적정하지 않은 동화 텍스트 비중이 높았다. 실제연령수준 판단 근거인 4개 평가범주에 따라 생활주제별 동화 텍스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연령 적정도 편차가 큰 3개 생활주제는 글의 주제, 언어의 명료성 및 관습성, 배경지식 범주에서 모두 다른 생활주제에 비해 연령 적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ext level of creative tales for young children in 「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system」and to comprehend the level and appropriateness of the tales centering on themes related to everyday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6 creative tale texts in the「Teacher’s guidebook for 3-5 Nuri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the text level was focused on qualitative factors of text. The ‘Text complexity: Qualitative measures rubric-literature’ was recommended by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CCSS, 2010)’ was revised to b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ven our of eleven theme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age between 3 to 5. Especially, themes such as ‘My family and I’, ‘Our neighborhood’ and ‘Our country’ included a considerably high proportion of inappropriate contents for the age, in comparison to other themes. Moreoever,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for age level assessment, three themes with a wide deviation of age-appropriateness showed low levels of age appropriateness in theme, clarity of the language and level of conventionality and back ground knowledge, in comparison to other themes. In particular, the theme ‘Our country’ had an exceptionally lower proportion of age-appropriate text than others in terms of the back ground knowledge.

      • KCI등재

        부동산마케팅 윤리에 관한 일고

        장민영(Jang, Min Young),허문수(Heo, Moon Soo),오인종(Oh, In Jong),이창석(Lee, Chang Suck) 대한부동산학회 200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7 No.-

        현대 사회에서 윤리경영은 기업이 사회적으로 정당한 역할이나 활동을 하여 시장으로부터 지속적인 신뢰를 얻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기업의 경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기업 활동에 대한 윤리적, 비윤리적, 부도덕적, 부패행위 등을 구분시킴으로써 사회의 이득이 되는 행위의 기준을 제시할 뿐 아니라, 기업내부 구성원의 행동에 대한 올바른 판단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구성원으로서 심리적 갈등을 완화시켜 주며 만족감을 제시한다. 따라서 부동산마케팅활동에서 마케팅 윤리는 기업에서 전개하는 마케팅활동 중 단기적인 판매촉진의 대상이 아니며, 거래과정에서 기업 중심의 이해관계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경영의 차원에서 마케팅 활동을 윤리적으로 추진해야만 한다. 이것이 실현되면 기업의 존재성은 물론 수익성, 더 나아가 기업이미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여 기업의 성장과 발 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ral principle management can contribute to get lasting trust from the mayor doing right role or activity socially, and affects in enterprise s management result enterprise on modern society. Also, about enterprise activity ethical, unethical, attempers psychological discord as member by present correct judgement standard for enterprise inside member s conduct as well as presenting standard of action that is social gains by dividing the vice enemy, corruption and so on and presents feeling of satisfaction. Therefore, marketing moral principle is not target of short-term sales promotion among marketing activities that develop in enterprise in real estate marketing activities, and must propel marketing activity ethically in continuance Manage possibility s dimension and not that think only as interests of the enterprise center in transaction process. If this is materialized enterprise s exist as well as profitability, may contribute in enterprise s growth and development causing positive effect it is enterprise s image furthermore.

      • KCI등재

        미국 성범죄자 취업제한 법제 및 판례 분석과 시사점

        장민영(Jang, Min-young)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9 No.2

        성폭력범죄의 지속적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재범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보안처분 제도를 신설 및 강화하여 오고 있다. 이와 같은 보안처분 제도는 그 연혁적 특성 및 제도 자체가 갖는 기본적 침해적 성격으로 인하여 위헌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및 이에 따른 관련법 개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에 관한 법적 논쟁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교법적 고찰로써 성범죄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제도들을 선도적으로 도입・운용하고 있는 미국의 법제 및 판례를 조사하고 국내법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경우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는 주법에 따라 각기 다르게 규율되기 때문에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를 획일적으로 설명하기는 쉽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범죄자 취업제한에 관한 미국 법제 및 판례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우리와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이원적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 미국의 성범죄자 취업제한 제도는 보안처분 차원과 자격관련 요건 차원에서 구분되어 있으며, 그 운용 또한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적용 대상 및 범위가 광범위하다. 보안처분 차원에서의 취업제한의 경우 그 적용 대상 범죄에 성폭력범죄가 포함됨은 물론, 성풍속범죄 및 성범죄가 아닌 아동관련범죄까지 확대되기도 한다. 자격관련법 차원에서의 적용 대상 범죄는 해당 법의 특성상 자격제한사유를 성범죄에 국한하지 않기 때문에 중범죄에 해당하는 성범죄뿐만 아니라 품위유지위반의 성범죄의 경우도 자격이 제한될 수 있다. 취업에 제한되는 범위 또한 폭넓게 규정되어 있는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보육시설 뿐만 아니라 아동 전용 체육・오락 시설은 물론 아동에게 개방되어 있거나 주로 사용자인 체육・오락 시설에서의 근무도 제한된다. 특히 일부 주의 경우 아동안전구역 규정에 따라 직업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아동관련 시설에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어떠한 곳에서도 일할 수 없다. 셋째, 성범죄자 취업제한에 대하여 법원은 최근 여러 보안처분 제도들과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판단하면서 도전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근의 하급심 판례 중에서 신상정보 등록・공개, 거주지제한, 취업제한 등이 중복적으로 규율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련인의 자유침해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점을 직시하고 위헌성을 심사함에 있어서 관련 제도들을 통합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As sex crimes have been increased and one of the significant social problems, the Korean law have newly adopted or strengthened civil regulatory measures against sex crimes including employment restriction for sex offenders. The civil regulatory measures have been constantly controversial due to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inherent infringement nature. Despit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 nullify the Article 51, Clause 1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and the succeeding revision of the Article, the legal debate on the employment restriction system for sex offenders has not been reduced.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legislation and the case law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been introducing and operating various systems for the prevention of sex crimes and trie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legal system. It is not easy to explain uniformly the employment restriction system for sex offenders under the US legal regime because the system is reg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ate laws. Nevertheless, the US law on the restriction of sex offenders’ employment are distinct from the Korean law. First, the US law takes a dual approach. In the US, the employment restriction system for sex offenders is divided into civil regulatory measures under the sex offender registration law and the requirements for certificates under the job-related laws. Second, the object and scope of the regulation is broad. With regard to civil regulation measures, crimes concerning sexual morals and crimes victimizing children as well as sexual violence crimes are included in the crimes to which employment are restricted. With regard to the job-related laws, employment restriction may not be limited to sex crimes that constitute felony. The workplaces concerned with employment restraint are also extensive enough to include children s sport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and facilities open to children or mainly using by children as well as educational and child-care facilities for children. In particular, some states prohibit sex offenders from working in any plac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a child-related facil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occupation. Third, the US courts have challenged the employment restriction of sex offenders by tak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various civil regulatory measures. In recent cases, the courts tend to review several types of civil regulatory measures all together on the ground that civil regulatory measures such as the registration and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restrictions on residence and restrictions on employment are repeatedly imposed on each sex offender and, therefore, the unconstitutionality concerned with the measures becomes serious.

      • KCI등재

        아동 인권 측면에서 교복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장민영(Jang Min Yo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4

        최근 미국에서는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교복 제도를 비판하는 경향이 등장하고 있다. 1990년대 학교 폭력이 주요 사회 문제로 꼽힌 이래, 캘리포니아 주를비롯한 다수의 주들이 입법을 통해 공립학교에서 교복 제도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복 제도들은 입법 이전부터 논란이 되었고, 실시 이후엔 연방법원을 통해 교복제도의 위헌성이 다투어졌다. 연방 항소법원들은 공통적으로 학생들의 착의가 표현,특히 상징적 표현에 해당될 수 있다는 판시하였다. 그러나 교복 제도에 대하여O'Brien 심사기준을 적용, 그 결과 연방 항소법원들은 교복 제도가 학생들의 표현의자유 침해가 아니라고 결정하였다. 교복 제도에 관한 미국의 법적 논의는 우리 교복 제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것이다. 한국에서는 교복 제도에 대한 법적 논의는 거의 없는 상황인데다가 특히 이를아동의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접근한 것은 더 더구나 드물지만 우리의 경우도 청소년들의 착의 내지 교복을 표현의 자유 연관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복 제도가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미국 법원이 발전시켜 온 O'Brien 심사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대신, 우리 헌법재판소가 상징적 표현에 관련된 사건에서 적용하여 온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여 볼 때, 학습능력 향상, 학생 지도 용이, 학생감 위화감예방, 경제적 부담 경감 등 제도의 목적에 대하여는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국내외 사회과학적 자료들을 분석해 볼 때 교복 제도가 상기 목적들의 달성에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교복 제도 운용 방식이 학생들의자유 제한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또한 교복 제도로 인한 학생들의표현의 자유 침해가 공익에 비해 적다고 판단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우리의 교복 제도는 헌법이 보장하는 해당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위헌적인 것이라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ew criticism on school uniform systems is being drawn from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School uniforms have been controversial on grounds of some kinds of children's rights and freedoms: children's right to privacy, right to equality, right to be heard, freedom to pursue their own personality or general right to freedom of action. Recent powerful discussion on school uniforms in the U.S. are mainly related to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Since school violence was considered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1990s, states, including the State of California, have introduced school uniform systems. The systems have been disputed even before their adoption and consequently discussed at federal courts. Circuit courts have a common viewpoint in which students' choice of dress, even without a specific letter or painting, is a kind of expression due to children's special characteristics. The courts applied O'Brien test into school uniform cases unlike other cases regarding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such as Tinker, Bethel or Hazelwood. According to O'Brien test, however, the courts held that school uniform systems do not infringe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U.S. cases regarding school uniform systems give some suggestions on the Korean system regarding school uniforms. There are not much discussion in which the school uniform system is reviewed from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A few legal materials connect school uniforms with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In consideration of youths' characteristics, their clothing should be regarded as a medium of expression in Korea, either. Besides, the aspect of clothes as expression should be recognized in that Korean secondary schools force their students to wear their own uniforms which can clearly and compulsorily proclaim their schools and some schools require their students to stick name tags on uniforms.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hat O'Brien test is applied into Korean school uniform cases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us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for cases regarding expressive conduct and same tests for constitutional cases regardless of ages of persons concerned. In case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pplied into a school uniform issue, the Korean school uniform system would be considered as a violation of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Although the aims of school uniform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school security or reduce of economic burden would be legitimate, school uniform systems would not be appropriate for these goals because the interrelation of between the goals and the systems are not certain. In addition, the school uniform system would not be the method to minimize limitation on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basis of Korean practices of school uniforms: different uniforms according to schools and fixed name tags on uniforms. In conclusion, the Korean school uniform system infringes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us, is not constitutional.

      • KCI등재
      • KCI등재

        가정폭력에 대한 국가 책임

        장민영(Jang, Min-yo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1 No.1

        국내외적으로 인권이 신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난제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가정폭력을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서 국가가 개입할 수 없는 문제로 취급하였었다. 그러나 이제는 가정폭력을 범죄로 인식하고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할 수 있도록 법제가 변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 사건은 줄어들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가정폭력 근절을 위해서 국제 사회는 국가에게 책임을 묻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국가에게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소극적 의무를 부담지우는 차원을 넘어서, 가정폭력 해소를 위해 모든 적절한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는 적극적 의무를 인정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의무를 이행함에 있어서 국가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 요청되는데, 구체적으로 국가는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피해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가해자에 대한 적절한 조사와 처벌을 실시하며, 피해자가 보상받을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마련하여 운용하는 의무가 포함된다. 가정폭력과 관련한 국가의 적극 의무 및 상당 주의의무는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다. 가정폭력과 관련한 조사와 처벌에 있어서, 재판소는 가정폭력 고소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지 않은 점 그리고 설령 고소가 없더라고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가해자에 대한 조사 및 처벌을 하지 않은 경우 국가의 의무 위반이라고 판시하였다. 또한 가정폭력과 관련한 보호조치에 있어서, 피해자의 신청이 없더라고 생명에 대한 실질적이고 급박한 위험에 대하여 국가가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는 당해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보호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것이 국가의 의무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가가 이와 같은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지 못한 경우, 피해자의 인권 침해에 대하여 책임이 있다고 재판소는 판결하였다. 우리의 경우 해마다 가정폭력 신고가 증가하는 안타까운 현실에 놓여 있다. 게다가 안산 사건들과 같이 살인과 같은 끔찍한 결과를 유발하는 가정폭력이 사회적인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가정폭력에 대하여 국가의 적극 의무 및 상당 주의의무를 요구하는 국제 사회의 논의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가정폭력 사건에 있어서 ‘가정폭력’ 관점에서 접근이 요청된다. 가해자의 ‘폭행’ 행위에 대한 처벌에 초점 을 맞추기보다 지속적인 그리고 폐쇄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가정폭력의 특성을 염두하여 가정폭력 피해의 지속성, 자녀에 대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정폭력’사건으로서 엄격히 다루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폭력에 관한 예방, 보호, 조사 및 처벌등에 대한 법제상 및 실무상 이행이 요청된다. 가정폭력 예방 측면에 있어서,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가정폭력 관련 전문 인력에 대한 교육 규정들에 대한 점검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폭력 처벌 측면에 있어서, 가정폭력관련 고소에 대하여 지체 없이 조사가 실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필요한 경우 법에 따라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보호 측면에 있어서, 피해자의 보호 요청에 대하여 효과적인 조치가 집행되어야 하며 설령 피해자의 요청이 없다고 하더라도 당국이 알았거나 알았어야 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조치들이 발동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의무 불이행이 국가의 법적 책임으로 귀결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것이 요청된다.

      • KCI등재

        아동 근로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장민영(Jang, Min-young) 중앙법학회 2018 中央法學 Vol.20 No.1

        본 논문은 보편적 인권 메커니즘이 국내의 법적 이슈들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우리 아동 근로에 관한 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이 비준 또는 가입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그 법적 효력이 인정되는 인권규범들에 비추어, 아동 근로와 관련한 우리 법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논의의 출발점이 되는 ‘아동’과 관련한 용어 및 그 적용 범위가 우리의 경우 개별법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정하여지고 있어 혼란이 야기되는 바, 19세 미만의 자를 아동으로 법적 정의하는 의견을 제안하였다. 둘째, 권리향유자이자 미성년자인 아동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최저연령제도 및 법정근로시간제를 요청하였다. 아동의 근로권을 보장하기 위해 현행 2단계 최저연령제도를 3단계로 세분화하는 한편, 아동에 대한 특별 보호 측면에서 업무의 성격 및 학업 지장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근로시간 및 야간근로 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보편적 아동권리규범이 강력히 근절을 요구하고 있는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child labour)과 관련하여, 우리 법이 강제 노역에 대한 처벌이 미약한 점 및 아동의 고용이 금지되는 불법적인 행위 그리고 위험한 업무(hazardous work)에 대한 규정이 미비한 점을 적시하고 이에 대한 금지규정의 명문화 및 구체적 규정을 제시하였다. 넷째, 아동 근로 법제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교육의 내실화, 근로감독의 강화 및 위반에 대한 집행력 제고를 제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laws and policies on children working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universal human rights mechanism has a great influence on domestic leg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which has been ratified or accepted by Korea and, therefore, are legally binding in Korea, this paper criticizes several problems of the Korean legislation on children working and suggests four improvements as below. First, the child, in the field of children working, should be legally defined as a person who is under the age of 19. The terms which mean a child and their ages vary at the laws regarding children working without any specific purpose. This situation provokes the confusion in light of the scope of protection for working children and there are legal vacancy where children’s rights are not protected in some cases. Second, the paper suggests the minimum age system and the statutory working time system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are minors as well as rights holders. In order to ensure children’s right to work, the current 2-stage minimum age system should be divided into 3 stages. The standards on working hours and night labor for working children need to b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obstacles of schooling in terms of special protection for children. Third, severe forms of child labour should be clearly banned and the prohibited hazardous work should be provided in detail. The universal human rights rules require the eradication of severe forms of child labour. However, the punishment on forced labour and provisions on hazardous work are not sufficient under the Korean legal system. Fourth,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legal protections for children working, it is suggested to raise public awareness, strengthen the monitoring system, and take the regulatory measures against the vio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