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자 시점 기반 360 영상을 위한 렌더러 구현

        장동민(Dongmin Jang),손장우(Jang-Woo Son),정종범(JongBeom Jeong),류은석(Eun-Seok Ryu)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6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고화질 360 영상 전송을 위해 사용자 시점에 기반한 타일 분할 기법을 적용하고 360 영상을 가상현실 기기 화면에 표현하여 주관적 화질 평가를 위한 플랫폼을 구현한다. 사용자 시점에 기반한 고화질 360 영상 전송을 위한 방안으로, 분할된 영상에서 전송되지 않은 영상으로의 움직임 참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된 MCTS (motion constrained tile sets) 기술과 실시간으로 사용자 시점에 위치한 타일들만 추출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된 타일 정보들을 포함하는 EIS (extraction information sets) SEI, 사용자 시점에 위치한 타일 정보만 추출해내고 영상을 분할 및 추출해주는 Extractor, 실제 추출된 영상 정보를 이용해 가상현실 기기 화면에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구현 내용을 설명한다. 따라서 제안된 구현물을 기반으로 고화질 360 영상 전송을 수행하면, 사용자 시점 영역의 영상만 전송하여 불필요한 영상 전송을 하지 않게 되어 화질 대비 낮은 대역폭의 향상된 실시간 전송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사용자 시점 기반 360 영상을 위한 렌더러 구현

        장동민(Dongmin Jang),손장우(Jang-Woo Son),정종범(JongBeom Jeong),류은석(Eun-Seok Ryu)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방송공학회논문지 Vol.23 No.6

        In this paper, we implement viewport dependent tile partitioning for high quality 360 video transmission and rendering method to present a HMD (Head Mounted Display) screen for 360 video quality evaluation. As a method for high-quality video transmission based on a user’s viewport, this paper introduces MCTS (Motion Constrained Tile Sets) technique for solving the motion reference problem and EIS (Extraction Information Sets) SEI including pre-configured tile information, and extractor that extracts tiles. In addition, it explains tile extraction method based on user’s viewport and implementation contents of the method of expressing on an HMD. Therefore, if 360 video is transferred by the proposed implementation which only transfers video from the user viewport area, it is possible to express higher quality video with lower bandwidth while avoiding unnecessary image transmission.

      • KCI등재

        국내 OEM/ODM 화장품 제조기업의 생산계획 및 효율화를 위한 분산형 MRP시스템 개발

        장동민(Dongmin Jang),신문수(Moonsoo Shin)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0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3 No.4

        Up to date cosmetic OEM/OD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industry receives attention as a future growth engine due to steady growth. However, because of limited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bility, many companies have employed commercial management platforms specialized for large-sized companies; thus, overall system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 low. Especially,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system introduced originally in 1970s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requirement of the parts. However, dynamic nature of production lead time usually results in incorrect requirements. In addition, its algorithm does not consider the capability of the production resources. Also, because the commercial MRP system calculates all subcomponent for fixed period, the more goods have subcomponent, the slower calculation is. Therefore, conventional MRP system cannot respond complicated situation in time. In this study, we will suggest a new method that can respond to complicated situations resulting from short lead time and urgent production order in Korean cosmetic market. In particular, a distributed MRP system is proposed, that consists of multi-functional and operational modul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BOM (bill of material). The distributed MRP system divides components (i.e. products and parts) into several fields and decrease the problem size; thus, we can respond to dynamically changed data any time. Through this solution, we can order components quickly, adjust schedules and planned quantity, and manage stocks reasonably. In addition, a prototype of the distributed MRP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in which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ever data is associated with an excel spreadsheet via MSsql. System user interface is implemented by a VBA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tool. According to a case study, response rate for delivery and planning achievement rate were enhanced about 20%, and inventory turnover was also decreased. Consequently,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overall profit.

      • Fire Dynamics Simulator 기반 실시간 화재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구현

        장동민(Dongmin Jang),송요한(Yohan Song),김정우(Jung Woo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화재 대응력 향상을 위한 훈련 소프트웨어는 건축물 및 공간에서 확산되는 화재 및 연기에 대한 화재 및 유체 흐름을 실제와 유사하게 구현해야 훈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와 유사한 화재 및 유체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FDS(Fire Dynamics Simulator) 데이터를 이용한다. FDS는 화재 유체 흐름에 대한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모델로 화재로 인한 연기와 열전달을 3차원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FDS의 계산 과정은 실시간으로 처리하기에는 많은 계산 시간과 대용량 데이터를 요구한다. 따라서, 게임 엔진에 실시간으로 적용하기 위한 FDS 데이터 처리 및 가시화 방법이 필요하다. FDS 데이터를 게임 엔진에 적용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을 거치며, 공간, 위치, 화재 데이터로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공간 데이터는 모델링 처리, 감지기 및 스프링클러 구성, 구역별 토폴로지 공간으로 구성된다. 위치 및 화재 데이터는 온도,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스프링클러, 일산화탄소, 산소, 가시성에 대한 열량 데이터를 시간, 위치에 따라 가중치에 의한 속성에 의해 단계화되어 전처리된다. 상용 Unity 3D 게임 엔진을 이용하여 화재 및 연기의 파티클을 생성하여 화재 및 연기를 렌더링하였으며, 물리적 특성으로 연기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 Fluvio 모듈을 이펙트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체 처리하였다. 전처리된 화재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화재, 연기,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스프링클러, 공기, 가시성으로 구분되어 시뮬레이션 된다. 화재, 연기, 가시성 시뮬레이션은 화재, 연기를 사용자에게 가시화하며, 실제 소방시설 동작 및 피해 계산은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스프링클러, 공기 시뮬레이션하여 처리된다. 주요 결과로서, 게임 엔진에 FDS 기반 화재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실시간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으며, 화재 시뮬레이션 시스템 설계 및 FDS 데이터 전처리 기술을 제안한다. 앞으로 전처리 기술 개선을 통해 FDS 기반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술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읽기 양상 비교 분석: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장동민(JANG D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국어과 과정 중심 쓰기 교수·학습 과정안 읽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과정중심 쓰기 과정안의 전체 흐름을 읽는 방식 확인, 수업 과정 정보를 읽는 양상 확인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선추적장치(Eye-Tracker)와 회상적 사고 구술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실험군의 예비교사 집단, 비교군의 경력교사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8월부터 10월 초까지였다. 실험 결과, 예비교사는 과정 안의 전체 흐름에 대하여 이해보다는 숙지하려고 하였으며, 국어과 교수·학습 이론을 실천적 지식으로의 연결에 대하여 미숙함을 보였다. 또한,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및 방법이 과정안에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문식성(Literacy) 신장을 중심으로 예비교사 양성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reading of Korean language process writing lesson plan. Accordingly, a research problem was set up to confirm the reading method of the entire flow of the plan course and the aspect of reading information on the plan course. Eye-tracker and retrospective verbal protocol were used to solve research problem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group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group of career teachers in the comparative group.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re-service teacher tried to memorize the whole flow of the course rather than understanding it, and he was inexperienced in connecting the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to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figure out how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methods were realized in the cours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education for training prospective teach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enhancement of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 teaching and learning plan course.

      • 3DoF+ 360 비디오 전송 비트레이트 절감을 위한 프로젝션 변경

        정종범(JongBeom Jeong),장동민(Dongmin Jang),김주형(Ju-Hyeong Kim),이순빈(Soonbin Lee),류은석(Eun-Seok Ryu)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11

        최근 360 비디오를 지원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에서는 제한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3DoF 를 넘어 3DoF+, 6DoF 표준을 진행하고 있고, 이에 따른 많은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제한적인 자유도를 제공하는 3DoF+ 시스템은 여러 고해상도의 360 비디오 전송을 요구하여 네트워크 대역폭에 상당한 부담을 준다. 본 논문은 3DoF+ 360 비디오 전송 시 대역폭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비트레이트 절감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360 비디오의 프로젝션을 변경하여 해상도를 줄이면서도 정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결과를 설명한다. 프로젝션 변경을 위해 360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였고, 인코딩과 디코딩 시 효율 측정을 위해 HEVC Test Model (HM)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구현된 시스템은 360 비디오를 최적의 프로젝션으로 변한 후 인코딩, 디코딩을 거치고 다시 360 비디오로 변환하는 과정을 지원한다.

      • 가상 현실 비디오 프로젝션 처리를 위한 SEI 구문 분석기와 디코더 구현

        정종범(JongBeom Jeong),손장우(Jang-Woo Son),장동민(Dongmin Jang),류은석(Eun-Seok Ryu)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6

        최근 360 도 가상현실을 지원하기 위한 비디오 시스템은 다양한 프로젝션에 대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비디오 표준화 기술은 비디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들로 프로젝션을 처리하는 기술을 표준 채택하였다. 즉, 다양한 프로젝션의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메타데이터 처리를 H.265/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서 제안된 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SEI) 메세지를 사용하여 지원한다. 본 논문은 비디오의 인코딩, 디코딩 시에 비디오 프로젝션 타입에 따라 다르게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현 기술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SEI 메시지 구문 분석기를 구현 시 HEVC Test Model(HM)을 이용하고, 디코더 구현 시 FFmpeg 라이브러리를 이용한다. 최종적으로 구현된 시스템은, 본 기관의 또 다른 구현 물인 실시간 360 비디오 플레이어에 통합되어 실시간 디코딩 및 다양한 프로젝션의 전/후처리를 문제 없이 지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