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사회혁신 창출 비즈니스 가치의 성격과 원천

        임홍탁,Lim, Hong-Ta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8

        공유경제의 등장은 디지털 기술을 사회혁신에 활용하는, 디지털 사회혁신을 사회문제의 새로운 해결책으로 주목 받게 하고 있다. 그런데 또 한편으로는 부스러기 공유경제, 주문경제처럼 디지털 기술의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사회혁신에 의해 창출되는 가치의 성격과 원천 그리고 작동방식을 밝힘으로써 제기된 의문과 우려에 대한 답을 구해보고자 한다. 먼저 사회혁신이 창출하는 비즈니스 가치의 성격과 원천에 대해 논의하고 디지털 기술에 의해서 창출되는 비즈니스 가치의 성격과 원천을 검토한다. 기부, 연대, 공유라는 사회혁신 활동 창출 가치의 원천, 그리고 디지털 기술이 만들어내는 가치의 원천인 효율성과 효과성을 알아보고 소비자/사용자의 역할을 논의한다. 실제 디지털 사회혁신 성공사례인 행복주차골목 리빙랩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해 창출되는 가치들이 실제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발생하고 구현되는지 알아본다. Digital Social Innovation, social innovation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is gaining attenntion as an innovative new way of solving pressing social problems such as ageing, traffic, unemployment etc. while some raise concerns as to the negativ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society associated with Share-the-Scraps-economy and On-demand-economy. The paper aims to address these concerns by examining the nature and source of business values generated in digital social innovation. Donation, cooperation/solidarity and sharing are identified as sources of business value from social innovation. Digitization, Platform may present infrastructure upon which efficiency of economic transaction can be elevated.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users in the value chain and value network enabled by digital technology is identified and discussed as the critical source of business value in digital social innovation. The business model of Docksan-dong Happy Parking Street living lab project is analysed to illuminate the realization of business vaules in real life setting. Policy recommend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기술 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비즈니스모델 혁신 분석 틀

        임홍탁,한정원,Lim, Hong-Tak,Han, Jeong-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2

        디지털 기술에 의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은 기업 수준의 변화를 넘어서 시스템 혁신을 이르는 중요한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기술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의 기본 임무를 바탕으로 구분한 핵심기술 개념, 그리고 디지털 기술에 의한 가치 창출에 대한 이론과 사례 검토를 토대로 비즈니스 모델혁신에 끼치는 기술변화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술, 특히 디지털 기술은 효과성과 효율성의 향상이라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동력으로 문제해결형 모델, 생산형 모델, 네트워크형 모델들의 전환, 확장, 분리 및 플랫폼화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혁신에 영향을 준다. The paper propose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impact of technical change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Based upon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ssion of business and technology, it introduces classification of technology-based business models such as problem-solving model, production model and network model, respectively employing intensive technology, interlinked technology and mediating technology as a key technology. The discussion of various cases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shows that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is first translated into the value generation in terms of efficiency or effectiveness. These new values then enable a new business model which is based on a different key technology through business model shift, expansion, unbundling, or platform. Quite often those business model changes involves system-wide innovation.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echnical change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is presented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발전방안: 북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홍탁 ( Lim Hong Tak ),한정원 ( Han Jeong Wo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7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5 No.3

        본 논문은 과학기술 특히 ICT를 활용하여 사회서비스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북유럽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찾아보았다. 먼저 사회서비스의 특징을 알아보았고 과학기술/ICT 혁신이 갖는 사회 서비스 기여 가능성을 문헌 연구를 통해 탐색하였다. 주요내용으로 해외 사회서비스 사례 특히 ICT와 과학기술을 활용한 사회서비스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ICT를 활용한 사회서비스 공급주체 강화책과 사회서비스 이용자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사회서비스 one-stop 플랫폼 구축 등 크게 2가지를 한국 사회서비스 발전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한국은 아직까지 사회서비스 시스템이 취약한 수준이지만 과학기술과 ICT의 활용과 사용자 중심 혁신활동은 사회서비스가 갖고 있는 사회적 가치를 존중하는 인식 전환을 촉진하여 사회서비스 시스템의 자생적 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Through the Scandinavian cases,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plan of social services using science & technology, especially ICT. With the analysis of opportunities presented by science & technology’s usability in social services, this paper aims to suggest how to develop social services with welfare technology. Research results suggest mainly two solutions: one is empowerment of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the other is users’ community expansion which is social service one-stop platform. Korea has weak social service system now, however,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s with welfare technology will stimulate user group. Also, welfare technology conversed social service system will re-evaluate social values, consequently self-development mechanism will work.

      • 기술경영전공 재직자 대상 맞춤형 교육에 대한 연구

        임홍탁(Lim, Hong-Tak),옥소연(Ock, So-Yeon),황준범(Hwang, Joon-Beom),박병무(Bark, Pyeng-Mu),옥영석(Ock, Yeong-Su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5

        본 연구는 기술경영전공 재직자(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대학원 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입학목적,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해보였으며, 연령별, 직위별, 직무별, 기업의 업종별, 기업의 형태별로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세부전공 설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30-40대, 관리자들은 MOT 과정을 개인의 역량/포트폴리오 강화를 바라는 반면 40대 이상, 경영자들은 전문역량강화, 새로운 비즈니스창출, 네트워크 강화 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제조업 종사자들은 실무에의 기여를 중요한 요소로 꼽은 반면, 서비스업 종사자들은 신규 비즈니스의 창출을 중요한 요소로 밝혔다. 맞춤형 기술경영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일에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이론적인 작업을 위해 응답 재직자들의 원래 전공까지 고려하는 설문을 향후 연구과제로서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graduate student of MOT(Management of Technology) by analyzing demand survey results of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e investigate the purpose of admiss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he requirement for curriculum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ge, job title, job type, business type, and type of company. Overall,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detailed majors. 30s and 40s, and managers wanted to strengthen their individual capacity and portfolio by MOT education course, while more than 40s and CEO considere strengthening their professional competencies, creating new business, and strengthening their relationship network.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hink the factor that can contribute to the practical business as a important factor, while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thing the creation of new businesses as an important factor.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resource for materializing the content of the customized MOT curriculum. For more theoretical work, we propose to consider the original major of the student in the questionnaire for the future wor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원자력 과학기술과 공공연구기관 - SCI 논문과 특허 분석-

        임홍탁 ( Hong-Tak Lim ),김신 ( Sin Kim ),장진찬 ( Jin-Chan Jang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3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지난 1970년대 이후 SCI 논문과 특허를 통해 나타난 원자력발전분야 과학기술활동에 대한 혁신주체별 분석을 통해 논문과 특허 생산에 있어 공공연구 기관이 기업이나 대학에 비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후발국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기술혁신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원자력과학기술에의 투자와 원자력 전력에 대한 수요, 전력시장과 같은 국가제도의 특성, 그리고 원자력 과학기술의 특징 등, 혁신활동 영향 요소를 찾아내고 이들을 원자력발전 선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 영국, 프랑스와 후발국인 일본, 독일, 한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원자력발전에 있어 정부개입이 강한 프랑스, 일본, 한국은 Three MileIsland 원전사고와 Chernobyl사고에도 불구하고 원자력연구개발투자와 원자력 발전 전력에 대한 수요를 유지 혹은 증가시킨 반면, 미국, 독일, 영국은 상반되는 대응을 하였다. 국가 개입에 의한 안정적 투자와 시장을 바탕으로 일본, 프랑스, 한국은 SCI논문과 특허생산 모두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어 원자력발전분야에서의 정부개입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었다.. 또한 정부 공공연구기관은 모든 국가를 막론하고 논문 생산에 있어 가장 높은 비중의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특허 생산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의 활동을 하고 있었다. 특히 후발국 한국의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논문 뿐 아니라 특허생산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최근 더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후꾸시마 사고 후새로운 기술개발을 위해서 공공연구기관이, 특히 후발국에서는,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specific features of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in terms of SCI publications and patents in several selected countries. It asks which innovating actors among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or firms are more dominat in those activities, and whether the observed pattern is more prominent in latecomer countries. After 'Three Mile Island' accident and 'Chernobyl' accident, not only the decrease of government expenditure i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witnessed but also the increase of electricity from nuclear power has been stabiliised in the U.S.A., the U.K. and Germany, while the opposite patterns have been observed in Japan, France and Korea of which foreign energy dependence ratio is very high reaching around 90%. Similar patterns of activities i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also observed although the institutions in U.S.A. have produced more SCI publications than those in other countr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have been far more productive actors in SCI publications and have showed moderate activities in patenting. In particular,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of Korea, one of latecomer, has been the dominant innovating actor both in terms of SCI publications and patents. The paper shows that the government intervention seems to be inevitable to keep the activities of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going requiring more scrutin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nuclear policy as well as th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may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new nuclear technology after Fukushima accident.

      • KCI등재

        우리나라 ABS(나고야의정서)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

        홍형득(Heung-deug Hong),임홍탁(Hong-Tak Lim),조은설(Eun Seol Ch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2

        2010년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총회에서 나고야의정서(일명, ABS)가 채택됨으로 인해 각 국가는 해외 자원의 이용과 국내자원에 대한 보호 측면에 관한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ABS이행을 위한 대응정책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관련 부처 및 기관들의 긴밀한 연계체계 구축과 통합적 관리 및 효율적 운영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정부 부처들은 다양한 생물유전자원관리 법률을 가지고 있으나 ABS에서 제기하고 있는 이용 및 이익 공유에 대한 규정을 모두 갖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법률은 생물유전자원의 보존, 혹은 그 서식지의 보전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나, ‘자원이용국’으로서 가지고 있어야 할 제도나 전략에 대해서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과제는 ABS에 대응하여 ‘자원제공국’뿐만 아니라 ‘자원이용국’ 입장에서의 부처별 역할 조정 및 통합이 필요하고, 원산지 기재 특허 요건화에 대해서도 법률적으로 입장을 뚜렷이 할 필요가 있다. Nagoya protocol, alias ABS adopted in UN Convention on Biodiversity in 2010, has prompted governments in many countries to prepare strategic plans with regards to both the conservation of domestic bio-resources and the use of those with foreign origi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responses of Korean governments to ABS (Access and Benefit Sharing)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 more integrative and efficient governance system for related ministries and institutions. Our analysis indicates that while most ministries have designated laws specifying various measures for the conservation of domestic bio-resources such as protected biological species or natural areas, just a couple of them have instituted measures governing the use of those resources and the benefit-sharing arising from it. We conclude that policy responses of Korean government are more focused on the conservation of bio-resources leaving the use of them ill-addressed. The study, thus, suggests that measures of ‘bio-resource user country’ be instituted in addition to those of ‘bio-resource supplier country’. For instance, with regards to the use of bio-resources the roles and remits of related ministries had better be clarified and coordinated. The uncertainty over the explicit indication of ‘place of origin’ of bio-resources as a requirement of patent grant need to be cleared as we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